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311B1 - 비계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비계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311B1
KR102357311B1 KR1020200034616A KR20200034616A KR102357311B1 KR 102357311 B1 KR102357311 B1 KR 102357311B1 KR 1020200034616 A KR1020200034616 A KR 1020200034616A KR 20200034616 A KR20200034616 A KR 20200034616A KR 102357311 B1 KR102357311 B1 KR 10235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horizontal support
fixing
scaffolding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824A (ko
Inventor
이세영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이세영
이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영, 이상태 filed Critical 이세영
Priority to KR102020003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311B1/ko
Priority to PCT/KR2020/004482 priority patent/WO2021187656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을 없애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발판의 양측 끝단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바에 안전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에 의해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이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의 하부에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을 수평지지대의 상측을 통해 걸면 고정부재는 회동하여 상측으로 이동 후 복귀하여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맞닿아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지지대와의 고정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발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계용 안전발판{A safety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ing}
본 발명은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을 없애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조선, 건설, 토목공사 현장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이고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고소작업대(비계, 족장 등)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현장의 작업면(예: 선체, 건물벽 등)에 대해 발판을 받쳐주는 발판지지대(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견고하게 설치하고, 발판지지대(10)의 끝단에는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가드레일(30)이 설치되며, 발판지지대(10) 위에는 한줄 또는 그 이상의 발판(20)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 인접한 양 발판은 그 단부가 상하로 겹쳐지게 한 후 발판을 지지대(10)와 함께 철사(W)로 묶어 설치하고 있는 현실정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로 중첩되게 연결되는 발판(20)중 하부에 위치된 발판을 지지대에 철사로 결속한 후 상기 결속 완료된 발판 위에 다른 발판을 올려놓은 다음 다시 철사로 지지대와 중첩된 발판을 결속하여 주는 작업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는 발판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발판의 두께 만큼 단턱이 발생되는 바, 상기 단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주의할 경우 단턱에 걸려 넘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넘어지면서 아래로 추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또 종래의 발판연결구조는 인접한 양 발판이 중첩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첩된 길이만큼의 발판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발판의 길이적 손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지지대(10), 발판(20), 가드레일(30) 등의 설치가 요구되었고, 또한 발판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철사로 결속되므로 불필요한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과 고소작업대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 등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취약점이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발판(110)의 양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걸이구(120)가 형성된 안전발판(100)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안전발판(100)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210)에 걸이구(120)를 걸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비계시스템은 안전발판(100)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수평지지대(210)에 걸린 걸이구(120)에 의해 작업발판(110)과 작업발판(11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이 공간으로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발명자는 발판과 발판 사이에 연결부재를 구성한 기술을 선출원하였는 바, 특허문헌 1의 비계용 발판 연결부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수평지지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결합되고, 발판(120)과 발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발판의 연결구조는 발판 사이의 공간을 없애기 위해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한 것으로, 연결부재의 자재비 및 설치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발판과 발판을 연결시 별도의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발판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발판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 국내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19-0004338호 비계용 발판 연결부재(2019년 10월 28일 출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을 없애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작업발판의 양측 끝단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바에 작업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에 의해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이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고정수단의 하부에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을 수평지지대의 상측을 통해 걸면 고정부재는 회동하여 상측으로 이동 후 복귀하여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맞닿아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지지대와의 고정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작업발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작업발판(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수단(30)이 결합되어지는 비계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일측에 상기 작업발판(2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삽입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구(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고정수단(30)의 걸이구(32)는 양측에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3)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33)의 내측에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부(34)와; 상기 걸이부(34) 상에 형성되는 절개부(35)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발판(20)을 연결시 상기 걸이부(34)는 인접되는 고정수단(30)의 절개부(35)에 끼움되어 상기 작업발판(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지지부(33)의 내측에 하층과의 이동을 위한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상기 수평지지대(110)에 걸리어 상기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위치되도록 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고정수단(30)은 하부에 일부 절개된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37)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3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수단(30)의 고리부(37)에 위치되는 중심체(41)와; 상기 중심체(41)로부터 상기 고리부(37)의 절개된 방향을 통해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연장부(42)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지지대(110)와 맞닿아 상기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연장부(42)는 상기 고리부(37)의 절개된 부분의 하부 끝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는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서 상기 작업발판(20)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배수홀(21)이 형성된 돌출부(22)가 형성되고, 하측에 복수개의 보강대(23)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에 의하면,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을 없애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업발판의 양측 끝단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바에 안전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에 의해 작업발판과 작업발판 사이의 공간이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의 하부에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을 수평지지대의 상측을 통해 걸면 고정부재는 회동하여 상측으로 이동 후 복귀하여 수평지지대의 측면과 맞닿아 수평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지지대와의 고정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발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강대를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비계용 발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의 걸이구에 수평지지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이 수평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이 수평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4a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4a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10)은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발판(20)과, 작업발판(20)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업발판(20)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배수홀(21)이 형성된 돌출부(22)가 형성되고, 하측에 복수개의 보강대(23)가 형성된 제1발판(20a)과, 제1발판(20a)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제2발판(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부(22)는 작업자가 작업발판(20)의 상부에 이동 또는 작업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홀(21)은 비 또는 눈이 작업발판(20)의 상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작업발판(20)의 제1발판(20a)과 제2발판(20b)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강대(23)는 압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보강대(23)를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발판(20a)과 제2발판(20b)은 각각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지만,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작업발판(20)을 제1발판(20a)과, 제2발판(20b)으로 형성하여 서로 맞대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하나의 발판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수단(30)은 작업발판(20)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작업발판(2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31)와, 타측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부(31)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발판(20)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부재에 의해 삽입부(31)가 작업발판(20)에 고정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리벳 또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걸이구(32)는 양측에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3)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33)의 내측에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부(34)와, 걸이부(34) 상에 형성되는 절개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발판(20)을 연결시 걸이부(34)는 인접되는 고정수단(30)의 절개부(35)에 끼움되어 작업발판(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즉, 걸이부(34)와 절개부(35)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지지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의 걸이구(32)의 걸이부(34)는 수평지지대(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의 걸이구(32)의 절개부(35)에 끼움되어 작업발판(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고정수단(30)의 지지부(33)의 내측에 하층과의 이동을 위한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수평지지대(110)에 걸리어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위치되도록 홈(36)이 형성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10)에 의하면, 작업발판(20)과 작업발판(20) 사이의 공간을 없애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작업발판(20)의 양측 끝단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대(110)에 작업발판(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을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30)에 의해 작업발판(20)과 작업발판(20) 사이의 공간이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빠져 다치는 사고를 비롯하여 작업공구가 아래로 떨어져 발판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10)은 고정수단(3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지지대(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재(40)를 형성함에 있어 고정수단(30)은 하부에 일부 절개된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37)가 형성되어 진다.
고정부재(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30)의 고리부(37)에 위치되는 중심체(41)와, 중심체(41)로부터 고정수단의 고리부(37)의 절개된 방향을 통해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연장부(42)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지지대(110)와 맞닿아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부(42)는 고리부(37)의 절개된 부분의 하부 끝단에 의해 고정부재(40)는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30)의 하부에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0)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30)을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통해 걸면 고정부재(40)는 회동하여 상측으로 이동 후 복귀하여 수평지지대(110)의 측면과 맞닿아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지지대(110)와의 고정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계용 안전발판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비계용 안전발판
20 : 작업발판 30 : 고정수단
31 : 삽입부 32 : 걸이구
33 : 지지부 34 : 걸이부
35 : 절개부 36 : 홈
37 : 고리부 40 : 고정부재
41 : 중심체 42 : 연장부
43 : 고정부
110 : 수평지지대
200 : 안전사다리 210 : 걸림수단

Claims (7)

  1. 작업발판(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수단(30)이 결합되어지는 비계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20)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배수홀(21)이 형성된 돌출부(22)가 형성되고, 하측에 복수개의 보강대(23)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일측에 상기 작업발판(2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삽입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 비계시스템의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구(32)가 형성되며, 하부에 일부 절개된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37)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3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30)의 걸이구(32)는 양측에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33)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33)의 내측에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걸이부(34)와, 상기 걸이부(34) 상에 형성되는 절개부(35)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발판(20)을 연결시 상기 걸이부(34)는 인접되는 고정수단(30)의 절개부(35)에 끼움되어 상기 작업발판(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33)의 내측에 하층과의 이동을 위한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상기 수평지지대(110)에 걸리어 상기 안전사다리(200)의 걸림수단(210)이 위치되도록 홈(3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수단(30)의 고리부(37)에 위치되는 중심체(41)와, 상기 중심체(41)로부터 상기 고리부(37)의 절개된 방향을 통해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연장부(42)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지지대(110)와 맞닿아 상기 수평지지대(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0)의 연장부(42)는 상기 고리부(37)의 절개된 부분의 하부 끝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는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안전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4616A 2020-03-20 2020-03-20 비계용 안전발판 KR10235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16A KR102357311B1 (ko) 2020-03-20 2020-03-20 비계용 안전발판
PCT/KR2020/004482 WO2021187656A1 (ko) 2020-03-20 2020-04-01 비계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16A KR102357311B1 (ko) 2020-03-20 2020-03-20 비계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24A KR20210117824A (ko) 2021-09-29
KR102357311B1 true KR102357311B1 (ko) 2022-01-27

Family

ID=7776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616A KR102357311B1 (ko) 2020-03-20 2020-03-20 비계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7311B1 (ko)
WO (1) WO2021187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972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파인콤 구조물에서의 작업자 이동용 통로
KR20230098973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파인콤 구조물에서의 작업자용 이동 통로의 고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87Y1 (ko) * 2012-10-31 2014-05-16 홍춘선 공사용 안전발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90U (ko) * 1993-09-09 1995-04-17 엘리베이터의 로프진동 감쇠장치
JPH07197643A (ja) * 1993-12-28 1995-08-01 Tatsuo Ono 足場板
TW277087B (en) * 1995-04-14 1996-06-01 Tatsuo Ono Scaffolding planks
JP3868343B2 (ja) * 2002-07-08 2007-01-17 辰雄 小野 足場板
EP1797256A1 (en) * 2004-09-01 2007-06-20 PF MANAGEMENT Holding ApS Scaffold board with hooks having inclining front edges
CN106672077A (zh) 2017-03-06 2017-05-17 至玥腾风科技投资集团有限公司 车辆
KR101923576B1 (ko) * 2017-12-29 2018-11-30 장윤근 비계발판 연결장치 및 그 비계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87Y1 (ko) * 2012-10-31 2014-05-16 홍춘선 공사용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656A1 (ko) 2021-09-23
KR20210117824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311B1 (ko) 비계용 안전발판
KR100758346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EP1878850B1 (en) Scaffolding system
US6745871B2 (en) Interlocking scaffold plank
KR102024302B1 (ko) 외단열 시공구조
KR20130084270A (ko)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CN211623284U (zh) 钢结构建筑用活动式挂梯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JP2010090676A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200459021Y1 (ko)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JP2011099234A (ja) 軒上工法
KR200432740Y1 (ko) 낙하방지용 안전발판 보호대
JP2019027196A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2002174027A (ja) 足場板隙間カバー
KR960002473Y1 (ko) 건축공사용 족답기구
KR20050120608A (ko) 비계용 작업발판
KR20210000962U (ko) 비계용 발판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