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88Y1 - 건축 비계용 발판 - Google Patents

건축 비계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88Y1
KR200428188Y1 KR2020060019622U KR20060019622U KR200428188Y1 KR 200428188 Y1 KR200428188 Y1 KR 200428188Y1 KR 2020060019622 U KR2020060019622 U KR 2020060019622U KR 20060019622 U KR20060019622 U KR 20060019622U KR 200428188 Y1 KR200428188 Y1 KR 200428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scaffold
connector
sta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2020060019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에 작업자가 의지하고 일할 수 있도록 공사장에 시설하는 임시 가설물인 건축용 비계에 설치되는 발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파이프로 된 4개의 비계기둥 사이에 직4각형 발판을 개입하여 4개의 비계기둥을 발판으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비계기둥을 설치할 때 별도의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사용하지 않고 비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계제조 단가를 저렴하게 하고 비계구조를 간결하게 하며 조립이 견고하게 되고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즉, 직4각형으로 되고 상면이 평판(2a)으로 되어 다수의 구멍(2a')이 형성되는 발판본체의 둘레에 금속제 보강벽(2b)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서 인접한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를 향해 연결부(3b)를 갖인 발판연결구(3)를 부착하고 체결구(4)를 갖추어서 비계기둥(1)의 고정자에 체결할 수 있게 만든 건축비계용 발판이다.
비계기둥, 발판본체, 발판연결구, 체결구, 연결구멍

Description

건축 비계용 발판{Stepping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비계의 발판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비계 발판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의 일부 파절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 도 10, 도 11은 본 고안 발판 연결구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비계기둥 2 : 발판본체
2a : 평판 2a' : 구멍
2b : 보강벽 3 : 발판연결구
3b : 연결부 3c : 안내홈
3e : 연결구멍 3f : 오목접촉면
4 : 체결구 4a : 하단부
4b : 밀착부 4c, 4d : 걸림돌기
10 : 고정자 11 : 연결구멍
30 : 보조연결구 31 : 연결구멍
32 : 연결편 40 : 체결핀
A : 비계기둥 B1 : 가로연결대
B2 : 세로연결대 D : 체결구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에 작업자가 의지하고 일할 수 있도록 공사장에 시설하는 임시 가설물인 건축용 비계에 설치되는 발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파이프로 된 4개의 비계기둥 사이에 직4각형 발판을 개입하여 4개의 비계기둥을 발판으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비계기둥을 설치할 때 별도의 가로연결대와 세로연결대를 사용하지 않고 비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계제조 단가를 저렴하게 하고 비계구조를 간결하게 하며 조립이 견고하게 되고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용 비계의 발판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비계기둥(A)을 두개의 가로대(B1)와 두개의 세로대(B2)로 연결하고 양측 세로대(B2) 사이에 양측단에 걸고리가 구비된 직4각형의 발판(C)을 설치하여 발판의 양측 걸고리가 비계기둥과 비계기둥을 연결하는 세로대(B2) 위에 포개어져 고정되게 한 구성이므로 비계기둥을 세우기 위해서는 비계기둥과 비계기둥을 연결하는 가로대와 세로대가 있어야 하고 비계기둥이 세워지면 비계기둥 사이에 별도로 만들 발판을 설치하여 비계를 완성시키게 되므로 자재비가 많이 들어 생산 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고, 조립과정을 보면 4개의 비계기둥을 가로대와 세로대를 사용하여 가설한 다음 세로대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발판의 양측 걸고리가 세로대 위에 포개어져 고정되게 하는 구성이므로 발판이 세로대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중량에 의하여 지지되는바 체결력이 부실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발판이 쉽게 흔들리고 밑에서 위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면 쉽게 이완되어 이탈되므로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비계기둥 둘레에 고정자를 형성하고 직4각형으로 되는 발판의 모서리 부근에 발판연결구를 부착하여 비계기둥 사이에 발판을 개재하여 발판 외주에 형성된 발판연결구가 비계기둥의 고정부와 체결되게 한 구성으로 비계를 구성하여 비계기둥을 연결하는 가로대와 세로대가 필요없게 되는 비계발판을 고안함으로써, 가설자재를 절약하여 생산비를 절감시키고 발판과 비계기둥이 견고하게 체결되어 견고한 비계가 형성됨 으로써 안전한 비계가 구축되도록 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금속파이프로 된 비계기둥의 외면 일정 높이에 기둥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는 4개의 고정자(10)를 4방에 형성하고 각 고정자의 연결부에 연결구멍(11) 또는 연결홈(11다)을 형성한 비계기둥(1)을 비계용 발판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 비계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발판은 직사각형으로 되고 상면이 평판(2a)으로 되어 다수의 구멍(2a')이 일정간격에 형성되는 발판본체 둘레에 금속제 보강벽(2b)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서 인접한 비계기둥의 고정자(10)를 향해 발판연결구(3)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발판연결구는 연결부재(3a)에 연결부(3b)를 형성하고 연결구멍(3e)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발판연결구(3)의 연결구멍(3e)과 비계기둥 고정자(10)의 연결구멍(11) 사이에 투입되어 발판과 비계기둥을 체결하는 체결구(4)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3)는 발판본체(2)의 보강벽(2b)에서 인접하는 비계기둥의 고정자를 향해 연결부재(3a)를 부착하며 연결부재의 연결부(3b) 끝이 삼각형으로 되어, 외측단이 비계기둥(1)의 표면에 접촉하기 좋게 원호형상의 오목접촉면(3f)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한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a)가 발판본체의 양측 보강벽의 외측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게 형성되어 그 연결부(3b)가 인접한 비계기둥(1)에 형성된 4개의 고정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발판연결구(3)는 또 그 연결부(3b) 내측에 양측으로 안내홈(3c)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개입되고 연결구멍(11)과 상하로 일치하는 "ㅜ" 형상의 연결구멍(31)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고정자와 결합하는 연결편(32)을 가지는 보조연결구(30)가 더 개입되어 발판연결구의 연결부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게 한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가) 끝에 형성되는 연결부(30a)를 "ㄷ" 형으로 형성하고 비계기둥(1)에 형성된 고정자(10가)의 연결구멍(11가)이 상하로 형성되게하여 연결부재의 연결부가 고정자의 연결구멍에 결합되어 체결핀(40)으로 체결되는 것이 포함되는 구성이고,
또한 본 고안은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다) 끝에 형성되는 연결부(30b)를 "ㅜ" 형으로 구성하고 비계기둥의 고정자(10다)에 연결홈(11다)을 만들어서 ㅜ형 연결부의 양측 돌기가 고정자의 연결홈(11다)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또한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나)의 연결부를 ㄱ자형 연결구(30라)로 형성하고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나)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구멍(11나)을 형성하여 연결부재의 ㄱ형 연결구(30라)가 비계기둥의 연결구멍(11나)에 직접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본 고안에 사용되는 체결구(4)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쇄기형으로 구성 하되 하단부(4a) 내측에 밀착부(4b)가 형성되며 하단부 양측으로 걸림돌기(4c)(4d)가 형성되어 발판연결구의 연결구멍(3e)에 끼워져서, 유지되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건축용 비계처럼 비계기둥(A) 사이에 가로연결대(B1)와 세로연결대(B2)와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발판본체(2)의 외주에 직접 발판연결구(3)가 부착되어 그 연결부(3a)가 비계기둥(1)에 형성한 고정자(10)에 연결되고 그 연결구멍에 체결구(4)를 꽂아 체결되게 함으로써 비계제작에 따른 재료비를 절약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비계기둥과 발판의 조립이 견고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계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발판연결구(3)는 발판본체의 보강벽에서 연결부재(3a)를 부착하여 그 끝의 연결부(3b)가 인접한 비계기둥에 형성한 고정자(10)의 연결구멍(11)에 포개어져 체결핀(4)으로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한 이점이 있고, 연결부(3b)의 끝이 삼각형으로 되고 그 끝에 원호상의 오목접촉면(3f)가 있어서 발판연결구의 연결부가 비계기둥에 접촉하기 좋고 발판연결구는 보강벽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직각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비계기둥에 형성된 4개의 고정자 중에서 인접되는 것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발판본체를 복수로 설치할 때도 편리하며
또 본 고안의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3b) 내측에 보조연결구(30)가 장치되어 발판연결구의 연결부(3b)가 고정자(10) 상측에 결합하고 보조연결구(30)의 연결 편(32)은 고정자 하측에 결합하여 체결구(4)로 체결하면 상하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발판본체가 비계기둥에서 분리될 위험이 없는 완벽한 조립이 이루어져 더욱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체결구(4)는 또 밀착부(4b) 하단 양측에 걸림돌기(4c)(4d)가 형성되어 있고 발판연결구와 보조연결구의 연결부에는 "ㅜ"형 연결구멍(3e)(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구의 하단이 연결구멍 내측에 끼워져서 외부로 이완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발판연결구에 항상 부착이 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어서 분실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체결구(4)의 관리가 안전하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발판(2)은 발판연결구(3)의 연결부 끝에 "ㄱ"형 연결구(30라)를 부착하고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나)에 형성된 연결구멍(11나)에 끼워지게 하면 별도의 체결핀이 없어도 발판본체와 비계기둥의 체결이 가능하고 (도10 참조) 발판연결구(3)의 연결부재(30가) 끝에 ㄷ형 연결부(30a)를 형성하고 비계기둥(1)에 형성시킨 고정자(10가)에 상하로 연결구멍(11가)을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한 후 체결핀(4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고 (도9 참조) 발판연결구의 연결부재(30다) 끝에 형성되는 연결부(30b)를 "ㅜ"형으로 형성하고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다)에 연결홈(11다)을 만들어서 서로 포개어져 연결되게 할 수 있어서 (도11 참조) 연결방법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성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7)

  1. 직4각형으로 되고 상면이 평판(2a)으로 되어 다수의 구멍(2a')이 형성되는 발판본체의 둘레에 금속제 보강벽(2b)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서 인접한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를 향해 연결부(3b)를 갖인 발판연결구(3)를 부착하고 체결구(4)를 갖추어서 비계기둥(1)의 고정자에 체결할 수 있게 만든 건축비계용 발판
  2.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발판본체의 보강벽(2b)에 연결부재(3a)를 부착하여 연결부(3b)를 형성하고 연결구멍(3e)을 구비하면서 연결부(3b) 끝을 축소시켜 오목접촉면(3f)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3.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a)의 연결부(3b) 방향이 발판본체의 양측 보강벽(2b)에서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게 배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4.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그 연결부(3b) 내측에 양측으로 안내홈(3c)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개입되고 연결구멍(11)과 상하로 일치하는 연결구멍(31)이 형 성되고 외측 하단부에 고정자(10)와 결합하는 연결편(32)이 형성된 보조연결구(30)를 더 갖추어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5.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가) 끝에 형성되는 연결부(30a)를 "ㄷ"형으로 형성하여 연결부에 구멍을 뚫고 비계기둥(1)에 형성된 고정자(10가)의 연결구멍(11가)에 체결핀(40)으로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6.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다) 끝에 형성되는 연결부(30b)를 "ㅜ" 형으로 구성하고 비계기둥의 고정자(10다)에 연결홈(11다)을 만들어서 ㅜ형 연결부의 양측돌기가 고정자의 연결홈(11다)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7. 상기 1항에서 발판연결구(3)는 연결부재(30다)의 연결부를 ㅜ자형 연결구(30라)를 형성하고 비계기둥(1)의 고정자(10나)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구멍(11나)을 형성하여 연결부재의 ㄱ형 연결구(30라)가 비계기둥의 연결구멍(11나)에 직접 끼워서 결합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건축비계용 발판
KR2020060019622U 2006-07-20 2006-07-20 건축 비계용 발판 KR200428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22U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07-20 건축 비계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22U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07-20 건축 비계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88Y1 true KR200428188Y1 (ko) 2006-10-11

Family

ID=4177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622U KR200428188Y1 (ko) 2006-07-20 2006-07-20 건축 비계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8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2Y1 (ko)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지지용 거치대
KR101257294B1 (ko) 2010-06-14 2013-04-22 주식회사 인동철강 건축 공사용 비계 발판
KR200476580Y1 (ko) * 2013-10-25 2015-03-12 주식회사 신영스틸 비계발판
KR101825176B1 (ko) 2017-11-01 2018-02-02 백종균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KR20190114356A (ko) 2018-03-30 2019-10-10 이장섭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20200100249A (ko) 2019-02-15 202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계발판
KR20210137791A (ko) * 2020-05-11 2021-11-18 (주)위드원모터스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442929B1 (ko) * 2021-09-17 2022-09-14 주식회사 현구조기술사사무소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KR102643731B1 (ko) 2023-05-30 2024-03-06 주식회사 가온건설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2Y1 (ko)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지지용 거치대
KR101257294B1 (ko) 2010-06-14 2013-04-22 주식회사 인동철강 건축 공사용 비계 발판
KR200476580Y1 (ko) * 2013-10-25 2015-03-12 주식회사 신영스틸 비계발판
KR101825176B1 (ko) 2017-11-01 2018-02-02 백종균 비계프레임 연결장치
KR20190114356A (ko) 2018-03-30 2019-10-10 이장섭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20200100249A (ko) 2019-02-15 202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계발판
KR20210137791A (ko) * 2020-05-11 2021-11-18 (주)위드원모터스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360825B1 (ko) * 2020-05-11 2022-02-09 (주)위드원모터스 조립식 고공 작업대
KR102442929B1 (ko) * 2021-09-17 2022-09-14 주식회사 현구조기술사사무소 건설공사용 비계 시스템
KR102643731B1 (ko) 2023-05-30 2024-03-06 주식회사 가온건설 비계 파이프 묶음용 결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188Y1 (ko) 건축 비계용 발판
KR100835681B1 (ko) 건축용 비계
KR200424416Y1 (ko) 건축용 비계
JP2522751B2 (ja) 枠組足場
KR200392025Y1 (ko)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004204B1 (ko)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CN209799292U (zh) 脚手架
WO2006001222A1 (ja) 立体構築物
JP3044078U (ja) 支柱足場
KR19990007677A (ko) 건설용 이동작업틀
CN212671328U (zh) 变电站装配式主变构架结构
KR200417315Y1 (ko) 조립식 안전펜스
KR200423800Y1 (ko) 각도조절용 일체 식 안전발판 안전난간 대 시스템
JP3911681B2 (ja) 組立足場
KR200412749Y1 (ko) 동바리 연결형 슬래브 거푸집
JPH047317Y2 (ko)
JPH0323943Y2 (ko)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200193190Y1 (ko) 난간용 발판
KR100513355B1 (ko) 건축용 비계의 연결장치
KR20080006638U (ko) 지붕구조를 위한 조립형 브라켓
RU46779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ригеля с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колонной здания
AU2014101668A4 (en) Cantilever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