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73A - 작업발판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발판 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6573A KR20210146573A KR1020200063520A KR20200063520A KR20210146573A KR 20210146573 A KR20210146573 A KR 20210146573A KR 1020200063520 A KR1020200063520 A KR 1020200063520A KR 20200063520 A KR20200063520 A KR 20200063520A KR 20210146573 A KR20210146573 A KR 20210146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sub
- post
- motor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모터의 축에 구비된 드럼에 권취되는 인양 와이어 또는 인양모터의 축에 구비된 피니언 중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작업발판의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킨 후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발판을 인양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포스트(10)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단의 수평지지대(40)를 포함하는 작업발판을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50)를 따라 승강시키며, 메인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포스트(20)와, 스테이지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와,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와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훅부재(34)와,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30)을 포함하고, 인양수단은 모터지지대(35)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모터(31)와, 서브포스트에 구비된 랙기어(25)에 치합되도록 인양모터의 모터축(31')에 구비되는 피니언(36)과, 인양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된 드럼(32)에 권취됨과 아울러 서브포스트에 고정되는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하며, 인양모터의 수평 이동에 따라 피니언이 서브포스트의 랙기어에 치합되거나 인양와이어가 서브포스트에 연결되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포스트(10)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단의 수평지지대(40)를 포함하는 작업발판을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50)를 따라 승강시키며, 메인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포스트(20)와, 스테이지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와,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와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훅부재(34)와,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30)을 포함하고, 인양수단은 모터지지대(35)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모터(31)와, 서브포스트에 구비된 랙기어(25)에 치합되도록 인양모터의 모터축(31')에 구비되는 피니언(36)과, 인양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된 드럼(32)에 권취됨과 아울러 서브포스트에 고정되는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하며, 인양모터의 수평 이동에 따라 피니언이 서브포스트의 랙기어에 치합되거나 인양와이어가 서브포스트에 연결되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모터의 축에 구비된 드럼에 권취되는 인양 와이어 또는 인양모터의 축에 구비된 피니언 중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작업발판의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킨 후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발판을 인양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단순히 건물을 건설하는 것만 아니라,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사중에 발생하는 분진 등 각종 오염물질이 공사현장 이외의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주요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벽체를 따라서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일종의 차단막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차단막은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건축 자재 부스러기, 블록,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것을 막고, 분진 발생 등의 환경오염은 물론 현장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피해를 주거나 특히 작업자의 추락 사고와 같은 산재를 막기 위하여 필수적인 하나의 의무사항이 되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외부 가설 차단막은 외부에 짜놓은 골조에 의지하여 천이나 기타 추락 방지망을 설치하는 등의 구조가 대부분으로, 설치 및 해체가 번거롭고 그 효과가 미비한 미봉책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층 구조의 작업발판을 구성한 후 인양수단에 의해 작업발판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이 모두 향상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발판 인양구조에서는 작업발판의 인양을 위하여 와이어나 실린더 또는 랙기어 중 어느 하나의 인양수단을 사용하고 있어, 인양수단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작업발판을 인양시키는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푸집 작업발판의 비용을 절감하고, 거푸집 작업발판을 자연환경에 영향 없이 빠르게 인양함에 있어서 공기를 단축하며, 인양장치를 거푸집 작업발판과 개별적으로 이동되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거푸집 작업발판의 경량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고비용의 타워크레인을 거푸집 인양작업이 아닌 자재 등의 이송에 계속하여 사용함으로써 고비용의 타워크레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층간 사이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이 고정 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서 외부로 연장 돌출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기둥 및 바닥의 시공이 끝난 상태에서 내벽 및 외벽에 대하여 내부 공사 및 마감재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자재를 인양할 때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자재를 인양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재인양용 발판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콘크리트 벽체에 타설된 앵커볼트에 하부의 슈 어댑터를 나사 결합에 의해 착설하고, 상기 슈 어댑터를 상측 지지프레임 사이로 유압호스를 개재하여 유압펌프와 연설된 실린더를 삽입하여 실린더 하단부를 결합핀으로 고정시키며, 이때 상기 슈 어댑터내에 형성되는 사선형의 가이드 채널에 횡설된 걸림쇠가 레일의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동작에 의해 레일과 연결된 거푸집 작업발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를 재차 상부의 슈 어댑터의 결합핀에 고정시키며, 상기 슈 어댑터의 걸림쇠가 레일의 걸림부에 걸려 레일 및 이와 연설되는 거푸집 작업발판을 인양시키게 되고, 이때 유압펌프 및 유압호스와 연결된 실린더는 다음 인양될 작업발판에 위치한 작업자가 리모콘의 작동에 의해,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 작동을 수행하며, 상기 거푸집 작업발판 인양 완료시, 거푸집 작업발판과 연결된 레일을 벽체 상측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슈 어댑터에 고정시, 상기 거푸집 작업발판과 연결된 레일의 상단부에 볼 스크류가 횡설되는 레일 안내구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안내구의 전방 걸림턱을 슈 어댑터의 결합핀에 계지하여,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 동작으로, 기울어진 레일의 상단부를 벽체에 사전에 설치한 슈 어댑터에 정확하게 수직상태로 조절되어 고정하며, 상기 실린더의 하강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2번째 인양될 거푸집 작업발판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인양이 완료된 거푸집 작업발판에 유압호스를 개재하여 작업자 및 유압펌프가 위치되어 2번째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와 동일하게 반복하여 인양될 거푸집 작업발판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인양이 완료된 거푸집 작업발판에 유압호스를 개재하여 작업자 및 유압펌프가 위치되어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 동작을 수행하는,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건축물 외측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발판을 구비하여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와, 상기 건축물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지에 결합되어 케이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길이 축소시에 상기 케이지 및 가이드레일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한 인양유닛과, 건축물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인양유닛, 가이드레일 및 케이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작업발판에 내장되고 건축물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축하여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발판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수단은 이중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인양수단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른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발판을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의 축에 인양와이어가 권취되는 드럼과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모두 구성하여 인양와이어 또는 피니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테이지 연결부재가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서브포스트 또는 작업발판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훅부재가 훅헤드와 훅바디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훅부재에 의한 간섭 없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인양와이어가 서브포스트의 지지롤러를 개재하여 훅부재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발판의 급격한 상승 또는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작업발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포스트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단의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작업발판을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를 따라 승강시키는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포스트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포스트와,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지 연결부재와, 상기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훅부재와, 상기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양수단은 수평지지대에 구비된 모터지지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모터와, 상기 서브포스트의 일측에 구비된 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인양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과, 상기 인양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된 드럼에 권취됨과 아울러 끝단부가 상기 서브포스트에 고정되는 인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모터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이 서브포스트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인양와이어가 서브포스트에 연결되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상기 훅부재는 스테이지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곡선 형태의 가이드홈이 구비된 훅헤드와, 상기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된 다수열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훅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훅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상기 훅부재는 서브포스트의 중간 부분과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훅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와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훅부재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훅부재의 훅헤드 상단에 상기 인양와이어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상기 인양와이어는 서브포스트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롤러를 거쳐 상기 훅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는 랙 및 피니언 구조의 인양수단과 드럼 및 와이어 구조의 인양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인양모터의 수평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랙 및 피니언 구조의 인양수단 또는 드럼 및 와이어 구조의 인양수단이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어느 하나의 인양수단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작업발판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곡선 형태의 가이드홈이 구비된 훅헤드와 다수열의 관통공이 구비된 훅바디를 이용하여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를 스테이지 연결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음은 물론 훅헤드의 가이드홈과 훅바디에 구비된 다수열의 관통공을 통해 스테이지와 서브포스트 또는 수평지지대의 연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서브포스트와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훅부재 또는 수평지지대와 스테이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훅부재를 선택적으로 스테이지 연결부재에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제1훅부재의 훅바디 상단에 걸이홈이 형성됨에 따라 인양와이어의 끝단부를 제1훅부재에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따르면, 인양와이어가 서브포스트 하단에 구비된 지지롤러를 거쳐 훅부재에 고정됨에 도르래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더 작은 출력의 인양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발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입면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측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을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훅부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과 랙기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측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을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훅부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과 랙기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입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인양수단을 나타낸 측면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을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한 인양구조를 나타낸 참고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훅부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 인양장치에서 피니언과 랙기어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포스트(10)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단의 수평지지대(40)를 포함하는 작업발판을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를 따라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메인포스트(10)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포스트(20)와,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50)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와, 상기 서브포스트(20) 또는 수평지지대(40)와 상기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훅부재(34)와, 상기 서브포스트(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양수단(30)은 도 2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40)에 구비된 모터지지대(35)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모터(31)와, 상기 서브포스트(20)의 일측에 구비된 랙기어(25)에 치합되도록 상기 인양모터(31)의 모터축(31')에 구비되는 피니언(36)과, 상기 인양모터(31)의 모터축(31')에 구비된 드럼(32)에 권취됨과 아울러 끝단부가 상기 서브포스트(20)에 고정되는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인양수단(30)은 모터지지대(35)에 설치된 상기 인양모터(31)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36) 또는 인양와이어(3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서브포스트(2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모터(31)를 전진시키면 피니언(36)이 서브포스트(20)의 랙기어(25)에 치합되므로, 상기 인양모터(31)를 구동하게 되면 랙기어(25)에 치합된 피니언(36)이 회전하면서 서브포스트(20)를 승강시키게 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모터(31)를 후퇴시키면 피니언(36)이 서브포스트(20)의 랙기어(25)로부터 분리되어 서브포스트(20)가 승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양모터(31)의 드럼(32)에 권취된 인양와이어(33)를 서브포스트(20)에 연결된 훅부재(34)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인양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인양와이어(33)가 드럼(32)에 권취되거나 풀려나면서 서브포스트(20)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양와이어(33)는 서브포스트(20)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롤러(23)를 거쳐 상기 훅부재(3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훅부재(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부재(34)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에 설치되며 곡선 형태의 가이드홈(342')이 구비된 훅헤드(342)와, 상기 서브포스트(20) 또는 수평지지대(40)에 고정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된 다수열의 관통공(341')을 구비하며 상기 훅헤드(342)가 가이드홈(3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훅바디(341)를 포함한다. 또, 상기 훅부재(34)는 서브포스트(20)의 중간 부분과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훅부재(34a)와, 상기 수평지지대(40)와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훅부재(34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훅부재(34a)의 훅바디(341) 상단에 상기 인양와이어(33)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걸이홈(3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훅헤드(342)의 가이드홈(342')과 상기 훅바디(341)에 구비된 다수열의 관통공(341')을 통해 스테이지(50)와 서브포스트(20) 또는 수평지지대(40)의 연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포스트(20)와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는 제1훅부재(34a) 또는 수평지지대(40)와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는 제2훅부재(34b)를 선택적으로 스테이지 연결부재(55)에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훅부재(34a)의 훅바디(341) 상단에 걸이홈(341")이 형성됨에 따라 인양와이어(33)의 끝단부를 제1훅부재(34a)에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양와이어(33)가 서브포스트(20) 하단에 구비된 지지롤러(23)를 거쳐 훅부재(34)에 고정됨에 도르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드럼(32)에 권취되는 인양와이어(33)의 길이는 상기 서브포스트(20)가 승강되는 높이의 2배가 되어, 더 작은 힘으로도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더 작은 출력의 인양모터(31)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작업발판의 승강속도가 감소되어 작업발판이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발판 인양장치는 메인포스트와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 작업발판 또는 서브포스트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작업발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이 드럼 및 와이어 구조와 랙 및 피니언 구조의 이중 인양구조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인양구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인양구조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7과 8을 참조하여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발판을 인양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1훅부재(34a)가 설치된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스테이지(50)로부터 분리하고, 제2훅부재(34b)가 설치된 스테이지 연결부재(55)는 스테이지(5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포스트(20)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때, 드럼 및 와이어 구조의 인양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모터(31)를 후퇴시켜 피니언(36)이 랙기어(25)로부터 이탈시킨 후 인양와이어(33)를 보조포스트(20)에 연결된 제1훅부재(34a)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양모터(31)를 작동시켜 인양와이어(33)를 드럼(32)에 권취하면 상기 보조포스트(20)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보조포스트(20)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제1훅부재(34a)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스테이지(50)에 다시 연결하고, 반대로 상기 제2훅부재(34b)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는 스테이지(5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인양모터(31)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드럼(32)에 권취된 인양와이어(33)가 풀려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와이어(33)가 드럼(32)으로부터 풀려나게 되면 상기 보조포스트(20)가 하강하여야 하나, 상기 보조포스트(20)가 제1훅부재(34a)와 스테이지 연결부재(55)에 의해 스테이지(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포스트(20)가 하강하는 대신 상기 제2훅부재(34b)가 구비된 수평지지대(40)가 상승이동하여 작업발판이 인양된다.
상기 수평지지대(40)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제2훅부재(34b)가 설치된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스테이지(50)에 다시 연결하여 작업발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 후,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이후,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발판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훅부재(34a)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는 스테이지(5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훅부재(34b)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는 스테이지(50)에 연결한 상태에서 인양와이어(33)를 드럼(32)으로부터 풀어줌으로써 보조포스트(20)를 하강 이동시키고, 상기 제1훅부재(34a)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스테이지(50)에 연결하고 상기 제2훅부재(34b)의 스테이지 연결부재(55)는 스테이지(5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인양와이어(33)를 드럼(32)에 권취하여 작업발판을 하강시키는 공정을 차례로 반복하여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와이어(33)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조포스트(20)에 고정된 상기 인양와이어(33)를 제거하고 모터축(31') 끝단의 랙 및 피니언 구조의 인양부를 이용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모터(31)를 전진시켜 피니언(36)을 보조포스트(20)의 랙기어(25)에 치합시키는 것이다. 랙 및 피니언 구조의 인양부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승강시키는 것은 인양부의 구조만 다를 뿐 작동 방식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포스트
20...서브포스트
25...랙기어
30...인양수단
31...인양모터
31'...모터축
32...드럼
33...인양와이어
34...훅부재
34a...제1훅부재
34b...제2훅부재
341...훅바디
341'...관통공
341"...걸이홈
342...훅헤드
342'...가이드홈
35...모터지지대
36...피니언
40...수평지지대
50...스테이지
55...스테이지 연결부재
20...서브포스트
25...랙기어
30...인양수단
31...인양모터
31'...모터축
32...드럼
33...인양와이어
34...훅부재
34a...제1훅부재
34b...제2훅부재
341...훅바디
341'...관통공
341"...걸이홈
342...훅헤드
342'...가이드홈
35...모터지지대
36...피니언
40...수평지지대
50...스테이지
55...스테이지 연결부재
Claims (5)
-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메인포스트(10)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단의 수평지지대(40)를 포함하는 작업발판을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50)를 따라 승강시키는 작업발판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포스트(10)의 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포스트(20)와, 건축물의 각층 스테이지(50)에 결합 고정되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와, 상기 서브포스트(20) 또는 수평지지대(40)와 상기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훅부재(34)와, 상기 서브포스트(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인양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인양수단(30)은 수평지지대(40)에 구비된 모터지지대(35)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모터(31)와, 상기 서브포스트(20)의 일측에 구비된 랙기어(25)에 치합되도록 상기 인양모터(31)의 모터축(31')에 구비되는 피니언(36)과, 상기 인양모터(31)의 모터축(31')에 구비된 드럼(32)에 권취됨과 아울러 끝단부가 상기 서브포스트(20)에 고정되는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모터(31)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36)이 서브포스트(20)의 랙기어(25)에 치합되어 서브포스트(20)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인양와이어(33)가 서브포스트(30)에 연결되어 서브포스트(30)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 인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34)는 스테이지 연결부재(55)에 설치되며 곡선 형태의 가이드홈(342')이 구비된 훅헤드(342)와, 상기 서브포스트(20) 또는 수평지지대(40)에 고정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된 다수열의 관통공(341')을 구비하며 상기 훅헤드(3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훅바디(3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 인양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재(34)는 서브포스트(20)의 중간 부분과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1훅부재(34a)와, 상기 수평지지대(40)와 스테이지 연결부재(55)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제2훅부재(34b)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 인양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훅부재(34a)의 훅바디(341) 상단에 상기 인양와이어(33)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걸이홈(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 인양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와이어(33)는 서브포스트(20)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롤러(23)를 거쳐 상기 훅부재(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 인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520A KR102396527B1 (ko) | 2020-05-27 | 2020-05-27 | 작업발판 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520A KR102396527B1 (ko) | 2020-05-27 | 2020-05-27 | 작업발판 인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6573A true KR20210146573A (ko) | 2021-12-06 |
KR102396527B1 KR102396527B1 (ko) | 2022-05-10 |
Family
ID=7893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3520A KR102396527B1 (ko) | 2020-05-27 | 2020-05-27 | 작업발판 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65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18291A (zh) * | 2022-04-27 | 2022-07-08 | 湖北众利工程机械有限公司 | 易拆装自动提升式脚手架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977B1 (ko) | 2005-09-15 | 2006-11-23 | 페리유한회사 |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KR20080107896A (ko)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일호 | 높이 조절이 용이한 자재인양용 발판 |
KR20100003044A (ko) * | 2008-06-30 | 2010-01-07 | 서보산업 주식회사 | 거푸집 승강장치 |
KR20110017036A (ko) * | 2009-08-13 | 2011-02-21 | (주)태경산전 | 승강장치 및 수평이동장치가 구비된 송전철탑 |
KR20110083186A (ko) | 2010-01-13 | 2011-07-20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KR20130009217A (ko) * | 2011-07-14 | 2013-01-23 | 주식회사 근하기공 |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KR102101779B1 (ko) | 2019-03-29 | 2020-04-20 | 구본영 |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
-
2020
- 2020-05-27 KR KR1020200063520A patent/KR1023965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977B1 (ko) | 2005-09-15 | 2006-11-23 | 페리유한회사 |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KR20080107896A (ko)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일호 | 높이 조절이 용이한 자재인양용 발판 |
KR20100003044A (ko) * | 2008-06-30 | 2010-01-07 | 서보산업 주식회사 | 거푸집 승강장치 |
KR20110017036A (ko) * | 2009-08-13 | 2011-02-21 | (주)태경산전 | 승강장치 및 수평이동장치가 구비된 송전철탑 |
KR20110083186A (ko) | 2010-01-13 | 2011-07-20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KR20130009217A (ko) * | 2011-07-14 | 2013-01-23 | 주식회사 근하기공 |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KR102101779B1 (ko) | 2019-03-29 | 2020-04-20 | 구본영 |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18291A (zh) * | 2022-04-27 | 2022-07-08 | 湖北众利工程机械有限公司 | 易拆装自动提升式脚手架 |
CN114718291B (zh) * | 2022-04-27 | 2024-05-10 | 湖北众利工程机械有限公司 | 易拆装自动提升式脚手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6527B1 (ko) | 202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64891B2 (ja) |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 |
JP4886286B2 (ja) | 仮設足場ユニット | |
CN113167072B (zh) | 具有爬升模板和升降机系统的建筑工地设备 | |
KR20150125984A (ko) | 건축 시스템 | |
CN109826411B (zh) | 一种建筑用爬架及其运行方法 | |
US11708245B2 (en) | Self-climbing installation platform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 |
JP6883343B2 (ja) | 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飛散防止養生工法 | |
KR102387167B1 (ko) |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 |
WO2019241257A1 (en) | Concrete forming system | |
JP4092346B2 (ja) |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 |
KR102396527B1 (ko) | 작업발판 인양장치 | |
JP4987313B2 (ja) |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 |
WO2020142001A1 (en) | A moveable platform | |
JP3112650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 |
KR102105675B1 (ko) |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 |
JP2001106486A (ja) | 仮設部材の自動昇降装置と、仮設部材の自動昇降方法 | |
JP4888694B2 (ja) | 揚重装置及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 |
KR102204933B1 (ko)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
JP5538470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 |
JPH08100517A (ja) | 昇降式作業台 | |
JP3411845B2 (ja) | 昇降機構および建設機械 | |
JPH10245189A (ja) | 高層ビル建築に用いる全方向移動クレーン | |
JP2006144402A (ja) |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 |
JPH04306364A (ja) |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 |
KR101800622B1 (ko) | 다단 승강형 족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