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14B1 - 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14B1
KR100895614B1 KR1020080056185A KR20080056185A KR100895614B1 KR 100895614 B1 KR100895614 B1 KR 100895614B1 KR 1020080056185 A KR1020080056185 A KR 1020080056185A KR 20080056185 A KR20080056185 A KR 20080056185A KR 100895614 B1 KR100895614 B1 KR 10089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guide rail
formwork
bracke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복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송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616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56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송복 filed Critical 이송복
Priority to KR102008005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시공과 외부의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먼지발생을 최소화 하고 불필요한 시공공정을 제거함으로써 현저히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신규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시공준비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각각 이동브라켓을 조립하고 일측을 개방하여 거푸집이 장착된 가이드레일을 밀착/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거푸집 설치 및 시공단계와, 거푸집을 탈형 후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실린더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를 가이드레일에 밀착시켜 가이드레일을 상부로 인양하는 거푸집 인양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아래에 2~3층 간격을 두고 이동브라켓에 마감작업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밀착/조립하는 작업발판 설치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실린더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를 가이드레일에 밀착시켜 가이드레일을 상부로 인양하며 연속하여 마감작업을 시행하는 마감시공단계와, 2~3층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시공작업과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최상층까지 시공후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이동브라켓에서 이탈시켜 타워크레인이나 곤도라 등으로 하강/해체하는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케이지, 실린더, 유압펌프, 거푸집

Description

건축물 시공방법{build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골조시공과 외부의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먼지발생을 최소화 하고 불필요한 시공공정을 제거함으로써 현저히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신규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병원 등의 대형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먼저 일반 거푸집을 이용하여 저층(2~3층)을 시공한 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거푸집용 케이지을 장착한 후 이를 상부로 인양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한다.
한편, 근래에 들어 건물의 외벽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도시미관을 살리고 채광 등을 유용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건물의 뼈대만 시공하고 그 외의 부분은 유리 등과 같은 다른 마감자재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때, 마감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골조공사를 마무리한 후 거푸집용 케이 지를 제거하고 별도의 마감작업을 위한 케이지를 장착하여 하층에서부터 작업과 인양을 반복하면서 마감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건축물에 장착된 브라켓의 형상이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을 상부나 하부에서 수직으로 끼워 장착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케이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장착되는 브라켓(1)과 이 브라켓(1)의 일측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브라켓해드(2)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해드(2)는 "ㄷ"자형 내측에 가이드롤러(2a)와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걸림레버(2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레일(3)은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인양하여 조립할 수 뿐이 없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건축물을 시공시에는 거푸집용 케이지만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마감작업을 위해서는 기존의 케이지를 제거 후 새로운 마감작업용 케이지를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 외벽에 마감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케이지 설치 및 해체의 과정을 이중으로 반복시행함으로써 공기가 길어지고 불필요한 작업들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골조작업과 마감작업을 2~3층의 간격을 두고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먼지의 비산을 최소화하며 공기의 단축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신규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의 시공방법에서 케이지의 장착을 수직이 아닌 수평상태로 장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다양한 케이지를 시공상황에 맞도록 장착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다른 케이지의 위치나 사용과 관계없이 독립적인 이 탈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 시공방법에 따른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시공준비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각각 이동브라켓을 조립하고 일측을 개방하여 거푸집이 장착된 가이드레일을 밀착/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거푸집 설치 및 시공단계와, 거푸집을 탈형 후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실린더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를 가이드레일에 밀착시켜 가이드레일을 상부로 인양하는 거푸집 인양단계와, 상기 거푸집의 아래에 2~3층 간격을 두고 이동브라켓에 마감작업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밀착/조립하는 작업발판 설치단계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실린더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를 가이드레일에 밀착시켜 가이드레 일을 상부로 인양하며 연속하여 마감작업을 시행하는 마감시공단계와, 2~3층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시공작업과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최상층까지 시공후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이동브라켓에서 이탈시켜 타워크레인이나 곤도라 등으로 하강/해체하는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작업용 가이드레일의 설치를 위한 고정브라켓은 그 길이가 콘크리트 타설용 가이드레일보다 벽에 부착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2배 길게 형성함으로써 마감부재를 이용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이동브라켓은 내부에 "V"자 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여러 개의 관통공과 연결부를 갖는 "H"형상의 몸체와, 벽면에 부착되며 몸체의 일측이 삽입되고 여러 개의 관통공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몸체의 연결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밀착부재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고정핀에 의하여 "V"자 홈 내부에 회동되게 조립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건축물의 시공시 여러 개의 케이지를 상/하로 장착할 수 있어 상부에서는 골조공사와 하부에서는 마감공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건축물 시공공기를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마감작업에 따른 케이지의 장착을 위한 거푸집 케이지의 해체와 같은 불필요한 공정이 제거되는 효과를 갖는다.
셋째, 상기에서 사용되는 케이지는 종래의 사용되는 케이지를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현재 시공중인 건축물에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케이지를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장착함에 있어 수직상태로 끼워 장착하는 것이 아닌 케이지를 수평상에서 진입하여 브라켓에 장착함으로써 상/하부의 기존 장착된 케이지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아니하며 시공중에도 각각의 케이지의 독립적인 이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중 고장이나 일부분이 훼손되더라도 쉽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표현한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은 아파트나 빌딩 등 고층의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푸집 작업발판을 상단으로 인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으로 본 발명의 인양방법은 최소 건물의 1~2층은 종래의 거푸집 작업발판 등을 이용하여 시공한 후 2~3층 이상의 시공부터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한다.
시공준비단계
도 2에서와 같이 시공된 저층의 건축물 외측면에 고정브라켓(10)을 장착한 다.
상기의 고정브라켓(10)은 "ㄷ"자형의 몸체(21)로 구성되며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벽면에 부착하기가 용이하다.
이는 종래의 무거운 브라켓(2)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들어올려 설치하기 힘든 문제점을 극복하며 고층에서의 작업시 작업의 안전도를 높인다.
그리고, 상기 몸체(21)에 형성된 여러 개의 구멍(21a)을 이용하여 밀착되는 이동브라켓(20)을 핀 등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거푸집 설치 및 시공단계
도 3에는 거푸집용 케이지를 건축물에 장착하여 골조를 시공하는 상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측에 장착된 고정브라켓(10)에 이동브라켓(20)을 장착하고 이 이동브라켓(20)과 수평방향에서 거푸집용 케이지(100)를 유입시켜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장착은 독특한 구조의 이동브라켓(20)에 의하여 가능하며 이 이동브라켓(20)의 구체적은 구성설명은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거푸집 인양단계
상기와 같이 거푸집용 케이지(100)를 건축물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상의 시공방법으로 상기 케이지(100)를 유압 실린더 또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양하며 거푸집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골조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의 거푸집용 케이지(100)의 하부에 소형 크레인이나 곤도라 등을 장착하여 이어서 작업될 마감작업의 자재를 인양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마감작업용 작업발판 케이지 설치단계
도 4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설치한 거푸집용 케이지(100)를 이용하여 상부로 골조공사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2층 내지 3층의 간격을 두고 마감작업을 위한 발판이 형성된 케이지(200)를 장착한다.
이는, 상기의 마감작업용 케이지(200)를 타워크레인 등으로 들어 올린 후 이동브라켓(20)에 근접시켜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감작업용 케이지(200)가 장착되는 이동브라켓(20)의 고정브라켓(10)은 그 길이가 거푸집용 케이지(100)에 장착된 고정브라켓(10)보다 벽에 부착되는 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마감부재의 이송 및 장착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마감시공단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용 케이지(100)와 마감작업용 케이지(200)는 2층 내지 3층의 간격을 두고 상부로 인양된다.
이로써 상부에서는 거푸집 케이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의 골조공사가 이루어지면 하부에서는 마감자재(300)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공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체단계
상기와 같이 각각의 케이지(100, 200)를 상부로 인양하면서 골조공사와 마감공사를 동시에 시공한 후 최상층에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의 케이지를 하강시켜 분해함으로써 공사를 완료한다.
이하, 상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고정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20)의 구체적은 구성설명 및 거푸집용 케이지(100)와 마감공사용 케이지(200)의 인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고정브라켓(10)에 케이지의 인양에 따른 실린더가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벽체에 결착되며 타측에 가이드레일(110)이 조립되는 이동브라켓(20)과, 이 이동브라켓(20)의 상면에 이탈착되게 조립되는 실린더(30) 및 이 실린더(30)의 피스톤(31)에 조립되며 타측이 가이드레일(110)에 결착되는 승강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일측면에 톱니형상의 걸림돌기(1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1)는 톱니처럼 조밀하게 걸림돌기(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10)에 용접됨으로서 견고하게 세밀한 케이지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브라켓(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된 벽면에 부착되며 양측면에 여러 개의 관통공(21a)을 갖는 고정브라켓(10)과 이 고정브라켓(10)의 외면에 "H"형상의 몸체(22)가 삽입되어 고정핀(23)으로 조립된다.
상기 몸체(22)는 양측면에 연결부(22a)와 여러 개의 관통공(22b) 및 내부에 "V"형 홈(22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V"형 홈(22c)에는 걸림부(25)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핀(23)에 의하여 몸체(22)와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몸체(22)의 전방으로는 가이드레일(110)을 감싸 밀착하는 밀착부재(24)가 조립되는데, 이 밀착부재(24)의 회전부(24a)가 연결부(22a)와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에 형성된 홈(24a', 22a')에 연결핀(23)을 삽입하여 몸체(22)와 조립된다.
이때, 회전부(24a)와 연결부(22a)에 형성된 홈(24a', 22a')은 하나는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밀착부재(24)가 회전하도록 하며 나머지 하나는 이탈착 되게 하여 밀착부재(24)의 회전과 고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상부에는 실린더(30)의 하부가 안착되는 실린더 받침(26)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24)의 끝부분에는 가이드롤러(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롤러(25)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24)의 중앙부분에는 연결된 가이드레일(1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3)이 삽입되는 관통공(24b)를 형성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승강부(40)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40)는 일측에 실린더(30)가 조립되는 관통공(44)과 타측에 걸림돌기(11)가 삽입되도록 "ㄷ"자형의 개방홈(45a)을 갖는 몸체(45)와, 상기 몸체(45)의 개방홈(45a) 내부에 조립되며 고정핀(42)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몸체(45)에 조립되는 걸림부(41)와, 상기 몸체(45)의 일측에 조립되어 근접하는 가이드레일(10)의 일면을 밀착하는 고정부(43)로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브라켓(20)에 가이드레일(110)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A)를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의 내부에 앙카볼트(300)를 장착하여 볼트를 돌출시키고 이 볼트에 고정브라켓(10)을 삽입하고 나사결합하여 벽면에 고정한다.
상기의 고정브리켓(10)은 작업자가 수월하게 장착할 수 있는 무게로 형성되며 형상이 단순하여 장착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장착된 고정브라켓(10)에 몸체(22) 일측을 삽입하고 각각의 연결된 관통공(21a, 22b)에 고정핀(23)을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이동브라켓(20)을 벽체에 장착한다.
이때, 이동브라켓(20)의 일측에 밀착부재(24)는 몸체(22)와 연결되는 고정핀(23)을 제거하여 양측으로 벌려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110)이 이동브라켓(20)의 전방으로부터 조립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밀착부재(24)를 양측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10)을 밀착시킨 후 밀착부재(24)를 회전시켜 가이드 레일(110)의 일측을 결착하는데 이때, 밀착부재(24)의 밀착롤러(25)가 가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이동브라켓(20)의 구성에 의하여 결착되는 가이드레일(110)은 통상의 방법으로 상부로부터 삽입시켜 결착됨은 물론, 수평방향에서도 결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케이지의 인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케이지가 인양되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브라켓(20)과 승강부(40)에 가이드레일(110)이 결착된 상태에서 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하여 상부로 가이드레일(110)을 인양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0)는 이동가능한 이동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된다.
상기 이동펌프(미도시)는 인양되는 케이지이나 이웃하는 케이지에 자유롭게 이동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인양되는 가이드레일(110)은 이동브라켓(20)과 승강부(40)에 구성된 회전되는 걸림부(25, 41)에 의하여 그 인양 및 멈춤이 이루어진다.
보충설명하면 가이드레일(110)을 상부로 인양시 실린더(30)가 동작하면 실린더(30)의 피스톤(31)에 조립된 승강부(40)가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의 걸림부(41)의 상면이 가이드레일(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1)의 하면에 밀착되어 승강부(40)가 인양됨에 따라 가이드레일(110)이 같이 인양된다.
상기에서 걸림부(41)는 몸체(45)의 개방홈(45a)의 하부가 밀폐되어 아래로는 회전되지 않음으로 인양시 강한힘으로 가이드레일(110)을 인양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31)을 연속하여 상/하 이동함으로써 승강부(40)를 상/하이동하는데, 도 12에서와 같이 피스톤(31)이 최상부까지 이동한 후에 다시 하강하여 승강부(40)의 걸림부(41)는 하부의 빗면이 걸림돌기(111)의 빗면과 미끄럼되어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하강한다.
이때, 상기 이동브라켓(20)은 승강부(40)이 하강시 걸림부(25)가 가이드레일(110)의 걸림돌기(111)에 결착되어 가이드레일(110)을 고정한다.
상기 걸림부(25)는 하부의 V자형 홈(22c)에 결착되어 하강하지 않으며 연결된 가이드레일(110)의 무게를 이기며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브라켓(20)의 걸림부(25)가 가이드레일(110)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부(40)가 실린더(30)의 동작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부(40)의 걸림부(4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0)의 걸림돌기(111)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10)을 상부로 인양하게 되며 이때 이동브라켓(20)의 걸림부(25)는 가이드레일(110)의 걸림부재(111)에 걸려 회전하면서 인양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지가 건축물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건축물에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건축물에의 측면에 거푸집용 케이지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거푸집용 케이지와 마감작업용 케이지가 동시에 건축물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거푸집용 케이지와 마감작업용 케이지가 동시에 건축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 인양하며 건축물을 시공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브라켓과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고정브라켓과 이동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서 승강부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 중 브라켓에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이 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 중 브라켓에 케이지의 가이드레일이 결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 중 케이지를 상부로 인양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 중 케이지를 상부로 인양중 실린더를 하강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거푸집이 장착된 케이지
200 ... 마감작업용 발판이 구비된 케이지
300 ... 마감자재
110 ... 가이드레일 111 ... 걸림돌기
20 ... 하부브라켓 10 ... 고정브라켓
22 ... 몸체 23 ... 고정핀
24 ... 밀착부재 25 ... 걸림부
26 ... 실린더 받침 30 ... 실린더
31 ... 피스톤 40 ... 상부브라켓
41 ... 걸림부 42 ... 고정핀
43 ... 고정부 44 ... 관통공
45 ... 몸체 45a ... 개방홈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된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브라켓(10)을 설치하는 시공준비단계;
    상기 고정브라켓(10)에 각각 이동브라켓(20)을 조립하고 일측을 개방하여 거푸집이 장착된 케이지(100)를 밀착/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거푸집 설치 및 시공단계;
    거푸집을 탈형 후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상부에 실린더(30)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30)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40)를 가이드레일(110)에 밀착시켜 가이드레일(110)을 상부로 인양하는 거푸집 인양단계;
    상기 거푸집의 아래에 2~3층 간격을 두고 이동브라켓(20)에 마감작업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케이지(200)을 밀착/조립하는 작업발판 설치단계;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상면에 실린더(30)를 장착하고 이 실린더(30)의 상부에 형성된 승강부(40)를 가이드레일(110)에 밀착시켜 가이드레일(110)을 상부로 인양하며 연속하여 마감작업을 시행하는 마감시공단계;
    2~3층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시공작업과 마감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최상층까지 시공후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이동브라켓(20)에서 이탈시켜 타워크레인이나 곤도라 등으로 하강/해체하는 해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작업용 케이지(200)의 설치를 위한 고정브라켓(10)은 그 길이가 콘크리트 타설용 케이지(100)의 장착을 위한 고정브라켓(10)보다 벽에 부착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길이가 1.5 내지 2배 길게 형성함으로써 마감부재를 이용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3. 삭제
KR1020080056185A 2008-06-16 2008-06-16 건축물 시공방법 KR10089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85A KR100895614B1 (ko) 2008-06-16 2008-06-16 건축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185A KR100895614B1 (ko) 2008-06-16 2008-06-16 건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614B1 true KR100895614B1 (ko) 2009-05-06

Family

ID=4086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185A KR100895614B1 (ko) 2008-06-16 2008-06-16 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1900A2 (en) 2010-10-14 2012-04-18 Consolswc Co., Ltd. Cage for construction work with extendable function
CN105649209A (zh) * 2016-03-01 2016-06-0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应用于顶升平台狭小空间内的挂架系统
CN108775141A (zh) * 2018-07-31 2018-11-09 湖南中科富海建筑科技有限公司 建筑用新型升降作业平台的附墙支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20060087483A (ko) * 2005-06-29 2006-08-02 페리 게엠베하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KR100647977B1 (ko) * 2005-09-15 2006-11-23 페리유한회사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483A (ko) * 2005-06-29 2006-08-02 페리 게엠베하 상승 폼웍의 분리가능한 상승 슈
KR100647977B1 (ko) * 2005-09-15 2006-11-23 페리유한회사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1900A2 (en) 2010-10-14 2012-04-18 Consolswc Co., Ltd. Cage for construction work with extendable function
CN102454302A (zh) * 2010-10-14 2012-05-16 康索斯韦克有限公司 具有可扩展功能的用于建筑施工的笼状物
CN105649209A (zh) * 2016-03-01 2016-06-0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应用于顶升平台狭小空间内的挂架系统
CN108775141A (zh) * 2018-07-31 2018-11-09 湖南中科富海建筑科技有限公司 建筑用新型升降作业平台的附墙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865B1 (ko) 건축용 갱폼 인양장치
CN205742991U (zh) 一种桁架式液压整体钢平台爬升模板
KR20110083186A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0647977B1 (ko)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100839352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상승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CN1991110B (zh) 一种爬模平台系统及其爬模方法
KR100895614B1 (ko) 건축물 시공방법
KR20090020246A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06299559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JPH10292618A (ja) 壁工事用の作業足場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949952B1 (ko) 체인식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20090084163A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갱폼 가이드 시스템
KR101254501B1 (ko) 안전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JPH11343729A (ja) スライド上昇型吊り足場
KR102129286B1 (ko)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CN113175201A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JPH10245189A (ja) 高層ビル建築に用いる全方向移動クレーン
KR100814753B1 (ko) 거푸집 및 작업대 겸용 가시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측면개방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1003708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5581476B2 (ja) 昇降式移動足場
JPH04306364A (ja)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CN215716443U (zh) 一种用于筒仓仓顶结构的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25

Effective date: 2011010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201

Effective date: 20111007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09

Effective date: 2012020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0304

Effective date: 201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