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315B1 -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315B1
KR100731315B1 KR1020060122230A KR20060122230A KR100731315B1 KR 100731315 B1 KR100731315 B1 KR 100731315B1 KR 1020060122230 A KR1020060122230 A KR 1020060122230A KR 20060122230 A KR20060122230 A KR 20060122230A KR 100731315 B1 KR100731315 B1 KR 10073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guide rail
rail
attach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533A (ko
Inventor
이병영
Original Assignee
이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711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313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영 filed Critical 이병영
Priority to KR102006012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3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건물 외벽의 측면에 부착된 거푸집과,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며, 상기 작업대가 상기 건물 외벽을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작업대의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작업대가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작업대가 상기 건물 외벽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갱폼 설치 및 해체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
도 1은 종래의 갱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거푸집과 달비계가 결합된 종래 갱폼과 건물 외벽과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재가 정착됐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재가 상승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갱폼과 도 3의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갱폼이 건물 외벽에 대해 하강할 때의 가이드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갱폼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갱폼과 도 3의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갱폼이 건물 외벽에 대해 상승할 때의 가이드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갱폼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슈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여 각 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바닥과 각 층의 내부에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대들보 및 내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베니어판(Veneer 板)에 각목을 부착시킨 거푸집을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철근과 함께 타설 시공하여 양생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각 거푸집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충분히 양생시킨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뜯어내어 재사용하게 되는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재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분리 및 재설치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매우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조용 프레임(11)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고정시켜 건물의 2 내지 3층 높이 에 해당하는 골조용 구조물을 일차적으로 조립한 다음, 이 골조용 구조물의 내측과 상단 후방면에는 각 층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표면작업 및 1개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용 발판(12)과 거푸집(20)을 골조용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시킨 갱폼(10)을 제작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갱폼(10)을 인양시키면서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타설 및 마감작업을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거푸집(202)과 달비계(210)가 결합된 종래 갱폼과 건물 외벽(212)과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2)은 타이볼트(206)에 의하여 다른 거푸집(20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되며, 앵커볼트(208)에 의하여 건물 외벽(2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갱폼(200)을 건물의 높이에 맞추어 인양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타워크레인에 갱폼을 걸어서 인양시킨 다음 이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방법,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Guide Climbing System : GCS)을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방법, 유압기로 GCS를 인양하는 자동 클라이밍 시스템(Automatic Climbing System)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갱폼을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하는 방법에서는 타워크레인이 외줄로 갱폼을 인양하므로 바람에 의한 영향을 심하게 받게 되어 갱폼을 인양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대가 흔들려 작업자에게 공포심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크레인이 작업량 때문에 통상 서둘러 다음 작업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갱폼 해체, 설치시 앵커볼트의 소량 체결로 인해 갱폼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 를 유발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비용이 매우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고,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갱폼에 있어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건물 외벽의 측면에 부착된 거푸집과,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며, 상기 작업대가 상기 건물 외벽을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작업대의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작업대가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작업대가 상기 건물 외벽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재는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가이드레일과, 작업대에 부착되는 메인레일과,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며, 메인레일이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는 메인레일이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클립부를 구비한다. 또한 조절클립부는 메인레일의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타단이 메인레일에 부착되며, 메인레일을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시키는 경우 조절클립부와 가이드레일의 각도가 대략 직각일 때 가이드레일에 대한 조절클립부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은 고정슈에 대해 하강할 때 고정슈에 걸려 가이드레일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건물 외벽의 측면에 부착된 거푸집과, 상기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상기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는 메인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클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갱폼 설치 및 해체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재(300)가 정착됐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부재(300)가 상승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0)는 가이드레일(302)과 메인레일(304)과 복수의 조절클립부(306)를 구비한다. 가이드레일(302)은 "H" 형강, “ㄷ”형강 등으로 이루어지고, 건물 외벽(212)에 부착된 고정슈(도 6의 602)와 맞물리며, 고정슈(602)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메인레일(304)은 "ㄷ" 형강 등의 여러 소재의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달비계와 같은 작업대에 부착된다. 조절클립부(306)는 가이드레일(302)과 메인레일(304)을 연결하며, 메인레일(304)이 가이드레일(306)에 대해 상승할 때에는 하강할 때에 비해 가이드레일(302)과 메인레일(304)의 사이가 대략 150mm 정도 더 벌어지도록 한다.
조절클립부(306)는 메인레일(304)의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핀(502)에 의해 가이드레일(302)에 부착되고 타단이 핀(504)에 의해 메인레일(304)에 부착된다. 걸림핀(506)은 메인레일(304)을 가이드레일(302)에 대해 상승시키는 경우 조절클립부(306)와 가이드레일(302)의 각도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일 때 가이드레일(302)에 걸림으로써 가이드레일(302)에 대한 조절클립부(306)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부재(300)는 달비계(210)와 같은 작업대에 부착되며, 달비계(210)가 건물 외벽(212)을 상승 및 하강할 때 달비계(210)의 방향을 가이드하고, 달비계(210)를 상승시킬 때에는 정착됐을 때에 비해 달비계(210)가 건물 외벽(212)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갱폼(200)과 도 3의 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갱폼이 건물 외벽(212)에 대해 정착됐을 때의 가이드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갱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갱폼과 도 3의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갱폼이 건물 외벽에 대해 상승할 때의 가이드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갱폼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200)이 건물 외벽(212)에 대해 상승할 때는 조절클립부(306)가 가이드레일(302)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핀(506)에 의해 가이드레일(302)과 조절클립부(306)가 대략 직각이 되는 위치에서 조절클립부(306)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메인레일(304)과 가이드레일(30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한편, 가이드레일(302)은 건물 외벽(212)에 부착된 고정슈(602)에 맞물려 있으므로 건물 외벽(212)으로부터의 거리는 가이드레일(302)의 경우 일정하지만 메인레일(304)의 경우 멀어지고, 이는 곧 메인레일(304)에 부착된 달비계(210) 및 거푸집(202)이 건물 외벽(212)으로부터 더 떨어짐을 의미한다.
거푸집(202)이 새로 형성된 콘크리이트 벽(604)으로부터 떨어지면 이미 심어져 있는 앵커볼트(606)를 이용하여 새로운 고정슈(608)를 콘크리이트 벽(604)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이트 벽(604)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요철에도 불구하고 거푸집(202)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타워크레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달비계(210)가 끌어올려지면 처음에는 달비계(210)와 거푸집(202)만 상승하지만, 조절클립부(306)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핀(506)에 의해 저지되는 순간부터는 가이드레일(302)도 함께 상승하며, 가이드레일(302)이 기존에 설치된 고정슈(602)를 따라 1층 정도의 높이를 상승하면 새롭게 부착된 고정슈(608)와 맞물리게 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슈(602)의 확대 단면도이다. 가이드레일(302)은 고정슈(602)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002)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판(1004)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판(1006)은 걸림판 고정용 핀(10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302)이 상승하는 경우 걸림돌기(1002)는 고정슈(602)를 지나갈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레일(302)이 하강하는 경우 걸림돌기(1002)는 걸림판(1006)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게 되고 받침판(1004)이 걸림판(1006)을 받치고 있으므로 가이드레일(302)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즉, 타워크레인으로부터의 와이어가 끊어진다고 하더라도 가이드레일(302)과 거기에 부착된 갱폼이 땅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고정슈(602)의 날개부(1010)는 가이드레일(302)이 건물 외벽(21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안내부재(1008)는 가이드레일(302)이 건물 외벽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302)에 부착된 갱폼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갱폼의 부착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타워크레인의 사용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고정슈(602)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94617호를 참조하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94617호의 공보에 개시된 내용은 여기서의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조절클립부(1102)가 홈(1106)이 형성된 강판(1104)과 메인레일(304)에 고정된 핀(1108)으로 이루어진다. 핀(1108)은 홈(1106)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302)과 메인레일(304)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갱폼 설치 및 해체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건물 외벽의 측면에 부착된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갱폼에 있어서,
    상기 갱폼에 부착되어 상기 갱폼이 상기 건물 외벽을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갱폼의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갱폼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갱폼이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갱폼이 상기 건물 외벽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가이드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 가이드부재는
    상기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상기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는 메인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클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가이드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클립부는,
    상기 메인레일의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레일에 부착되며,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한 상기 조절클립부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가이드부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고정슈에 대해 하강할 때, 상기 고정슈에 걸려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가이드부재.
  5.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건물 외벽의 측면에 부착된 거푸집과,
    상기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리고 상기 고정슈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는 메인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정착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클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20060122230A 2006-12-05 2006-12-05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73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230A KR100731315B1 (ko) 2006-12-05 2006-12-05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230A KR100731315B1 (ko) 2006-12-05 2006-12-05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33A KR20070005533A (ko) 2007-01-10
KR100731315B1 true KR100731315B1 (ko) 2007-06-21

Family

ID=3787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230A KR100731315B1 (ko) 2006-12-05 2006-12-05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3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20B1 (ko) 2009-04-10 2011-06-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송장치
KR200467252Y1 (ko) * 2011-01-18 2013-06-03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200028161A (ko) 2018-09-06 2020-03-16 이병영 이동식 거푸집
KR102193339B1 (ko) * 2020-05-21 2020-12-21 (주)케이지텍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47B1 (ko) * 2007-05-31 2008-06-23 삼목정공주식회사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KR100760286B1 (ko) * 2007-06-04 2007-09-19 (주)대성폼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0949952B1 (ko) * 2008-03-27 2010-03-30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체인식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455026Y1 (ko) * 2009-11-18 2011-08-10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벽면 이격수단이 구비된 갱폼 레일 조립체
KR20200059674A (ko) 2018-11-21 2020-05-29 미진정공(주) 이동식 갱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9538U (ko) 1986-03-13 1987-09-21
JPH05311874A (ja) * 1992-05-07 1993-11-22 Penta Ocean Constr Co Ltd 型枠の水平伸縮装置
KR200366291Y1 (ko) 2004-08-04 2004-11-10 주식회사 용주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KR200423750Y1 (ko) 2006-05-19 2006-08-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20060107880A (ko) * 2005-04-11 2006-10-16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9538U (ko) 1986-03-13 1987-09-21
JPH05311874A (ja) * 1992-05-07 1993-11-22 Penta Ocean Constr Co Ltd 型枠の水平伸縮装置
KR200366291Y1 (ko) 2004-08-04 2004-11-10 주식회사 용주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KR20060107880A (ko) * 2005-04-11 2006-10-16 금강공업 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0423750Y1 (ko) 2006-05-19 2006-08-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20B1 (ko) 2009-04-10 2011-06-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이송장치
KR200467252Y1 (ko) * 2011-01-18 2013-06-03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200028161A (ko) 2018-09-06 2020-03-16 이병영 이동식 거푸집
KR102193339B1 (ko) * 2020-05-21 2020-12-21 (주)케이지텍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33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832000B1 (ko) 갱폼 장치
EP2989262B1 (en) Balcony
US20060260238A1 (en) Refinement to the construction systems for structures in reinforced concrete or some other material of high-precision intergral modular forms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20090084163A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갱폼 가이드 시스템
RU2467134C2 (ru) Система панель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JP2014031632A (ja) 昇降式型枠の耐風補強方法
KR102234335B1 (ko) 건물 외벽 거푸집 및 비계의 안전한 인양을 위한 가이드 및 고정장치
CN215670929U (zh) 一种剪力墙电梯井道可装配式操作平台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180107394A (ko)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101553609B1 (ko)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EP2706167B1 (en) Wall bracket
KR200426228Y1 (ko) 거푸집의 보조 작업발판 구조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20210141194A (ko) 공동주택, 오피스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구분할과 기계실 지붕보에 매다는 구조로 기계실 바닥을 탑다운으로 시공하는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JP4897095B1 (ja) 勾配コンクリート屋根の施工方法
KR20090037021A (ko) 건물 외벽 작업용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
KR102425363B1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603719B1 (ko) 상승식 갱폼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JP3111854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昇降ガ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05

Effective date: 200901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226

Effective date: 20091015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1113

Effective date: 201001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1211

Effective date: 201101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20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509

Effective date: 201610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21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810

Effective date: 201611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0202;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020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110

Effective date: 20170720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86;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1878;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810

Effective date: 201711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220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712

Effective date: 201712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8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1204

Effective date: 201712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02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03

Effective date: 201807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8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19

Effective date: 2018092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82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026

Effective date: 20190411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500004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90515

Effective date: 20190814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116;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30001056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30

Effective date: 20190809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11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16

Effective date: 2020081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6279;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28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429

Effective date: 2023050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1944;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