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52Y1 -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52Y1
KR200467252Y1 KR2020110000495U KR20110000495U KR200467252Y1 KR 200467252 Y1 KR200467252 Y1 KR 200467252Y1 KR 2020110000495 U KR2020110000495 U KR 2020110000495U KR 20110000495 U KR20110000495 U KR 20110000495U KR 200467252 Y1 KR200467252 Y1 KR 200467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caffold
cage
bracke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423U (ko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to KR2020110000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5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축조에 맞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지로서, 표준화된 부품으로 현장에서 조립 설치될 수 있고, 발판과 건물 사이로 형성되는 간격을 차폐 또는 오픈 할 수 있는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케이지는 평행 배치되는 안쪽 주 각재(20a)와 바깥쪽 주 각재(20b) 사이로 짧은 각재(22)를 다수 교차시켜 형성되는 발판부재(2)와; 상기 발판부재(2)의 모서리부분에 수직으로 조립 연결될 수 있도록 양 끝에 꺾쇠(40)가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재(2)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연결하는 층간 연결대(4)와; 상기 양 주 각재(20a)(20b)의 밑면에서 짧은 각재(22)와 나란하게 연결되는 보강대(30)의 한쪽 끝으로 부착 고정되는 제1 블래킷(24)과; 상기 제1 블래킷(24)에 부착 고정되어서 통상의 안내레일(R)과 일체로 연결되는 레일 마운트(28)와; 상기 안쪽 주 각재(20a)에 경첩(34)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양 가장자리에는 펼친 위치에서 상기 안쪽 주 각재(20a)의 밑면에 걸려 지지 되는 받침대(36)가 구비된 보조 발판(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cage for exterior work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축조 시에 필요한 외부 작업을 안전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튼 월, 외장마감 공사작업을 위하여 현장에서 건물의 외벽에 설비되는 비계로서, 건물의 외벽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의 축조 시에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외부 시설공사의 안전성과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는 비계 혹은 안전 케이지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 일반화된 비계나 케이지는 주로 파이프와 클램프를 사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격자 형태로 조립시켜 일정 형태의 틀을 형성한 다음, 발판을 걸쳐서 작업 공간과 작업자의 통행로를 제공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방식의 비계나 케이지는 작업 현장의 지리적 여건에 맞춰 시공할 수 있다는 범용성이 있는 것이나. 수많은 클램프를 죄어주고 풀어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조립과 해체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 후에는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구조라는 단점도 있다.
다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동식 작업용 발판”은 격자 형태로 연속 조립되는 발판용 케이지를 축조된 건물의 슬라브 및 발코니에 체결 고정하는 구조를 제시하여, 현장에서의 조립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층 건물 축조 현장에서는 상하로 이동이 불가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다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은 갱폼 조립체의 외측으로 가로 및 세로 지지대와 작업용 발판 구조물을 볼트결합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서, 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나, 이 구조물도 건물의 축조에 맞춰 상하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고층 건물에는 적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다음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거푸집 작업용 발판 지지대”는 제1 지지 바의 일단 측 결합 보스에 수직 포스트를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하고, 이 수직포스트에 횡바아 또는 펜스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통한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것도 건물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는 갖추지 못하고 있다.
다음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작업발판 케이지”는 난간과 발판의 구조를 상호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여 현장에서의 조립과 운반이 간편 용이하게 되고, 조립 구조가 견고하여 큰 하중에도 난간과 발판이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난간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의 체결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20-0146049호, 도 4 한국 실용신안등록 20-0146508호, 도 2 한국 실용신안등록 20-0205940호, 도 1 한국 공개특허 10-2010-0090483호, 도 2
이상 설명한 종래의 케이지 구조는, 조립과 해체의 간편 용이화, 그리고 설치 후의 구조적 견고성 등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건물의 외부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것이므로 장려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은 구조적 견고성은 보장한다 할지라도 구조적으로 조립 해체작업의 번거로움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근자에 실용화되고 있는 케이지는, 건물의 외벽 축조에 맞춰 현장의 타워 크레인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이 종류의 케이지는 현장에서 제작 설비되는 것이고 간편하게 조립 해체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구조는 아직 제안된 바 없다.
게다가 지금까지 제안되고 실용화된 비계나 케이지는 건물 외벽에 설비하였을 때 발판과 건물 사이로 형성되는 간격을 작업 안전성의 확보 차원에서 좁게 설정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외장공사에 필요한 자재는 모두 비계나 케이지의 바깥쪽에서 공급할 수밖에 없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있다.
본 고안은 건물의 축조에 맞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지로서, 표준화된 부품으로 현장에서 조립 설치될 수 있고, 또 자재 운반 통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발판과 건물 사이의 대치간격이 상당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면서 작업의 안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구조로 개선한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케이지는, 안쪽 주 각재와 바깥쪽 주 각재 사이로 짧은 각재를 다수 교차 연결하여 발판부재를 형성하고, 이 발판부재의 모서리부분으로 층간 연결대를 부착하여 다수의 발판부재를 층별로 배열함과 동시에, 상기 양 주 각재의 밑면에 짧은 각재와 나란하게 보강대를 연결하여 부착하고, 그 한쪽 끝에는 제1 블래킷을 개재하여 통상의 안내레일과 일체로 연결되는 레일 마운트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안쪽 주 각재에는 경첩을 개재하여 보조발판을 접고 펼칠 수 있게 설치하되, 상기 보조발판의 양 가장자리에서 더 길게 연장되는 받침대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보조발판을 펼친 위치에서 받침대가 안쪽 주 각재의 밑면에 걸려 지지 되도록 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지는 상술한 구성에서, 발판부재의 바깥쪽 주 각재로 제2 블래킷을 부착하고, 여기에 상기 층간 연결대를 대체하는 전장 연결대를 끼워 연결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미리 조립하여 준비해 놓을 수 있는 발판부재와, 이 발판부재를 다수 층별로 연결시키는 층간 연결대, 또는 이것과 전장 연결대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현장으로의 운반 조립이 간편 용이하게 됨은 물론, 구성부분의 표준화가 용이하게 되어 자재 관리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부재에 보조발판을 접고 펼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건물 외벽과 발판부재 사이로 형성되는 간격을 차폐하였을 때는 낙하 위험을 줄이게 되는 안전도 향상의 효과와, 보조발판을 발판부재 위로 접어 올려 열리는 간격은 상하방향으로 자재를 이동 공급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어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건물 외벽에 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발판부재와 층간 연결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발판부재와 전장 연결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발판부재에 마련된 보조발판을 접은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한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의 조립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케이지 전체는 층별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판부재(2)와, 이들 발판부재(2)의 모서리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열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층간 연결대(4)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부재(2)와 층간 연결부재(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조립되지만, 발판부재(2)의 길이방향 변에서 한쪽을 층간 연결대(4)로 연결 조립하고 반대쪽은 케이지의 전고에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 전장 연결대(6)로 연결 조립할 수도 있으며, 이하의 설명은 전장 연결대(6)를 채용한 예로서 상술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발판부재(2)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주 각재(20a)(20b) 사이로 짧은 각재(22)를 다수 교차시켜 연결한 전형적인 발판 프레임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나, 쌍으로 나란히 배열된 주 각재(20a)(20b)에는 각각 제1 블래킷(24)과, 제2 블래킷(26)이 바깥을 향해 분산 배치된 특징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1 블래킷(24)은 단면 “I”형으로 된 통상의 안내레일(R)에 일체로 부착되는 레일 마운트(28)를 구비하며, 이것은 안쪽 주 각재(20a)의 밑면에서 상기 짧은 각재(22)와 나란하게 부착 연결되는 보강대(30)의 한쪽 끝으로 부착된다.
레일 마운트(28)에 연결되는 안내레일(R)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건물의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매립 부착되는 가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는 통상 안내레일(R)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발판부재(2)에서 건물의 외벽과 면하게 되는 부분은 제1 블래킷(24)과 연관되는 안쪽 주 각재(20a)로 된다.
안쪽 주 각재(20a)의 양 모서리 부분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층간 연결대(4)를 통하여 일체로 조립 연결되어서 격자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층간 연결대(4)의 양끝 부분에는 연결용 꺾쇠(40)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안쪽 주 각재(20a)에는 보조 발판(32)이 경첩(34)을 개재하여 접고 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보조발판(32)도 상술한 발판부재(2)와 대동소이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다만 양 가장자리에 받침대(36)가 더 부착되어서 펼쳤을 때에 상기 받침대(36)가 안쪽 주 각재(20a)의 밑면에 걸려지게 되어 있다.
이렇게 받침대(36)가 안쪽 주 각재(20a)의 밑면으로 지지 되면 상기 보조발판(32)의 수평 전개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바깥쪽 주 각재(20b)에도 층간 연결대(4)가 동일한 방식으로 상하 연결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깥쪽 주 각재(20b)에 부착된 제2 블래킷(26)으로 전장 연결대(6)를 끼워 조립하는 것이 좋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장 연결대(6)는 제2 블래킷(26)으로 끼워진 다음에 핀이나 스터드 볼트 등의 체결수단(60)으로 관통되어서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장 연결대(6)에는 층간 높이에 일치하는 위치마다 통공(62)이 마련되어서 상기 체결수단(60)을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케이지는 전장 연결대(6)에 의해 각 층별로 배열되는 발판부재(2)가 흔들림 없이 일체로 현수되어 견고한 조립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든 발판부재(2)와 보조발판(32)에는 유공강판(perforated steel plate)과 같은 통상의 발판재가 깔려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는 모든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설치하거나, 또는 발판부재(2)만 공장에서 조립하여 운반하고 현장에서 층간 연결대(4)와 전장 연결대(6)에 일치시켜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비된다.
건물 외벽에 설비된 후에는 공정에 맞춰 현장의 타워크레인 또는 유압시스템으로 상하 이동시켜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또, 작업 위치에서 건물의 외벽과 안쪽 주 각재(20a) 사이의 간격은 보조발판(32)에 의해 차폐되어 작업자나 자재의 낙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 안전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보조발판(32)은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34)을 이용하여 발판부재(2)의 상면으로 접혀졌을 때는 건물의 외벽과 발판부재(2) 사이로 상당한 길이의 통로가 열리게 되며, 이 통로를 통해 자재의 상하방향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특히 커튼 월의 설비 작업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부호 64는 통상의 낙하방지용 그물을 지지시켜 놓기 위하여 비스듬히 부착되는 안전망 거치대이다.
2: 발판부재 20a: 안쪽 주 각재
20b: 바깥쪽 주 각재 22: 짧은 각재
24: 제1 블래킷 26: 제2 블래킷
28: 레일 마운트 30: 보강대
32: 보조발판 34: 경첩
36: 받침대 4: 층간 연결대
40: 꺾쇠 6: 전장 연결대
60: 체결수단 62: 통공
64: 안전망 거치대

Claims (2)

  1. 평행 배치되는 안쪽 주 각재(20a)와 바깥쪽 주 각재(20b) 사이로 짧은 각재(22)를 다수 교차시켜 형성되는 발판부재(2)와;
    상기 발판부재(2)의 모서리부분에 수직으로 조립 연결될 수 있도록 양 끝에 꺾쇠(40)가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재(2)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연결하는 층간 연결대(4)와;
    상기 양 주 각재(20a)(20b)의 밑면에서 짧은 각재(22)와 나란하게 연결되는 보강대(30)의 한쪽 끝으로 부착 고정되고 통상의 안내레일(R)과 일체로 연결되는 레일 마운트(28)를 갖춘 제1 블래킷(24)과;
    상기 발판부재(2)의 바깥쪽 주 각재(20b)의 바깥 면으로 부착 고정되는 제2 블래킷(26)과;
    상기 안쪽 주 각재(20a)에 경첩(34)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양 가장자리에는 펼친 위치에서 상기 안쪽 주 각재(20a)의 밑면에 걸려 지지 되는 받침대(36)가 구비된 보조 발판(32)과;
    상기 제2 블래킷(26)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수단(6)으로 지지 되도록 층간 높이마다 통공(62)이 뚫려있는 전장 연결대(6)로 구성되어 있는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2. 삭제
KR2020110000495U 2011-01-18 2011-01-18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0467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95U KR200467252Y1 (ko) 2011-01-18 2011-01-18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95U KR200467252Y1 (ko) 2011-01-18 2011-01-18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23U KR20120005423U (ko) 2012-07-26
KR200467252Y1 true KR200467252Y1 (ko) 2013-06-03

Family

ID=4687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495U KR200467252Y1 (ko) 2011-01-18 2011-01-18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177B1 (ko) * 2015-01-18 2016-10-20 정용주 전동 고소작업용 가설복층작업대
KR102214564B1 (ko) 2018-06-18 2021-02-08 유한회사 선재테크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의 설치방법
CN114525738B (zh) * 2022-03-09 2024-03-08 浙江宜路工程管理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道桥施工安全防护装置
CN114961341B (zh) * 2022-04-06 2024-02-20 南通苏中建设有限公司 一种深基坑施工圆形梯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135B1 (ko) * 1997-12-30 2000-07-01 정순착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KR100731315B1 (ko) * 2006-12-05 2007-06-21 이병영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135B1 (ko) * 1997-12-30 2000-07-01 정순착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KR100731315B1 (ko) * 2006-12-05 2007-06-21 이병영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23U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83B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JP2013520587A (ja) 足場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20090025737A (ko)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JP2007138416A (ja) 外部養生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工法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2011074659A (ja) 貯槽用足場部材
CN113789945B (zh) 一种可滑移式窗外施工安全操作架及其施工方法
CN109577624A (zh) 框剪结构脚手架体系及施工方法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JP5670152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縦方向への敷設工法及び当該工法に使用するケーブルラックの取付金具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EP2325416B1 (en) Perimeter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