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674A - 이동식 갱폼 - Google Patents

이동식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674A
KR20200059674A KR1020180144692A KR20180144692A KR20200059674A KR 20200059674 A KR20200059674 A KR 20200059674A KR 1020180144692 A KR1020180144692 A KR 1020180144692A KR 20180144692 A KR20180144692 A KR 20180144692A KR 20200059674 A KR20200059674 A KR 2020005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ang form
upper body
wal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규
안덕기
신성수
Original Assignee
미진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진정공(주) filed Critical 미진정공(주)
Priority to KR102018014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674A/ko
Publication of KR2020005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overha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갱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로 되되, 상기 상부체(100)가 하부체(200)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시공되어야 할 건축물의 외벽 형상에 맞게 상부체를 이동시키면서 외벽을 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일부가 튀어나온 외벽 구조로 되는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시공하여 줄 수 있게 되는 이동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갱폼{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 외벽의 형상에 맞게 상부체의 위치를 이동시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이동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복수 층으로 된 건축물은 그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여 각 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바닥 및 다수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기둥과 내벽 등이 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갱폼(gang for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갱폼은 시공할 벽체 크기의 패널에 패널의 변형 등을 막기 위하여 가로 지지대 및 세로 지지대가 격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시공하고자 할 벽체의 두께만큼 나란히 배치된 유로폼과 짝을 이루며 크레인 등으로 인양되거나 또는 자체 동력에 의해 인양되면서 외벽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갱폼은 하부가 어느 일개 층에 고정되고 상부가 그 위층을 시공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한편, 근래 건축물의 외벽 형상이 다양해 지고 있다. 과거 저층에서 고층까지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근래 미적인 목적 또는 발코니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등 여러 목적에 따라 외벽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층은 들어가고 어느 한층은 튀어 나오는 구조가 그것이다.
(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5533호(2007.01.10)
본 발명은 어느 한 층은 들어가고 어느 한 층은 튀어나오는 외벽 구조로 되는 건축물을 시공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평면의 외벽을 형성하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의 갱폼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 분리된 구조를 이루어 하부가 기 시공된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가 전후로 이동되는 갱폼을 제안하여 시공하여야 할 건축물 외벽의 형상에 따라 상부를 이동시켜 외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갱폼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되어야 할 건축물의 외벽 형상에 맞게 상부체를 이동시키면서 외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부가 튀어나온 외벽 구조로 되는 건축물을 효과적으로 시공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을 상부체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이 건축물 시공에 사용되는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 층은 들어가고 어느 한 층은 튀어나오는 외벽 구조로 되는 건축물을 시공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평면의 외벽을 형성하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의 갱폼을 제안하기 위해, 상부체와 하부체로 되되, 상기 상부체가 하부체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동식 갱폼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을 상부체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이 건축물 시공에 사용되는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은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는 각각 가로 지지대 및 세로 지지대가 격자 형태로 짜여서 형성된 틀에 시공할 벽체 크기에 맞는 패널이 설치된 것으로,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대가 형성된다. 하부체(200)는 시공이 완료된 층의 외벽에 대응되어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상부체(100)로 시공될 층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는 별도로 마련되어 서로 연결된다. 시공되어야 할 건축물을 벽면을 향해 상부체(100)가 하부체(200)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층을 기준으로 그 위층이 들어가거나 튀어나오게 외벽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상부체(100)를 필요한 만큼 이동시킨 다음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유로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을 시공하여 줄 수 있다.
상부체(10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수단은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를 결속하는 핀과 같은 것일 수 있으며, 주지된 다양한 수단을 채택하면 된다.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이동은 이동수단(300)에 의해 달성된다. 이동수단(300)은 상기 상부체(100) 하단과 하부체(200)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를 이어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수단(300)은 하부체(200)에 고정되는 레일(320)과 상기 상부체(100)에 고정되어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체(200) 상단에 레일(320)이 상부체(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부체(100) 하단에는 롤러(340)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레일(320)은 하부체(200)의 좌우 횡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롤러(340)도 상부체(100)의 전후 종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320)은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사이에 롤러(340)가 안착되게 설치되는바, 롤러(340)가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사이에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레일(3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간의 간격은 롤러(340)의 이동은 자유로우면서도 레일(320)에서 롤러(340)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간격이 선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의 간격은 간격유지대(326)에 의해 유지된다. 간격유지대(326)는 대략 판 형상을 이루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의 양단에서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사이를 향해 돌기(3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돌기(327)가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롤러(340)는 상부레일(322)에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342)에 축 고정될 수 있다. 지지다리(342)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써 한 쌍의 지지다리(342)와 상부레일(322)의 하단이 아래로 입구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ㄷ'자 형상 내부에서 지지다리(342) 중간 지점에 롤러(340)가 축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342) 중간 지점에 롤러(340)가 형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상부레일(320)은 지지다리(342) 내부에서 롤러(340) 위쪽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다리(342)는 하단이 하부레일(324)을 감싸는 길이로 형성되는바, 지지다리(342)가 레일(320) 전체를 감싸게 되어 롤러(34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어느 일개 층의 시공이 완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갱폼의 하부체(200)를 기 시공이 완료된 층의 외벽에 고정한다.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는데, 고정 방법은 앙카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하게 되며, 이로써 이동식 갱폼이 낙하 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 따라 이동식 갱폼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부체(100)를 이동시킨다. 시공하여야 할 층의 외벽이 기 시공된 층의 외벽보다 돌출되는 구조라면 상부체(100)를 하부체(200)를 기준으로 외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반대라면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부체(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부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런 다음 유로폼을 설치하고, 유로폼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여 준다.
이후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유로폼을 제거하고 상부체(100)를 원위치시킴으로써 다시 인양할 준비를 하고, 앞서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소망하는 층까지 건축물을 시공하여 준다.
100 : 상부체, 200 : 하부체,
300 : 이동수단, 320 : 레일,
322 : 상부레일, 324 : 하부레일,
326 : 간격유지대, 327 : 돌기,
340 : 롤러, 342 : 지지다리.

Claims (4)

  1.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로 되되, 상기 상부체(100)가 하부체(200)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동식 갱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00) 하단과 하부체(200) 상단 사이에 이동수단(300)이 설치되어 상부체(1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이동수단(300)은 하부체(200)에 고정되는 레일(320)과 상기 상부체(100)에 고정되어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40)를 포함하는 이동식 갱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0)은 하부체(200)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320)과 상부체(100) 하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4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320)은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및 상기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양단에 설치되어 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 상태를 유지케 하는 간격유지대(326)를 포함하여, 상기 롤러(340)가 하부레일(324)과 상부레일(322) 사이에 안착되는 이동식 갱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40)는 상부레일(322)에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342)의 중간 지점에 축 고정되어 상기 상부레일(322)이 지지다리(342) 내부에서 롤러(340) 위쪽을 관통하게 되는 한편, 지지다리(342)는 하단이 하부레일(324)을 감싸는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식 갱폼.
KR1020180144692A 2018-11-21 2018-11-21 이동식 갱폼 KR2020005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92A KR20200059674A (ko) 2018-11-21 2018-11-21 이동식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92A KR20200059674A (ko) 2018-11-21 2018-11-21 이동식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74A true KR20200059674A (ko) 2020-05-29

Family

ID=7091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92A KR20200059674A (ko) 2018-11-21 2018-11-21 이동식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5505A1 (it) * 2021-10-07 2023-04-07 Faresin Formwork S P A Struttura di mensola rampante per casserature per getti vertica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533A (ko) 2006-12-05 2007-01-10 이병영 갱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533A (ko) 2006-12-05 2007-01-10 이병영 갱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5505A1 (it) * 2021-10-07 2023-04-07 Faresin Formwork S P A Struttura di mensola rampante per casserature per getti verticali
WO2023057949A1 (en) * 2021-10-07 2023-04-13 Faresin Formwork S.p.A. Climbing bracket for formwork for vertical cast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66090B2 (en) Precast modular concrete wall panel,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on
DE2929197C2 (de) Offenes Skelettrahmenelement aus Stahlbeton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1162748B1 (ko) 가변 거푸집
KR20200059674A (ko) 이동식 갱폼
US10253511B2 (en) Multi-flex forming system
KR101445286B1 (ko) 기준층의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192225B1 (ko) 조립 가능한 건축물의 내벽 단열 구조물
RU142420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перекрытие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RU2422603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RU188669U1 (ru) Каркасно-монолит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Атлант"
KR101581928B1 (ko) 돌출형태에 대응구성을 갖는 건축용 갱폼
RU167236U1 (ru) Объем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RU161468U1 (ru)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RU132465U1 (ru) Двухполоч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ригель пониженной высоты
SK501522014U1 (sk) Ľahká premiestniteľná priečka
JP2014159681A (ja) 間仕切壁
KR102231973B1 (ko) 세라믹 외장재의 결합장치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JP593412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5991879B2 (ja) 浴室構造及びユニットバス本体の固定方法
KR102460796B1 (ko) 벽식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용 모듈 유닛
KR20110103632A (ko) 건식벽체 및 그 시공 방법
RU2016104999A (ru) Способ выравнивания фасада при монолитном домостроен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