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702B1 -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702B1
KR101346702B1 KR1020120031045A KR20120031045A KR101346702B1 KR 101346702 B1 KR101346702 B1 KR 101346702B1 KR 1020120031045 A KR1020120031045 A KR 1020120031045A KR 20120031045 A KR20120031045 A KR 20120031045A KR 101346702 B1 KR101346702 B1 KR 10134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formwork
bar
handrai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451A (ko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조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일 filed Critical 조영일
Priority to KR102012003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7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체결되는 체결바, 상기 체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지지바, 상기 체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지지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 및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가 상호 연결되는 타단에 결합하는 난간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바는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탱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STRUCTURE WITH SUPPORTER AND SAFE RAIL FOR MOLD}
본 발명은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서는 거푸집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정화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근래에는 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으로서 '유로폼'이라는 규격화된 거푸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 난간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 난간대 구조는 유로폼(U)에 일측이 연결되는 멍애재(2), 멍애재(2)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3), 멍애재(2)의 상측에 적층되는 강선재(4), 강선재(4)의 상측에 적층되는 합판(5), 멍애재(2)의 타측에 결합되거나 지상으로부터 난간(6)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안전 난간대 구조는 설치 작업이 어렵고 별도로 부피가 큰 서포트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낙하물 방지망(7)을 설치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2개 층에서 작업을 해야 하며, 먼저 낙하물 방지망(7)을 위한 지지틀을 건물 밖으로 설치한 후에 작업자가 지지틀을 밟고 무거운 낙하물 방지망(7)을 지지틀 끝 고리까지 가서 연결하고 다시 건물 안으로 들어오고, 낙하물 방지망(7) 연결부위가 잘못되면 다시 지지틀 위를 걸어가서 수정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설치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추락에 대한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작업이 쉽고 자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체결되는 체결바, 상기 체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지지바, 상기 체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지지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 및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가 상호 연결되는 타단에 결합하는 난간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바는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탱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거푸집과 볼트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은 유로폼 또는 철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의 사이에는 1 이상의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바에는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타단 측 또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길이 중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타단 측 및 상기 하부지지바의 길이 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난간대의 일측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가 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난간대의 길이 중에 형성되며, 상측에 제1핀 고정 홀이 천공되고, 하측에 힌지축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며, 넓이면에 제2핀 고정 홀이 천공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구성에 의한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는 설치 작업을 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한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는 소요 자재를 극소화하여 설치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한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는 설치 작업을 안전하게 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 난간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난간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멍애재) 및 안전 난간대 구조는 상기 거푸집(1)에 체결되는 체결바(40), 상기 체결바(40)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지지바(10), 상기 체결바(40)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지지바(10)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20) 및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가 상호 연결되는 타단에 결합하는 난간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바(4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단에 상기 상부지지바(10)가 수평으로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하부지지바(20)가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바(40)는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가 상측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탱하여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 및 상기 체결바(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40)는 상기 거푸집(1)과 볼트(V) 및 타이핀에 의한 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볼트 결합 이외에 끈, 브라켓, 못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1)은 유로폼 또는 H빔과 같은 철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간대(30)가 힌지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난간대(30)는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바(10)의 반대측으로 α(20°~ 60°)만큼 기울어질 수 있게 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난간대(30)에 안전망을 설치할 경우 상기 난간대(30)의 기울기가 20°미만이면 상기 난간대(30)에 설치된 안전망이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상기 난간대(30)의 기울기가 60°를 초과하면 상기 난간대(30)가 하중을 견디기 힘들어 안전사고 및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바(20)는 종래에 사용되는 멍애(굵은 목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상부지지바(20)의 상측에는 장성재(11)와 합판(12)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합판의 위에 콘크리트 등이 타설(13)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이 철골일 경우 상기 체결바(40)와 상기 거푸집(1)은 볼트(V) 또는 용접 또는 브라켓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골로 이루어진 거푸집(1)과 상기 체결바(40)가 볼트(V)에 의해 결합할 시에는 상기 체결바(40)의 타측으로 브라켓(41)이 결합되어 상기 체결바(40)와 상기 거푸집(1)의 볼트(V) 결합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사이에 1 이상의 보강리브(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리브(50)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바(10)가 상측으로부터 받는 하중에 대한 응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지지바(10) 및 상기 하부지지바(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의 길이가 길지 않다면 단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보강리브(50)의 개수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의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보강리브(50)의 개수를 복수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의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일단 즉, 상기 난간대(30)가 결합하는 부위의 하측에는 보강부(60)가 더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지바(20)가 상기 난간대(30)로부터 받는 하중에 대한 응력을 높이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일단은 일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연장된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바(20)와 같은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형성된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일측에는 상기 난간대(30)가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30)에 형성되는 안정망이 넓은 범위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바(10)와 상기 하부지지바(2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상기 보강부(60)는 상기 하부지지바(20)의 일단 및 상기 하부지지바(20)의 길이 중에 복수로 더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지바(20)가 상측으로부터 받는 하중에 대한 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강부(60)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강부(60)를 하측에서 받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받침대(거푸집 동바리, 70)를 더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지지 구조의 지지력을 높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난간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대(30)는 길이 중에 힌지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30)가 힌지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힌지부(31)는 몸체(31a)와 연장부재(31b)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31a)는 상기 난간대(30)의 길이 중에 형성되며, 상부에 제1핀 고정 홀(33)이 형성되어 피벗 또는 고정볼트 등을 삽입하여 상기 난간대(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31a)의 하부에는 힌지축(35)이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30)가 선회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31b)는 상기 몸체(31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되,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재(31b)는 상기 난간대(30)가 일정각도(α) 만큼 선회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넓이면에 제2핀 고정 홀(37)이 천공되어 상기 난간대(30)를 일정각도(α) 만큼 선회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핀 고정 홀(37)에 피벗 또는 고정볼트 등을 삽입함에 따라 상기 난간대(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35)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가상의 선과 상기 힌지축(35)을 중심으로 상기 제2핀 고정 홀(37)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의 내각이 20°~ 6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거푸집 10: 상부지지바
20: 하부지지바 30: 난간대
31: 힌지부 40: 체결바
50: 보강리브 60: 보강부

Claims (10)

  1.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체결되는 체결바;
    상기 체결바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지지바;
    상기 체결바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지지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바;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가 상호 연결되는 타단에 결합하는 난간대;
    상기 난간대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난간대가 힌지되게 하는 힌지부;
    상기 하부지지바 중 상기 난간대가 결합하는 부위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를 하측에서 받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난간대의 길이 중에 형성되며, 상부에 제1핀 고정 홀이 천공되고, 하부에 힌지축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며, 넓이면에 제2핀 고정 홀이 천공되되,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가상의 선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핀 고정 홀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의 내각이 20°~ 60°를 이루게 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는 상기 거푸집과 볼트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유로폼 또는 철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바와 상기 하부지지바의 사이에는 1 이상의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타단 측 또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길이 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부지지바의 타단 측 및 상기 하부지지바의 길이 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31045A 2012-03-27 2012-03-27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10134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45A KR101346702B1 (ko) 2012-03-27 2012-03-27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45A KR101346702B1 (ko) 2012-03-27 2012-03-27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51A KR20130116451A (ko) 2013-10-24
KR101346702B1 true KR101346702B1 (ko) 2014-01-03

Family

ID=4963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045A KR101346702B1 (ko) 2012-03-27 2012-03-27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79B1 (ko) * 2019-03-29 2020-04-20 구본영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869B (zh) * 2014-08-12 2016-04-20 陆彬燕 一种建筑施工梁架
KR102027572B1 (ko) 2018-02-14 2019-10-01 박정윤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체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00Y1 (ko) * 1995-09-20 1999-02-18 한준수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100611532B1 (ko) * 2004-12-31 2006-08-10 박영식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00Y1 (ko) * 1995-09-20 1999-02-18 한준수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100611532B1 (ko) * 2004-12-31 2006-08-10 박영식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79B1 (ko) * 2019-03-29 2020-04-20 구본영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51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195B2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100841240B1 (ko) 건축용 조립식 비계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CN110259088B (zh) 具有扭曲立面的建筑物的外防护脚手架的搭设方法
KR101275100B1 (ko) 조립식 난간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411024Y1 (ko)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CN100419191C (zh) 脚手架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US20220235562A1 (en) Scaffolding stair system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100554474B1 (ko)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JP2004270377A (ja) 柱梁先組鉄筋体とそれを用いた先組鉄筋工法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CN217680699U (zh) 一种新型组合式电梯井防护栏杆
KR101085324B1 (ko) 안전난간 지주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공법
KR200326093Y1 (ko) 철재 거푸집의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