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171A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Google Patents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71A
KR20170035171A KR1020150133930A KR20150133930A KR20170035171A KR 20170035171 A KR20170035171 A KR 20170035171A KR 1020150133930 A KR1020150133930 A KR 1020150133930A KR 20150133930 A KR20150133930 A KR 20150133930A KR 20170035171 A KR20170035171 A KR 2017003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base
fixed
work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고대현
고세현
고성현
임정순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15013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171A/ko
Priority to US15/221,535 priority patent/US9945134B2/en
Priority to CN201610605123.7A priority patent/CN106393014A/zh
Publication of KR2017003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에 따라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상승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에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으며, 적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작업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작업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Up-down work table}
본 발명은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에 따라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상승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에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으며, 적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작업공정에 따라 필요한 각종 공구 또는 자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구 또는 자재 등이 올려지는 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과, 별도의 승강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 승강형의 작업대는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수평 링크바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 구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승강형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과, 공구 또는 자재 등이 올려지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마운트프레임(13) 및 마운트프레임(13)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링크구조(15)로 구성되며, 이러한 종래 승강형 작업대는 링크구조(15)의 상하방향 신축에 의해 상기 마운트프레임(13)의 승강이 이루어져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는 마운트프레임(13)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구조(15)로 인해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올려지는 자재의 중량이 비교적 클 경우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가 어려웠으며, 또한,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승강형 작업대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는 모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승강 높이를 펌프나 전동모터 또는 기타 액추에이터를 통해 조절하는 형태이며, 작업대의 높이를 수시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9877호 : 수동식 승강작업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5961호 : 승강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하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효율이 높으며, 작업대상물의 단위 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일측에 작업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적재부가 결합되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작업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일측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승강지지축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작업지지대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지 않아도 최하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승강지지유닛에 의해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적재부와 결합되는 적재부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부는 작업대상물의 형태 또는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재부지지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는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 과정에서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승강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허리 또는 무릎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품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의 후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승강부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고정가이드부재를 확대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적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10)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작업지지대(200)와, 상기 작업지지대(200)를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300) 및 커버부(40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00)는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유닛(300)과 작업지지대(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받침부재(110)가 마련되어 작업장의 바닥에 단순 지지될 수도 있고, 앵커나 고정볼트 등을 통해 작업장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작업지지대(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승강지지유닛(300)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작업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작업을 위해 올려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업지지대(200)는 후술하는 승강지지유닛(300)에 의행 승강 구동하는 승강부(220)와 승강부(220)에 일측이 고정되고 승강부(22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적재부지지대(230)와, 적재부지지대(230)에 결합되는 적재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부지지대(230)는 일단이 상기 승강부(2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커버부(400)의 장공(410)을 관통해 커버부(4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231)와, 커넥터(23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232)을 포함하는데, 이 연결판(232)에 적재부(240)가 체결된다.
상기 적재부(240)는 작업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부지지대(230)를 통해 승강부(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적재부(240)에 작업대상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승강부(220)로 하중이 전달되어 승강부(220)가 하강하거나 상승하면서 작업대상물의 적재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적재부(24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부에 받침대(241)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에 돌기(242)가 형성되어 박스형태의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받침대(241)의 연장방향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작업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도록 맞춤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작업대상물이 원통형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재부(240)가 평판형으로 형성되면 적재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상면에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적재부(240)는 적재부지지대(23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상의 적재부(240)를 선택하여 적재부지지대(230)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승강지지유닛(300)은 상기 작업지지대(200)를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승강지지유닛(300)은 베이스부(100)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부재(320)와, 경사가이드부재(320)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지지축(330)과, 승강지지축(330)과 작업지지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가 설치되는 부분을 베이스부(100)의 후방, 고정가이드부재(310)에 대하여 경사가이드부재(320)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는 베이스부(10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데, 베이스부(100)로부터 상방으로 두 개가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고정가이드부재(310)의 마주 보는 두 대향면에는 각각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작업지지대(20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가이드롤러(210)가 상기 제1 가이드홈(311)을 따라 주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일측에는 연장가이드부(350)가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연장가이드부(350)의 양측에 지지베어링(351)이 연장가이드부(350)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지지베어링(351)은 베어링지지판(352)에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지지판(352)은 상기 제1 가이드홈(311)을 따라 주행하는 제1 가이드롤러(210)의 롤러축(211)이 지지되는 내측판(212)과 연결되는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310) 연장가이드부(350) 및 지지베어링(351)과 베어링지지판(3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의 고정가이드부재(3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가이드부재(320)는 고정가이드부재(310)의 전방에 고정가이드부재(310)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즉, 경사가이드부재(320)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대하여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 일측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형성된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이 결합포인트(P)를 중심으로 경사가이드부재(320) 전체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320)에도 마주보는 대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홈(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홈(321)에는 승강지지축(330)이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지지축(330)은 양측 단부에 상기 제2 가이드홈(3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2 가이드롤러(331)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320)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지지축(330)은 상기 작업지지대(20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340)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일측 단부는 상기 작업지지대(200)의 후측 또는 상기 롤러축(2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승강지지축(330)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작업지지대(200)의 하부에는 완충을 위한 가스실린더가 더 마련될 수도 있는데, 가스실린더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승강지지축(330)과 작업지지대(20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지지대(200)에 작업대상물이 갑자기 적재되거나 하역되면서 급격한 하중 변화가 발생할 때, 작업지지대(200)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유닛(300)은 경사가이드부재(320)가 고정가이드부재(3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고정가이드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대상물을 작업지지대(200) 상에 적재하면, 작업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40)가 인장되면서 작업지지대(200)가 하강하게 된다. 작업지지대(200) 상에 적재된 작업대상물의 하중과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상기 작업지지대(200)는 멈추게 되는데, 작업대상물을 추가로 적재하면 작업지지대(200)는 증가한 하중에 대응하도록 더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작업지지대(200)에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을 하역하면 하중이 감소하면서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지지대(200)는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지지대(200)에 작업대상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면서 작업지지대(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지지대(200)가 하강 또는 승강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일정한 높이에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상기 승강지지유닛(300)은 또한 경사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조절부(360)에 의해 경사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작업대상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단위중량당 작업지지대(200)의 승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가이드부재(320)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310)에 대하여 경사각이 크게 형성될 경우 단위중량당 작업지지대(200)의 하강거리는 작아진다. 반대로 경사가이드부재(320)가 고정가이드부재(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면 단위중량당 작업지지대(200)의 하강거리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금속이나 석재와 같이 비중이 큰 소재의 작업대상물의 경우에는 경사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크게 하고, 합성수지나 섬유 또는 종이 박스와 같이 비중이 작은 소재의 작업대상물의 경우에는 경사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작게 하여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하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조절부(36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각조절부(360)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었으며, 실린더본체(361)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고 실린더로드(362)가 경사가이드부재(320)와 연결되어 진퇴구동을 통해 경사가이드부재(32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100) 또는 이와 인접한 어느 위치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탱크와 유체를 실린더로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는 페달식 또는 레버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을 빼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사각조절부(360)로 적용되는 액추에이터로 전동식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인출로드가 진퇴 구동하면서 경사가이드부재(3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사각조절부(360)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작업대상물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거리를 작업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가이드부재(320)는 고정가이드부재(310)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가이드부재(320)가 고정가이드부재(310)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태에서는 작업지지대(200)의 하강에 따라 탄성부재(340)가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외력이 없어도 작업지지대(200)의 자중에 의해 작업지지대(200)가 최하방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작업장의 바닥에 작업대상물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이 작업대상물을 작업지지대(200)에 적재할 필요가 있을 때, 경사가이드부재(320)를 고정가이드부재(310)와 나란히 연장되도록 조절하여 작업지지대(200)를 하강시킨 후 작업대상물을 편하게 작업지지대(200) 상에 적재할 수 있다.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경사가이드부재(320)를 원하는 경사각이 되도록 조절하면 작업지지대(200)가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작업자가 허리를 펴고 선 상태에서 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100)나 승강지지유닛(300)의 일측에 상기 작업지지대(200)의 하강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작업지지대(200)가 하강한 하강회수를 자동으로 감지하게 함으로써 1일 작업량을 자동으로 체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400)는 베이스부(100)와 승강지지유닛(300) 및 승강부(220)를 감싸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적재부지지대(230)가 관통할 수 있게 장공(410)이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부지지대(230)는 승강부(220)의 승강구동시 장공(4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10)는 작업대상물의 적재 및 하역에 따라 적재부(24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업대상물의 적재위치를 적정위치로 유지시켜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 및 허리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되며, 특히 적재부(240)의 단위 중량당 이동 거리를 작업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중이 다른 다양한 작업대상물에 대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100: 베이스부
200: 작업지지대
210: 제1 가이드롤러 220: 승강부
230: 적재부지지대 231: 커넥터
232: 연결판 240: 적재부
241: 받침대 242: 돌기
300: 승강지지유닛
310: 고정가이드부재 311: 제1 가이드홈
320: 경사가이드부재 321: 제2 가이드홈
P: 결합포인트 330: 승강지지축
331: 제2 가이드롤러 340: 탄성부재
350: 연장가이드부 351: 지지베어링
352: 베어링지지판 360: 경사각 조절부
361: 실린더 본체 362: 실린더로드
400: 커버부 410: 장공

Claims (5)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일측에 작업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적재부가 결합되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작업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일측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승강지지축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작업지지대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지 않아도 최하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승강지지유닛에 의해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적재부와 결합되는 적재부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부는 작업대상물의 형태 또는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재부지지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20150133930A 2015-07-28 2015-09-22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70035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30A KR20170035171A (ko) 2015-09-22 2015-09-22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US15/221,535 US9945134B2 (en) 2015-07-28 2016-07-27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CN201610605123.7A CN106393014A (zh) 2015-07-28 2016-07-28 负荷调节型升降工作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30A KR20170035171A (ko) 2015-09-22 2015-09-22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71A true KR20170035171A (ko) 2017-03-30

Family

ID=5850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30A KR20170035171A (ko) 2015-07-28 2015-09-22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1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443A (zh) * 2018-11-02 2019-01-1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总装实训平台
CN109176299A (zh) * 2018-09-29 2019-01-11 天津布莱德尔机床有限公司 一种研磨机上下料装置及研磨机
KR20210034824A (ko) *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WO2022080584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61A (ko) 2002-08-14 2004-02-21 임경일 절단 기능을 갖는 잉크젯 프린터, 이에 사용되는카트리지, 기록매체 및 제어방법
KR100619877B1 (ko) 2005-08-04 2006-09-06 (주)태진이엔지 수동식 승강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61A (ko) 2002-08-14 2004-02-21 임경일 절단 기능을 갖는 잉크젯 프린터, 이에 사용되는카트리지, 기록매체 및 제어방법
KR100619877B1 (ko) 2005-08-04 2006-09-06 (주)태진이엔지 수동식 승강작업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299A (zh) * 2018-09-29 2019-01-11 天津布莱德尔机床有限公司 一种研磨机上下料装置及研磨机
CN109176443A (zh) * 2018-11-02 2019-01-1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总装实训平台
CN109176443B (zh) * 2018-11-02 2023-10-13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总装实训平台
KR20210034824A (ko) *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WO2022080584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US9945134B2 (en)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967220B1 (ko) 승강작업대
KR102180713B1 (ko) 리프트
KR102093868B1 (ko) 높이 조절형 가공 철근 다단 적재 리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 철근 가공 시스템
KR20090082992A (ko) 고소작업대
KR20100138329A (ko) 스크류 잭 방식의 리프터
KR20140002915U (ko)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JP6272532B1 (ja) 柱状材支持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529168B1 (ko) 팔레트 셋업 장치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120021077A (ko) 부품 공급 장치
KR20130125179A (ko) 중량물 승강 장치
KR102236143B1 (ko)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101546017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유닛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KR101224837B1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101567462B1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JP6080741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JP6481949B2 (ja) 壁面ボードリフターおよび壁面ボード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