KR200387082Y1 - 현수식 도로명판 - Google Patents

현수식 도로명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082Y1
KR200387082Y1 KR20-2005-0008345U KR20050008345U KR200387082Y1 KR 200387082 Y1 KR200387082 Y1 KR 200387082Y1 KR 20050008345 U KR20050008345 U KR 20050008345U KR 200387082 Y1 KR200387082 Y1 KR 200387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ad sign
transverse
name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종
Original Assignee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는 밴드로 지주에 횡설된 횡간에, 하부는 도로표지판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가지며 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도로표지판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현수식 도로명판에 관한 것으로, 도로표지판과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 현수식 도로명판이 꺽이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횡간에서 도로표지판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분리도 용이하게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수식 도로명판{Road sign frame of suspension type}
본 고안은 도로표지판을 고정지주에 강하게 결합하게 하고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도 도로표지판이 꺽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밴드로 지주에 고정된 횡간을 따라 도로표지판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철거도 용이하게 현수식 도로명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도로안내판이나 기타 알리고자 하는 문자가 표기된 도로표지판이 설치된다. 이 도로표지판은 대개의 경우, 전신주나 신호등 또는 가로등의 지주에 밴드로 체결하고 이 밴드의 일측에 브라켓을 협지고정한 후 이 브라켓의 일측에 횡간을 결합한 다음, 이 횡간의 하단부에 도로표지판을 경첩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러한 현수식 도로명판은 도로표지판과 횡간을 연결하는 경첩이 용접에 의해 융착되기 때문에,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어 경첩과 도로표지판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장기간 사용될 경우 도로표지판이 횡간으로부터 떨어지기 쉽고, 또한 도로표지판이 횡간과 표지판과를 용접으로 통해 고정함으로서 위치조정이 자유롭지 못하고 철거하기도 용이하지 않으며, 도로표지판을 한번 설치하면 바람이 불 경우 꺽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도로표지판을 고정지주에 강하게 결합하게 하고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도 도로표지판이 꺽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밴드로 지주에 고정된 횡간을 따라 도로표지판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철거도 용이하게 현수식 도로명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현수식 도로명판은
상부는 밴드로 지주에 횡설된 횡간에 하부는 도로표지판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가지며 이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도로표지판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는 횡간의 둘레를 감싸기 가능한 환테 형상의 구성으로 하되 그 환테의 일부가 결합시에는 조여지면서 밀착되게 하고 분리시에는 느슨하게 풀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하단은 도로표지판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환테 형상으로 하고 상단은 도로표지판과 결합되게 하되 그 환테와 결합시는 꼭 조여지게 하고 분리시에는 느슨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는 도로표지판이 전/후 회동이 가능하도록 축봉으로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부와 제2결합부의 상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상기 도로표지판과 조립되는 환테의 일부 끝단(제2결합부의 하단)은 결합시 도로표지판이 밀착고정되게 암/수 톱니 형상의 구성을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간을 지주에 고정시키는 밴드는 지주의 둘레에 조여 고정되게 양끝단에 체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양끝단부가 상호 대향하게 구부러지고, 일끝단부에는 하나의 나사 체결공을 타끝단부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지주의 둘레에 맞게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현수식 도로명판은 횡간을 지주에 부착시키는 부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프레임은 횡간의 일끝단부에 연결된 판프레임이 상기 부착프레임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되어 용접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현수식 도로명판은 밴드(미도시)로 지주에 부착되는 부착프레임(100)의 횡방향으로 착설된 횡간(110)에 도로안내나 문자 등이 새겨진 도로표지판을 현가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부는 상기 횡간을 감싸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120a)를, 하부는 도로표지판을 감싸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제2결합부(120b)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120a)와 제2결합부(120b)는 도로표지판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축봉(120c)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a)의 하단부와 제2결합부(120b)의 상단부가 연결되게 한다. 이 축봉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마모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면 좋다.
도 2a에 도시된 제1결합부(120a)는 횡간(110)에 도로표지판을 자유롭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부는 횡간의 외측 둘레를 감싸기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구된 환테(121a) 형상의 구성으로 하고, 하부는 그 개구된 환테(121a)의 일단이 상기 횡간과의 결합시에는 나사체결부(122a) 등으로 조여지면서 밀착되고 이동시나 분리시에는 느슨하게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제2결합부(120b)는 도로표지판과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 도로표지판이 꺽이지 않도록 상기 도로표지판의 상단을 감싸도록 한 것으로서, 그 제2결합부(120b)의 하단은 도로표지판의 상단 외측 둘레를 소정 환테(121b)의 개구부가 감싸면서 잡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상단은 도로표지판과의 결합시 그 환테(121b)의 개구부가 도로표지판의 상단 외측 둘레를 조여지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시나 철거시에는 느슨하게 열리면서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나사 체결부(121c)로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120b) 상단은 도로표지판이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축봉(120c)으로 제1결합부(120a)와 제2결합부(120b)를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환테는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300)가 도로표지판의 상단 외측 둘레를 감싸 잡아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환테의 개구부(300) 끝단이 암/수 톱니 형상(A)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로표지판을 더욱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부착프레임(100)은 밴드(미도시)를 통해 현수식 도로명판이 결합된 횡간(110)을 지주에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횡간(110)의 일끝단부에 연결된 판프레임(101)은 부착프레임(100)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하고 내면에 용접시켜 형성함으로써 지주에 부착할 때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밴드(500)는 지주의 둘레를 조이면서 고정되게 그 양단에 체결부를 구성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호 대향하게 구부러지고, 일단부에는 하나의 나사 체결공(510)을 타단부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520)을 가지는 구조로서, 지주에 고정될 때는 하나의 체결공(510)이 형성된 일단과 다수의 체결공(520)이 형성된 타단을 구부려 나사로 체결공 상호간을 연결하여 체결시키되, 다수의 체결공(520)이 형성된 타단을 지주의 둘레의 크기에 따라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체결공이 포함되도록 구부림으로써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체결공과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수식 도로명판은 도로표지판과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 현수식 도로명판이 꺽이지 않도록 하고, 또한 횡간에서 도로표지판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분리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식 도로명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결합부를 확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결합부를 확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프레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가 부착된 사용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를 확대한 부분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착프레임 101 : 판프레임
110 : 횡간 120a : 제1결합부
120b : 제2결합부 120c : 축봉
300 : 환테 개구부 500 : 밴드

Claims (7)

  1. 밴드로 지주에 횡설된 횡간에 도로표지판을 결합시키는 현수식 도로명판에 있어서,
    상부는 횡간을, 하부는 도로표지판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도로표지판을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현수식 도로명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횡간의 둘레를 감싸기 가능한 환테 형상의 구성으로 하되 그 환테의 일부가 결합시에는 조여지면서 밀착되게 하고 분리시에는 느슨하게 풀리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하단은 도로표지판의 상단결합부를 고정할 수 있는 환테 형상으로 하고 상단은 도로표지판과의 결합시 그 환테와 조여지게 하고 분리시에는 느슨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되 상기 도로표지판을 전/후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한 축봉으로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과 결합되는 환테의 일부 끝단은
    결합시 도로표지판이 밀착고정되게 암/수 톱니 형상의 구성을 상기 결합부 각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간을 지주에 고정시키는 밴드는
    지주의 둘레를 조여져 고정되게 양끝단에 체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양끝단부가 상호 대향하게 구부러지고, 일끝단부에는 하나의 나사 체결공을 타끝단부에는 다수의 나사 체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7. 제 1 항에 있어서,
    횡간을 지주에 부착시키는 부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프레임은 횡간의 일끝단부에 연결된 판프레임이 상기 부착프레임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되어 용접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도로명판.
KR20-2005-0008345U 2005-03-28 2005-03-28 현수식 도로명판 KR20038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45U KR200387082Y1 (ko) 2005-03-28 2005-03-28 현수식 도로명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45U KR200387082Y1 (ko) 2005-03-28 2005-03-28 현수식 도로명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082Y1 true KR200387082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345U KR200387082Y1 (ko) 2005-03-28 2005-03-28 현수식 도로명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08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27B1 (ko) * 2008-12-30 2009-07-02 권상구 표지판 현수장치
KR100981731B1 (ko) * 2008-03-03 2010-09-13 이형기 도로표지판 현가구조
KR100981729B1 (ko) * 2008-03-03 2010-09-13 이형기 도로표지판 현가구조
KR100989878B1 (ko) 2006-08-03 2010-10-26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도로 안내판 걸이구조
KR101547505B1 (ko) * 2012-09-03 2015-08-26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20190013269A (ko) * 2017-08-01 2019-02-11 박준기 가로등 암대 고정 장치 및 가로등 암대 고정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78B1 (ko) 2006-08-03 2010-10-26 주식회사 청우시그널 도로 안내판 걸이구조
KR100981731B1 (ko) * 2008-03-03 2010-09-13 이형기 도로표지판 현가구조
KR100981729B1 (ko) * 2008-03-03 2010-09-13 이형기 도로표지판 현가구조
KR100905927B1 (ko) * 2008-12-30 2009-07-02 권상구 표지판 현수장치
KR101547505B1 (ko) * 2012-09-03 2015-08-26 주식회사 선진글맥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KR20190013269A (ko) * 2017-08-01 2019-02-11 박준기 가로등 암대 고정 장치 및 가로등 암대 고정 방법
KR102026203B1 (ko) 2017-08-01 2019-09-27 박준기 가로등 암대 고정 장치 및 가로등 암대 고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082Y1 (ko) 현수식 도로명판
JP3622920B2 (ja) 標識装置
US4949525A (en) Rotatable, flexible flagpole arrangement
KR101942330B1 (ko) 충격 완화를 위해 탄성이 있는 회전식 배너걸이대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0450292B1 (ko) 표지판 지지구조
KR101261808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0450353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248430Y1 (ko) 도로표지판 조립체
KR200300004Y1 (ko) 도로표지판 장착장치
KR200248204Y1 (ko) 광고 깃발 고정장치
KR200437123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KR200231593Y1 (ko) 광고용 현수막 지지구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KR200418548Y1 (ko) 수목 지지대
KR100756014B1 (ko) 도로표지판의 유동방지구조
KR200320571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JP3053820U (ja) 街路灯
KR200164195Y1 (ko) 신호등및도로표지판설치용보의장착상태보강구조
KR20130001200A (ko) 가로등 지주의 강풍 내압장치
KR100456973B1 (ko) 깃대꽂이
KR101167700B1 (ko) 도로표지판용 고정밴드
JP3151103U (ja) 旗支持具
KR200467495Y1 (ko) 도로 표지판
KR100764669B1 (ko) 배너식 깃대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