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776A - 조립식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776A
KR20190119776A KR1020180043149A KR20180043149A KR20190119776A KR 20190119776 A KR20190119776 A KR 20190119776A KR 1020180043149 A KR1020180043149 A KR 1020180043149A KR 20180043149 A KR20180043149 A KR 20180043149A KR 20190119776 A KR20190119776 A KR 2019011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pe
hollow
conne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885B1 (ko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다른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마련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절곡된 타측에 제2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레일의 제작시, 용접방식이 아닌 볼팅방식을 이용한 결합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핸드레일의 제작이 용이한 것은 물론, 볼팅방식을 통해 해체 역시 용이하다.

Description

조립식 핸드레일{ASSEMBLY TYPE HANDRAIL}
본 발명은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면이나 계단 등의 가장자리를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울수 있는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에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형태를 갖는 계단이 시공되어 있고, 시공된 계단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과정에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핸드레일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4280호(2013.07.10) "핸드레일 거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종래의 랜드레일 거치 장치는 갱폼의 수직 프레임에 용접되는 거치간, 거치간의 표면에 돌출된 엠보, 엠보에 형성되어 체결 방향을 가이드하는 고정공 및 거치간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결합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레일 거치 장치는 핸드레일이 거치되는 거치간을 수직 프레임에 용접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거치간을 핸드레일에 용접 이음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용접기술을 갖춘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추후 용접부위가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간이 수직 프레임에 용접 이음됨에 따라 서로 해체가 불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핸드레일의 구성 중 어느 하나가 국부적으로 손상을 받더라도 핸드레일 전체를 교체하야 하므로, 그만큼 교체비용이 상승하고, 교체작업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3-0004280호(2013.07.10) "핸드레일 거치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이 아닌 간편한 체결방식을 통해 핸드레일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핸드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핸드레일을 지면이나 경사면 또는 계단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작된 핸드레일을 다시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핸드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은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다른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절곡된 타측에 제2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클램프;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제1클램프는 바닥면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1클램프 연결구; 상기 파이프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클램프 마감부재; 및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1클램프 마감부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1클램프 마감부재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이 상기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2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절곡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은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제2파이프의 일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 제3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파이프를 상기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시켜 상기 제3이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다른 상기 제1클램프의 일측에 타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3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파이프의 타단에 다른 상기 제2클램프의 일측이 연결되면서 절곡된 타측이 상기 평행부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른 제2클램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평행부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파이프의 일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 제5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5파이프를 상기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4클램프; 및 상기 제4클램프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평행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5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4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를 서로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5클램프는 상기 평행부의 상면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5클램프 연결구; 상기 파이프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5클램프 마감부재; 및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5클램프 마감부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5클램프 마감부재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이 상기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2파이프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6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경사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3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6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측에 다른 상기 제6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6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6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6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되,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되,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중공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파이프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4파이프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평행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5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7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측에 다른 상기 제7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7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7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되,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되,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중공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7클램프 각각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7클램프 각각의 내측에 제각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에 의하면, 용접방식이 아닌 결합수단을 통해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핸드레일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용접기술을 습득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쉽고 간편하게 핸드레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의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용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클램프는 제1파이프를 바닥면이나 지면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키고, 이때,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제1클램프 연결구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제1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클램프는 제3클램프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3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클램프는 제1파이프에 고정된 상태로 제2파이프를 바닥면이나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키고, 이때,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제2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클램프는 제2파이프에 고정된 상태로 제4파이프를 평행부에 평행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클램프는 제2파이프에 고정된 상태로 제3파이프를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키고, 이때,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제3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클램프는 제4파이프에 고정된 상태로 제5파이프를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키고, 이때,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이 제4클램프 연결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제4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클램프는 제4클램프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5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클램프는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6클램프 연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제3파이프의 일부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6파이프를 경사부에 평행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6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클램프는 볼팅방식의 체결수단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7클램프 연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제5파이프의 일부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7파이프를 평행부에 평행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6파이프를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내지 제7클램프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포퍼에 의해 각 파이프가 설정된 길이만큼만 수용되기 때문에 일정한 규격의 핸드레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제2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3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4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제5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제6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7클램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난간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110) 및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파이프(110)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봉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파이프(110)는 복수로 마련되며, 서로 동일한 둘레 및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110)는 제조가 용이한 것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의 절감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합수단(130)은 전술한 파이프(110)와 다른 파이프(11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실시예들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지면(G)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 및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파이프(11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1파이프(111) 및 제2파이프(112)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제1파이프(111) 및 제2파이프(112)는 전술한 파이프(1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수단(130)은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를 포함한다.
제1클램프(13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라 제1파이프(111)를 지면(G)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시키거나 후술할 제2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르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 제1클램프 연결구(131b),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는 바닥면이나 지면(G)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재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1클램프(13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면(G)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바닥면, 즉 경사부(F1)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는 별도의 앵커볼트나 결합볼트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볼팅수단을 통해 바닥면이나 지면(G)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제1클램프 연결구(131b)는 후술할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와 함께 제1파이프(111)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111)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클램프 연결구(131b)는 전술한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예컨대, 제1클램프 연결구(131b)가 이루는 경사각은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를 기준으로 45°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는 전술한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함께 제1파이프(111)의 일단이 수용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111)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는 별도로 마련되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수단(200)은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후크방식, 억지끼움방식, 또는 볼팅방식 등 용접방식 이외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볼트(201)가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를 관통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볼트(201)의 끝단에 너트(202)가 체결됨으로써,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수단(200)은 볼트(201)와 너트(202)의 체결에 의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반대로 볼트(201)와 너트(202)의 체결 해제를 통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를 서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클램프(131)는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를 통해 바닥면이나 지면(G)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체결수단(200)을 통한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의 결합에 의해 제1파이프(111)의 일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며, 이때 중공(130b)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의 형성방향을 따라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1a)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파이프(111)는 일단이 제1클램프(131)의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에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바닥면이나 지면(G)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파이프(111)는 체결수단(200)을 통해 밀착되는 제1클램프 연결구(131b)와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의 가압력에 의해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클램프(131)는 스토퍼(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131)의 중공(130b)으로 수용되는 제1파이프(111)의 일단 또는 타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의 내측면 및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30c)는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제1클램프 연결구(131b) 또는 제1클램프 마감부재(131c)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0c)는 제1클램프(131)의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1파이프(111)를 설정된 길이만큼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클램프(131)의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1파이프(111)의 설정된 길이는 완성되는 조립식 핸드레일(100)의 규격에 따른 지정된 길이로, 후술하는 제2클램프(132) 내지 제7클램프(137) 각각의 중공(130b)에 제각기 수용되는 제2파이프(112) 내지 제7파이프(117) 각각의 설정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클램프(132)는 제2파이프(112)를 바닥면이나 지면(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2클램프 연결구(132a)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클램프 연결구(13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태를 이룬다.
제2클램프 연결구(132a)는 한 쌍을 이루어 제1파이프(111) 및 제2파이프(112)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고, 연장된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클램프 연결구(132a)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클램프 연결구(132a)는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과 타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절곡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예컨대, 제2클램프 연결구(132a)가 이루는 절곡각은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135°의 기울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200)은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132a)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2클램프(132)는 체결수단(200)을 통한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132a)의 결합에 의해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타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절곡되게 연장된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클램프(132)의 일측이 전술한 제1클램프(131)에 연결된 제1파이프(111)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파이프(112)는 일단이 제2클램프(132)의 타단에 마련된 중공(130b)에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바닥면이나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파이프(112)는 체결수단(200)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132a)의 가압력에 의해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클램프(132)는 스토퍼(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클램프(132)의 중공(130b)으로 수용되는 제1파이프(111) 및 제2파이프(112)의 일단 또는 타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132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30c)는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132a)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0c)는 제2클램프(132)의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1파이프(111) 또는 제2파이프(112)를 설정된 길이만큼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통해 지면(G)에 마련되는 조립식 핸드레일(100)의 제작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클램프(131)를 지면(G)에 고정설치한다.
다음, 제1클램프(131)의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1파이프(111)는 지면(G)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다음, 제1파이프(111)의 타단에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지면(G)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2파이프(112)는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2파이프(112)의 타측에 다른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지면(G)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즉, 다른 제2클램프(132)는 전술한 제2클램프(132)와 대향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다른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다른 제1파이프(111)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다른 제1파이프(111)는 지면(G)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다른 제1파이프(111)는 전술한 제1파이프(111)와 대향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를 전술한 제1클램프(131)와 대향하는 상태로 지면(G)에 고정설치하되, 다른 제1파이프(111)의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에 다른 제2파이프(112)의 타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작과정을 통해 지면(G)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지면(G)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F1)와 경사부(F1)로부터 연장되어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F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 및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F)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등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파이프(11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1파이프(111), 제2파이프(112) 및 제3파이프(113)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제1파이프(111), 제2파이프(112) 및 제3파이프(113)는 전술한 파이프(1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수단(130)은 제1클램프(131), 제2클램프(132) 및 제3클램프(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아래 제3클램프(133)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3클램프(133)는 제3파이프(113)를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3클램프 연결구(133a)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클램프 연결구(133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태를 이룬다.
제3클램프 연결구(133a)는 한 쌍을 이루어 제1파이프(111) 및 제2파이프(112)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2파이프(112)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고,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3클램프 연결구(133a)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일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클램프 연결구(133a)는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지면(G)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며, 타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지면(G)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즉, 제3클램프 연결구(133a)에 마련되는 각각의 중공(130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클램프 연결구(133a)의 각각의 중공(130b)이 이루는 각도는 일측을 기준으로 45°의 기울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200)은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133a)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3클램프(133)는 체결수단(200)을 통한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133a)의 결합에 의해 일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부분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이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일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3클램프(133)의 일측이 전술한 제2클램프(132)에 연결된 제2파이프(112)의 일부분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3파이프(113)는 일단이 제3클램프(133)의 타단에 마련된 중공(130b)에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파이프(113)는 체결수단(200)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133a)의 가압력에 의해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클램프(133)는 스토퍼(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클램프(133)의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으로 수용되는 제3파이프(113)의 일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133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30c)는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133a)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0c)는 제3클램프(133)의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3파이프(113)를 설정된 길이만큼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통해 지면(G)에 설치되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조립식 핸드레일(100)의 제작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클램프(131)를 경사부(F1)에 고정설치한다.
다음, 제1클램프(131)의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1파이프(111)는 지면(G)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1파이프(111)의 타단에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경사부(F1)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2파이프(112)는 자연스럽게 경사부(F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2파이프(112)의 일부분에 제3클램프(133)의 일측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3클램프(133)의 타측은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3클램프(133)의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3파이프(113)는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를 경사진 바닥면에 고정설치하되, 전술한 제3파이프(113)의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에 제3파이프(113)의 타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전술한 제작과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지면(G)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F1)와 경사부(F1)로부터 연장되어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F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 및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F)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등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파이프(11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1파이프(111) 내지 제5파이프(115)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제1파이프(111) 내지 제5파이프(115)는 전술한 파이프(1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수단(130)은 제1클램프(131) 내지 제5클램프(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클램프(131) 내지 제3클램프(133)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아래 제4클램프(134) 및 제5클램프(135)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4클램프(134)는 제5파이프(115)를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4클램프 연결구(134a)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4클램프 연결구(134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태를 이룬다.
제4클램프 연결구(134a)는 한 쌍을 이루어 제4파이프(114) 및 제5파이프(115)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4파이프(114)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고, 타측에 제5파이프(115)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4클램프 연결구(134a)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제4파이프(114)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타측에 제5파이프(115)의 일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4클램프 연결구(134a)는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타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지면(G)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즉, 제4클램프 연결구(134a)에 마련되는 각각의 중공(130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4클램프 연결구(134a)의 각각의 중공(130b)이 이루는 각도는 일측을 기준으로 90°의 기울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200)은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134a)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4클램프(134)는 체결수단(200)을 통한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134a)의 결합에 의해 일측에 제4파이프(114)의 일부분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이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제5파이프(115)의 일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4클램프(134)의 일측이 다른 제2클램프(132)에 연결된 제4파이프(114)의 일부분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5파이프(115)는 일단이 제4파이프(114)의 타단에 마련된 중공(130b)에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5파이프(115)는 체결수단(200)을 통해 밀착되는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134a)의 가압력에 의해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4클램프(134)는 스토퍼(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4클램프(134)의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으로 수용되는 제5파이프(115)의 일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134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30c)는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134a)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0c)는 제4클램프(134)의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5파이프(115)를 설정된 길이만큼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5클램프(135)는 제5파이프(115)를 평행부(F2)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 제5클램프 연결구(135b) 및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를 포함한다.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는 평행부(F2)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재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5클램프(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평행부(F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는 별도의 앵커볼트나 결합볼트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볼팅수단을 통해 평행부(F2)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제5클램프 연결구(135b)는 후술할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와 함께 제5파이프(115)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파이프(115)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5클램프 연결구(135b)는 전술한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예컨대, 제5클램프 연결구(135b)가 이루는 각도는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를 기준으로 9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는 전술한 제5클램프 연결구(135b)와 함께 제5파이프(115)의 타단이 수용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파이프(115)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는 별도로 마련되어 제1클램프 연결구(131b)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5클램프 연결구(135b) 및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5클램프(135)는 체결수단(200)을 통한 제5클램프 연결구(135b) 및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의 결합에 의해 일측에 제5파이프(115)의 타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이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일단이 수용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며, 이때 중공(130b)이 제5클램프 연결구(135b)의 형성방향을 따라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135a)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5파이프(115)의 일단이 전술한 제4클램프(134)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5파이프(115)는 타단이 제5클램프(135)의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에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5파이프(115)는 체결수단(200)을 통해 밀착되는 제5클램프 연결구(135b) 및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의 가압력에 의해 배치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5클램프(135)는 스토퍼(13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5클램프(135)의 일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으로 수용되는 제5파이프(115)의 타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클램프 연결구(135b) 및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30c)는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고, 제5클램프 연결구(135b)나 제5클램프 마감부재(135c)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0c)는 제5클램프(135)의 일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에 수용되는 제5파이프(115)를 설정된 길이만큼만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통해 지면(G)에 설치되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조립식 핸드레일(100)의 제작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클램프(131)를 경사부(F1)에 고정설치한다.
다음, 제1클램프(131)의 일측에 제1파이프(111)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1파이프(111)는 지면(G)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1파이프(111)의 타단에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경사부(F1)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제2파이프(112)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2파이프(112)는 자연스럽게 경사부(F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2파이프(112)의 일부분에 제3클램프(133)의 일측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3클램프(133)의 타측은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3클램프(133)의 타측에 제3파이프(113)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3파이프(113)는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를 경사부(F1)에 고정설치하되, 전술한 제3파이프(113)의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다음, 다른 제1클램프(131)에 제3파이프(113)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3파이프(113)를 통해 제2파이프(112)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작되는 핸드레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다음, 제2파이프(112)의 타단에 다른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평행부(F2)에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킨다.
다음, 다른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제4파이프(114)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4파이프(114)는 자연스럽게 평행부(F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4파이프(114)의 일부분에 제4클램프(134)의 일측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4클램프(134)의 타측은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4클램프(134)의 타측에 제5클램프(135)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5파이프(115)는 자연스럽게 지면(G)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5클램프(135)를 평행부(F2)에 고정설치하되, 전술한 제5파이프(115)의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다음, 제 5클램프에 제5파이프(115)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5파이프(115)를 통해 제4파이프(114)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작되는 핸드레일의 강성을 더욱더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전술한 제작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지면(G)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F1)와 경사부(F1)로부터 연장되어 지면(G)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F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 및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F)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등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파이프(11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1파이프(111) 내지 제7파이프(117)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제1파이프(111) 내지 제7파이프(117)는 전술한 파이프(1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수단(130)은 제1클램프(131) 내지 제7클램프(13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클램프(131) 내지 제5클램프(135)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아래 제6클램프(136) 및 제7클램프(137)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6클램프(136)는 제6파이프(116)를 제2파이프(112)에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6클램프 연결구(136a)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6클램프 연결구(136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태를 이룬다.
제6클램프 연결구(136a)는 한 쌍을 이루어 제6파이프(116) 및 다른 제6파이프(116)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6파이프(116)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제6파이프(116)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며, 중앙에 제3파이프(113)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6클램프 연결구(136a)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제6파이프(116)의 일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제6파이프(116)의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며, 중앙에 제3파이프(113)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6클램프 연결구(136a)는 일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과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중공(130b)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룬다. 즉, 제6클램프 연결구(136a)는 중앙에 마련된 중공(130b)이 전술한 제3파이프(113)의 일직선상에 배치될 경우,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전술한 제2파이프(112)의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타측에 마련된 중공(130b) 역시 전술한 제2파이프(112)의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6클램프 연결구(136a)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과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이루는 경사각은 일측을 기준으로 중앙이 45°의 기울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200)은 한 쌍의 제6클램프 연결구(136a)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클램프(137)는 제7파이프(117)를 제4파이프(114)에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제7클램프 연결구(137a) 및 체결수단(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7클램프 연결구(137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형태를 이룬다.
제7클램프 연결구(137a)는 한 쌍을 이루어 제7파이프(117) 및 다른 제7파이프(117)가 연결되는 중공(130b)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7파이프(117)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제7파이프(117)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되며, 중앙에 제5파이프(115)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7클램프 연결구(137a)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일측에 제7파이프(117)의 일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제7파이프(117)의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되며, 중앙에 제5파이프(115)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13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7클램프 연결구(137a)는 일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과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중공(130b)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이룬다. 즉, 제7클램프 연결구(137a)는 중앙에 마련된 중공(130b)이 전술한 제5파이프(115)의 일직선상에 배치될 경우, 일측에 마련된 중공(130b)이 전술한 제4파이프(114)의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타측에 마련된 중공(130b) 역시 전술한 제4파이프(114)의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7클램프 연결구(137a)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는 중공(130b)과 중앙에 마련되는 중공(130b)이 이루는 경사각은 일측을 기준으로 중앙이 90°의 기울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수단(200)은 한 쌍의 제7클램프 연결구(137a)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1) 및 너트(202)를 포함하는 볼팅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팅방식의 체결수단(200)은 전술한 제1클램프(131)의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통해 지면(G)에 설치되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조립식 핸드레일(100)의 제작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제1클램프(131) 및 제5클램프(135)에 의해 제1파이프(111) 내지 제5파이프(115)가 연결되는 제작과정은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제6클램프(136) 및 제7클램프(137)에 의해 제6파이프(116) 및 제7파이프(117)가 연결되는 제작과정에 대하여만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제3파이프(113)의 일부분에 제6클램프(136)의 중앙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6클램프(136)의 일측 및 타측은 자연스럽게 경사부(F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6클램프(136)의 일측에 제6파이프(116)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6파이프(116)는 자연스럽게 경사부(F1) 또는 제2파이프(11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6클램프(136)의 타측에 다른 제6클램프(136)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다른 제6파이프(116) 역시 자연스럽게 경사부(F1) 또는 제2파이프(11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1파이프(111)의 일부분에 다른 제3클램프(133)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경사부(F1) 또는 제2파이프(112)와 평행하며, 전술한 제6파이프(116)의 일직선상에 배치시킨다.
다음, 전술한 다른 제3클램프(133)의 타측에 전술한 다른 제6파이프(116)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전술한 다른 제6파이프(116)를 통해 제1파이프(111) 및 제3파이프(113)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작되는 핸드레일의 강성을 더욱더 보강할 수 있다.
다음, 제6파이프(116)의 타단에 또 다른 제2클램프(132)의 일측을 연결하되, 타측이 평행부(F2)에 평행하게 배치시킨다.
다음, 전술한 또 다른 제2클램프(132)의 타측에 제7파이프(117)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7파이프(117)는 자연스럽게 평행부(F2) 또는 제4파이프(114)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5파이프(115)의 일부분에 제7클램프(137)의 중앙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7클램프(137)의 일측 및 타측은 자연스럽게 평행부(F2) 또는 제4파이프(114)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음, 제7파이프(117)의 타단을 제7클램프(137)의 일측에 연결한다. 이 경우, 전술한 제7파이프(117)를 통해 제5파이프(115) 또는 제5파이프(115) 및 제3파이프(113)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작되는 핸드레일의 강성을 더욱더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전술한 제작과정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핸드레일(100)은 용접방식이 아닌 볼팅방식을 이용한 결합수단(130)을 이용하기 때문에 핸드레일의 제작이 용이한 것은 물론, 볼팅방식을 통해 해체 역시 용이하다.
100 : 조립식 핸드레일 110 : 파이프
130 : 결합수단 130a : 수용부
130b : 중공 130c : 스토퍼
131 : 제1클램프 131a :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131b : 제1클램프 연결구 131c : 제1클램프 마감부재
132 : 제2클램프 132a : 제2클램프 연결구
133 : 제3클램프 133a : 제3클램프 연결구
134 : 제4클램프 134a : 제4클램프 연결구
135 : 제5클램프 135a :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135b : 제5클램프 연결구 135c : 제5클램프 마감부재
136 : 제6클램프 136a : 제6클램프 연결구
137 : 제7클램프 137a : 제7클램프 연결구
200 : 체결수단

Claims (13)

  1. 복수의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와 다른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마련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바닥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의 타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절곡된 타측에 제2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파이프를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바닥면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1클램프 연결구;
    상기 파이프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클램프 마감부재; 및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1클램프 마감부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1클램프 마감부재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이 상기 제1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2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2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절곡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제2파이프의 일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 제3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파이프를 상기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시켜 상기 제3이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다른 상기 제1클램프의 일측에 타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3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3클램프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파이프의 타단에 다른 상기 제2클램프의 일측이 연결되면서 절곡된 타측이 상기 평행부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른 제2클램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평행부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제4파이프의 일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지면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 제5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5파이프를 상기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4클램프; 및
    상기 제4클램프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평행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5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4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를 서로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4클램프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클램프는,
    상기 평행부의 상면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제5클램프 연결구;
    상기 파이프의 둘레 나머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5클램프 마감부재; 및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5클램프 마감부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5클램프 연결구와 상기 제5클램프 마감부재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중공이 상기 제5클램프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2파이프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6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경사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3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6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측에 다른 상기 제6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6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6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6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되,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되,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중공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파이프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4파이프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조립식 핸드레일은,
    상기 평행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5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7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측에 다른 상기 제7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7클램프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둘레 일부분에 대응하는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7클램프 연결구; 및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7클램프 연결구는,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제각기 마련되되, 각각의 상기 중공이 서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중앙 사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가능한 중공이 마련되되, 일직선상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중공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7클램프 각각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상기 파이프의 일단 또는 타단이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7클램프 각각의 내측에 제각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핸드레일.
KR1020180043149A 2018-04-13 2018-04-13 조립식 핸드레일 KR10206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49A KR102060885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49A KR102060885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핸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76A true KR20190119776A (ko) 2019-10-23
KR102060885B1 KR102060885B1 (ko) 2020-02-11

Family

ID=6846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49A KR102060885B1 (ko) 2018-04-13 2018-04-13 조립식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8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70B1 (ko) * 2003-01-23 2005-08-26 이도춘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KR100779060B1 (ko) * 2006-11-16 2007-11-27 최호열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점검로
KR20130004280A (ko) 2010-02-04 2013-01-09 와이와이어 테크놀로지즈 인크. 점등 제어 스위치 장치 및 시스템
KR200480256Y1 (ko) * 2015-01-14 2016-04-29 (주)유림 난간동자용베이스
JP2017089272A (ja) * 2015-11-12 2017-05-25 株式会社国元商会 仮設用手摺り組立て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70B1 (ko) * 2003-01-23 2005-08-26 이도춘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KR100779060B1 (ko) * 2006-11-16 2007-11-27 최호열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점검로
KR20130004280A (ko) 2010-02-04 2013-01-09 와이와이어 테크놀로지즈 인크. 점등 제어 스위치 장치 및 시스템
KR200480256Y1 (ko) * 2015-01-14 2016-04-29 (주)유림 난간동자용베이스
JP2017089272A (ja) * 2015-11-12 2017-05-25 株式会社国元商会 仮設用手摺り組立て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885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7605B2 (en) Dome kit, structure and method
CN110656762B (zh) 三节式拉杆悬挑外脚手架及其施工方法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KR20150078249A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210053797A1 (en) Guide rail bracket assembly
KR102060885B1 (ko) 조립식 핸드레일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200232471Y1 (ko) 벽체 부착용 안전난간 클램프
KR200480076Y1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101360360B1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1004204B1 (ko)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JP3867130B2 (ja) 住宅ユニットの吊上げ金具構造
JP5374070B2 (ja) 天井裏足場支持構造
CN211421795U (zh) 三节式拉杆悬挑外脚手架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KR200491378Y1 (ko) 안전 발판의 지지대 및 비계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JP3187838U (ja) 仮設足場のh鋼用連結固定具及び該h鋼用連結固定具を備える仮設足場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101425925B1 (ko) 점검용 안전난간 및 그 설치방법
JP3059976B2 (ja) 型枠壁体の構造及び型枠体の連結方法
JP7534208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足場板の位置決め係止装置
JP2014009450A (ja) 天井補強構造
KR200365037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벽 부착형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