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23U -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123U
KR20100001123U KR2020080009835U KR20080009835U KR20100001123U KR 20100001123 U KR20100001123 U KR 20100001123U KR 2020080009835 U KR2020080009835 U KR 2020080009835U KR 20080009835 U KR20080009835 U KR 20080009835U KR 20100001123 U KR20100001123 U KR 201000011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ail
probe
climb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영
Original Assignee
이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영 filed Critical 이병영
Priority to KR202008000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123U/ko
Publication of KR20100001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클라이밍장치를 이용하여 작업대와 레일을 상승시키고, 그 후에 클라이밍장치가 스스로 상승되도록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은, 고정슈와, 레일과, 클라이밍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라이밍장치는, 상기 레일의 제2상승돌기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프로브와; 상단이 상기 헤드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로브에 장착되어 신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슈의 양측에는 상기 프로브 방향으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브의 양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맞물려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슈와 프로브가 상호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라이밍장치, 고정슈,

Description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 SELF-STANDING AUTO CLIMBING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
본 고안은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클라이밍장치를 이용하여 작업대와 레일을 상승시키고, 그 후에 클라이밍장치가 스스로 상승되도록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중 아파트와 같이 내력벽으로 지어지는 건축구조물은 현장타설에 의하여 지어짐에 그 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타설과정을 설명하면, 중앙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내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이어서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시켜 상단으로 인양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을 시공한다.
상기에서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단으로 인양시키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타워크레인(Tower Crane)에 매달아 상부로 이동시키며, 이동시킨 후에 는 다시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타워크레인을 매번 이용하여 거푸집 작업발판을 연결하기 전까지 잡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에 타워크레인을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첫째,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이나 각종 자재 등을 이동시키거나 하는 타워크레인의 다른 작업들을 할 수가 없으므로 고비용의 타워크레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둘째, 상기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개별적으로 인양하여야 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층당 작업시간이 10일 이상 계속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셋째, 점차 고층화 되어가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따라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높이도 같이 높아짐에 의하여 비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써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거푸집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방식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거푸집 작업발판의 일측에 유압실린더와 유압펌프로 형성된 인양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인양장치의 조작만으로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부로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은 하나의 거푸집 작업발판에 인양장치가 일체화되어 있어 인양작업이 간단하나 비용이 고가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건설업체는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저가의 수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꼭 필요한 경우 즉 강풍이 자주 부는 지역에서 공사를 하거나 고층의 건물을 시공하자 할 때에는 어쩔 수 없이 고가의 비용을 들여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수동 거푸집 작업발판과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건설업체에 임대하는 임대업자는 수동 거푸집 작업발판과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바 보관과 효율성이 떨어져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647977호에서는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슈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인양되는 갱폼에 있어서,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거푸집 작업발판(a)의 거푸집을 후진하여 탈형하고 상기 타설면의 상단에 슈를 설치하는 단계; 인양할 작업발판 하단 슈(10)에 유압펌프와 연결된 실린더(20)를 결착하고 유압펌프는 다음 인양시킬 작업발판(b)으로 이동시킨 후 동작하여 거푸집 작업발판(a)을 상부로 인양하는 단계; 인양되는 거푸집 작업발판(a)의 레일 상단이 상부의 슈(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단계; 상승한 거푸집 작업발판(a)을 고정하고 실린더(20)를 해체하여 다음 거푸집 작업발판(b)으로 이동시켜 설치하고 거푸집 작 업발판(b)에 안치된 유압펌프를 다음 거푸집 작업발판(c)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의 단계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에 맞추어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양방법은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승시킬 때마다,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승시키고 나서 유압펌프와 실린더(20)를 해체하여 다음 거푸집 작업발판에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바, 완전한 자동이 아닌 반자동으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이 필요하여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승시키되,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승시키고 나서 별도의 해체작업이나 설치작업 없이 스스로 다음 작업을 할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은, 건물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상기 고정슈 방향으로 제1상승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상승돌기의 반대방향으로 제2상승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상승돌기가 상기 고정슈에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결합된 작업대와;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과 작업대를 함께 상승시킨 후 스스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클라이밍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라이밍장치는, 상기 레일의 제2상승돌기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프로브와; 상단이 상기 헤드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로브에 장착되어 신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슈의 양측에는 상기 프로브 방향으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브의 양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맞물려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슈와 프로브가 상호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고정슈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프로브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프로브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고정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슈 양측 끝단과 상기 프로브는 양측 끝단은 상호 접촉한다.
상기 헤드는, 상기 레일을 감싸는 날개부와;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1회전걸림부와;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회전저지부와;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하면에 걸리는 레일상승걸림판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3회전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은 상기 실린더의 신장시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3회전저지부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되, 상기 제1회전저지부 및 상기 제3회전저지부에는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1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1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1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된다.
상기 프로브는,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2회전걸림부와;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되, 상기 제2회전저지부에는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2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2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2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 장치는, 건물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상기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킨 후에 스스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장치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2상승돌기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프로브와; 상단이 상기 헤드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로브에 장착되어 신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는, 상기 레일을 감싸는 날개부와;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 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1회전걸림부와;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회전저지부와;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하면에 걸리는 레일상승걸림판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3회전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브는,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2회전걸림부와;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 및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은 상기 실린더의 신장시 상기 제2상승돌기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3회전저지부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1회전저지부, 제2회전저지부 및 상기 제3회전저지부에는 각각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1무게추가 장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2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1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1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2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 따르면, 레일과 작업대를 타워크레인 없이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일과 작업대를 상승시키는 클라이밍장치를 매회 설치하거나 분리할 필요없이 스스로 상승하도록 하여 완전 자동화를 이룸으로써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이밍장치는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수동 클라이밍 시스템에 장착하여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으로 변경 사용할 수 있는바, 종래와 같이 수동 클라이밍 시스템과 자동 클라이밍 시스템 모두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브가 고정슈의 양측면을 감싸지 않고, 양끝단이 상호 맞대어 후크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로브의 상승시 상기 프로브가 상기 고정슈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서 클라이밍장치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클라이밍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주요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은, 고정슈(300)와, 레일(100)과, 작업대(200)와, 클라이밍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슈(300)는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100) 및 클라이밍장치(400)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슈(3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걸림판(310)이 상기 고정슈(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슈걸림판(310)의 하부에는 슈받침판(320)이 상기 고정슈(300)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슈걸림판(310)은 상기 슈받침판(320)에 의해 아랫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지지된다.
이러한 고정슈(300)의 일반적인 구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617호 등에 잘 나타나 있다.
본 고안의 고정슈(300)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617호에 나타나 있는 고정슈(300)와 달리, 상기 고정슈(300)의 양측에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 방향 즉 건물 외벽의 반대방향으로 제1걸림턱(33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100)은 건물 외벽에 부착된 상기 고정슈(300)에 맞물려, 상기 고정슈(30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100)은 단면이 'H'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100)에는 상기 고정슈(300) 방향으로 제1상승돌기(11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방향 즉 상기 작업대(200) 방향으로 제2상승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상승돌기(110)는 상기 레일(10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상기 고정슈(300)의 슈걸림판(310)에 걸림으로써, 상기 레일(100)을 상기 고정슈(300)에 맞물려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상승돌기(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에 걸려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상승을 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작업대(20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곳으로서, 상기 레일(100)에 일체로 고정결합되고, 상부에는 거푸집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작업대(20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킨 후에 스스로 상기 레일(100)을 타고 상승한다.
이때,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1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150)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를 함께 상승시킨 후에 상기 레일(100) 자세하게는 상기 제2상승돌기(120)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200)에 장착되는 작업발판(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150)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를 상승시키고, 그 후에 자기 자신은 상기 이동통로(150)를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푸집의 하중을 1차적으로 모아 지지하는 지지체(220)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이동하는 이동통로(150)의 맨 위에서 상기 레일(100)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레일(100)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헤드(410)와, 실린더(420)와, 프로브(430)와, 유압펌프(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410)에는 날개부(411)와,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1회전저지부(414)와, 제1무게추(419), 레일상승걸림판(416)과, 제3회전저지부(417)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411)는 상기 레일(100)을 감싸도록 상기 헤드(41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411)는 상기 레일(100) 전체를 감쌀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일부만을 감쌀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411)는 상기 헤드(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는 제1회전축(413)에 의해 상기 헤드(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상기 레일(100)을 타고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저지부(414)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헤드(410)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가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41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상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일방향 회전을 저지하고 타방향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축(413)은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저지부(414)에는 상기 레일(100)을 상승 또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상승시 상기 제2상승돌기(120)가 통과할 수 있는 이동공(41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무게추(419)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후방 즉 상기 제1회전축(413)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100)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의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무게추(419)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형성함으로써,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상면이 상기 제1회전저지부(414)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제1무게추(419)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상기 헤드(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하면에 걸려, 상기 실린더(420)의 신장시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의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3회전저지부(417)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헤드(410)의 하부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회전저지부(417)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의 하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이 아랫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다.
또한, 상기 제3회전저지부(417)에는 상기 제2상승돌기(120)가 통과하는 이동공(41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430)는 상기 헤드(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슈(300)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제2걸림턱(431), 제2회전걸림부(432)와, 제2무게추(439), 제2회전저지부(434)가 형성 또는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면은 상기 고정슈(300)의 양측면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걸림턱(431)은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고정슈(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330)과 맞물려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걸림턱(330)의 상부와 상기 제2걸림턱(431)의 하부가 상호 꺾쇠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슈(300)와 프로브(430)는 상호 후크결합을 한다.
상기 제1걸림턱(330)과 제2걸림턱(4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슈(300) 양측 끝단과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 끝단은 상호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330)의 하부와 상기 제2걸림턱(431)의 상부는 모두 라운딩처리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430)가 상기 고정슈(300)의 하부에서 상승할 때 상기 프로브(430)가 상기 고정슈(300)의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는 제2회전축(433)에 의해 상기 프로브(4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상기 레일(100)을 타고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저지부(434)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 한 것으로써, 상기 프로브(430)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가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상부에서 상기 프로브(43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상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일방향 회전을 저지하고 타방향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회전축(433)은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저지부(434)에는 상기 레일(100)을 상승 또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상승시 상기 제2상승돌기(120)가 통과할 수 있는 이동공(43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무게추(439)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후방 즉 상기 제2회전축(433)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100)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의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무게추(439)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형성함으로써,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상면이 상기 제2회전저지부(434)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제2무게추(439)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420)는 상기 헤드(410)와 프로브(4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410)와 프로브(43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펌프(440)와 호스 등에 의 해 연결되고 상기 유압펌프(440)에 의해 신축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440)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상기 레일(100)을 타고 스스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에 접하여 클라이밍장치(40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는 회전시켜 고정봉(419a,439a)에 고정시켜 상기 제2상승돌기(120)와 접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을 회전 고정시켜 상기 제2상승돌기(120)와 접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도 8에서 클라이밍장치(400)를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주요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1은 클라이밍장치(400)가 신장되어 레일(100)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2는 레일(100)이 상승하여 제1상승돌기(110)가 고정슈(300)에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3은 클라이밍장치(400)의 반복 신축 동작에 의해 레일(100)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4는 클라이밍장치(400)의 수축동작에 의해 헤드(410)가 제2상승돌기(120)에 걸리고, 프로브(430)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15 는 도 14에서 프로브(430)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6은 클라이밍장치(400)가 상승하여 고정슈(300)의 하면에 프로브(430)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프로브(430)가 상승하여 고정슈(30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150)에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설치한다.
물론, 상기 레일(100)에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먼저 설치하고, 그 후에 상기 작업대(200)를 상기 레일(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프로브(430)를 상기 고정슈(300)에 걸고, 상기 헤드(410)는 상기 레일(100)의 제2상승돌기(120)에 접하도록 한다.
즉, 상기 헤드(410)에 형성된 날개부(411)가 상기 레일(100)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410)가 상기 레일(100)을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슈(300)의 양측 끝단과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 끝단을 상호 접하도록 한 후 상기 고정슈(300)에 형성된 제1걸림턱(330)에 상기 프로브(430)에 형성된 제2걸림턱(431)을 걸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헤드(410) 및 프로브(430)가 상기 레일(100) 및 고정슈(300)에 고정됨으로서 자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상승돌기(12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봉(419a,439a)에 고정시키며,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수평으로 배치하여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하부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상기 제3회전저지부(417)에 의해 하방향 즉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되고, 상방향 즉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펌프(440)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420)를 신장시킨다.
상기 실린더(420)의 신장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430)는 상기 고정슈(300)에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헤드(410)가 상방향을 상승하게 된다.
상기 헤드(410)가 상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하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2상승돌기(120)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승에 의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는 함께 상승하게 되며, 아래에 배치되어 있던 제1상승돌기(110)는 상기 고정슈(300)의 슈걸림판(310)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20)가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슈걸림판(310)은 원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제1상승돌기(110)는 상기 슈걸림판(31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레일(100)이 상기 고정슈(300)에 고정된다.
그 후, 상기 유압펌프(440)에 의해 상기 실린더(420)를 수축한다.
상기 실린더(420)의 수축에 의해 상기 헤드(410)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의 하면이 접촉할 경우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410)는 아래방향으로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신장 및 수축 작용에 의해 상기 레일(100) 및 작업대(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한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라이밍장치(400)의 유압펌프(440)는 상기 작업대(200)에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유압펌프(440)도 다음 높이로 상승한다.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가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한 높이까지 상승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를 상승시킨다.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0)을 타고 스스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를 고정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제1무게추(419) 및 제2무게추(439)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제2회전걸림부(4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상승돌기(120)가 걸릴 수 있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상승걸림판(41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2상승돌기(12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펌프(440)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420)를 신장시키면 상기 헤드(410)는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바,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410)는 걸림없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실린더(420)가 최대 신장되면, 상기 실린더(420)를 다시 수축시킨다.
이때,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의 하면은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헤드(410)의 하강을 저지한다.
상기 헤드(410)의 하강이 저지됨에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2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프로브(430)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어, 상기 제2걸림턱(431)은 상기 제1걸림턱(33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412)와 마찬가지로 반시계방향으로는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는바, 상기 프로브(43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2상승돌기(120)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는 상기 제2무게추(439)의 무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4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상승돌기(120)를 지날 때마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하면은 상기 제2상승돌기(120) 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되며, 상기 실린더(420)가 완전히 수축할 경우 상기 프로브(430)는 상승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432)의 하면이 제2상승돌기(120)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되어 상기 프로브(430)가 하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이 상기 고정슈(300)의 양측을 감싸지 않고 상기 고정슈(300)의 양측 끝단과 상기 프로브(430)의 양측 끝단이 상호 맞대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330)과 제2걸림턱(431)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브(430)의 상승시 상기 고정슈(300)와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상기 실린더(420)를 신장시켜 상기 헤드(410)를 상승시키고, 그 후 상기 실린더(420)를 수축시켜 상기 프로브(430)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반복작업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스스로 상승하여 다음 높이에 있는 고정슈(300)의 하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프로브(430)가 상기 고정슈(300)의 하부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프로브(430)를 상승시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430)는 상기 고정슈(300)의 외면을 타고 상기 고정슈(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헤드(410)는 상기 날개부(411)에 의해 상기 레일(100)에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헤드(410)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330)의 하부와 상기 제2걸림턱(431)의 상부는 각각 라운딩처리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프로브(43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고정슈(300)의 외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20)가 더 수축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430)는 상기 고정슈(300)의 상부까지 이동하여 상기 고정슈(300)의 제1걸림턱(330)에 상기 제2걸림턱(431)에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상기 레일(100)과 작업대(200)를 크레인없이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일(100)과 작업대(200)를 상승시키는 클라이밍장치(400)를 매회 설치하거나 분리할 필요없이 스스로 상승하도록 하여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인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작업발판 인양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밍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에서 클라이밍장치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서 클라이밍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주요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클라이밍장치가 신장되어 레일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레일이 상승하여 제1상승돌기가 고정슈에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3은 클라이밍장치의 반복 신축 동작에 의해 레일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4는 클라이밍장치의 수축동작에 의해 헤드가 제2상승돌기에 걸리고, 프로브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5는 도 14에서 프로브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6은 클라이밍장치가 상승하여 고정슈의 하면에 프로브가 접한 상태를 도 시한 상태도,
도 17은 도 16에서 프로브가 상승하여 고정슈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레일, 110 : 제1상승돌기, 120 : 제2상승돌기, 150 : 이동통로, 200 : 작업대, 210 : 작업발판, 211 : 구멍, 220 : 지지체, 300 : 고정슈, 310 : 슈걸림판, 320 : 슈받침판, 330 : 제1걸림턱, 400 : 클라이밍장치, 410 : 헤드, 411 : 날개부, 412 : 제1회전걸림부, 413 : 제1회전축, 414 : 제1회전저지부, 415 : 이동공, 416 : 레일상승걸림판, 417 : 제3회전저지부, 418 : 이동공, 419 : 제1무게추, 419a : 고정봉, 420 : 실린더, 430 : 프로브, 431 : 제2걸림턱, 432 : 제2회전걸림부, 433 : 제2회전축, 434 : 제2회전저지부, 435 : 이동공, 439 : 제2무게추, 439a : 고정봉, 440 : 유압펌프,

Claims (11)

  1. 건물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상기 고정슈 방향으로 제1상승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상승돌기의 반대방향으로 제2상승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상승돌기가 상기 고정슈에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결합된 작업대와;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과 작업대를 함께 상승시킨 후 스스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클라이밍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라이밍장치는,
    상기 레일의 제2상승돌기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프로브와;
    상단이 상기 헤드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로브에 장착되어 신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슈의 양측에는 상기 프로브 방향으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브의 양측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맞물려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슈와 프로브가 상호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고정슈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프로브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프로브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고정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슈 양측 끝단과 상기 프로브는 양측 끝단은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레일을 감싸는 날개부와;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1회전걸림부와;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회전저지부와;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하면에 걸리는 레일상승걸림판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3회전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 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은 상기 실린더의 신장시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3회전저지부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되,
    상기 제1회전저지부 및 상기 제3회전저지부에는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1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1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1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2회전걸림부와;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되,
    상기 제2회전저지부에는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2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2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2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9. 건물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상기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킨 후에 스스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밍장치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제2상승돌기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프로브와; 상단이 상기 헤드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로브에 장착되어 신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키는 유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는,
    상기 레일을 감싸는 날개부와; 제1회전축에 의해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1회전걸림부와;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회전저지부와;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하면에 걸리는 레일상승걸림판과;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3회전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브는,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리는 제2회전걸림부와;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상기 제1회전걸림부 및 제2회전걸림부는 하면이 상기 제2상승돌기의 상면에 걸려 상기 클라이밍장치가 상기 레일을 타고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은 상기 실린더의 신장시 상기 제2상승돌기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레일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저지부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3회전저지부는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레일상승걸림판의 회전을 저지하며,
    상기 제2회전저지부는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부에서 상기 프로브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제1회전저지부, 제2회전저지부 및 상기 제3회전저지부에는 각각 상기 제2상승돌기가 통과하는 이동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1무게추가 장착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일이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제2무게추가 장착되되,
    상기 제1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1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무게추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걸림부의 상면은 상기 제2회전저지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오토 클라이밍 장치.
KR2020080009835U 2008-07-24 2008-07-24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201000011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35U KR20100001123U (ko) 2008-07-24 2008-07-24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35U KR20100001123U (ko) 2008-07-24 2008-07-24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23U true KR20100001123U (ko) 2010-02-03

Family

ID=441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35U KR20100001123U (ko) 2008-07-24 2008-07-24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123U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914A (zh) * 2011-02-17 2011-07-27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建筑机械爬升装置及其自爬升方法、导向座和布料杆
KR101146735B1 (ko) * 2011-10-12 2012-05-17 미진정공(주)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KR101320089B1 (ko) * 2012-01-20 2013-10-18 미진정공(주) 인양 갱폼의 낙하방지 장치
KR101436062B1 (ko) * 2013-06-04 2014-08-29 이경화 갱폼 클라이밍 장치
CN105752895A (zh) * 2016-03-23 2016-07-13 时贞平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52896A (zh) * 2016-03-29 2016-07-13 时贞平 带有警示灯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5752801A (zh) * 2016-03-29 2016-07-13 卞毓平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5776085A (zh) * 2016-04-03 2016-07-20 卞毓平 一种散热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76084A (zh) * 2016-04-03 2016-07-20 时贞平 散热性良好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75959A (zh) * 2016-03-23 2016-07-20 卞毓平 一种安装提示灯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06492A (zh) * 2016-06-20 2016-10-12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散热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44650A (zh) * 2016-06-19 2016-10-26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6082041A (zh) * 2016-06-19 2016-11-09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安装提示器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00088007A (ko) * 2019-01-14 2020-07-22 (주)대우건설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914A (zh) * 2011-02-17 2011-07-27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建筑机械爬升装置及其自爬升方法、导向座和布料杆
KR101146735B1 (ko) * 2011-10-12 2012-05-17 미진정공(주)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KR101320089B1 (ko) * 2012-01-20 2013-10-18 미진정공(주) 인양 갱폼의 낙하방지 장치
KR101436062B1 (ko) * 2013-06-04 2014-08-29 이경화 갱폼 클라이밍 장치
CN105775959A (zh) * 2016-03-23 2016-07-20 卞毓平 一种安装提示灯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52895A (zh) * 2016-03-23 2016-07-13 时贞平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52896A (zh) * 2016-03-29 2016-07-13 时贞平 带有警示灯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5752801A (zh) * 2016-03-29 2016-07-13 卞毓平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5776085A (zh) * 2016-04-03 2016-07-20 卞毓平 一种散热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776084A (zh) * 2016-04-03 2016-07-20 时贞平 散热性良好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44650A (zh) * 2016-06-19 2016-10-26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使用方法
CN106082041A (zh) * 2016-06-19 2016-11-09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安装提示器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06492A (zh) * 2016-06-20 2016-10-12 南京华宽信息咨询中心 一种散热的电力铁塔维护用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00088007A (ko) * 2019-01-14 2020-07-22 (주)대우건설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1151866B1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CN100387796C (zh) 自动液压爬升模板
KR100968068B1 (ko) 다중 수평구조부재 형성방법
KR100647977B1 (ko)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20090020246A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JP4092346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CN202324574U (zh) 一种操作简便的升降脚手架
JP2006299559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CN116838083A (zh) 一种整体爬升钢平台模架及其爬升方法
KR100895614B1 (ko) 건축물 시공방법
CN113833259A (zh) 石灰石库工程滑模结构及其专项施工方案
KR20210128157A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1039829B1 (ko) 핸드 건 거치대
JP4108076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20180013643A (ko)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20190137485A (ko)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JPH0828043A (ja) 移動式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足場装置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TWI695107B (zh) 建築物樓梯成型方法及其成型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