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204B1 -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Google Patents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4204B1 KR101004204B1 KR1020080096463A KR20080096463A KR101004204B1 KR 101004204 B1 KR101004204 B1 KR 101004204B1 KR 1020080096463 A KR1020080096463 A KR 1020080096463A KR 20080096463 A KR20080096463 A KR 20080096463A KR 101004204 B1 KR101004204 B1 KR 1010042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wedge
- flange
- crevis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비계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강관(1)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방으로 쐐기 구멍(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수직 강관(1)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재(2)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12)에 쐐기(20)로 결합되는 쐐기 구멍(32)이 상판(31)과 하판(33)에 형성된 크레비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에는 쐐기 구멍(12)의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 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크레비스(30)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14)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레비스(30)의 상판(31)과 하판(33)의 선단에는 상기 수직 강관(1)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호 형의 지지부(35,36)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조립 연결부가 견고하게 조립되어 안정성을 갖는 비계를 축조할 수 있다.
강관, 비계, 수평재, 연결구, 조립, 해체, 가이드, 다점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비계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수직 강관과 수평재 사이의 조립 연결부가 견고하게 조립되어 안정성이 있으며, 비계를 구성하는 수직 강관과 수평재가 상호 다 지점으로 밀착 지지가 되어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비계를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할 때,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내,외부 및 선박 내,외부에는 고소(高所)에서 작업자가 도색이나 배관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임시 구조물인 비계(scaffold)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비계는 통상 수직 강관과 수평 강관(이하, "수평재"로 약칭함)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connector)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한 연결구는 클램프형 연결구와 쐐기 결합방식 연결구로 대별되는 데, 클램프형 연결구는 결합력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 비계의 설치 및 해체시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일일이 조이거나 풀어주어야 함으로써 조립작업 및 해체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클램프 방식의 연결구가 아닌 핀(쐐기)결합 방식의 연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164132호, 동등록 제339869호, 특허 제83568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계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강관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방으로 쐐기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수직 강관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에 쐐기로 결합되는 쐐기 구멍이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크레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쐐기(핀)결합 방식의 연결구는 플랜지와 크레비스 사이의 결합이 단지 쐐기 하나 만에 의존하게 되므로 수직 강관과 수평재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을 완전하게 잡아주지 못하게 됨으로써 비계를 높이 쌓아 올릴 경우에 비계가 흔들거리는 등의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심리적으로도 불안을 느끼게 됨은 물론 실제로도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았으며, 플랜지와 크레비스를 상호 결합시킬 때에도 플랜지와 크레비스에 형성된 쐐기 구멍을 상호 일치시켜서 쐐기를 끼워주는 작업을 할 때에도 손과 눈을 함께 사용하여 정확하게 맞추어준 상태에서 쐐기를 체결하여야만 했었으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혼자서 작업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적어도 2인 1조로 작업을 해야만 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비계의 수직 강관과 수평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호 조립(연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조립상태에서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결합부위에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견고하고 안전한 비계를 조립할 수 있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계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강관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방으로 쐐기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수직 강관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재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에 쐐기로 결합되는 쐐기 구멍이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크레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쐐기 구멍의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크레비스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크레비스의 상판과 하판의 선단에는 상기 수직 강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호 형의 지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강관 비계의 설치시 기둥과 수평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조립강도에 있어서도 단지 핀의 결합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가이드와 지지부에 의해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보유하게 되므로 건축 및 조선 등의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견고한 구조의 비계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평재 연결구로 조립된 강관 비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관 비계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평재 연결구의 확대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도 4에서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쐐기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계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강관(1)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방으로 쐐기 구멍(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수직 강관(1)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재(2)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12)에 쐐기(20)로 결합되는 쐐기 구멍(32)이 상판(31)과 하판(33)에 형성된 크레비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에는 쐐기 구멍(12)의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 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크레비스(30)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14)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랜지(10)는 수직 강관(1)에 끼워져 일정 간격마다 용접되는 것으로, 사방으로 장방형의 쐐기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쐐기 구멍(12)의 전방 좌,우측에 상기 쐐기 구멍(12)보다 작은 크기로 장방형의 가이드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 쐐기 구멍(12)에는 쐐기(20)가 끼워지고 가이드 구멍(14)에는 크레비스(30)의 가이드 돌기(34)가 끼워져 마치 3개의 쐐기가 체결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수평재 연결구는 기존의 연결구가 단지 쐐기(20) 하나만의 결합력에 의존하여 연결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쐐기(20)가 결합되기 전에 수평재(2)의 양단에 부착된 크레비스(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4)가 수직 강관(1)에 부착된 플랜지(10)의 가이드 구멍(14)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결합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쐐기만으로 연결시에는 수직 강관(1)과 수평재(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불안정한 상태이나, 본 발명은 하나의 쐐기(20)와 2개의 가이드 돌기(34)가 동시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수직 강관(1)과 수평재(2) 사이의 결합상태가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4)는 크레비스(30)의 상판(31) 선단 좌,우측을 각각 직각 하방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며, 이 가이드 돌기(34)의 길이는 플랜지(10)의 두께보다 길게 제작함으로써 안정적인 끼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수평재(2)를 수직 강관(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수평재(2)의 양단에 부착된 크레비스(30)의 가이드 돌기(34)를 수직 강관(1)에 부착된 플랜지(10)의 가이드 구멍(14)에 끼워주면 플랜지(10)의 쐐기 구멍(12)과 크레비스(30)의 쐐기 구멍(32)이 상호 일치되므로 안정적인 가조립상태에서 쐐기(20)의 체결작업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혼자서도 비계의 설치작업을 얼마든지 할 수 있으며, 쐐기 구멍(12,32)에 끼워져 있던 쐐기(20)의 분리작업시에도 이 쐐기(20)에만 결합력이 집중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쐐기의 분리작업 또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계의 해체작업도 훨씬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비계의 해체작업시 쐐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평재가 바로 분리되지 않고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수평재가 갑작스럽게 낙하되는 등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크레비스(30)의 상판(31)과 하판(33)의 선단에는 상기 수직 강관(1)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호 형의 지지부(35,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크레비스(30)를 플랜지(10)에 조립하기 위하여 위치를 맞추어 주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상태에서 크레비스(30)의 원호 형 지지 부(35,36)가 수직 강관(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수평재(2)가 상하방향으로 받게 되는 비틀림 응력에 대하여 유동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더욱 우수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며, 쐐기(20)와 가이드 돌기(34)에서 집중적으로 받게 되는 응력을 상기 지지부(35,36)에서도 분담하게 되므로 쐐기(20)와 가이드 돌기(34)의 변형이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식 비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강관의 하부에 캐스터가 부착된 이동식 비계(조립식 작업대)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식 비계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연결구가 수직 강관과 수평재 사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다 지점 지지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견고성을 충족하면서도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이동식 비계를 제작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쐐기(20)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하단부에 이탈방지용 핀(22)이 끼워져 있으며, 이에 의해 쐐기(20)는 크레비스(30)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크레비스(30)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20)를 쐐기 구멍(12,32)으로부터 빼낸 경우에는 쐐기(20)가 크레비스(30)의 상면(31)에 수평상태로 눕혀지게 되며, 이때, 이탈방지용 핀(22)이 크레비스(30)의 상면(31)에 형성된 쐐기 구멍(32)의 내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용 핀(22)의 길이는 플랜지(10)에 형성된 쐐기 구멍(12)의 폭보다는 짧게 함으로써 쐐기(20)를 체결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는 3개의 결합부-하나의 쐐기와 2개의 가이드 돌기-와 2개의 지지부-크레비스 상,하판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다점 결합 및 다점 지지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에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조립과 해체 또한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평재 연결구로 조립된 강관 비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관 비계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평재 연결구의 확대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쐐기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강관 2 : 수평재
10 : 플랜지 12 : 쐐기 구멍
14 : 가이드 구멍 20 : 쐐기
22 : 이탈방지용 핀 30 : 크레비스
31 : 상판 32 : 쐐기 구멍
33 : 하판 34 : 가이드 돌기
Claims (2)
- 비계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강관(1)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방으로 쐐기 구멍(12)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수직 강관(1)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재(2)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12)에 쐐기(20)로 결합되는 쐐기 구멍(32)이 상판(31)과 하판(33)에 형성된 크레비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에 있어서;상기 플랜지(10)에는 쐐기 구멍(12)의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 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크레비스(30)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14)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크레비스(30)의 상판(31)과 하판(33)의 선단에는 상기 수직 강관(1)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호 형의 지지부(35,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6463A KR101004204B1 (ko) | 2008-10-01 | 2008-10-01 |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6463A KR101004204B1 (ko) | 2008-10-01 | 2008-10-01 |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7242A KR20100037242A (ko) | 2010-04-09 |
KR101004204B1 true KR101004204B1 (ko) | 2010-12-24 |
Family
ID=4221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6463A KR101004204B1 (ko) | 2008-10-01 | 2008-10-01 |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420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9754A (ko) | 2014-04-16 | 2015-10-26 | 김영심 | 강관 비계용 연결구 |
KR101918932B1 (ko) | 2018-05-30 | 2019-02-08 | 이대호 |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2018515B1 (nl) * | 2017-03-15 | 2018-09-24 | Scafom Holding B V | Zwenkligger en steigersysteem met een dergelijk zwenkligger en een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het steigersyste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2718B1 (ko) | 2004-09-30 | 2005-06-07 | 한국가설산업(주) |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KR200412780Y1 (ko) | 2006-01-20 | 2006-03-31 | 신현숙 | 건축용 비계 클램프 |
-
2008
- 2008-10-01 KR KR1020080096463A patent/KR1010042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2718B1 (ko) | 2004-09-30 | 2005-06-07 | 한국가설산업(주) |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KR200412780Y1 (ko) | 2006-01-20 | 2006-03-31 | 신현숙 | 건축용 비계 클램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9754A (ko) | 2014-04-16 | 2015-10-26 | 김영심 | 강관 비계용 연결구 |
KR101918932B1 (ko) | 2018-05-30 | 2019-02-08 | 이대호 |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7242A (ko) | 2010-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1540B1 (ko) | 강관 비계용 연결구 | |
JP2603178B2 (ja) | 型枠装置 | |
KR200428188Y1 (ko) | 건축 비계용 발판 | |
KR101004204B1 (ko) |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 |
KR101905363B1 (ko) |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 |
KR20070111597A (ko) | 건축용 비계 | |
KR200424416Y1 (ko) | 건축용 비계 | |
KR200413590Y1 (ko) |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 |
KR102373890B1 (ko) | 수평빔 측면 고정 중량구조물의 수직전단하중지지 고정 러그 조립체 | |
KR100960943B1 (ko) |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 |
KR20200000017A (ko) | 내진용 고정 브라켓 | |
KR102289940B1 (ko)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
JP4988941B1 (ja) | 支保工の移送用治具及び支保工の移送方法 | |
KR20090119339A (ko) |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 |
JP2002276152A (ja) | 鋼管足場の連結部 | |
KR200463380Y1 (ko) | 철근난간대 결합부재 | |
KR20210061081A (ko) | 식물공장용 시스템 하우스 | |
KR100943424B1 (ko) |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 |
JP3059976B2 (ja) | 型枠壁体の構造及び型枠体の連結方法 | |
JP2525362Y2 (ja) | 仮設構造物の継手部構造 | |
JP5848513B2 (ja) | 安全手摺 | |
CN216196815U (zh) | 用于衔接防护钢管的连接件 | |
JP3083750U (ja) | 建築用間隔固定台用セパレーター | |
KR20240001418U (ko) | 건축 비계용 수평재 | |
KR20180009062A (ko) | 건축용 동바리 및 비계 겸용 수평지지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