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025Y1 -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025Y1
KR200392025Y1 KR20-2005-0014106U KR20050014106U KR200392025Y1 KR 200392025 Y1 KR200392025 Y1 KR 200392025Y1 KR 20050014106 U KR20050014106 U KR 20050014106U KR 200392025 Y1 KR200392025 Y1 KR 20039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caffold
auxiliary safety
scaffold
vertica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민
이경미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강세민
이경미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세민, 이경미, 김은경 filed Critical 강세민
Priority to KR20-2005-0014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현장의 내외장 작업을 위한 통로가 되는 안전발판에 작업자의 미끌림 또는 발뒤꿈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발판을 플라스틱 재질로 새롭게 개선하여, 원가절감 및 보조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1묶음홀이 2열로 교번 형성된 수직판과; 이 수직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2묶음홀이 1렬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제1묶음홀을 통하여 수직판을 가로봉 또는 세로봉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2묶음홀을 통하여 수평판을 연결봉과 결합시키는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Safety plate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의 내외장 작업을 위한 통로가 되는 안전발판에 작업자의 미끌림 또는 발뒤꿈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발판을 플라스틱 재질로 새롭게 개선하여, 원가절감 및 보조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건물을 신축할 때, 건물의 외벽에는 내외장 작업(도장, 미장, 콘크리트 타설 등)을 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대개, 상기 작업공간은 긴 철재 봉을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며,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가설되어야 한다.
여기서,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를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여 철재의 가로봉과 세로봉을 1차로 교차 설치하고, 이 1차로 교차 설치된 가로봉과 세로봉으로부터 건물 바깥쪽으로 또 다른 가로봉과 세로봉을 2차로 교차 설치하며, 1차 및 2차로 교차 설치된 가로봉과 세로봉을 보다 짧은 길이의 연결봉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봉 상에 안전발판을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가 마련된다.
상기 안전발판은 직사각의 철재 구조물로서, 직사각의 철재틀과, 이 철재틀에 부착되는 망구조의 발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발판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발판은 이동통로의 길이에 따라 여러개가 일렬로 배열된다.
이에, 상기 안전발판의 위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또한 안전발판을 따라 작업자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안전발판은 그 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안전발판 자체가 평판형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뒤꿈치 등이 안전발판 밖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안전발판상에서 건물 외벽을 향한채로 작업을 하는 도중, 무의식적으로 발뒤꿈치가 안전발판의 바깥쪽(건물 바깥쪽 방향)으로 이탈되어 몸의 중심을 잃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발판(26)의 바깥쪽(건물 바깥쪽 방향) 모서리 위치에 스틸재로 만들어진 보조 안전발판(10b)을 더 설치하고 있으며, 이 보조 안전발판(10b)은 "ㄴ" 형상으로서 작업자의 발뒤꿈치가 이탈되는 것을 차단해주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더욱 보장해주는 구조물이다.
기존의 보조 안전발판은 스틸재를 단순히 "ㄴ"자 형상으로 압출한 다음, 상기 안전발판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1) 기존의 보조 안전발판은 스틸재의 "ㄴ"자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2차로 가설된 가로봉 및 세로봉 그리고 연결봉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용접 작업이 필요하고, 그에따른 인건비 및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
2) 보조 안전발판은 작업자 또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안전상 그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노란색을 띠어야 한다. 이에, 기존의 스틸재로 만들어진 보조 안전발판의 표면을 노란색 페인트로 도장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그에따른 인건비 및 비용이 더욱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3) 보조 안전발판을 노란색 페인트로 도장한 후, 페인트가 마를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페인트가 도포된 여러개의 보조 안전발판을 페인트가 마를때까지 가지런히 배열시킬 수 있는 별도의 건조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4) 기존의 보조 안전발판은 스틸재로 제작되어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로봉 및 세로봉 등의 해제 작업시 용접된 부분을 다시 분리해주어야 하는 점에서 해제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조 안전발판을 스틸재에서 플라스틱재로 개선하는 동시에 최초 성형시부터 노락색으로 제작하여 별도의 도장작업을 배제할 수 있고, 가로봉 및 세로봉 그리고 연결봉 등에 장착시 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기존의 용접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해제 작업시 밴드만을 절단하면 되므로 해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로봉과 세로봉 그리고 연결봉에 장착되는 안전발판의 바깥쪽 위치에 설치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있어서,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1묶음홀이 2열로 교번 형성된 수직판과; 이 수직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2묶음홀이 1렬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제1묶음홀을 통하여 수직판을 가로봉 또는 세로봉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2묶음홀을 통하여 수평판을 연결봉과 결합시키는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여러개의 보조 안전발판이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체는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의 좌우측 테두리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양쪽에 형성된 "H"형 횡단면구조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삽입홈이 형성된 표면 위치에는 상기 수직판의 제1묶음홀과 밴드로 묶어질 수 있도록 제3묶음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 안전발판은 수직 및 수평판에 묶음홀이 배제된 채로 제작될 수 있고, 이 수평판의 끝단에는 위쪽으로 수직 절곡된 고정단이 일체로 더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 안전발판은 수평판이 수직판의 하단끝이 아닌 일면 하단부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안전발판(10a)은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최초 성형시부터 노란색으로 제작되어, 기존에 스틸재로 만들어진 보조 안전발판(도 7에 10b로 지시됨)의 표면을 페인트로 도장하는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은 압출 성형에 의하여 길다란 수직판(12)과 보다 짧은 수평판(14)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직판(12)에는 다수개의 제1묶음홀(16)이 2열로 교번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4)에는 다수개의 제2묶음홀(18)이 1렬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는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가로봉(20)과 세로봉(22)이 1차로 가설되고, 1차로 교차 설치된 가로봉(20)과 세로봉(22)으로부터 건물 바깥쪽으로 또 다른 가로봉(20)과 세로봉(22)이 2차로 교차 설치되며, 1차 및 2차로 교차 설치된 가로봉(20)과 세로봉(22)은 보다 짧은 길이의 연결봉(24)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봉(24) 상에 다수개의 안전발판(26)을 일렬로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이동통로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출 성형된 보조 안전발판(10a)은 안전발판(26)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그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1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12)의 제1묶음홀(16)을 통하여 밴드(28)를 삽입하는 동시에 수직판(12) 뒤쪽에 위치하는 가로봉(20) 또는 세로봉(22)의 둘레를 감싼 후, 상기 밴드(28)를 조여줌으로써,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직판(12) 부분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평판(14)의 제2묶음홀(18)을 통하여 밴드(28)를 삽입하는 동시에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봉(24)의 둘레를 감싼 다음, 이 밴드(28)를 조여줌으로써,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평판(14) 부분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묶음수단으로 밴드(28)를 사용하였지만, 철사, 노끈 등 여러가지 묶음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발판(26)상에서 작업을 하는 도중, 무의식적으로 발뒤꿈치 부분이 안전발판(26)의 바깥쪽(건물 바깥쪽)으로 이탈되더라도,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직판(12) 부분에 걸리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묶음수단으로 장착되므로, 기존의 스틸재로 만들어진 보조 안전발판(10b)의 설치시 행하여지던 용접 작업을 완전히 배제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용접부분을 분리하여 이루어지던 해제 작업에 비하여,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은 묶음수단만을 절단하면 되므로 해제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은 안전발판(26)의 길이에 맞추어 여러개가 일렬로 설치되는 바, 각 보조 안전발판의 경계면(수직판끼리의 접촉면)을 서로 결합시켜, 보조 안전발판(10a)의 흔들림 방지 및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여러개의 보조 안전발판(10a)이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12)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체(30)를 더 포함한다.
첨부한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이 연결체로 연결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체(30)는 양쪽에 삽입홈(32)이 형성된 "H"형 횡단면 구조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 연결체(30)의 삽입홈(32)이 형성된 표면 위치에는 제3묶음홀(34)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체(30)의 삽입홈(32)을 통하여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직판(12)의 측단부가 삽입되게 한 다음, 상기 수직판(12)의 제1묶음홀(16)과 연결체(30)의 제2묶음홀(18)을 밴드 등으로 묶어줌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12)이 서로 결합 고정되어, 결국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10a)의 흔들림 방지 및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안전발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7a 및 7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2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평판(14)을 안전발판(26)의 저면, 즉 안전발판(26)의 직사각 단면으로 된 골격파이프(40)의 저면으로 인입시키고, 수직판(12)의 제1묶음홀(16)과 세로봉(22)을 밴드(28)로 묶어주게 된다.
이에, 상기 수평판(14)에 형성된 제2묶음홀(18)에 별도의 밴드 묶음작업이 배제될 수 있다.
첨부한 도 8a 및 8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3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보조 안전발판(10a)은 수직판(12)과 수평판(14)에 묶음홀이 형성되지 않은 평판 구조로 제작된 것이며, 수평판(14)의 끝단에 위쪽으로 직각 절곡된 고정단(36)이 일체로 더 형성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로서의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평판(14)을 안전발판(26)의 저면, 즉 안전발판(26)의 직사각 단면으로 된 골격파이프(40)의 저면으로 인입시키는 동시에 고정단(36)이 골격파이프(40)의 이면을 밀착 지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3실시예로서의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직판(12)은 상기 골격파이프(40)과 세로봉(22) 사이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진 상태이므로, 수직판(12)은 흔들림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부한 도 9a 및 9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4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보조 안전발판(10a)은 수평판(14)이 수직판(12)의 하단끝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판(12)의 일면 하단부 위치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로서의 상기 보조 안전발판(10a)의 수직판(12)을 상기 안전발판(26)의 골격파이프(40)과 세로봉(22) 사이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주는 동시에 수평판(14)이 안전발판(26)의 상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제4실시예로서의 보조 안전발판(10a)의 장착이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보조 안전발판을 기존의 스틸재에서 플라스틱재로 개선하는 동시에 최초 성형시부터 노락색으로 제작하여 별도의 도장작업을 배제할 수 있고, 그에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은 밴드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성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3) 기존의 스틸재로 만들어진 보조 안전발판의 설치시 행하여지던 용접작업이 완전히 배제되어, 그에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4) 기존에 보조 안전발판의 용접부분을 분리하여 이루어지던 불편한 해제 작업에 비하여, 본 고안은 해제 작업시 밴드만을 절단하면 되므로 해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잇점이 있다.
5) 본 고안의 보조 안전발판에 따르면, 기존의 보조 안전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무거운 중량의 스틸재 보조 안전발판과 용접기 등의 가지고 해당 위치까지 이동하는 점에서 매우 불편하고, 또한 안전발판 공간이 협소하여 용접작업이 불편하였던 점을 모두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1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a 및 7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2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a 및 8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3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9a 및 9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제4실시예로서, 그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기존의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보조 안전발판 12 : 수직판
14 : 수평판 16 : 제1묶음홀
18 : 제2묶음홀 20 : 가로봉
22 : 세로봉 24 : 연결봉
26 : 안전발판 28 : 밴드
30 : 연결체 32 : 삽입홈
34 : 제3묶음홀 36 : 고정단
40 : 골격파이프

Claims (6)

  1.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로봉과 세로봉 그리고 연결봉에 장착되는 안전발판의 바깥쪽 위치에 설치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에 있어서,
    플라스틱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1묶음홀이 2열로 교번 형성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제2묶음홀이 1렬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제1묶음홀을 통하여 수직판을 가로봉 또는 세로봉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2묶음홀을 통하여 수평판을 연결봉과 결합시키는 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전발판이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서로 인접하는 수직판의 좌우측 테두리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양쪽에 형성된 "H"형 횡단면구조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삽입홈이 형성된 표면 위치에는 상기 수직판의 제1묶음홀과 밴드로 묶어질 수 있도록 제3묶음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전발판의 수평판의 끝단에는 위쪽으로 수직 절곡된 고정단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전발판의 수평판은 상기 수직판의 일면 하단 위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2005-0014106U 2005-05-19 2005-05-19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0392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106U KR200392025Y1 (ko) 2005-05-19 2005-05-19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106U KR200392025Y1 (ko) 2005-05-19 2005-05-19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025Y1 true KR200392025Y1 (ko) 2005-08-09

Family

ID=4369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106U KR200392025Y1 (ko) 2005-05-19 2005-05-19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0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26Y1 (ko) * 2008-07-11 2011-09-16 탁권진 토우 보드
KR200459021Y1 (ko) * 2008-11-27 2012-03-23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KR102509803B1 (ko) 2022-04-26 2023-03-14 강효빈 조립식 안전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26Y1 (ko) * 2008-07-11 2011-09-16 탁권진 토우 보드
KR200459021Y1 (ko) * 2008-11-27 2012-03-23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2193523B1 (ko) * 2020-07-06 2020-12-21 최명수 철거용 외형 구조물의 발판 갭 제거 장치
KR102509803B1 (ko) 2022-04-26 2023-03-14 강효빈 조립식 안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183B1 (ko) 조립식 시스템비계
KR200458240Y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392025Y1 (ko) 건설현장용 보조 안전발판
KR200428188Y1 (ko) 건축 비계용 발판
KR200454188Y1 (ko)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20100051991A (ko) 보강판을 갖는 작업용 발판
KR200459021Y1 (ko)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2357311B1 (ko) 비계용 안전발판
JP2020200639A (ja) 枠組足場用の連結ピン及び枠組足場の巾木取付構造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JPH11125008A (ja) 建築、土木工事用型材
KR200196694Y1 (ko) 거푸집 휨방지 파이프 결합구
KR200432740Y1 (ko) 낙하방지용 안전발판 보호대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200458719Y1 (ko) 간판용 압출프레임
KR20090052441A (ko) 콘크리트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의 차단봉
US20100115869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200340017Y1 (ko) 건축물용 지지대 고정을 위한 브라켓
KR200190085Y1 (ko) 건축용 안전망
KR200470629Y1 (ko) 강도 및 조립성이 향상된 작업용 안전발판
KR200264139Y1 (ko) 작업용 발판
KR102117153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200352963Y1 (ko) 주철 가비언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