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79B1 -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79B1
KR102101779B1 KR1020190036439A KR20190036439A KR102101779B1 KR 102101779 B1 KR102101779 B1 KR 102101779B1 KR 1020190036439 A KR1020190036439 A KR 1020190036439A KR 20190036439 A KR20190036439 A KR 20190036439A KR 102101779 B1 KR102101779 B1 KR 10210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lide
unit
guide rai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영
Original Assignee
구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영 filed Critical 구본영
Priority to KR102019003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은, 건축물 외측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발판을 구비하여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지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길이 축소시에 상기 케이지 및 가이드레일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한 인양유닛과, 건축물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인양유닛,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작업발판에 내장되고 건축물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축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A Cage lifting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with slide footrest uni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돌출된 돌출물에 대응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발판을 디딘 상태에서도 인출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돌출 길이를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의 길이 축소시에 케이지가 인양되게 하여 실린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미사용시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일체형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양유닛이 케이지 인양시스템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외벽을 축조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외벽을 축조하는 방식은 다수의 폼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몰탈을 부어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건축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거푸집 공법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일일이 조립하여 하나의 벽면을 치기 위한 벽체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을 배제하고 요즘은 통째로 거품집을 설치하여 벽면을 양생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이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는 곳은 아파트나 교각 및 큰 구조물을 형성하는 토목공사에서 많이 활용되는데, 동일한 형태의 벽면이 2층 3층 계속해서 상승하며 외벽을 쳐야만 할 때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폼(B)을 상승시키는 크레인(A)이 필수적으로 필요했다.
그러나 이러한 폼은 그 크기가 상당하고, 타워크레인의 경우 들 수 있는 무게에 한계가 있으며, 거센 바람이 불게 되면 타워크레인에 큰 부하가 발생하여 이를 버텨내지 못하고 전복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552호에는 도 2와 같이 스크류(61)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폼을 상승시켜 스스로 건축물의 벽면을 타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한 벽면 상승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면서 동일한 피치로 나사 가공된 스크류(61)가 요구됨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되며, 벽면 상승유니트는 폼을 상승시킬 때 스크류(61)도 같이 상승시켜야 하는 구조이므로 하중 부담이 증가하여 스크류(61)의 나사산 마모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865호에는 도 3과 같이 갱폼이 부착된 가이드레일(10)을 실린더(30)의 신축작용에 의해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실린더(30)의 길이가 증가할 때 발생하는 힘으로 가이드레일(10) 및 갱폼을 들어올리도록 작용하게 되므로, 실린더로드에 큰 하중이 집중되어 굽힘응력을 유발함으로써 실린더(30)의 수명을 급격하게 감소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0)에는 일면에만 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갱폼을 상향 지지하는 효율이 저하되고, 걸림돌기(11)의 후측면에 롤러가 걸림 구속되기는 하나 갱폼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의 좌/우측 면이 전방으로 휘어지게 되어 구속력이 해지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안정적이지 못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509호에는 도 4와 같이 구동기어(30)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2,33)로 구성된 기어시스템을 이용하여 갱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갱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스프라켓(34)과 렉기어(2a)의 간섭에 의해 가이드레일(2)이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레일(2)에 대한 구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542호에는 도 5와 같이 인양장치(500)에 의해 인양되는 인 포스트부(330)에 갱폼(100)이 연결되게 구성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가이드레일에 렉기어 등을 덧붙여 제작하게 되므로 가이드레일의 하중을 증가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기술들은 갱폼을 들어올리기 위한 힘을 발생하는 모터, 실린더, 기어시스템 등이 벽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구성되어 설치, 유지 및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갱폼의 작업발판은 작업자가 미장이나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안전난간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상부 작업발판과 하부 작업발판으로 나뉘며, 상부 작업발판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사용되고, 하부 작업발판은 미장, 견출 작업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건축물의 경우 입체 디자인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하여 돌출형 발코니 등이 형성되어 있어 폭 조절이 불가능한 종래의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시공시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발판으로부터 추락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74180호에는 도 6과 같이 하부 5단발판(130) 위에 걸쳐져 고정하거나, 핸드레일(121)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발판(10)을 구비한 갱폼 회전발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30480호에는 도 7과 같이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가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발판부재(40)와 상부 발판부재(50)는 개방제한수단(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발판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구조로서 발판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펼쳤을 때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이므로 건축물마다 서로 상이한 돌출 길이에 모두 대응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돌출된 돌출물에 대응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발판을 디딘 상태에서도 인출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발판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돌출 길이를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길이 축소시에 케이지가 인양되게 하여 실린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미사용시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일체형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양유닛이 케이지 인양시스템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은, 건축물 외측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발판을 구비하여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지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길이 축소시에 상기 케이지 및 가이드레일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한 인양유닛과, 건축물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인양유닛,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작업발판에 내장되고 건축물 방향으로 슬라이드방식으로 신축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지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일체형낙하방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발판유닛은, 상기 작업발판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작업발판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발판의 양측을 상향 지지한 상태로 직선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발판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발판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케이지 일측을 관통한 고정핀을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발판이 케이지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제한되게 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낙하방지대는, 낙하물과 경사지게 접촉하여 건축물 방향으로 안내하는 낙하방지프레임과, 상기 케이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낙하방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낙하방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하방지브라켓 일측에는, 상기 낙하방지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는 낙하방지핀을 수용하여 건축물에 대한 낙하방지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홀이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고정된 슈와, 상기 슈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다른면에 형성된 다수 구속홀에 걸림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낙하제한부와, 상기 슈의 일측에 양측이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낙하제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슈에 전달하는 하중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돌출된 돌출물에 대응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발판유닛이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발판유닛은 돌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돌출 길이를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발판을 디딘 상태에서도 인출이 가능하므로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의 길이 축소시에 케이지가 인양되게 하여 실린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미사용시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일체형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낙하방지대 설치를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양유닛이 케이지 인양시스템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다.
도 1 은 종래의 건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552호에 개시된 벽면 상승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865호에 개시된 건축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외형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509호에 개시된 기어시스템을 이용한 케이지 인양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542호에 개시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180호에 개시된 갱폼 회전발판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480호에 개시된 이중발판 구조물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이 건축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의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지지유닛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지지유닛의 작용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과 지지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과 지지유닛의 결속 전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일체형낙하방지대의 세부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발판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9 는 도 18의 "A"부 확대도.
도 20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발판유닛 하부에 구비된 보강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이 건축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의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인양시스템은 건축물(B)의 외면에 대하여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케이지(400)를 상방향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건축물(B)의 외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100)의 길이 방향으로 케이지(4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다수로 구비하되, 서로 평행한 상태로 케이지(4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직립되게 배치되어 케이지(40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지(400)에는 작업발판(41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디딜 수 있는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발판(410)에는 건축물(B)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축하여 작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발판유닛(42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 인양시스템(10)은 구성 일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지 인양시스템(10)은 전술한 케이지(400), 슬라이드 발판유닛(420) 및 가이드레일(100)과, 길이 축소시에 상기 케이지(400) 및 가이드레일(100)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도 10의 도면부호 240 참조)를 구비한 인양유닛(200)과, 건축물(B)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유닛(200)이 설치되며, 인양유닛(200), 가이드레일(100) 및 케이지(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지(40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일체형낙하방지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인양유닛(200) 및 가이드레일(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인양유닛(200)은 상단에 구비된 파지부(224)를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가이드레일(1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분리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세로로 길게 배치되며, "H" 형상의 횡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전면이 케이지(4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케이지(400)와 일체화되고, 후방으로는 인양유닛(200) 및 지지유닛(300)에 의해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후면 좌/우측에 세로로 등간격 이격된 인양홀(110)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인양홀(110)은 인양유닛(200)의 인양편(210)을 내부로 수용하며, 인양편(210)의 상방향 이동시 걸림 구속에 의해 가이드레일(100)이 상방향으로 인양될 수 있도록 힘을 받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중앙부에는 구속홀(120)이 다수 천공된다. 상기 구속홀(120)은 낙하방지편(326)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낙하방지편(326)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가이드레일(100)의 하측 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단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00)의 하측을 통해 가이드레일(100)의 상단부가 최초 삽입시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300)은 가이드레일(100)에 구속력을 발생하되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양측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속홀(120)에 구속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유닛(300)은 건축물(B)의 외면에 결합고정된 슈(310)와, 상기 슈(310)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구속홀(120)에 걸림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레일(10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낙하제한부(320)와, 상기 슈(310)의 전반부에서 양측이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낙하제한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0) 및 케이지(400)의 하중을 슈(310)에 전달하는 하중전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슈(310)는 전방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후면은 건축물(B)의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슈(310)의 상면에는 인양유닛(200)이 안착된 상태로 구속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안착부(312)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312)는 보강판재와 한 쌍의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양유닛(200)의 단차진 부위에 구비된 플랜지(226)와 결합함으로써 인양유닛(200)과 지지유닛(30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슈(310)의 전방 중앙부에는 형합홈(314)이 구비된다. 상기 형합홈(314)은 상기 하중전달부(330)를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하중전달부(330)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전달부(330)는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형합홈(314) 내부에 삽입되되 좌/우측부가 슈(3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돌출된 부위에 상기 낙하제한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중전달부(330)의 좌/우측 상면에는 낙하제한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고, 선택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제한할 수 있도록 고정핀(322)이 삽입되는 핀삽입홀(332)이 다수 함몰 형성된다.
상기 하중전달부(3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되고 중앙부가 천공된 이탈방지리브(334)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334)는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슈(310)의 측면을 내측에 수용하는 것으로서, 이탈방지핀(350)을 관통시켜 상기 슈(3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슈(310)에는 핀관통홀(316)이 천공되고, 상기 형합홈(314) 내부에 하중전달부(330)가 삽입되었을 때 동일 선상에 홀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이탈방지핀(35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중전달부(330)와 슈(31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슈(310)의 좌/우측에는 낙하제한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낙하제한부(320)는 가이드레일(100)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구속력을 발생하여 하측 방향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00)과 케이지(400)의 하중이 하중전달부(330)를 통해 슈(3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낙하제한부(320)는 하중전달부(3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낙하제한부(320)는 상기 힘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324)과, 상기 브라켓(324)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수용함으로써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리브(325)와, 상기 안내리브(325) 인근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0)과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레일안내롤러(327)와, 상기 가이드레일(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구속홀(120)에 대하여 하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낙하방지편(3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324)은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낙하방지편(326)이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편(326)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되,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측이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브라켓(324) 사이에는 가이드레일(100)이 끼워지되, 구속홀(120)과 동일 위치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 인양시스템(10)가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낙하방지편(326)은 회전하여 가이드레일(100)의 상방향 이동에 방해하지 않게 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방향 이동이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홀(120) 내부에 낙하방지편(326)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케이지(400)의 하측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낙하제한부(320)에 각각 구비된 낙하방지편(326)은 서로 상이한 위상에 위치시켜 서로 다른 구속홀(120)에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방향 지지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상기 낙하방지편(326)의 후방으로는 레일안내롤러(327)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안내롤러(327)는 가이드레일(100)의 후면 즉, 상기 인양홀(110)이 천공된 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제자리에 멈춰선 경우에는 이격 공간을 없애 케이지(400)가 안정적으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100)의 후면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마찰을 줄이게 된다.
상기 레일안내롤러(327)의 후방에는 안내리브(32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325)는 가이드레일(100)의 양측 살부위를 내부로 관통시키면서 안내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6과 같이 "
Figure 112019032240847-pat00001
"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단부가 지지유닛(30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안내리브(325)는 틈 내부로 가이드레일(100)을 안내하게 되며, 우측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걸림 없이 유연하게 수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인양유닛(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200)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인양유닛(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린더(240)를 수용하고, 상기 인양유닛(200)에 결합되는 실린더하우징(22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2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단부가 구속되고 하단부가 신축하는 실린더(240)와, 상기 실린더(240)의 길이 축소시 하부와 연동하여 가이드레일(100)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 인양홀(110)에 걸림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레일(100)을 상향이동하는 걸림구속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하우징(220)은 내부가 비어있고 세로로 긴 상자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는 상부보다 작은 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하우징(220)의 내측 상부에는 실린더(240)가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고, 실린더(240) 하단은 걸림구속부(260)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하우징(220)의 내측 하부에는 걸림구속부(260)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240)의 길이가 신축하게 되면 상기 걸림구속부(260)는 이와 연동하여 실린더하우징(220) 내부에서 승강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하우징(220)의 외면 다수곳에는 가이드롤러(2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22)는 실린더하우징(220)의 전면에서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외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상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롤러(222)와, 레일안내롤러(327)의 구름운동에 의해 인양유닛(200) 및 지지유닛(300) 외면과 마찰력이 감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구속부(260)에는 인양편(210)이 한 쌍 구비된다. 상기 인양편(210)은 실린더(240)의 길이가 축소할 때 상기 인양홀(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걸림구속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인양편(210)은 걸림구속부(260) 내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무게중심은 우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상기 실린더(240)가 직립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어떠한 힘도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우측단부가 걸림구속부(26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상기 인양편(210)이 인양홀(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가이드레일(100)이 상측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인양편(210)은 반시계 방향 회전이 가능하므로 인양홀(110) 내부에서 빠져나오면서 걸림구속부(260) 내부로 수용되어 가이드롤러(222)의 상방향 움직임을 제약없이 허락하게 된다.
만일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정지하거나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경우, 상기 인양편(210)은 인양홀(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하측 방향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인양유닛(200) 및 지지유닛(3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지지유닛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지지유닛의 작용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과 지지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인양유닛과 지지유닛의 결속 전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3과 같이 상기 지지유닛(300)은 슈(310)의 후단부를 건축물(B)의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메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제한부(320)는 고정핀(322)을 선택적으로 빼냄으로써 도 14과 같이 회전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이런 상태에서 상기 인양유닛(200)의 결합이 용이하다.
즉, 도 11과 같이 인양유닛(200)을 직립시킨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내려 상기 플랜지(226)와 안착부(312)를 면접촉시킨 후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되면 도 15와 같이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인양유닛(200) 전방으로는 안내리브(325), 레일안내롤러(327) 및 낙하방지편(326)이 위치하게 되며, 이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하측 방향에서 상향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리브(325)의 형상에 의해 큰 간섭없이 삽입가능하며, 레일안내롤러(327)와 접촉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용이하게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9 및 도 17을 참조하여 일체형낙하방지대(4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일체형낙하방지대의 세부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일체형낙하방지대(440)는 케이지(400)의 외측에 케이지(4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 9와 같이 상향 경사지게 고정됨으로써 상측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일체형낙하방지대(440)는 낙하물과 경사지게 접촉하여 건축물(B) 방향으로 안내하는 낙하방지프레임(442)과, 상기 케이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낙하방지프레임을 지지하느 낙하방지브라켓(4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낙하방지프레임(442)은 대략 사각판과 같은 외형을 갖도록 구성되며, 내측에는 낙하물의 낙하를 간섭할 수 있도록 그물 등 다양한 소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프레임(442)은 필요시 건축물(B)의 외면과 평행한 상태(상방향으로 직립되거나 하측 방향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경사지게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낙하방지브라켓(444)에는 각도조절용홀(445)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용홀(445)은 낙하방지브라켓(44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낙하방지프레임(442)에 대하여 낙하방지핀(448)의 삽입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낙하방지핀(448)의 삽입위치에 따라 낙하방지프레임(442)은 다양한 각도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프레임(442)에는 낙하방지핀(448)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핀관통홀(44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슬라이드 발판유닛(4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에서 일 구성인 슬라이드 발판유닛(420)의 세부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슬라이드 발판유닛(420)은, 일정 형태를 유지하여 가변하지 않는 작업발판(410)과 다르게 선택적으로 돌출하여 작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 발판유닛(420)은 작업발판(410)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작업발판(4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발판(422)과, 작업발판(410)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의 양측을 상향 지지한 상태로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424)와,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424)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부(4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은 사각테두리 상측에 작업발판(410)과 동일한 형태의 발판을 올려놓은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 18에서는 슬라이드발판(422)의 우측단 모습이 보일 수 있도록 작업발판(410)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의 우측부 전/후에는 구름운동부(426)가 구비된다. 상기 구름운동부(426)는 슬라이드발판(422)에 제자리 회전 운동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424)의 길이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은 구름운동부(426)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안내부(424)는 케이지(400)에 사각틀 형태를 갖도록 다수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구름운동부(426)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수용되게 하여 구름운동부(426)의 구름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424)에는 구름운동부(426)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천공되어 구름운동부(426)의 이탈을 제한하는 슬롯(427)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슬롯(427)의 형성 길이는 슬라이드발판의 좌/우 방향 직선 운동 범위가 된다.
한편 도 19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은 발판고정구(423)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400)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발판(422)의 상측에 위치한 케이지(400)에는 고정구삽입홀(428)이 천공되고, 상기 발판고정구(423)는 고정구삽입홀(428)에 삽입되며, 발판고정구(423)의 하부는 슬라이드발판(422)의 가장자리 테두리부에 등간격으로 천공된 슬라이드구속홀(4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지(400)에 대한 슬라이드발판(422)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발판고정구(423)는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금속 막대를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정구삽입홀(428)과 슬라이드구속홀(425)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우측부는 길게 형성되며, 좌측부는 고정구삽입홀(428)이 형성된 높이보다 길게 아래로 절곡된 후 라운드진 부위를 가져 상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력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발판고정구(423)가 다수의 슬라이드구속홀(42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느냐에 따라 슬라이드발판(422)의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구속력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발판유닛은 도 20과 같이 하부에 보강유닛(460)을 구비하여 작업자와 케이지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유닛(460)은 슬라이드안내부(424)의 하측에서 배치되어 상방 지지하는 보강대(462)와, 상기 보강대의 양단부 하측에 부착된 보강브라켓(4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으며, 보강대(462)와 보강브라켓(464)의 두께, 크기, 형상 등은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가이드레일 110. 인양홀
120. 구속홀 200. 인양유닛
210. 인양편 220. 실린더하우징
222. 가이드롤러 224. 파지부
226. 플랜지 240. 실린더
260. 걸림구속부 300. 지지유닛
310. 슈 312. 안착부
314. 형합홈 316. 핀관통홀
320. 낙하제한부 322. 고정핀
324. 브라켓 325. 안내리브
326. 낙하방지편 327. 레일안내롤러
330. 하중전달부 332. 핀삽입홀
334. 이탈방지리브 350. 이탈방지핀
400. 케이지 410. 작업발판
420. 슬라이드 발판유닛 422. 슬라이드발판
423. 발판고정구 424. 슬라이드안내부
425. 슬라이드구속홀 426. 구름운동부
427. 슬롯 428. 고정구삽입홀
440. 일체형낙하방지대 442. 낙하방지프레임
443. 핀관통홀 444. 낙하방지브라켓
445. 각도조절용홀 448. 낙하방지핀
460. 보강유닛 462. 보강대
464. 보강브라켓 B . 건축물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건축물 외측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발판을 구비하여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케이지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길이 축소시에 케이지 및 가이드레일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한 인양유닛과; 건축물의 외면에 고정되고, 인양유닛이 설치되며,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고정된 슈와, 상기 슈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다른면에 형성된 다수 구속홀에 걸림 구속력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낙하제한부와, 상기 슈의 일측에 양측이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낙하제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슈에 전달하는 하중전달부로 이루어져 상기 인양유닛,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작업발판에 내장되고 작업발판을 디딘 작업자에 의해 건축물 방향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신축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과; 케이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하여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일체형낙하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발판유닛은,
    상기 작업발판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작업발판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발판의 양측을 상향 지지한 상태로 직선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발판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안내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발판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천공되어 케이지 일측을 관통한 고정핀을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발판이 케이지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제한되게 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낙하방지대는,
    낙하물과 경사지게 접촉하여 건축물 방향으로 안내하는 낙하방지프레임과,
    상기 케이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낙하방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낙하방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브라켓 일측에는,
    상기 낙하방지프레임의 일측을 관통하는 낙하방지핀을 수용하여 건축물에 대한 낙하방지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홀이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7. 삭제
KR1020190036439A 2019-03-29 2019-03-29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KR10210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9A KR102101779B1 (ko) 2019-03-29 2019-03-29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9A KR102101779B1 (ko) 2019-03-29 2019-03-29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779B1 true KR102101779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39A KR102101779B1 (ko) 2019-03-29 2019-03-29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7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73A (ko) 2020-05-27 2021-12-06 서현수 작업발판 인양장치
WO2022136539A1 (de) * 2020-12-23 2022-06-30 Peri Se Kletterschuhvorrichtung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KR20230151780A (ko) * 2022-04-26 2023-11-02 장윤근 비계형 케이지
KR200498031Y1 (ko) * 2022-01-10 2024-05-27 (주)삼열에너지 화물차량 상부 확인용 작업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021A (ko) * 2007-10-11 2009-04-15 이명래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
KR101042528B1 (ko) * 2010-10-14 2011-06-20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확장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케이지
KR101346702B1 (ko) * 2012-03-27 2014-01-03 조영일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101819858B1 (ko) * 2017-05-10 2018-01-18 이명래 클라이밍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개선된 형태의 클라이밍 시스템용 클라이밍 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021A (ko) * 2007-10-11 2009-04-15 이명래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
KR101042528B1 (ko) * 2010-10-14 2011-06-20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확장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케이지
KR101346702B1 (ko) * 2012-03-27 2014-01-03 조영일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KR101819858B1 (ko) * 2017-05-10 2018-01-18 이명래 클라이밍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개선된 형태의 클라이밍 시스템용 클라이밍 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73A (ko) 2020-05-27 2021-12-06 서현수 작업발판 인양장치
WO2022136539A1 (de) * 2020-12-23 2022-06-30 Peri Se Kletterschuhvorrichtung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KR200498031Y1 (ko) * 2022-01-10 2024-05-27 (주)삼열에너지 화물차량 상부 확인용 작업대
KR20230151780A (ko) * 2022-04-26 2023-11-02 장윤근 비계형 케이지
KR102602451B1 (ko) * 2022-04-26 2023-11-14 장윤근 비계형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779B1 (ko)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KR10077377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US20080031686A1 (en) Concrete slab form system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CN108431345B (zh) 攀爬设备和用于建造建筑物的攀爬方法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100820363B1 (ko) 갱폼용 고정장치
KR101651840B1 (ko)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BRPI0808589A2 (pt) "conjunto restritor de qued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omjunto restritor de queda"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US9605838B2 (en) Safe lighting system using wall mounted lift
KR101934753B1 (ko) 갱폼 인양장치
KR102387167B1 (ko)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GB2533142A (en) Hook arrangement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58942B1 (ko)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KR200478630Y1 (ko)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JP2010132362A (ja) エレベータの足場台装置
KR20190080023A (ko) 다목적 자동 인양시스템
KR102167622B1 (ko)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KR100866412B1 (ko) 갱폼 추락 방지 장치
JP4476044B2 (ja) 梯子用足場
KR200410232Y1 (ko)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