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13B1 - 리프트 - Google Patents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13B1
KR102180713B1 KR1020200044408A KR20200044408A KR102180713B1 KR 102180713 B1 KR102180713 B1 KR 102180713B1 KR 1020200044408 A KR1020200044408 A KR 1020200044408A KR 20200044408 A KR20200044408 A KR 20200044408A KR 102180713 B1 KR102180713 B1 KR 10218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upport
support part
vertical suppor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김민상
김덕호
장병규
Original Assignee
이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현 filed Critical 이기현
Priority to KR102020004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는 하부 지지부(1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강설치되는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승강부(300)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확장 작업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하부 지지부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고,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된다.

Description

리프트{LIFT}
본 발명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위 아래로 운반하거나 높은 곳에서 작업자에게 소정의 작업높이를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는 물건을 위 아래로 운반하거나 작업자에게 소정의 작업높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리프트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지대로부터 승강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트의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10372호의 작업 리프트는 승강수단이 설치된 2단 작업리프트를 제안한다.
선행문헌의 작업 리프트는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수단의 승강에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상부작업대가 승강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리프트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승강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승강수단에 의해 작업을 위한 물건, 작업자를 높은 작업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리프트의 작업공간은 지지대의 고정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까지 제한된다.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고정시키면 작업자는 상승된 작업대에서 팔의 닿을 수 있는 수평 영역까지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만약 작업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우 지지대를 수평이동하여야 하고, 다시 초기 작업공간이 요구될 경우 다시 지지대를 수평이동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작업공간에는 방해물이 있을 수 있다. 방해물은 이동가능한 물건일 경우, 방해물을 이동시킨 후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이 불가능한 물건일 경우 리프트의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7606호, 조적 작업 보조용 리프트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405496호, 무대용 리프트 등록특허공보 제10-1510372호, 차량 엔진 조립용 2단 작업 리프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1736호,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 리프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리프트를 설치할 위치에 방해물이 있을 경우에도 방해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는 리프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를 이동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작업공간을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리프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부의 한계 높이에서 추가로 승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는 하부 지지부(1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강설치되는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승강부(300)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확장 작업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하부 지지부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고,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작업부는 작업 프레임(410)과, 상기 작업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결대(420)와, 상기 작업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43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지지부에는 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 작업부의 체결대는 가이드봉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의 상부 지지부의 일측에는 사다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하부 지지부의 하부는 일측이 오픈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부의 하부가 일측이 오픈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방해물이 있는 곳에도 리프트 설치가 자유롭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지지부의 상측에 외측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확장 작업부를 설치함으로써, 리프트의 이동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수평 작업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 작업부의 상부에 추가로 승강대를 설치함으로써, 승강부의 한계 높이에서 추가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하부 지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지지대의 추락 방지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상부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부에 확장 작업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부에 설치된 확장 작업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에 확장 작업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리프트의 배면에서 본 가이드봉과 체결대의 결합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는 가이드봉과 체결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작업자에게 소정의 작업 높이를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는 하부 지지부(1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강설치되는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승강부(300)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확장 작업부(40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부는 하부 지지부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측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는 결합에 따라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하부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지지부(100)는 내부가 빈 공간부를 갖는 수직 지지대(111,112,113,114)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부를 결합하는 상부 수평보강대(121,122,123)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부를 결합하는 하부 수평보강대(131,132.133)와, 상기 하부 수평보강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추락 방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전좌측 수직 지지대(111), 전우측 수직 지지대(112), 후좌측 수직 지지대(113), 및 후우측 수직 지지대(114)로 이루어지고, 이들 수직 지지대들은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직 지지대들의 상부에는 상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되고, 수직 지지대들의 하부에는 하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대들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된다. 이동바퀴는 작업장에서 리프트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바퀴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이동바퀴의 회전을 방지하고 리프트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게 한다.
상기 상부 수평보강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들의 상부를 상호 결합하는 전측상부 수평보강대(121)와, 좌측상부 수평보강대(122)와 우측상부 수평보강대(123)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대와 전우측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는 전측상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되고,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대와 후좌측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는 좌측상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되며, 상기 전우측 수직 지지대와 후우측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는 우측상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 수평보강대는 전측하부 수평보강대(131)와, 좌측하부 수평보강대(132)와, 우측하부 수평보강대(133)로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대와 전우측 수직 지지대의 하부에는 전측하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되고,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대와 후좌측 수직 지지대의 하부에는 좌측하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되며, 상기 전우측 수직 지지대와 후우측 수직 지지대의 하부에는 우측하부 수평보강대가 결합된다.
상기 추락 방지부(140)는 작업장의 바닥이 함몰될 경우 리프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 지지대에는 고정부(150)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리프트의 이동후 리프트가 유동하지 않도록 바닥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부는 보관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지지대의 추락 방지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추락 방지부(140)는 좌측하부 수평보강대와 우측하부 수평보강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추락 방지부는 전좌측 수직 지지대(111), 전우측 수직 지지대(112), 후좌측 수직 지지대(113), 및 후우측 수직 지지대(114)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 보다 높게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작업장 바닥이 함몰될 경우, 추락 방지부가 작업장 바닥에 접촉함으로써 리프트가 더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CC는 바닥이 함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AA는 함몰된 영역에 이동바퀴가 하강함에 따라 추락 방지부의 하측 단부가 바닥에 접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리프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측하부 수평보강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는 일측이 오픈(open)된 영역을 갖는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장에 움직일 수 없는 방해물이 있을 경우에도 방해물의 상측으로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되돌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측상부 수평보강대(121)와 전측하부 수평보강대(131)에는 승강부(300)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하부 수평보강대에는 컨트롤러 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승강부의 승강 동력을 제공한다. 작업자가 컨트롤러 박스를 조작하여 승강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것이다.
승강부는 리프트의 전측에 설치된다. 승강부는 물건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승강부(300)는 고정 프레임(310)과 승강 프레임(320)과 적재 프레임(330)과 유압 파이프(340)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 승강 프레임, 적재 프레임은 체인(350)으로 연결되는데, 체인의 일단은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체인의 타단은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며, 체인의 중간은 승강 프레임의 롤러에 결합된다.
그리고 유압 파이프는 승강 프레임에 결합된다. 유압 파이프를 상승시키면 승강 프레임이 상승하고, 승강 프레임의 상승과 동시에 적재 프레임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 동력으로 유압을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상부 지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상부 지지부에 확장 작업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부는 하부 지지부으로부터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지지부(200)는 하부 지지부의 수직 지지대(111,112,113,114)와 결합되는 수직 지지봉(211,212,213,214)과, 상기 수직 지지봉의 상부를 결합하는 전측상부 수평보강봉(221)과, 좌측상부 수평보강봉(222)과, 우측상부 수평보강봉(223)과, 후측상부 수평보강봉(224)과, 상기 전측상부 수평보강봉과 후측상부 수평보강봉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23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봉은 전좌측 수직 지지봉(211), 전우측 수직 지지봉(212), 후좌측 수직 지지봉(213), 및 후우측 수직 지지봉(214)로 이루어지고, 이들 수직 지지봉들은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실시예로서, 하부 지지부의 전좌측 수직 지지대(111), 전우측 수직 지지대(112), 후좌측 수직 지지대(113), 후우측 수직 지지대(114)에는 각각 상부 지지부의 전좌측 수직 지지봉(211), 전우측 수직 지지봉(212), 후좌측 수직 지지봉(213), 후우측 수직 지지봉(214)에 끼움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는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봉에는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대와 수직 지지봉에 형성된 통공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공을 대응시킨 후, 높이조절볼트(VT)를 결합하여 상부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직 지지봉에는 스토퍼(292)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상부 지지부의 하중을 지탱하고, 높이조절볼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되돌아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지지봉의 상부에는 상부 수평보강봉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수평보강봉은 전측상부 수평보강봉(221)과 좌측상부 수평보강봉(222)과 우측상부 수평보강봉(223)과 후측상부 수평보강봉(224)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로서,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봉과 전우측 수직 지지봉의 상부에는 전측상부 수평보강봉(221)이 결합되고, 상기 전좌측 수직 지지봉과 후좌측 수직 지지봉의 상부에는 좌측상부 수평보강봉(222)이 결합되며, 상기 전우측 수직 지지봉과 후우측 수직 지지봉의 상부에는 우측상부 수평보강봉(223)이 결합되고, 상기 후좌측 수직 지지봉과 후우측 수직 지지봉의 상부에는 후측상부 수평보강봉(223)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봉(230)에는 확장 작업부(40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봉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며, 좌측 가이드봉과 우측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우 가이드봉은 전측상부 수평보강봉과 후측상부 수평보강봉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봉과 확장 작업부의 슬라이딩 결합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지지봉과 상부 수평보강봉의 상부에 안전 플레이트(270)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안전 플레이트(270)의 상측에서 안전하게 작업 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지지부에는 사다리(500)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사다리(ladder)를 이용하여 상부 지지부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작업부(400)는 상부 지지부(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부에 설치된 확장 작업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에 확장 작업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리프트의 배면에서 본 가이드봉과 체결대의 결합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확장 작업부(400)는 작업 프레임(410)과, 상기 작업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 지지부의 가이드봉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대(420)와, 상기 작업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43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 작업부의 체결대(420)는 상부 지지부의 가이드봉(230)에 끼움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확장 작업부는 가이드봉에 끼워져 상부 지지부로부터 타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지지부에 올라간 작업자의 수평 작업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작업 프레임(410)의 상부에는 승강대(430)가 설치된다. 승강대는 작업 프레임의 상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천장에 설치할 경우, 승강대는 작업자에게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려 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가이드봉과 체결대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상부 지지부의 가이드봉(230)에는 그 상부에 슬라이딩 홀(231)이 형성되고, 측면에 스토퍼 홀(232)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홀의 일측에 체결홀(2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확장 작업부의 체결대(420)에는 그 상부에 돌출부(421)가 형성되고, 측면에 스토퍼(422)가 설치되며, 또한 측면에 제1 상부 롤러(424), 제2 하부 롤러(425), 제3 하부 롤러(426)가 설치되며, 일측 상부에 결합홀(423)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하부 롤러를 중앙에 배치되고, 제1 상부 롤러는 일측에 배치되며, 제3 하부 롤러는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대의 돌출부(421)는 가이드봉의 슬라이딩 홀(231)에 끼워지고, 체결대의 스토퍼(422)는 가이드봉의 스토퍼 홀(232)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상부 롤러(424), 제2 하부 롤러(425), 제3 하부 롤러(426)는 가이드봉의 내면에서 구름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제1 상부 롤러는 가이드봉의 내측 상부와 접촉하고, 제2 하부 롤러와 제3 하부 롤러는 가이드봉의 내측 하부와 접촉한다. 제1 상부 롤러는, 리프트의 타측으로 돌출된 확장 작업부에 무거운 물건이 놓여졌을 경우, 확장 작업부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하부 롤러와 제3 하부 롤러는 확장 작업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한다.
체결대를 가이드봉에 끼움 결합하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대의 제2 하부 롤러(425)가 상부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확장 작업대에 놓여진 물건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한편, 확장 작업부를 리프트의 타측으로 돌출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봉의 체결홀(233)과 확장 작업부의 결합홀(423)은 결합핀(PIN)을 사용하여 체결하여, 확장 작업부가 상부 지지부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하부 지지부
200 : 상부 지지부
300 : 승강부
400 : 확장 작업부
500 : 사다리

Claims (5)

  1. 하부 지지부(1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승강부(300)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확장 작업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300)는 하부 지지부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고, 확장 작업부(400)는 상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확장 작업부는 상부 지지부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230)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230)은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231)과, 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홀(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 작업부(400)는 작업 프레임(410)과, 상기 작업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 지지부의 가이드봉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체결대(420)와, 상기 작업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430)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작업부(400)의 체결대(420)는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421)와, 측면에 설치되는 스토퍼(422)와,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상부롤러 및 제2 하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대의 돌출부(421)는 가이드봉의 슬라이딩 홀(231)에 끼워지고, 체결대의 스토퍼(422)는 가이드봉의 스토퍼 홀(232)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상부 롤러(424)와 제2 하부 롤러(425)는 가이드봉의 내면에서 구름 동작하도록 설치되되, 제1 상부 롤러는 가이드봉의 내측 상부와 접촉하며, 제2 하부 롤러는 가이드봉의 내측 하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230)에는 슬라이딩 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 작업부의 체결대(420)에는 일측 상부에 결합홀(423)이 형성되며,
    결합핀(PIN)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홀(231)과 결합홀(423)을 상호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의 일측에는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부는 일측이 오픈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1020200044408A 2020-04-13 2020-04-13 리프트 KR10218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08A KR102180713B1 (ko) 2020-04-13 2020-04-13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08A KR102180713B1 (ko) 2020-04-13 2020-04-13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13B1 true KR102180713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08A KR102180713B1 (ko) 2020-04-13 2020-04-13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0743A (zh) * 2022-07-21 2022-09-27 南通致和祥智能装备有限公司 集成式智能升降爬架
KR102447971B1 (ko) * 2021-09-06 2022-09-27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롤링 타워
KR102542318B1 (ko) * 2022-10-07 2023-06-13 비에스티 (주) 반도체 부품 핸들링 장치
CN117090377A (zh) * 2023-10-19 2023-11-21 山西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金属板铺装工程脚手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168U (ja) * 1991-12-20 1995-08-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乗降用梯子構造
JP2002302389A (ja) * 2001-04-06 2002-10-18 Nippon Steel Corp 移動式高所作業車
KR20080011736A (ko)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1405496B1 (ko) 2013-10-30 2014-06-27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무대용 리프트
KR101510372B1 (ko) 2013-11-22 2015-04-09 김영문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KR20180085639A (ko) *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20190107606A (ko) 2019-08-26 2019-09-20 안병노 조적 작업 보조용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168U (ja) * 1991-12-20 1995-08-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乗降用梯子構造
JP2002302389A (ja) * 2001-04-06 2002-10-18 Nippon Steel Corp 移動式高所作業車
KR20080011736A (ko)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1405496B1 (ko) 2013-10-30 2014-06-27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무대용 리프트
KR101510372B1 (ko) 2013-11-22 2015-04-09 김영문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KR20180085639A (ko) *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20190107606A (ko) 2019-08-26 2019-09-20 안병노 조적 작업 보조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971B1 (ko) * 2021-09-06 2022-09-27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롤링 타워
CN115110743A (zh) * 2022-07-21 2022-09-27 南通致和祥智能装备有限公司 集成式智能升降爬架
KR102542318B1 (ko) * 2022-10-07 2023-06-13 비에스티 (주) 반도체 부품 핸들링 장치
CN117090377A (zh) * 2023-10-19 2023-11-21 山西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金属板铺装工程脚手架
CN117090377B (zh) * 2023-10-19 2023-12-29 山西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金属板铺装工程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713B1 (ko) 리프트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US7143869B1 (en) Hydraulic vehicle lift
WO2004020766A1 (en)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JP2020063119A (ja) 移動式リフト
JP2001348200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H0730632Y2 (ja) 車輌整備用リフト
GB241518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H0115792Y2 (ko)
KR101666419B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AU2003254411B2 (en)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JPH0680790U (ja) 自動車整備用リフト
JP2949472B2 (ja) 高所作業車
JPH0650479Y2 (ja) テーブルリフター
KR102382816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KR100887559B1 (ko) 승강가능한 운전석을 구비하는 굴삭기
JP2018167988A (ja) 高所作業車
JP2758299B2 (ja) 伸縮装置
JP3048829U (ja) バイク・リフトの車体ジャッキ
JPH07257892A (ja) 高所作業車
JPH09227099A (ja) 昇降作業装置の安全装置
KR20220156548A (ko) 지지 프레임용 변환 키트,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통합 진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