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57Y1 -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57Y1
KR200461757Y1 KR2020120003537U KR20120003537U KR200461757Y1 KR 200461757 Y1 KR200461757 Y1 KR 200461757Y1 KR 2020120003537 U KR2020120003537 U KR 2020120003537U KR 20120003537 U KR20120003537 U KR 20120003537U KR 200461757 Y1 KR200461757 Y1 KR 200461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fting
wheels
frame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2020120003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0Un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온실 및 과수원 바닥에 설치된 레일상에 레일 리프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레일 리프터를 원하는 레일로 이동시키는 양측 이동바퀴를 지면과 밀착시키는 데 있어 과다한 힘의 소요를 방지하고,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후방 이동바퀴 표면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줄이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판의 승강 과정에서 승강판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는, 프레임(500)의 하부에 레일(10)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590)가 구동부(11)와 연결,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590)의 전,후방에는 레일 작업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이동바퀴(740)가 상기 구동부(11)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500)의 전방에는 상부 양측에 롤러(550)를 가지는 하우징(520)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500)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80)를 통해 상기 프레임(500)과 연결되는 승강판(570)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570)의 전단 양측과 상기 프레임(500)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550)에 감겨 상기 승강판(57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판 승강수단(552)이 장착되어 있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740)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700)에 의해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판(570)은 제어기(600)의 신호에 의해서 유압발생기(610)를 통해 발생된 유압이 유압구동기(620) 및 이와 연결된 유압호스(630)를 통해 상기 하우징(520)내의 유압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승 또는 하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승강유닛(530) 및 롤러(550)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Rail lifter for facility gardening}
본 고안은 레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실 및 과수원 바닥에 설치된 레일상에 레일 리프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레일 리프터를 원하는 레일로 이동시키는 양측 이동바퀴를 지면과 밀착시키는 데 있어 과다한 힘의 소요를 방지하고,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후방 이동바퀴 표면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줄이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판의 승강 과정에서 승강판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시설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매일 소비하고 있는 각종 과채류, 엽채류 및 화훼류의 대부분은 시설원예를 통한 하우스 및 온실에서 재배된 것으로 전국의 시설 면적이 100만동에 이를 정도로 원예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우스 내부 작업은 밀폐되고 협소한 공간적 제약뿐 아니라 고온 다습한 환경때문에 각종 영농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간적 제약 때문에 이들 시설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업기계 역시 제한적인 문제가 대두된다.
한편, 각종 온실 및 과수원 바닥에는 레일이 다수 열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레일상에는 이를 타고 이동하면서 작업자를 승강시키기 위한 레일 작업기(rail lifter)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레일 작업기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레일을 타고 전,후진하는 레일 이동바퀴(101)가 장착되고, 레일 이동바퀴(101)의 전,후방에는 레일 작업기가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 이동바퀴(102)가 장착되며,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유압실린더(200)를 통해 승강되는 승강판(30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승강판(300)의 하부에는 승강판의 승강과정에서 승강판(30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조립체(40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일 작업기를 작동시킬 경우, 우선,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레일 이동바퀴(101)를 구동부를 통해 회전시켜 레일 작업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200)를 작동시켜 작물의 높이와 상응되는 높이로 승강판(300)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레일 작업기는 단일의 유압실린더(200)를 통해 승강판(300)을 승강시킴에 따라서, 승강판(300)의 승강시 심한 요동과 함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200)의 로드 길이의 한계로 인하여 승강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200)에 유체를 절환밸브를 통해 공급,배출함에 따라 최초의 속도로 인하여 상승 또는 하강 순간에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강판(300)을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유압실린더(200)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함으로써, 프레임(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전지의 소모량이 과대해짐에 따라 수시로 레일 작업기를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안정장치가 없으므로 유압실린더(200)가 파열될 경우에는 승강판(300)의 하강으로 인하여 탑승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을 따라 이동됨에 있어서, 승강판(300)의 무게중심이 변경될 경우에는 레일 작업기 전체가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일 작업기가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 레일 작업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프레임(1)의 하부에 레일(10)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이동바퀴(2)와, 이동바퀴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레일 작업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바퀴(3)를 포함하고, 프레임(1)의 전방에는 구동모터(41)의 회전을 통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421)를 가지는 승강대(42)가 포함되는 승강 작동부(4)가 장착되고, 프레임(1)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1)를 통해 프레임(1)과 연결되고 알루미늄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는 승강판(5)이 장착되며, 승강판의 전단 양측과 프레임(1)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421)에 감겨 승강판(5)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판 승강수단(6)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 작동부(4)는 프레임(1)의 내부에 구동모터(41)가 장착되고, 스크류축(43)이 구동모터(4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승강대(42)가 스크류축(43)의 외경을 감싸며 장착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한편, 수직고정대(44)가 승강대(42)의 외측을 감싸며 수직으로 세워지고 수직고정대(44)의 하단이 프레임(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전,후방 이동바퀴(2)는 회전축에 삽입되는 원통형 브라켓(21)과, 이 브라켓(21)의 외측에 장착되는 원판 디스크(22)가 일체로 구성된다.
링크조립체(51)는 중간과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 링크(511)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최상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상단은 힌지(512)를 통해 상기 승강판(5)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상단에는 승강판(5)의 하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며, 링크(511)중 최하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하단은 프레임(1)에 힌지(512)를 통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하단에는 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레일 작업기는 전,후방 이동바퀴(2) 또는 양측 이동바퀴(3)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구동모터(41)를 통해 스크류축(43)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승강대(42)가 상승 또는 하강되며, 한계높이 이상으로 승강판(5)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판의 추락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한계 이하로 승강판(5)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에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의 전방에는 승강판(5)의 전방을 잡아주어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8)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승강판(5)의 승강시 요동과 이때 발생되는 요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고, 작동 초기에 승강판(5)에 가해지는 충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레일(10)을 타고 레일 작업기가 이동되는 순간에 레일 작업기 전체가 기울어지면, 프레임(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수평 수은스위치, 걸림대 및 전자석(각각 미도시)을 포함하는 전도 방지장치를 통해 레일 작업기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레일 작업기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3)는 조작 레버(3-1)를 통해 지면과 밀착시켜 레일 작업기를 이동시키는 바, 약 100㎏ 이상 중량을 갖는 레일 작업기를 여성이나 노약자가 조작 레버(3-1)를 통해 양측 이동바퀴(3)를 지면과 밀착시키는 데 있어 과다한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이동바퀴(3)의 사용시 전,후방 이동바퀴(2)에 별도의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후방 이동바퀴(2)가 콘크리트 바닥면과 닿으면서 전,후방 이동바퀴(2) 표면의 마모와 함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작동부(4)의 구동에 따른 구동모터(41), 캡너트(422), 스크류축(43), 수직고정대(44)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승강 작동부(4)의 구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37434호(2002. 05. 08),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판의 승강에 따른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후방 이동바퀴가 콘크리트 바닥면과 닿으면서 표면에 마모가 생기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이나 노약자가 쉽고 간편하게 양측 이동바퀴를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하부에 레일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가 구동부와 연결,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의 전,후방에는 레일 작업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이동바퀴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부 양측에 롤러를 가지는 하우징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를 통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승강판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의 전단 양측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에 감겨 상기 승강판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판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판은 제어기의 신호에 의해서 유압발생기를 통해 발생된 유압이 유압구동기 및 이와 연결된 유압호스를 통해 상기 하우징내의 유압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승 또는 하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승강유닛 및 롤러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플랜지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양측 이동바퀴와; 상기 회전축과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용 바(bar)와; 상기 연결용 바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양측 이동바퀴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레버형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복수의 양측 이동바퀴는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는 원판 디스크의 외주면상에 'ㄷ'자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부에 우레탄(urethane)이 충진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승강판 승강수단은, 와이어(wire) 또는 체인(chain)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판이 유압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승강판의 승강에 따른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후방 이동바퀴의 원판 디스크가 우레탄(urethane) 코팅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가 콘크리트 바닥면과 닿으면서 표면에 마모가 생기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일정 이상 중량을 갖는 레일 리프터를 여성이나 노약자가 레버형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양측 이동바퀴를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레일 작업기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2는 종래 레일 작업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의 부분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양측 이동바퀴를 구동시키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양측 이동바퀴구동부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전,후방 이동바퀴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유압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양측 이동바퀴를 구동시키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양측 이동바퀴구동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전,후방 이동바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의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유압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일 작업기의 구조 및 기능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즉, 프레임(500)의 하부에 레일(도 2의 10)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590)가 구동부(도 3의 11)와 연결,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590)의 전,후방에는 레일 리프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이동바퀴(740)가 상기 구동부(11)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500)의 전방에는 상부 양측에 롤러(550)를 가지는 하우징(520)이 장착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승강판(570)의 승강 작동이 유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a 내지 도 5c,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판(57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500)의 상부에 수직기대(510)가 입설되고, 상기 수직기대와 나란한 방향으로 하우징(520)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20)의 상단에는 승강유닛(530)이 출몰(出沒)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유닛(530)은 상단은 롤러축(540)의 중앙부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축(540)의 양단에 롤러(550)가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는 한편, 하우징(520)의 하단에는 유압호스(63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기대(510)의 상단에 수평대(560)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수평대(560)의 내측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기(610)와, 발생된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유압실린더로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구동기(62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압발생기(610) 및 유압구동기(620)는 제어기(600)의 신호에 따라 유압 발생 및 전달을 하게 된다.
즉, 승강판(570)의 높이를 조정할 경우, 상기 제어기(600)의 신호에 의해서 유압발생기(610)를 통해 발생된 유압은 상기 유압구동기(620) 및 이와 연결된 유압호스(630)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하우징(520)내의 유압실린더로 전달되고,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승되거나 하강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승강유닛(530)과, 이 승강유닛(530)의 양측에 장착된 롤러(550)도 함께 승강된다.
이에 따라 롤러(550)에 감겨진 승강판 승강수단 즉, 와이어(wire)(552)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롤러(550)가 상승될 경우에는 와이어(552)의 일단이 고정된 승강판(570)이 상승되고, 반대로 롤러(550)가 하강될 경우에는 와이어(552)의 일단이 고정된 승강판(570)이 하강된다.
즉, 와이어(552)의 일단은 승강판(57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552)의 중간은 상기 롤러(550)에 감겨져 있음에 따라 롤러의 승강과 더불어 승강이 가능한 승강판(570)이 승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00)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80)를 통해 프레임(500)과 연결되고 알루미늄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는 상기 승강판(570)이 장착되며, 승강판의 전단 양측과 프레임(500)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550)에 감겨 승강판(57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승강판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승강판 승강수단은 상기 와이어(552) 외에 체인(chain)(미도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프레임(500)상에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구동 스프로켓(sproket)을 설치하며, 상기 롤러(550)를 대치하여 종동 스프로켓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양 스프로켓에 체인을 연결할 경우, 상기 와이어(552)를 대치하여 승강판(570)이 상하 작동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모터(41), 캡너트(422), 스크류축(43), 수직고정대(44)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필요없이 유압에 의해 승강판(570)이 승강됨에 따라 승강판(570)의 승강에 따른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링크조립체(580)는 도 3을 참조로 언급된 바와 같이 중간과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 링크(511)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최상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상단은 힌지(512)를 통해 상기 승강판(57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상단에는 승강판(570)의 하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며, 링크(511)중 최하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하단은 프레임(500)에 힌지(512)를 통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하단에는 프레임(500)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 전,후방 이동바퀴(590)는 원판 디스크(592)상에 우레탄(urethane) 코팅처리가 되어 있다. 즉, 상기 원판 디스크(592)의 외주면상에 'ㄷ'자 형태의 요홈(592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592a) 내부에 우레탄(598)이 충진되어 있어서, 전,후방 이동바퀴(590)가 콘크리트 바닥면과 닿으면서 표면에 마모가 생기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도 8 중 미설명 부호 574는 회전축, 576은 기어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 양측 이동바퀴(740)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700)에 의해 그 작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00)의 하단 일측에 구동모터(710)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710)의 모터축에 회전축(720)의 일단부가 2단 구조의 플랜지(730)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720)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양측 이동바퀴(740)가 브라켓(742)을 통해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720)과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용 바(bar)(750)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용 바(750)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양측 이동바퀴(740)가 브라켓(742)을 통해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상기 2개의 양측 이동바퀴(740)는 링크(75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10)는 실린더(미도시)로 대치 가능하다. 구동모터(710)의 구동시 양측 이동바퀴(740)는 지면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나, 장기간 사용시 구동모터(710)가 소실(燒失)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710)를 실린더로 대치시 양측 이동바퀴(740)는 지면에 대해 전후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소실등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720)과 연결용 바(750)는 일단부가 내부가 빈 수납함(760)을 관통한다. 즉, 상기 수납함(76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2개씩의 양측 이동바퀴(74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도 7중 미설명 부호 732는 지지 볼트이다.
또한,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00)의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710) 작동을 위한 레버형 스위치(7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레일 리프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여성이나 노약자와 같은 작업자일 경우에도 상기 레버형 스위치(77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10)가 정구동하여 상기 회전축(720)이 가령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양측 이동바퀴(740)가 회전축(720)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면(地面)과 밀착되며, 이때 상기 연결용 바(750)에 구비된 다른 양측 이동바퀴(740) 역시 상기 링크(752)에 의해 지면과 밀착되게끔 이동하며,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양측 이동바퀴(740)가 지면과 밀착되면, 레일 리프터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한편, 레일 리프터의 이동 후 레일 리프터를 레일(10)에 올리기 위해 4개의 양측 이동바퀴(740)를 지면에서 이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레버형 스위치(77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10)가 역구동하여 상기 회전축(7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양측 이동바퀴(740)가 회전축(72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때 상기 연결용 바(750)에 구비된 다른 양측 이동바퀴(740) 역시 상기 링크(752)에 의해 지면과 이격되게끔 이동하며,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양측 이동바퀴(740)가 지면과 이격되면,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590)를 레일(10)에 올려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742)의 상단에 리미트 바(limit bar)(78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500)의 저면에서 상기 리미트 바(780)와 대향되는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할 경우, 상기 양측 이동바퀴(74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720)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일정 이상 중량을 갖는 레일 리프터를 여성이나 노약자가 레버형 스위치(770)를 조작함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양측 이동바퀴(740)를 지면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레일 11 : 구동부
500 : 프레임 530 : 승강유닛
550 : 롤러 570 : 승강판
580 : 링크조립체 590 : 전,후방 이동바퀴
598 : 우레탄 600 : 제어기
610 : 유압발생기 620 : 유압구동기
630 : 유압호스 700 : 양측 이동바퀴구동부
710 : 구동모터 720 : 회전축
740 : 양측 이동바퀴 750 : 연결용 바
760 : 수납함 770 : 레버형 스위치
780 : 리미트 바

Claims (5)

  1. 프레임(500)의 하부에 레일(10)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590)가 구동부(11)와 연결,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590)의 전,후방에는 레일 작업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이동바퀴(740)가 상기 구동부(11)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500)의 전방에는 상부 양측에 롤러(550)를 가지는 하우징(520)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500)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80)를 통해 상기 프레임(500)과 연결되는 승강판(570)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570)의 전단 양측과 상기 프레임(500)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550)에 감겨 상기 승강판(57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판 승강수단(552)이 장착되어 있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740)는 양측 이동바퀴구동부(700)에 의해 지면과 밀착 또는 이격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판(570)은 제어기(600)의 신호에 의해서 유압발생기(610)를 통해 발생된 유압이 유압구동기(620) 및 이와 연결된 유압호스(630)를 통해 상기 하우징(520)내의 유압실린더로 전달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승 또는 하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승강유닛(530) 및 롤러(550)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동바퀴구동부(700)는,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에 플랜지(730)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720)과;
    상기 회전축(720)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양측 이동바퀴(740)와;
    상기 회전축(720)과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결용 바(bar)(750)와;
    상기 연결용 바(750)의 양단 외주면 일측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양측 이동바퀴(740)와;
    상기 구동모터(710)를 작동시키는 레버형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측 이동바퀴(740)는 링크(752)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590)는 원판 디스크(592)의 외주면상에 'ㄷ'자 형태의 요홈(592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592a) 내부에 우레탄(urethane)(598)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승강수단(552)은,
    와이어(wire) 또는 체인(chai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2020120003537U 2012-04-30 2012-04-30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200461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37U KR200461757Y1 (ko) 2012-04-30 2012-04-30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37U KR200461757Y1 (ko) 2012-04-30 2012-04-30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757Y1 true KR200461757Y1 (ko) 2012-08-06

Family

ID=4713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537U KR200461757Y1 (ko) 2012-04-30 2012-04-30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70B1 (ko)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2494892B1 (ko) * 2022-08-25 2023-02-06 김동원 이동형 레일리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70B1 (ko)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2494892B1 (ko) * 2022-08-25 2023-02-06 김동원 이동형 레일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906B1 (ko) 무인반송대차
JP5613429B2 (ja) 立体栽培装置
JP4835248B2 (ja) 苗移植機
KR20180081422A (ko) 과수 작업차
CN108946178A (zh) 一种饲料包码垛装置和方法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20120134198A (ko) 작업용 전동 승강기
WO2018116642A1 (ja) 作業車
KR102037145B1 (ko)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JP4055806B2 (ja) 物品落下防止装置
CA2495504A1 (fr) Dispositif d'entrelacage pour machine de palettisation et machine de palettisation equipee d'un tel dispositif
EP2070849B1 (en) Compact,manually controlled depalletizing machine
KR101620097B1 (ko)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JP6264480B2 (ja) 苗移植機
JP6107739B2 (ja) 苗移植機
KR102494892B1 (ko) 이동형 레일리프터
KR20110084714A (ko) 야채 자동 세척기
KR20150003433U (ko)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106879288A (zh) 移植机
EP3412580A1 (en)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height of passenger stairs
JP6595864B2 (ja) エンドレスチェーン駆動機構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2037126B1 (ko)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20030008896A (ko) 농업용 레일 작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