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570B1 -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Google Patents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2570B1 KR101762570B1 KR1020160153124A KR20160153124A KR101762570B1 KR 101762570 B1 KR101762570 B1 KR 101762570B1 KR 1020160153124 A KR1020160153124 A KR 1020160153124A KR 20160153124 A KR20160153124 A KR 20160153124A KR 101762570 B1 KR101762570 B1 KR 101762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upport plate
- lift
- driving moto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 및 제1피동바퀴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제2바퀴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와 이격되어 기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제2바퀴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승강판 및 안전바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에서 왕복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격된 다수개의 레일 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이 없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이 없어도 리프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리프트는 지하철, 도시철도나 국철과 같이 레일이 설치된 위치의 터널 또는 역사 내부의 고소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와, 일반적인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의 고소위치에서 작업하고자 할 경우 및 파프리카나 토마토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와 같은 경우에 지면에 고정된 레일 또는 파이프의 상부에 레일리프트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레일리프트의 상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위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상기 이동대차는, 레일을 따라 작업위치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에 안착되어 레일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바퀴를 장착하여 구비하는 프론트액슬 및 리어액슬과, 상기 프론트액슬과 리어액슬에 결합되는 로어대차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로어대차와, 상기 로어대차의 상방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블록체를 결합하여 레일의 폭 방향으로 움직여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고소위치의 중앙과 양측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퍼대차로 구성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상방에 수직바와 수평바 및 크로스바로 구성되어 고조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가감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블록체와, 상기 높이조절블록체의 상방에 발판과 난간을 가지고 결합되는 작업대로 레일을 이용한 고소작업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어퍼대차는, 로어대차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결합수단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분해와 결합 가능하게 설치하는 프론트레일 및 리어레일과, 상기 프론트 및 리어레일에 결합하여 프론트 및 리어레일의 폭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게 하는 격자형태의 어퍼대차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어퍼대차프레임은, 높이조절블록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서포터를 돌출시키고 프론트 및 리어레일에 안착되어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롤러를 장착하여 구비하는 롤러블록과, 상기 롤러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사이를 연결하는 세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476538호와, 베이스부, 물건을 싣는 적재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재부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재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부, 상기 베이스부 하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레일이 없는 경우 지면상에서 이동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바퀴부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전복방지용 샤프트 및 상기 전복방지용 샤프트에 결합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트 장치가 이동하는 레일의 내측벽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리프트 장치가 측방향으로 넘어질 때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최소한 한 쌍의 전복방지용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293호에서와 같이 공비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한 쌍의 레일 상에서는 전후진 가능한 것이나 이격된 다수개의 레일 간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리프트를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방향 외에는 리프트의 방향 전환이 불가함으로 리프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에 한 쌍의 레일 상에서는 전후진 가능한 것이나 이격된 다수개의 레일 간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리프트를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방향 외에는 리프트의 방향 전환이 불가함으로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는 리프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레일 상에서 왕복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격된 다수개의 레일 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이 없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이 없어도 리프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 및 제1피동바퀴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제2바퀴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와 이격되어 기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제2바퀴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승강판 및 안전바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지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는 제1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1바퀴 및 제1피동바퀴에 의해 레일 상에서 왕복이 용이함과 아울러 한 쌍의 제2구동모터로부터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바퀴 및 제2피동바퀴에 의해 전후진 및 회전이 용이함으로 레일 상에서의 구동은 물론 레일이 없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전동레일리프트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견인 전동차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부분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견인 전동차를 측면에서 바라본 일부분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11)와, 상기 리프트부(11)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11)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12)과, 상기 승강판(12)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13)와, 상기 베이스(10)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14) 및 제1피동바퀴(15)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14)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6)와, 상기 베이스(10)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17)과,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18)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19)와,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17)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20)와,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21)와,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22)와,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제2바퀴(21)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23)와, 상기 지지판(17)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23)와 이격되어 기어(23)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24)와, 상기 제2바퀴(21)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23)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25)과, 상기 지지판(17)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23)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26)와, 상기 베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와, 상기 승강판(12) 및 안전바(13)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28)로 이루어진다.
먼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배터리(27) 및 미도시된 유압펌프가 구비되어 전류 및 유압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부(11)는 모터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통상적인 리프트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부(11)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11)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12)의 상부 외측에는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1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안전바(13)가 수직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을 용이하게 승차 또는 적재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외측에 여닫음이 가능한 문이 형성됨이 자명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양측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14) 및 제1피동바퀴(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바퀴(14) 및 제1피동바퀴(15)는 레일의 상부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나 전동레일리프트(2)를 레일 상이 아닌 평지 상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14)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16)는 제1바퀴(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한 쌍이 구비되는 제1바퀴(14)에 다 구동력을 전달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16)는 전동레일리프트(2)가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모서리에는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18)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1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19)는 지지판(17)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판(17)이 후술되는 승강실린더(20)에 의해 승하강 될 시에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승하강됨과 아울러 진동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레일리프트(2)가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17)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실린더(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20)는 지지판(17)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승강실린더(20)가 하강 될 시에는 후술되는 센서(29)의 신호를 받는 제어부(31)에 의해 제1구동모터(16)의 작동이 off 되는 것이며, 승강실린더(20)가 완전히 하강 상태가 되면 후술되는 제2구동모터(26)의 작동이 on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2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지지판(17)을 안정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바퀴(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바퀴(21)는 후술되는 제2구동모터(26)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제2바퀴(21) 각각은 각각의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모터(26)에 의해 각각이 서로 개별적으로 정역회전 가능함으로써 전동레일리프트(2)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피동바퀴(22)는 회전 가능한 통상적인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며, 제2바퀴(21)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제2바퀴(21)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기어(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어(23)는 한 쌍이 구비되어 후술되는 제2구동모터(26)의 구동력을 제2바퀴(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7)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23)와 이격되어 기어(23)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어케이스(24)는 기어(23)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후술되는 연결축(25)을 고정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바퀴(21)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23)와 각각 연결되어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2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7)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23)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모터(26) 한 쌍은 각각 후술되는 컨트롤부(28)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같은 속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각각 반대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 하는 것도 가능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구동모터(26)는 지지판(17)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의 내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27)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동레일리프트(2)의 모든 곳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제어부에 배터리(27)와 연결된 충전단자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배터리(27)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판(12) 및 안전바(13)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17)의 상부에는 지지판(17)의 승강 또는 하강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29)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의 외측 사방에는 물건 또는 사람이 베이스(10)의 사방에서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센서(29)의 신호에 따라 제1구동모터(16) 또는 제2구동모터(26)를 각각 on/off 함과 아울러 근접센서(30)의 신호에 따라 제1구동모터(16) 및 제2구동모터(26)를 on/off 하도록 하는 제어부(31)가 연결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29)는 지지판(17)의 승강 또는 하강 신호를 제어부(31)에 전달하여 강제적으로 제1구동모터(16) 또는 제2구동모터(26)를 각각 on/off함으로써 지지판(17)이 하강 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16)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판(17)이 상승 된 상태에서 제2구동모터(26)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30)는 물건 또는 사람이 베이스(10)의 사방에서 30~100㎝ 이하로 접근을 하였을 시에는 제어부(31)에 신호를 전달하여 강제적으로 제1구동모터(16) 및 제2구동모터(26)를 off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의 타측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발판(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판(32)은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10)와 연결되어 발판(32)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타측을 상부측으로 회전시켜 절첩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2 : 전동레일리프트 10 : 베이스
11 : 리프트부 12 : 승강판
13 : 안전바 14 : 제1바퀴
15 : 제1피동바퀴 16 : 제1구동모터
17 : 지지판 18 : LM가이드
19 : 승강가이드 20 : 승강실린더
21 : 제2바퀴 22 : 제2피동바퀴
23 : 기어 24 : 기어케이스
25 : 연결축 26 : 제2구동모터
27 : 배터리 28 : 컨트롤부
29 : 센서 30 : 근접센서
31 : 제어부 32 : 발판
11 : 리프트부 12 : 승강판
13 : 안전바 14 : 제1바퀴
15 : 제1피동바퀴 16 : 제1구동모터
17 : 지지판 18 : LM가이드
19 : 승강가이드 20 : 승강실린더
21 : 제2바퀴 22 : 제2피동바퀴
23 : 기어 24 : 기어케이스
25 : 연결축 26 : 제2구동모터
27 : 배터리 28 : 컨트롤부
29 : 센서 30 : 근접센서
31 : 제어부 32 : 발판
Claims (5)
-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11);
상기 리프트부(11)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11)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12);
상기 승강판(12)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13);
상기 베이스(10)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14) 및 제1피동바퀴(15);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14)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16);
상기 베이스(10)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17);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18)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19);
상기 지지판(17)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17)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20);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21);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22);
상기 지지판(17)의 하부 제2바퀴(21)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23);
상기 지지판(17)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23)와 이격되어 기어(23)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24);
상기 제2바퀴(21)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23)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25);
상기 지지판(17)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23)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26);
상기 베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
상기 승강판(12) 및 안전바(13)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16), 제2구동모터(26), 승강실린더(20) 및 리프트부(11)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7)의 상부에는 지지판(17)의 승강 또는 하강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29)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외측 사방에는 물건 또는 사람이 베이스(10)의 사방에서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제2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센서(29)의 신호에 따라 제1구동모터(16) 또는 제2구동모터(26)를 각각 on/off 함과 아울러 근접센서(30)의 신호에 따라 제1구동모터(16) 및 제2구동모터(26)를 on/off 하도록 하는 제어부(31)가 연결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타측에는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발판(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124A KR101762570B1 (ko) | 2016-11-17 | 2016-11-17 |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124A KR101762570B1 (ko) | 2016-11-17 | 2016-11-17 |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2570B1 true KR101762570B1 (ko) | 2017-07-28 |
Family
ID=5942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124A KR101762570B1 (ko) | 2016-11-17 | 2016-11-17 |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2570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78092A (zh) * | 2019-03-06 | 2019-04-26 | 深圳市东扬精密工业有限公司 | 手摇式棘轮升降机及其控制方法 |
KR101983086B1 (ko) * | 2019-02-28 | 2019-05-29 | 박영남 |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
CN109911817A (zh) * | 2019-04-15 | 2019-06-21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新型自动旋转推送装置 |
KR102088959B1 (ko) | 2019-11-11 | 2020-05-26 |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
CN113374234A (zh) * | 2021-06-04 | 2021-09-10 | 浙江天绘建筑装饰有限公司 | 一种基于绿色建筑施工技术的安全性电力施工操作平台 |
WO2022035678A1 (en) * | 2020-08-08 | 2022-02-17 | Applied Materials, Inc. | Fail-safe pneumatic lift system |
CN115321442A (zh) * | 2022-08-08 | 2022-11-11 |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电气设备检修用检修平台 |
KR102494892B1 (ko) * | 2022-08-25 | 2023-02-06 | 김동원 | 이동형 레일리프터 |
KR102515651B1 (ko) | 2022-11-15 | 2023-03-29 | 주식회사 청진 |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
KR20230084849A (ko) | 2021-12-06 | 2023-06-13 | 주식회사 청진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
KR102609033B1 (ko) | 2023-07-29 | 2023-12-04 | 주식회사 청진 |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자동화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1860Y1 (ko) | 2000-08-22 | 2001-04-16 | 지상철 | 작업 운반차의 높이 조절장치 |
KR200461757Y1 (ko) | 2012-04-30 | 2012-08-06 | 김성호 |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
-
2016
- 2016-11-17 KR KR1020160153124A patent/KR101762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1860Y1 (ko) | 2000-08-22 | 2001-04-16 | 지상철 | 작업 운반차의 높이 조절장치 |
KR200461757Y1 (ko) | 2012-04-30 | 2012-08-06 | 김성호 |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3086B1 (ko) * | 2019-02-28 | 2019-05-29 | 박영남 |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
CN109678092A (zh) * | 2019-03-06 | 2019-04-26 | 深圳市东扬精密工业有限公司 | 手摇式棘轮升降机及其控制方法 |
CN109678092B (zh) * | 2019-03-06 | 2024-02-06 | 深圳市东扬精密工业有限公司 | 手摇式棘轮升降机及其控制方法 |
CN109911817A (zh) * | 2019-04-15 | 2019-06-21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新型自动旋转推送装置 |
KR102088959B1 (ko) | 2019-11-11 | 2020-05-26 |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
WO2022035678A1 (en) * | 2020-08-08 | 2022-02-17 | Applied Materials, Inc. | Fail-safe pneumatic lift system |
US11577946B2 (en) | 2020-08-08 | 2023-02-14 | Applied Materials, Inc. | Fail-safe pneumatic lift system |
CN113374234A (zh) * | 2021-06-04 | 2021-09-10 | 浙江天绘建筑装饰有限公司 | 一种基于绿色建筑施工技术的安全性电力施工操作平台 |
KR20230084849A (ko) | 2021-12-06 | 2023-06-13 | 주식회사 청진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
CN115321442A (zh) * | 2022-08-08 | 2022-11-11 |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电气设备检修用检修平台 |
CN115321442B (zh) * | 2022-08-08 | 2023-07-21 |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力电气设备检修用检修平台 |
KR102494892B1 (ko) * | 2022-08-25 | 2023-02-06 | 김동원 | 이동형 레일리프터 |
KR102515651B1 (ko) | 2022-11-15 | 2023-03-29 | 주식회사 청진 |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
KR102609033B1 (ko) | 2023-07-29 | 2023-12-04 | 주식회사 청진 |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자동화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2570B1 (ko) |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 |
KR101580528B1 (ko) |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 |
CN110655015B (zh) | 一种用于地铁隧道维护的无轨自行式平台车 | |
WO2014129066A1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その運用方法 | |
KR101654430B1 (ko) | 비상 견인장치가 설치된 철도 보수용 굴삭기 | |
CN104912367B (zh) | 无避让高层立体停车设备用车台板连接结构 | |
CN111661764B (zh) | 一种安全性高的轮式起重机 | |
KR20140057756A (ko)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
CN105127642A (zh) | 一种起重机小车架焊接翻转设备 | |
KR20110053659A (ko) |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 | |
KR102019014B1 (ko) | 구조물 이송장치 | |
KR20140052554A (ko)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
CN104763182A (zh) | 带层架式无避让立体停车设备 | |
CN108657058B (zh) | 无人机车载装置 | |
CN104912366B (zh) | 无避让高层立体停车塔库 | |
CN218058350U (zh) | 一种举升装置 | |
CN215057501U (zh) | 一种掘锚一体机 | |
CN206088461U (zh) | 车载遥控非路面行走设备的登车桥装置 | |
JP2009024465A (ja) | 送出し工法 | |
CN113955674A (zh) | 巷道架棚钢梁举升车 | |
KR20120011383A (ko) |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 |
CN204754374U (zh) | 无避让高层立体停车塔库 | |
KR20200093173A (ko) | 이동 리프트 | |
CN113979364B (zh) | 一种履带安装小车及履带安装方法 | |
KR20120114571A (ko) | 전동식 이동 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