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367B1 -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367B1
KR101635367B1 KR1020140140096A KR20140140096A KR101635367B1 KR 101635367 B1 KR101635367 B1 KR 101635367B1 KR 1020140140096 A KR1020140140096 A KR 1020140140096A KR 20140140096 A KR20140140096 A KR 20140140096A KR 101635367 B1 KR101635367 B1 KR 10163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ent
pair
hydraulic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957A (ko
Inventor
전도형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3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운반대상물을 운반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연결하며, 운반대상물이 체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연장시켜 상기 제2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리프터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운반장치{Carrier}
본 발명은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협소한 공간에 운반대상물을 운반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중량물을 선박의 객실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배치시킬 때 작업자가 직접 들어서 배치시켜야 한다. 이 때 상기 중량물이 전복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작업자가 직접 상기 중량물을 배치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객실마다 레일을 설치하는 시간과 비용이 크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적다. 또한 중량물을 레일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작업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2019990020835 (등록일: 1999.12.07)
본 발명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운반대상물을 운반시킬 수 있는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운반대상물을 리프터로 들어올려 운반대상물의 전복에 의한 안전사고에 대비한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연결하며, 운반대상물이 체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연장시켜 상기 제2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리프터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압부 및 상기 유압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부는, 상기 몸체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하방향의 힘으로 변환시켜 상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유압부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홈 중 한 쌍에,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홀 중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홀 중 하나에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운반대상물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운반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롤러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운반대상물을 운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리프터를 통해 운반대상물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운반대상물의 전복에 의한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리프터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가 운반대상물을 운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리프터(4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태로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은 서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100)을 연결하며, 제2 프레임(200) 상에 운반대상물(10)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은 운반대상물(1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철 소재의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프터(400)는 제1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제1 프레임(100)을 연장시켜 제2 프레임(20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제2 프레임(200)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제2 프레임(200) 상에 체결된 운반대상물(10) 역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체결부(300)는 제2 프레임(200)을 제1 프레임(1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부(300)는 홀에 삽입되는 볼트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하강한 상태의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은 유압부(500)가 구동된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를 나타내고, 도 4는 연장부(600)가 구동된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400)는 몸체(310), 유압부(500) 및 연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복수의 홈(315)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315)에 제2 프레임(200)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1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자세히 하도록 한다.
유압부(500)는 상기 몸체(3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고, 연장부(600)는 제1 프레임(100)에 구비되며 유압부(50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 때 유압부(500) 및 연장부(6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몸체(310)는 승강되며, 상기 몸체(310)와 인접한 제2 프레임(200) 및 제2 프레임(200)이 체결된 운반대상물(10) 역시 승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부(500)는 제1 승강부(520), 유압실린더(640) 및 유압펌프(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부(52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몸체(31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며, 유압실린더(640)는 제1 승강부(52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고, 유압펌프(660)는 유압실린더(640)를 구동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압펌프(660)의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640)는 제1 승강부(5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유압펌프(660)가 구동되면 유압유(미도시)가 유압실린더(640)로 배관(680)을 통해 흐르게 되며 상기 유압유에 의해 피스톤(650)이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650)과 인접한 제1 승강부(520) 및 운반대상물(10) 역시 상하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유압펌프(660)는 작업자가 유압펌프(660)에 형성된 손잡이(미도시)를 아래위로 움직임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유압부(500)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반대상물(1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와 같은 유압펌프(660)를 구동시키는 다른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600)는 제2 승강부(620), 회전부(560) 및 나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부(620)는 유압부(500)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며, 회전부(56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고, 나사부(540)는 회전부(560) 및 제2 승강부(620)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하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회전력이 상하방향의 힘으로 변환됨에 따라, 나사부(54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나사부(540) 상에 배치된 제2 승강부(620) 역시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승강부(620)는 제2 승강부(620) 상에 설치된 유압부(5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 회전부(560)와 나사부(540)는 나사산(미도시)을 지니며, 회전부(560) 및 나사부(540) 각각의 나사산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560)는 작업자가 회전부(560)에 형성된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연장부(600)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반대상물(1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와 같은 회전부(560)를 구동시키는 다른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운반대상물(10)의 길이가 제1 프레임(100)의 길이보다 길 경우, 연장부(600)는 제1 프레임(100)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유압부(500)는 제1 프레임(100)을 상햐방향으로 연장하여 운반대상물(1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는 다양한 길이의 운반대상물(10)을 운반시킬 수 있으며, 운반대상물(10)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운반대상물(10)을 효율적으로 운반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는 제1 프레임(100)의 끝단에 구비되어 복수의 홈(315)을 형성하며, 복수의 홈(315) 중 한 쌍에 제2 프레임(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운반대상물(10)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제2 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운반대상물(10)의 폭이 상기 거리보다 클 경우, 작업자는 상기 홈(315)에서 제2 프레임(200)을 빼내고 상기 홈(315)과 다른 홈(315)에 제2 프레임(200)을 삽입시켜 상기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310)에 복수의 제1 홀(120)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200)에 복수의 제2 홀(220)이 형성되며, 체결부(300)는 복수의 제1 홀(120) 중 하나 및 복수의 제2 홀(220) 중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운반대상물(10)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제1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운반대상물(10)의 폭이 상기 거리보다 클 경우, 작업자는 제1 홀(120) 및 제2 홀(220)에서 체결부(300)를 빼내고 상기 제1 홀(120) 및 제2 홀(220)과 다른 제1 홀(120) 및 제2 홀(220)에 체결부(300)를 체결시켜 상기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운반장치는 제1 프레임(100)의 길이, 한 쌍의 제1 프레임(100) 사이의 거리 및 한 쌍의 제2 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며, 운반대상물(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체결너트(미도시) 및 서포트(820)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너트는 상기 체결부(300)가 제1 홀(120) 및 제2 홀(220)에 고정되도록 체결부(30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너트뿐만 아니라 체결부(300)를 고정시키는 다른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820)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운반대상물(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운반대상물(10)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서포트(820)는 회전가능한 휠(wheel)형태로서 운반대상물(10)이 들어올려질 때 회전하며 운반대상물(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롤러(800)가 구비되어 운반대상물(10)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가 운반대상물(10)을 운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 때 운반대상물(10)의 하부에 이동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700)는 회전가능한 볼(ball)이 형성된 밑판형태의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가 운반대상물(10)을 운반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에 운반대상물(10)이 체결되어 들려지게 되고, 운반대상물(10)이 들려져서 고정된 상태로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는 운반대상물(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대상물(10)이 운반돼야 할 위치 주변에 도달하면,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 밑에 이동부(700)를 놓고 운반대상물(10)을 이동부(700)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동부(700) 위에 놓여진 운반대상물(10)을 작업자가 밀면 이동부(700)에 형성된 볼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볼의 회전에 따라 운반대상물(10)이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운반대상물(10)이 운반돼야 할 위치에 배치되면,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운반대상물(10)을 다시 들어올리고 운반대상물(10)이 들어올려진 틈 사이로 이동부(700)를 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운반대상물 100: 제1 프레임
120: 제1 홀 200: 제2 프레임
220: 제2 홀 300: 체결부
310: 몸체 315: 홈
400: 리프터 500: 유압부
520: 제1 승강부 540: 나사부
560: 회전부 600: 연장부
620: 제2 승강부 640: 유압실린더
650: 피스톤 660: 유압펌프
680: 배관 700: 이동부
800: 롤러 820: 서포트

Claims (8)

  1.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을 연결하며, 운반대상물이 체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연장시켜 상기 제2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리프터;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압부; 및
    상기 유압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하방향의 힘으로 변환시켜 상기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유압부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부는,
    상기 몸체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홈 중 한 쌍에,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운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홀 중 하나 및 상기 복수의 제2 홀 중 하나에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운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운반대상물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운반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8.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롤러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운반장치.
KR1020140140096A 2014-10-16 2014-10-16 운반장치 KR10163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96A KR101635367B1 (ko) 2014-10-16 2014-10-16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96A KR101635367B1 (ko) 2014-10-16 2014-10-16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57A KR20160044957A (ko) 2016-04-26
KR101635367B1 true KR101635367B1 (ko) 2016-07-01

Family

ID=5591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96A KR101635367B1 (ko) 2014-10-16 2014-10-16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1495A (zh) * 2020-03-13 2020-06-1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预制舱室运输车
KR102158864B1 (ko) * 2020-05-22 2020-09-22 장명석 크레인장치
KR102432957B1 (ko) * 2022-01-11 2022-08-18 주식회사 엔원테크 전극코팅 극판 고정용 지그 구조체
KR102595345B1 (ko) * 2023-07-18 2023-10-30 주식회사 메이크하이텍 반도체 장비의 배관 설비의 용접 자동화를 위한 높이 조절 가능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91A (ja) 2000-08-11 2002-02-26 Komatsu Forklift Co Ltd 重量物運搬装置
KR101283500B1 (ko)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73554Y1 (ko) 2014-01-18 2014-07-14 장동학 선반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670B1 (ko) 1997-08-30 1999-12-15 강병호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플레늄 쳄버에 설치되는 진공포트의 가이드 부재
KR20090102366A (ko) * 2008-03-26 2009-09-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탱크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91A (ja) 2000-08-11 2002-02-26 Komatsu Forklift Co Ltd 重量物運搬装置
KR101283500B1 (ko)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73554Y1 (ko) 2014-01-18 2014-07-14 장동학 선반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57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101762570B1 (ko)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US200800140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 object in multiple directions
US20130167471A1 (en) Adjustable lift table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CN111293617A (zh) 一种配电柜用转运装置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90037802A (ko) 가드레일 설치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방법
KR20180102270A (ko) 구조물 이송장치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2434531B1 (ko) 수중운동체용 압력용기 탑재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140003820U (ko) 파이프 설치용 장치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CN104150397A (zh) 一种升降架
AU2012223754B2 (en) An adjustable stairway
CN104134940B (zh) 一种安装架
KR101002615B1 (ko) 볼트랜스퍼를 이용한 운반장치
KR102694003B1 (ko) 타이어 리프트
CN106988233B (zh) 一种桥梁支座的自动抽取装置
CN106966168A (zh) 一种稳定运输玻璃板的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