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643A - 갱폼 클라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클라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643A
KR20180013643A KR1020160108174A KR20160108174A KR20180013643A KR 20180013643 A KR20180013643 A KR 20180013643A KR 1020160108174 A KR1020160108174 A KR 1020160108174A KR 20160108174 A KR20160108174 A KR 20160108174A KR 20180013643 A KR20180013643 A KR 2018001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ylinder
engaging
shoe
lif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ublication of KR2018001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갱폼을 상승시킬 수 있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갱폼 클라이밍 장치는,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슈와; 상기 고정슈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갱폼이 설치된 레일부재와; 하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를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부재에는 상기 고정슈 및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수축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상승되며, 상기 승강실린더는,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고정슈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갱폼 클라이밍 장치 { GANGFORM CLIMBING APPARATUS }
본 발명은 갱폼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갱폼을 상승시킬 수 있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중 아파트와 같이 내력벽으로 지어지는 건축구조물은 현장타설에 의하여 지어짐에 그 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타설과정을 설명하면, 중앙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내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이어서 상기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시켜 상단으로 인양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을 시공한다.
상기에서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단으로 인양시키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타워크레인(Tower Crane)에 매달아 상부로 이동시키며,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타워크레인을 매번 이용하여 거푸집 작업발판을 연결하기 전까지 잡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에 타워크레인을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첫째,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이나 각종 자재 등을 이동시키거나 하는 타워크레인의 다른 작업들을 할 수가 없으므로 고비용의 타워크레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둘째, 상기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의 거푸집 작업발판을 개별적으로 인양하여야 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층당 작업시간이 10일 이상 계속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셋째, 점차 고층화 되어가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따라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의 높이도 같이 높아짐에 의하여 비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써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위험성이 대단히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거푸집 작업발판을 인양하는 방식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거푸집 작업발판의 일측에 유압실린더와 유압펌프로 형성된 인양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인양장치의 조작만으로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부로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은 하나의 거푸집 작업발판에 인양장치가 일체화되어 있어 인양작업이 간단하나 비용이 고가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건설업체는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저가의 수동거푸집 작업발판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꼭 필요한 경우 즉 강풍이 자주 부는 지역에서 공사를 하거나 고층의 건물을 시공하자 할 때에는 어쩔 수 없이 고가의 비용을 들여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수동 거푸집 작업발판과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건설업체에 임대하는 임대업자는 수동 거푸집 작업발판과 자동 거푸집 작업발판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바 보관과 효율성이 떨어져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7977호에서는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양방법은 실린더가 레일을 윗쪽으로 밀어서 올리기 때문에, 실린더를 지지하는 고정슈의 구조가 등록특허 제10-073131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123호 등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가 아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린더가 신장되었을 때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점이 실린더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하중점이 실린더가 고정슈에 지지되는 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바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062호를 통해, 종래의 일반적인 고정슈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실린더가 레일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잡아당겨 올리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062호에서는 실린더를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있는데, 실제 현장에서 이를 적용하다보니 고정슈와 실린더의 탈착 가능한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79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06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레일을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갱폼 클라이밍 장치는,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슈와; 상기 고정슈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갱폼이 설치된 레일부재와; 하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를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부재에는 상기 고정슈 및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수축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상승되며, 상기 승강실린더는,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고정슈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슈는, 건물외벽에 대면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상기 측면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측면부에 결합시킨다.
한쌍의 상기 측면부에는 제1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과 같거나 크도록 한다.
한쌍의 상기 측면부에는 제1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걸쳐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제1중공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는 상기 제2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제2중공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는 상기 제1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부의 수축시 상기 지지판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걸리는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레일부재를 상승시키고, 상기 실린더부의 신장에 의한 상기 제2결합부의 하강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갱폼 클라이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체결부재가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관통함으로써, 레일을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갱폼 클라이밍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실린더를 고정슈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제1결합부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도 1에서 갱폼을 건물외벽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승강실린더가 수축되어 레일부재가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
도 6은 도 5에서 승강실린더가 신장된 상태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구조에 따른 승강실린더를 고정슈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갱폼 클라이밍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실린더를 고정슈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제1결합부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갱폼을 건물외벽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승강실린더가 수축되어 레일부재가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승강실린더가 신장된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구조에 따른 승강실린더를 고정슈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갱폼 클라이밍 장치는, 고정슈(110)와, 레일부재(130)와, 승강실린더(140)와, 체결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슈(110)는 건물외벽(17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슈(110)는 하우징(111)과 회전판(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은 배면부(112)와, 측면부(113)와, 받침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면부(112)는 건물외벽(170)에 대면하는 부분이다.
상기 측면부(113)는 상기 배면부(112)의 양측에서 건물외벽(17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114)는 상기 측면부(113)에서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111)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1)에는 회전 가능하게 날개부가 장착되어, 상기 날개부를 이용하여 H빔으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부재(130)를 감싸 고정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판(115)은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전판(115)은 상기 받침부(114)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부재(130)의 상승시 상기 회전판(115)은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레일부재(130)가 용이하게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부재(130)가 하강할 때에는 상기 레일부재(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1a)가 상기 회전판(115)에 걸려 상기 레일부재(130)가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의 고정슈(110) 이외에 종래에 공지된 등록특허 제10-073131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123호 등에 나타나 있는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슈(1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거푸집과 작업대로 이루어진 갱폼(16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130)는 제1레일(131)과, 제2레일(132)과, 연결판(133)과, 결합부재(136)와, 스토퍼(13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레일부재(130)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36062호 나타나 있는 구조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부재(130)에는 상기 고정슈(110) 및 승강실린더(140)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4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조작 등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되며, 하부가 상기 레일부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실린더(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41)와, 제1결합부(142)와, 제2결합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141)는 신장 및 신축 동작을 하는 것으로써, 일반적인 실린더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실린더부(141)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슈(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고정슈(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고정슈(110)의 하우징(111)에서 상호 이격된 한쌍의 상기 측면부(113)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142)는 후술하는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측면부(113)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143)는 상기 실린더부(141)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재(130)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131a)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143)는,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131a)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부(144)와, 상기 가이드부(144)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144)에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지지판(1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141)의 수축시 상기 지지판(145)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144)의 상부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145)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걸림돌기(131a)를 지지하면서 상기 레일부재(130)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141)의 신장시 상기 지지판(145)은 상기 걸림돌기(131a)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40)가 상기 걸림돌기(131a)의 장애없이 용이하게 신장되어 제2결합부(143)가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143)의 보다 자세한 사항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36062호 나타나 있는 구조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수축시 상기 레일부재(130)는 상기 걸림돌기(131a)가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하부 자세하게는 상기 제2결합부(143)에 걸려 상승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150)는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상부를 상기 고정슈(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상기 측면부(113)에는 제1관통공(113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13)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제1결합부(142)에는 제2관통공(142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50)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113a) 및 제2관통공(142a)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113)와 상기 제1결합부(142)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142a)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113a)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크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의 갱폼(160) 클라이밍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상기 고정슈(110)의 사이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50)로 제1관통공(113a)과 제2관통공(142a)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140)를 상기 고정슈(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50)는 끝단이 절곡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상기 체결부재(150)가 상기 제1관통공(113a)과 제2관통공(142a)을 관통한 후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체결부재(150)가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50)는 상기 제1관통공(113a)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113)에 결합되고, 고리 형상의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체결부재(113)에 걸쳐져 결합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승강실린더(140)는 상기 고정슈(1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140)를 상기 고정슈(110)에 결합시킨 이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폼(160)을 건물외벽(17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킨 후 상기 승강실린더(140)를 수축시켜 상기 제2결합부(143)의 지지판(145)에 걸리는 상기 걸림돌기(131a)에 의해 상기 레일부재(130)가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레일부재(13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140)를 신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결합부(143)의 지지판(145)은 상기 걸림돌기(131a)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상승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도 5 및 도 6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레일부재(13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고정슈(110)의 측면부(113)에 제1중공삽입돌기(113b)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슈(110)의 하우징(111)을 이루는 상기 측면부(113)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113a)의 둘레를 따라 제1중공삽입돌기(11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측면부(113)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의 외경은 상기 제1결합부(142)에 형성된 제2관통공(142a)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슈(110)에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제1결합부(142)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결합부(142)를 상기 측면부(113)에 배치한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관통공(142a)에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 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관통공(113a) 및 제2관통공(142a)을 함께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이동시켜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113b)를 상기 제2관통공(142a)에 삽입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150)를 관통시키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150)를 상기 제1관통공(113a) 및 제2관통공(142a)에 삽입할 때 용이하게 관통 삽입시킬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1결합부(142)의 측면에 제2중공삽입돌기(142b)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결합부(142)의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142a)의 둘레를 따라 제2중공삽입돌기(14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142b)는 상기 제1결합부(142)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142b)의 외경은 상기 측면부(113)에 형성된 제1관통공(113a)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142b)는 상기 제1관통공(113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슈(110)에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제1결합부(142)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결합부(142)를 상기 측면부(113)에 배치한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관통공(113a)에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142b)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관통공(113a) 및 제2관통공(142a)을 함께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이동시켜 상기 제1관통공(113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142b)를 상기 제1관통공(113a)에 삽입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150)를 관통시키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150)를 상기 제1관통공(113a) 및 제2관통공(142a)에 삽입할 때 용이하게 관통 삽입시킬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슈와 승강실린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승강실린더(1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실린더(1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41)와, 제1결합부(142)와, 제2결합부(143)와, 연결부(1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141), 제1결합부(142) 및 제2결합부(143)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새롭게 추가된 상기 연결부(149)는 상기 실린더부(141)의 상부와 상기 제1결합부(142)를 연결한다.
즉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실린더부(141)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지만,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연결부(149)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141)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49)는 체인 또는 와이어 등 외력을 견디면서 휘어질 수 있는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4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통공(142a)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42)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체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부(149)를 통해 상기 제1결합부(142)를 상기 실린더부(141)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49)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142)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150)에 의한 상기 제1결합부(142)와 고정슈(110)의 결합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갱폼 클라이밍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고정슈, 111 : 하우징, 112 : 배면부, 113 : 측면부, 113a : 제1관통공, 113b : 제1중공삽입돌기, 114 : 받침부, 115 : 회전판,
130 : 레일부재, 131 : 제1레일, 131a : 걸림돌기, 132 : 제2레일, 133 : 연결판, 136 : 결합부재, 137 : 스토퍼,
140 : 승강실린더, 141 : 실린더부, 142 : 제1결합부, 142a : 제2관통공, 142b : 제2중공삽입돌기, 143 : 제2결합부, 144 : 가이드부, 145 : 지지판, 149 : 연결부,
150 : 체결부재,
160 : 갱폼,
170 : 건물외벽.

Claims (9)

  1.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슈와;
    상기 고정슈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갱폼이 설치된 레일부재와;
    하부가 상기 레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를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부재에는 상기 고정슈 및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수축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부에 걸려 상승되며,
    상기 승강실린더는,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고정슈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슈는,
    건물외벽에 대면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상기 측면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측면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면부에는 제1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5. 청구항2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면부에는 제1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걸쳐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6.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제1중공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삽입돌기는 상기 제2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7.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제2중공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삽입돌기는 상기 제1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8.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되어 하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부의 수축시 상기 지지판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걸리는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레일부재를 상승시키고,
    상기 실린더부의 신장에 의한 상기 제2결합부의 하강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9. 청구항3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1020160108174A 2016-07-29 2016-08-25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20180013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6984 2016-07-29
KR1020160096984 2016-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643A true KR20180013643A (ko) 2018-02-07

Family

ID=6120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74A KR20180013643A (ko) 2016-07-29 2016-08-25 갱폼 클라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6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53B1 (ko) * 2018-10-01 2019-03-18 주식회사 지엔오 갱폼 인양장치
KR102086828B1 (ko) * 2019-09-26 2020-03-10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슬라이딩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53B1 (ko) * 2018-10-01 2019-03-18 주식회사 지엔오 갱폼 인양장치
KR102086828B1 (ko) * 2019-09-26 2020-03-10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슬라이딩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866B1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CN103806644B (zh) 用于电梯井筒模液压伸缩装置及其运行方法
KR100760286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0647977B1 (ko)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554644B1 (ko) 코아용 안전 케이지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KR20180013643A (ko)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090020246A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20062259A (ko) 레일 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이동형 비계
JP2006299559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KR101436062B1 (ko)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2012012280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95614B1 (ko) 건축물 시공방법
WO2017054724A1 (zh) 凹字型楼层成型装置的吊装设备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2012012279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780571B2 (ja) 鉄筋籠の建込み装置
KR102129286B1 (ko)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JP5773343B2 (ja) 複層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連層足場用の揚重装置
CN106193586A (zh) 电梯井可伸缩折叠式整体提升筒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