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40B1 -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40B1
KR101651840B1 KR1020160013833A KR20160013833A KR101651840B1 KR 101651840 B1 KR101651840 B1 KR 101651840B1 KR 1020160013833 A KR1020160013833 A KR 1020160013833A KR 20160013833 A KR20160013833 A KR 20160013833A KR 101651840 B1 KR101651840 B1 KR 10165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ing
winding
scaffol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1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설명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는 하부에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을 갖고, 상부를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층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철근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부와; 상기 이동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롤러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작업부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상기 로프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프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비계를 상기 다수의 층 각각의 근방 영역에 강제 삽입 고정하는 비계 고정부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광을 발광하고, 발광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층에 형성되는 반사판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 및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로프를 권취 또는 풀어 상기 작업부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PIT EQUIPMEN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비계를 구비하며, 유지 보수시 비계들의 위치를 가변 고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등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최하층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로 더 내려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그리고, 각 층의 하중들이 엘리베이터 벽체를 통해서 하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최하부는 상부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초 구조물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리브를 갖는 판재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는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변화하는 콘크리트층 두께에 따라 높이와 크기를 변화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피트와 형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엘리베이터 피트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098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비계를 구비하며, 유지 보수시 비계들의 위치를 가변 고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설명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는 하부에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을 갖고, 상부를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층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철근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부와; 상기 이동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롤러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작업부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상기 로프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프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비계를 상기 다수의 층 각각의 근방 영역에 강제 삽입 고정하는 비계 고정부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광을 발광하고, 발광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층에 형성되는 반사판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 및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로프를 권취 또는 풀어 상기 작업부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해당 승강 위치에서 작업 시간동안 대기하도록 한다.
상기 비계 고정부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되며, 끝단에 드릴이 고정되는 드릴 몸체와, 상기 드릴 몸체를 전후진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갖는 드릴 부재와,
상기 드릴 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신축 가능한 축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축에 그립되는 비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부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드릴 몸체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층 중, 해당 승강 위치의 층에서의 상기 이동홀의 벽체에, 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드릴 몸체를 원위치로 복귀 시키고,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신장시켜, 상기 축에 그립되는 상기 비계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작업 시간은, 상기 작업부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한 시간부터 상기 비계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하는 시간까지의 범위를 이룬다.
상기 작업부의 양측부에는, 상하를 따르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레일 결합되는 가설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레일 설치부는, 일단에 상기 가설 레일이 그립되는 설치축과, 상기 설치축을 신축시키고, 신장되어 상기 가설 레일을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밀착 시키는 설치 실린더와, 상기 가설 레일을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스크류 고정시키는 스크류 고정기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고정되는 상기 가설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결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는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을 갖고, 내부에 철근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상기 철근에 연결되며, 상기 안착홈의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홈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에워싸이도록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측벽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피트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피트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피트부를 상기 지지부의 측벽과의 거리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다수의 피트부에 상하를 따라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비계를 갖는 비계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은, 4개의 측벽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4개의 측벽에 배치되는 벽체를 이루고 바닥을 이루며, 철재로 형성되는 지지부 몸체와, 상기 지지부 몸체의 외측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철근에 걸려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 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홈의 상기 4개의 측벽과는 요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피트부는, 상기 지지부 몸체의 측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4개의 단위 피트 몸체와,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 몸체의 바닥을 따라 구르도록 설치되는 롤러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 각각은, 상하를 따라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피트 부재와, 상기 다단의 피트 몸체 각각의 둘출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계부는, 상기 다단의 피트 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 조절부는, 신축 가능한 축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축을 신축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실린더는, 상기 지지부 몸체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실린더 각각의 상기 축은,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의 측벽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단의 피트 부재 각각의 외면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계부는, 상기 설치홈에 위치되는 비계 부재와, 상기 비계 부재의 타단에 상하를 따라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의 상단부에 상하를 따라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며, 상기 비계 부재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설치홈에 위치되거나 이탈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비계 부재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되어 이탈되는 경우,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끝단이 상기 설치홈의 하단에 걸쳐 상기 비계 부재의 회전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어기는, 선택기로부터 비계 사용 모드 선택에 대한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가 기설정된 비계 사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다수의 실린더를 구동시키고,
상기 선택기로부터 비계 사용 중지 모드 선택에 대한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다수의 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를 원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비계를 구비하며, 유지 보수시 비계들의 위치를 가변 고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계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계 및 거설 레일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단위 피트 몸체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피트 부재들이 상방으로 돌출되며, 비계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피트 부재들이 상방으로 돌출되며, 비계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비계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레일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계 및 거설 레일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를 설명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는 하부에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610)을 갖고, 상부를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층(11)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이동홀(620)이 형성되며, 내부에 철근(미도시)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600)와; 상기 이동홀(62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부(700)와; 상기 이동홀(6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롤러(R)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작업부(700)에 연결되는 로프(710)와; 상기 안착홈(610)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상기 로프(71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프(710)를 권취하는 권취부(720)와; 상기 작업부(700)에 설치되며, 다수의 비계(50)를 상기 다수의 층(11) 각각의 근방 영역에 강제 삽입 고정하는 비계 고정부(800)와; 상기 작업부(700)에 설치되며, 광을 발광하고, 발광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층(11)에 형성되는 반사판(1)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900); 및 상기 권취부(720)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7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로프(710)를 권취 또는 풀어 상기 작업부(700)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광센서(800)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720)의 구동을 제어하여 해당 승강 위치에서 작업 시간동안 대기하도록 한다.
상기 비계 고정부(800)는, 회전축(811)이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810)와, 상기 고정부 몸체(8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회전축(811)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820)와, 상기 회전축(811)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되며, 끝단에 드릴(831)이 고정되는 드릴 몸체(830)와, 상기 드릴 몸체(830)를 전후진시키는 리니어 모터(840)와, 상기 드릴 부재(840)와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811)에 설치되며, 신축 가능한 축(851)을 갖는 실린더(850)와, 상기 축(851)에 그립되는 비계(86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광센서(800)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7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부(700)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모터(840)와 상기 드릴 몸체(830)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층 중, 해당 승강 위치의 층에서의 상기 이동홀(620)의 내벽에, 고정홀(H)을 형성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840)와 상기 드릴 몸체(830)를 원위치로 복귀 시킨다.
이어, 상기 실린더(850)를 사용하여 상기 축(851)을 신장시켜, 상기 축(851)에 그립되는 상기 비계(860)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H)에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작업 시간은, 상기 작업부(700)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한 시간부터 상기 비계(860)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H)에 삽입 고정하는 시간까지의 범위를 이룬다.
상기 이동홀(620)의 내벽에는, 상하를 따르는 슬라이딩 레일(750)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700)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750)에 레일 결합되는 가설 레일(2300)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부(20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레일 설치부(2000)는, 일단에 상기 가설 레일(2300)이 그립되는 설치축(2200)과, 상기 설치축(2200)을 신축시키고, 신장되어 상기 가설 레일(2300)을 상기 이동홀(620)의 내벽에 밀착 시키는 설치 실린더(2100)와, 상기 가설 레일(2300)을 상기 이동홀(620)의 내벽에 스크류 고정시키는 스크류 고정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홀(620)의 내벽에 고정되는 상기 가설 레일(2300)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750)과 레일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는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110)을 갖고, 내부에 철근(120)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상기 철근(120)에 연결되며, 상기 안착홈(110)의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홈부(130)에 설치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200)에 에워싸이도록 상기 안착홈(110)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200)의 측벽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피트부(300)와,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다수의 피트부(3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피트부(300)를 상기 지지부(200)의 측벽과의 거리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400)와, 상기 다수의 피트부(300)에 상하를 따라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비계(410)를 갖는 비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110)은, 4개의 측벽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4개의 측벽에 배치되는 벽체를 이루고 바닥을 이루며, 철재로 형성되는 지지부 몸체(210)와, 상기 지지부 몸체(210)의 외측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철근(120)에 걸려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 고리(2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 몸체(210)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홈(110)의 상기 4개의 측벽과는 요철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트부(300)는, 상기 지지부 몸체(210)의 측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와,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 몸체(210)의 바닥을 따라 구르도록 설치되는 롤러들(320)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 각각은, 상하를 따라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피트 부재(311)와, 상기 다단의 피트 부재(311) 각각의 둘출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홀과, 이 위치 결정홀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비계부(500)는, 상기 다단의 피트 부재(31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부(400)는, 신축 가능한 축(411)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410)와, 상기 축(411)을 신축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실린더(41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실린더(410)는, 상기 지지부 몸체(21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실린더(410) 각각의 상기 축(411)은,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의 측벽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다단의 피트 부재(311) 각각의 외면부에는, 설치홈(311a)이 형성된다.
상기 비계부(500)는, 상기 설치홈(311a)에 위치되는 비계 부재(510)와, 상기 비계 부재(510)의 타단에 상하를 따라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는 지지 부재(520)로 구성된다.
상기 비계 부재(510)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311a)의 상단부에 상하를 따라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되며, 상기 비계 부재(510)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설치홈(311a)에 위치되거나 이탈된다.
상기 지지 부재(520)는, 상기 비계 부재(510)가 상기 설치홈(311a)으로부터 상방으로 회전되어 이탈되는 경우,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 부재(520)의 끝단이 상기 설치홈(311a)의 하단에 걸쳐 상기 비계 부재(51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어기(420)는, 선택기(330)로부터 비계 사용 모드 선택에 대한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가 기설정된 비계 사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다수의 실린더(410)를 구동시키고,
상기 선택기(430)로부터 비계 사용 중지 모드 선택에 대한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다수의 실린더(410)를 구동시켜, 상기 4개의 단위 피트 몸체(310)를 원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다수의 비계를 구비하며, 유지 보수시 비계들의 위치를 가변 고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보수를 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콘크리트 구조체
200 : 지지부
300 : 피트부
400 : 거리 조절부
500 : 비계부

Claims (5)

  1. 하부에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을 갖고, 상부를 따라 상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층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철근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기 이동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부;
    상기 이동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롤러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작업부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상기 로프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프를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비계를 상기 다수의 층 각각의 근방 영역에 강제 삽입 고정하는 비계 고정부;
    상기 작업부에 설치되며, 광을 발광하고, 발광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층에 형성되는 반사판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 및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로프를 권취 또는 풀어 상기 작업부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해당 승강 위치에서 작업 시간동안 대기하도록 하되,
    상기 비계 고정부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되며, 끝단에 드릴이 고정되는 드릴 몸체와, 상기 드릴 몸체를 전후진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갖는 드릴 부재와,
    상기 드릴 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신축 가능한 축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축에 그립되는 비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를 통해, 반사되는 상기 광이 수광되면,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부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드릴 몸체를 구동시켜, 상기 다수의 층 중, 해당 승강 위치의 층에서의 상기 이동홀의 벽체에, 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드릴 몸체를 원위치로 복귀 시키고,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신장시켜, 상기 축에 그립되는 상기 비계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 시간은, 상기 작업부를 해당 승강 위치에서 정지한 시간부터 상기 비계의 단부를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하는 시간까지의 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양측부에는,
    상하를 따르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레일 결합되는 가설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레일 설치부는,
    일단에 상기 가설 레일이 그립되는 설치축과,
    상기 설치축을 신축시키고, 신장되어 상기 가설 레일을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밀착 시키는 설치 실린더와,
    상기 가설 레일을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스크류 고정시키는 스크류 고정기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고정되는 상기 가설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설정된 깊이를 이루는 안착홈을 갖고, 내부에 철근이 배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기 철근에 연결되며, 상기 안착홈의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홈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에워싸이도록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측벽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피트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피트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의 피트부를 상기 지지부의 측벽과의 거리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다수의 피트부에 상하를 따라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비계를 갖는 비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홈은, 4개의 측벽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4개의 측벽에 배치되는 벽체를 이루고 바닥을 이루며, 철재로 형성되는 지지부 몸체와,
    상기 지지부 몸체의 외측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철근에 걸려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 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안착홈의 상기 4개의 측벽과는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KR1020160013833A 2016-02-04 2016-02-04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KR10165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33A KR101651840B1 (ko) 2016-02-04 2016-02-04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33A KR101651840B1 (ko) 2016-02-04 2016-02-04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840B1 true KR101651840B1 (ko) 2016-08-29

Family

ID=5688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33A KR101651840B1 (ko) 2016-02-04 2016-02-04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45B1 (ko) * 2018-05-17 2019-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철식 족장 프레임
KR102256873B1 (ko) 2020-11-27 2021-05-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56878B1 (ko) 2020-11-30 2021-05-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의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98681B1 (ko) 2020-11-26 2021-09-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을 이용한 장거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298555B1 (ko) 2020-11-26 2021-09-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327442B1 (ko) 2021-05-20 2021-11-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컬러 m-fsk 및 회색조 영상에 기반한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327449B1 (ko) 2021-05-06 2021-11-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컬러 m-fsk에 기반한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88U (ko) 1998-11-13 2000-06-05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물탱크
KR100614146B1 (ko) * 2002-09-13 2006-08-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JP2011051786A (ja) * 2009-09-04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839692B2 (ja) * 2005-06-28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釣合いおもりの上部足場装置
JP2015157676A (ja) * 2014-02-24 2015-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88U (ko) 1998-11-13 2000-06-05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물탱크
KR100614146B1 (ko) * 2002-09-13 2006-08-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카 고정장치
JP4839692B2 (ja) * 2005-06-28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釣合いおもりの上部足場装置
JP2011051786A (ja) * 2009-09-04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5157676A (ja) * 2014-02-24 2015-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45B1 (ko) * 2018-05-17 2019-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철식 족장 프레임
KR102298681B1 (ko) 2020-11-26 2021-09-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을 이용한 장거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298555B1 (ko) 2020-11-26 2021-09-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을 이용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256873B1 (ko) 2020-11-27 2021-05-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56878B1 (ko) 2020-11-30 2021-05-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fsk 및 ofdm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파형의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27449B1 (ko) 2021-05-06 2021-11-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컬러 m-fsk에 기반한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327442B1 (ko) 2021-05-20 2021-11-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컬러 m-fsk 및 회색조 영상에 기반한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40B1 (ko)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US20220307276A1 (en) Self-climbing system, self-climbing unit and method for moving such a self-climbing unit on a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10214927B2 (en) Building system
US10036170B2 (en) Climbing equipment and climbing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BRPI1008509B1 (pt) Sistema de construção de edifícios de vários andares para construir progressivamente andares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20090033207A (ko) 거푸집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동방법
CN108396749B (zh) 一种基坑内钢支撑的安装系统以及安装方法
KR2012012280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4376B1 (ko) 상승 및 하강 가능한 승강 작업대 및 그 이동 방법
GB2217296A (en) Lift building construction
KR20190080023A (ko) 다목적 자동 인양시스템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KR101030795B1 (ko)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NZ242874A (en) Cantilevered and adjustably suspended worker's staging or platform with jack devices exteriorly of structure's wall
KR100454986B1 (ko) 철골건물의 증고, 증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101039829B1 (ko) 핸드 건 거치대
KR102667047B1 (ko) 원자로 격납건물의 폴라 크레인에 설치되는 라이너플레이트 정비용 구조물
KR20090021254A (ko) 거푸집 자동승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자동승강방법
JPH04306364A (ja)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2005231870A (ja) エスカレータの設置工法及び設置用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