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50Y1 - 가설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가설대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50Y1
KR200423750Y1 KR2020060013420U KR20060013420U KR200423750Y1 KR 200423750 Y1 KR200423750 Y1 KR 200423750Y1 KR 2020060013420 U KR2020060013420 U KR 2020060013420U KR 20060013420 U KR20060013420 U KR 20060013420U KR 200423750 Y1 KR200423750 Y1 KR 20042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am
lifting
locking
guide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설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수직빔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가설대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상기 수직빔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재를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빔의 최초 로딩시 대형크레인이 1회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건축 구조물 공사중 대형크레인의 사용없이도 가설대 승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가설대 승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여 전체 공사진행에 소요되는 공기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설대, 승강장치, 수직빔, 안내걸림슈, 승강기재

Description

가설대 승강장치{Device for lifting temporary stan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안내걸림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안내걸림슈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빔 101 : 걸림돌기
102 : 날개편 200 : 안내걸림슈
200a : 날개판 210 : 고정기재
220 : 레치바 230 : 회동핀
240 : 결합핀 250 : 체결핀
260 : 안전결합핀 300 : 승강기재
310 : 유압실린더 311 : 제1가이드수단
320 : 피스톤로드 321 : 제2가이드수단
330 : 후크 331 : 회동핀
900 : 가설대 S : 외벽
본 고안은 가설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층 건축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가설대를 대형크레인 없이도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설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 시공시에는 구조물 외벽에 대하여 거푸집설치 등의 다양한 작업이 수행되므로, 구조물 외벽에 대한 원활한 작업수행을 위하여 구조물 외벽에 일종의 작업용 발판역할을 하는 가설대가 설치된다.
일례로, 저층 건축 구조물 시공시에는 지면에서 부터 구조물 최상층까지 구조물 외벽을 커버하도록 구조물에 외벽에 대하여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고정식 가설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식 가설대는 작업자가 강관들을 클램프나 조인트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조물의 층수가 증가됨에 따라 계속해 서 위로 추가설치된다. 다만, 고정식 가설대를 상기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추가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정수의 증가로 인해 공사기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일례로, 최근들어 많이 시공되고 있는 고층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지상층부터 최상층까지 구조물 외벽을 커버하도록 가설대를 설치하는 것이 여러가지 조건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불리하므로, 일정높이의 가설대를 구조물의 수직구간 일부에 설치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가설대를 외부의 대형크레인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구조물의 수직구간 전체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가설대를 구조물 외벽을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89401호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건축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대형크레인의 사용 횟수가 공사기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종래의 가설대 승강장치는 가설대를 상층으로 승강시키고자 할때 마다 대형크레인을 사용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공사기간의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외부의 대형크레인 없이도 가설대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수직빔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가설대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상기 수직빔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재는, 상기 가설대의 승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설대의 승강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상기 수직빔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상호 걸림결합되고 상기 수직빔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향회동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재는, 일측이 상기 유압실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빔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재는, 일측이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빔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후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후크의 하향회동은 제한하여 상기 후크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빔의 걸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상기 수직빔을 지지하는 안내걸림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수직빔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상호 걸림결합되고 상기 수직빔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향회동되는 레치바와, 상기 레치바의 하측에서 상기 레치바의 하향회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는 걸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장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부가 상기 안내걸림슈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상기 결합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고정기재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체결핀에 의해 상기 고정기재에 장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는 구조물 외벽에 설치되는 수직빔(100)을 포함하는 가설대(900)를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건축 구조물의 외벽(S)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수직빔(100)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상기 수직빔(10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재(300)와, 상기 외벽(S)에 상기 수직빔(100)이 가설될 부위를 따라 복수 설치되고 상기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걸림결합하여 상기 수직빔(100)을 지지하는 안내걸림슈(2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설대(900)는 건축 구조물 외벽(S)에 대하여 각종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조물 외벽(S)과 마주보는 측에 가설되어 일종의 발판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대(900)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품 등이 지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901)를 포함하는 입체틀 형상의 프레임구조로 형성된다.
즉, 가설대(900)는 구조물 외벽(S)과 마주보는 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빔(100)과, 상기 플레이트(901)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빔(1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수평빔(902)과, 상기 수직빔(100)과 상기 수평빔(902)에 경사지게 연결설치되어 가설대(9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경사빔(90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빔(100)은 구조물 외벽(S)과 마주보는 측에 2열 구조(미도시)로 설치될 수 있고, 구조물 외벽(S)과 마주보는 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 수의 걸림돌기(101)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설대(90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걸림결합되어 승강구동하는 승강기재(300) 및 안내걸림슈(200)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재(300)는 안내걸림슈(200)에 설치되어 수직빔(100)을 포함한 가설대(90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주행시키는 구성부품이다.
상기 승강기재(300)는 상기 가설대(900)의 승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는 피스톤로드(320)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310)와, 상기 피스톤로드(3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동핀(331)과 결합되어 가설대(900)의 승강방향을 따라 회동되는 한편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상향진입시 상호 걸림결합되고 걸림돌기(101)에 하향진입시 상향회동되는 후크(330)를 포함한다.
이처럼 승강기재(300)는 비교적 고중량의 가설대(900)를 승강시켜야 되므로 큰 힘을 얻는데 유리한 유압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유압실린더(310)는 유압원(미도시)과 유압펌프(미도시)와 방향전환밸브(미도시) 등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유압호스(301, 302)를 거쳐 전달받아 피스톤로드(320)를 왕복이동시킨다.
상기 후크(33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상호 교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설대(900)의 승강방향을 따라 회동되지만 피스톤로드(320)의 상승구동시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걸림결합되도록 수평상태를 유지하려면 피스톤로드(320) 상단부에 결합된 브라켓(332)에 의해 하방향회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승강기재(300)는 유압실린더(310)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피스톤로드(320)를 구동하여 수직빔(100)을 상승시키고 난 후 후퇴복원되어야 한다. 이때 후크(33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하향진입하여 간섭되므로 이러한 간섭현상이 회피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크(330)는 피스톤로드(320)의 후퇴복원시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간섭되지만 회동핀(33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회동하여 간섭을 회피한다.
이처럼 후크(300)는 걸림돌기(101)와의 간섭현상회피를 위하여 상향회동한 후에는 자중에 의해 수평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하여 상향회동한 후에는 자동 복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승강기재(300)는 일측이 유압실린더(3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직빔(100)의 날개편(102)을 밀접하여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압실린더(310)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수단(3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빔(100)의 날개 편(102) 양측에 일부 진입하여 감싸는 구조이므로, 피스톤로드(320)를 감싸는 유압실린더(310) 상부에 발생할 수 있는 회전 모멘트를 상쇄시켜 유압실린더(310)를 안정적으로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기재(300)는 일측이 피스톤로드(3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직빔(100)의 날개편(102)을 밀접하여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후크(330)의 정위치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수단(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승강기재(300)의 피스톤로드(320)는 유압실린더(3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되지만 여타 고정물에 결합되지 않는 자유단이므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후크(330)가 피스톤로드(3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상향진입시 걸림돌기(101)와 정상적으로 걸림결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재(300)의 피스톤로드(320)는 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수단(321)에 의해 후크(330)의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강기재(300)는 그의 하단부가 구조물의 외벽(S)에 고정설치되는 안내걸림슈에(200)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유압실린더(310)는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03)이 안내걸림슈(200)의 양 날개판(200a)에 형성되는 관통공(201)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관통공(303, 201)을 삽입관통하는 결합핀(240)에 의해 안내걸림슈(200)에 결합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안내걸림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걸림슈(20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걸림결합하여 수직빔(100)을 지지하되, 수직빔(100)이 승강기재(300)에 의해 승강주행시에는 지지상태가 해제되었다가 수직빔(100)이 목표 높이까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주행되면 다시 수직빔(100)을 지지하는 구성부품이다.
이러한 안내걸림슈(200)는 구조물 외벽(S)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재(210)에 장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고정기재(210)는 통상의 앵커볼트(B1)에 의해 구조물의 외벽(S)에 고정설치되고, 안내걸림슈(200)는 고정기재(210)와 체결핀(25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내걸림슈(200)와 고정기재(210)는 상호 일치되는 관통공(202, 21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관통공(202, 211)에 체결핀(250)이 삽입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처럼 안내걸림슈(200)는 고정기재(210)에서 상호 분리결합가능하므로, 수직빔(100)과의 지지상태가 해제된 해당 안내걸림슈(200)는 고정기재(210)에서 해체하여 구조물의 다른 층에 재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안내걸림슈(200)는 수직빔(100)이 하향진입시 걸림돌기(101)와 상호 걸림결합되고, 수직빔(100)이 상향진입시 걸림돌기(101)에 접촉되어 상향회동되는 레치바(2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치바(22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상호 교합(咬合)되는 형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걸림슈(200)의 양 날개판(200a) 사이에 삽입관통되는 회동핀(230)에 결합되어 수직빔(100)의 승강주행방향을 따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도 5참조)
그리고, 안내걸림슈(200)는 그의 양 날개판(200a) 사이에서 수직빔(10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채널(2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204)은 수직빔(1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하단부의 폭이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수직빔(100)과 안내걸림슈(200)의 중첩부위에는 관통공(103, 2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관통공(103, 203)에 삽입결합되는 안전결합핀(27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수직빔(100)과 안내걸림슈(200)는 상기 안전결합핀(270)에 의해 결합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가설대 승강장치의 안내걸림슈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와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가 걸림결합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5의 (b)는 안내걸림슈(200)에 걸림돌기(101)가 상향진입하여 레치바(220)가 상향회동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5의 (c)는 안내걸림슈(200)에서 걸림핀(260)이 분리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상기 레치바(220)는 안내걸림슈(200)의 양 날개판(200a) 사이에 삽입관통되는 걸림핀(260)에 의해 하향회동이 제한되거나 해제된다.
즉, 레치바(220)는 수직빔(100)이 하강주행시에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간섭되므로 걸림핀(260)을 분리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현상이 회피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레치바(220)는 수직빔(100)의 하강주행시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간섭될 수 있지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핀(260)을 안내걸림슈(22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하향회동되어 간섭이 회피된다.
일례로, 레치바(220)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하여, 수직빔(100)이 승강기재(300)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때에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져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상향회동되고, 걸림돌기(101)가 레치바(22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토션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되어 걸림핀(260)과 걸림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레치바(220)는 걸림핀(26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 하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설대(900)는 수직빔(100)만을 도시하였다.
도 6a를 참조하면, 가설대(900)를 제작하기 위한 수직빔(100)이 대형크레인 (미도시)에 의해 인양되어 기설치된 안내걸림슈(200)의 채널(204)내로 유도삽입되어 하강된다.
수직빔(100)을 하강시키는 동안, 안내걸림슈(200)는 수직빔(100)이 상기 대형크레인에 의해 소정위치에 하강유도될 때까지 걸림핀(260)을 해제하여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레치바(220)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승강기재(300)의 후크(330)도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향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빔(100)을 대형크레인으로 하강시킬 때 걸림돌기(101)가 승강기재(300)의 후크(330)와 간섭되어 하강작업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하강작업이 완료된 후에 승강기재(300)를 안내걸림슈(2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직빔(100)이 원하는 소정위치 예컨데, 바닥면에 위치되면 걸림핀(260)을 삽입하여 레치바(220)를 지지하도록 하고, 걸림돌기(101)가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에 하향진입하여 상호 걸림결합되도록 안내걸림슈(200)에 로딩한다. 이에, 레치바(220)는 걸림돌기(101)와 걸림결합되어 수직빔(100)을 지지하므로 수직빔(100)은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빔(100)이 안내걸림슈(200)에 로딩된 상태에서 가설대(900)를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고, 가설대(900)가 완성되면 구조물의 해당 층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이 안내걸림슈(200)에 로딩된 상태에서 수직빔(100)을 상방향으로 주행하고자 할 경우, 우선 안내걸림슈(200)에 설치된 승강기 재(300)를 상승구동하여 수직빔(100)과 걸림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승강기재(300)의 유압실린더(310)가 피스톤로드(320)를 상승구동하게 되면, 후크(330)는 수직빔(100)의 해당 걸림돌기(101)에 상호 결림결합되고 이어 수직빔(100)은 유압실린더(310)의 유압힘에 의해 상승주행된다.
이때, 수직빔(100)은 안내걸림슈(200)에서 언로딩되는 한편 승강기재(300)에 로딩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이 승강기재(300)에 로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0)를 계속 상승구동하여 그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수직빔(100)을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 수직빔(100)은 걸림돌기(101)가 승강기재(300)의 후크(330)와 걸림결합된 상태이므로 승강기재(300)의 유압실린더(310)가 상승구동되면 그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상승된다.
수직빔(100)이 상승되는 동안,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는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지만, 레치바(220)는 상향회동가능하므로 간섭현상이 방지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이 승강기재(300)의 상승구동에 의해 원하는 높이 예컨데, 걸림돌기(101)간의 간격만큼 상승되면,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가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와 걸림결합되어 로딩된다.
승강기재(300)는 유압실린더(310)를 하강구동하여 피스톤로드(320)를 후퇴복원하면 피스톤로드(320)의 후크(330)는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접촉되지 만, 후크(330)는 상향회동되므로 간섭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승강기재(300)는 그의 최대행정길이가 수직빔(100)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목표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도, 수직빔(100)을 승강기재(300)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단계적으로 반복하여 목표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도 6d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기재(300)의 피스토로드(320)를 후퇴복원하고,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빔(100)을 상승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빔(100)을 목표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설대(900)는 수직빔(100)만을 도시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은 그의 걸림돌기(101)가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와 상호 걸림결합되어 안내걸림슈(200)에 로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0)는 피스톤로드(320)를 상승구동하여 후크(330)와 걸림돌기(101)를 상호 걸림결합시킨다.
도 7b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을 하방향으로 주행하고자 할 경우 우선 그의 걸림돌기(101)와 걸림결합된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가 하향회동되어야 하고, 이에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가 후크(330)와 걸림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걸림핀(260)을 해제하여 레치바(220)를 하향회동시킨다.
도 7c를 참조하면, 레치바(220)가 하향회동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0)를 하강구동하여 그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수직빔(100)이 승강기재(300)의 하강구동에 의해 그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원하는 길이 예컨데, 걸림돌기(101)간의 간격만큼 하강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수직빔(100)이 원하는 길이 예컨데, 걸림돌기(101)간의 간격만큼 하강된 상태에서, 레치바(220)가 걸림핀(260)가 의해 지지되도록 레치바(220)를 복원하고 걸림핀(260)을 장착한다.
따라서, 수직빔(100)은 해당 걸림돌기(101)가 해당 안내걸림슈(200)의 레치바(220)에 하향진입하여 걸림결합되어 지지되며, 수직빔(100)이 안내걸림슈(20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수직빔(100)은 승강기재(300)에서 언로딩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기재(300)는 그의 최대행정길이가 수직빔(100)의 하강시키고자하는 목표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도, 수직빔(100)을 승강기재(300)의 최대행정길이 내에서 단계적으로 반복하여 목표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도 7d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기재(300)의 후크(330)를 상향회동시켜 수직빔(100)의 걸림돌기(101)와 간섭을 회피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320)를 최대행정길이내로 상승전진시키고, 후크(330)를 복원하여 수직빔(100)의 해당 걸림돌기(101)에 걸림결합시킨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빔(100)을 하강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빔(100)을 목표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빔의 최초 로딩시 대형크레인이 1회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건축 구조물 공사중 대형크레인의 사용없이도 가설대 승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가설대 승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여 전체 공사진행에 소요되는 공기 및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최대행정길이가 구조물의 층간 높이보다 작은 소용량 승강기재를 사용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가설대를 목표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내걸림슈가 구조물 외벽에서 분리결합 가능하므로 구조물의 층간마다 설치될 필요없이 해체하여 연속 사용가능하므로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수직빔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가설대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상기 수직빔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재를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재는,
    상기 가설대의 승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설대의 승강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상기 수직빔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상호 걸림결합되고 상기 수직빔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향회동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재는,
    일측이 상기 유압실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빔을 감싸는 형태로 설 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재는,
    일측이 상기 피스톤로드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빔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후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후크의 하향회동은 제한하여 상기 후크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빔의 걸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림결합하여 상기 수직빔을 지지하는 안내걸림슈를 더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수직빔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와 상호 걸림결합되고 상기 수직빔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되어 상향회동되는 레치바; 및
    상기 레치바의 하측에서 상기 레치바의 하향회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장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부가 상기 안내걸림슈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상기 결합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기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걸림슈는 상기 고정기재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체결핀에 의해 상기 고정기재에 장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KR2020060013420U 2006-05-19 2006-05-19 가설대 승강장치 KR20042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20U KR200423750Y1 (ko) 2006-05-19 2006-05-19 가설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20U KR200423750Y1 (ko) 2006-05-19 2006-05-19 가설대 승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992A Division KR100704720B1 (ko) 2006-05-19 2006-05-19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50Y1 true KR200423750Y1 (ko) 2006-08-11

Family

ID=4177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420U KR200423750Y1 (ko) 2006-05-19 2006-05-19 가설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5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15B1 (ko) 2006-12-05 2007-06-21 이병영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862275B1 (ko) 2007-06-20 2008-10-09 주식회사 근하기공 고층건물 시공용 지씨에스
KR101225811B1 (ko) *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CN107654059A (zh) * 2017-08-31 2018-02-0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用于电梯井井道内施工的可移动式操作平台
KR101982699B1 (ko) * 2018-07-12 2019-05-27 이준용 레일 갱폼 상승 안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15B1 (ko) 2006-12-05 2007-06-21 이병영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862275B1 (ko) 2007-06-20 2008-10-09 주식회사 근하기공 고층건물 시공용 지씨에스
KR101225811B1 (ko) *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US8673189B2 (en) * 2008-03-25 2014-03-18 Peri Gmbh Method for implementing a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with climbing rail extension pieces
CN107654059A (zh) * 2017-08-31 2018-02-02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用于电梯井井道内施工的可移动式操作平台
KR101982699B1 (ko) * 2018-07-12 2019-05-27 이준용 레일 갱폼 상승 안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720B1 (ko)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JP3468243B2 (ja) 昇降装置
KR101024455B1 (ko)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KR200423750Y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101240032B1 (ko)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100774883B1 (ko) 반자동 상승장치
KR102180713B1 (ko) 리프트
KR100927259B1 (ko) 가설대 승강장치
CN108005687A (zh) 分离式隧道钢拱架安装装置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WO2004020766A1 (en)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KR100841011B1 (ko) 중량물 승강장치
CN116057000A (zh) 用于在建筑物建造期间安装升降机的安装平台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200495185Y1 (ko) 타공장치
AU2012255623B2 (en) A lifting apparatus for a safety screen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20070237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CN207647523U (zh) 分离式隧道钢拱架安装装置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JP2013076222A (ja) 作業機械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