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33U -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3433U KR20150003433U KR2020140001838U KR20140001838U KR20150003433U KR 20150003433 U KR20150003433 U KR 20150003433U KR 2020140001838 U KR2020140001838 U KR 2020140001838U KR 20140001838 U KR20140001838 U KR 20140001838U KR 20150003433 U KR20150003433 U KR 201500034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vertical
- boom
- telescopic boom
- rotary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원 등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 작업차의 작업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용 엔진과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본체(10)와, 한 쌍의 무한궤도(20)와, 수직빔(30)과, 신축붐(50)과, 수직빔(30)과 신축붐(50)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와,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수직빔(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빔(30)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1)와, 본체(10)의 가로 프레임(12) 상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부로 연장된 하부빔(35)과, 상부로 연장된 상기 하부빔(3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와,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의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부재(31)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부재(34)와, 회전부재(31)와 상기 하부빔(35)을 연결하는 조절실린더(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31)의 일측에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32)(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용 엔진과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본체(10)와, 한 쌍의 무한궤도(20)와, 수직빔(30)과, 신축붐(50)과, 수직빔(30)과 신축붐(50)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와,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되는 탑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수직빔(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빔(30)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1)와, 본체(10)의 가로 프레임(12) 상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부로 연장된 하부빔(35)과, 상부로 연장된 상기 하부빔(3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와,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의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부재(31)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부재(34)와, 회전부재(31)와 상기 하부빔(35)을 연결하는 조절실린더(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31)의 일측에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32)(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과수원 등에서 키가 큰 과수의 가지치기 작업, 솎아주기 작업 및 과실 수확 작업을 하는데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절 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고소 작업차의 작업 범위을 용이하게 확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고소 작업차는, 과수원 등지에서 과수의 전지 작업, 솎아주기 작업 및 과일 수확작업을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고소 작업차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농업용 고소 작업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무한궤도(20)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빔(30)과, 상기 수직빔(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신축붐(50)과, 상기 수직빔(30)과 상기 신축붐(50)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와, 상기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구동용 엔진, 동력전달장치(도시 생략) 등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0)의 외부에는 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소 작업차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 동력전달장치 등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무한궤도(20)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다수의 가로프레임(12), 상기 가로프레임(12)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세로프레임(11),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휠(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고소작업차는, 무한궤도(20)에 의해 일반 차량의 타이어로는 주행이 어려운 굴곡진 지면이나 비탈길도 용이하게 주행할 수가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수직빔(3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빔(30)은 후술할 신축붐(50) 및 그 단부에 구비된 탑승부(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빔(30)은, 상기 탑승부(60)에 작업자가 탑승할 경우 무게 중심의 균형을 위해, 상기 탑승부(60)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된다.
상기 수직빔(30)의 단부에는, 일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고, 또한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신축붐(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축붐(50)과 수직빔(30)은 승강실린더(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40)는, 제1 고정부(41)에 의해 수직빔(30)과 연결되고, 제2 고정부(42)에 의해 상기 신축붐(50)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승강실린더(40)를 작동시키면 신축붐(50)을 높은 곳까지 들어올릴 수 있고, 이어서 신축붐(50)을 신장시키면 작업 반경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조절실린더(36)(도 2 참조)가 구비되어 수직빔(30) 및 신축붐(5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신축붐(50)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탑승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탑승부(60)는, 하부에 구비되는 작업발판(61), 상기 작업발판(6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직지지대(62),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지지대(62)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손잡이부(66), 신축붐(5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 수직지지대(6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탑승부(60)에는, 고소작업차의 주행, 신축붐(50) 및 승강실린더(40)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68) 및 다수의 작동레버(67)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탑승부(60)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킬 수 있고, 승강실린더(40)를 조작하여 탑승부(6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으며, 신축붐(50)을 조작하여 작업반경의 범위를 확장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된 제2 수직지지대(63)의 상부에는, 수확된 과일을 담기위한 적재박스(65)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적재박스 지지판(6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작업자는 탑승부(60)에 탑승한 상태에서 과일을 수확하여 상기 적재박스(65)에 담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고소 작업차는, 조절 실린더(36) 자체로 신축붐(50)의 회전반경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고소 작업차는, 하나의 조절실린더(36)가 지니고 있는 본래의 스트로크(Stroke) 내에서만 신축붐(50)의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 여건에 따라 신축붐(50)의 회전반경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조절실린더(36)를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신축붐(50)의 회전 반경을 더 확대하기 위해서는, 스트로크가 긴 다른 조절실린더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고소 작업차에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는 메인 답판의 네 귀퉁이에 각각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메인 답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3은 좌우 방향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를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4는 보조 작업차의 출몰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작업차 및 보조 작업차의 수평 유지가 용이한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차를 개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 작업차의 작업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조절실린더에 의해서도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스트로크가 긴 다른 조절실린더로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조절실린더를 여러 모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용 엔진과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빔과, 상기 수직빔의 단부에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신축붐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신축붐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신축붐의 단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빔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본체의 가로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부로 연장된 하부빔과, 상부로 연장된 상기 하부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하부빔을 연결하는 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상기 조절실린더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한 쌍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 사이에 상기 조절실린더의 일단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실린더의 일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하부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부에 삽입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의하면,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하여 고소 작업차의 작업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조절실린더에 의해서도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스트로크가 긴 다른 조절실린더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조절실린더를 여러 모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용 고소 작업차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1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1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2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2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신축붐의 작업반경이 확대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1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1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2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조절실린더가 제2 고정홀에 고정되어 최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서 신축붐의 작업반경이 확대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농업용 고소 작업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는, 구동용 엔진과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2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빔(30)과, 상기 수직빔(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신축붐(50)과, 상기 수직빔(30)과 상기 신축붐(50)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와, 상기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차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빔(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빔(30)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31)는, 한 쌍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일단부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1)의 일측에는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32)(3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고정홀이 제1 고정홀(32) 및 제2 고정홀(33)의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홀은 신축붐(50)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31)의 고정홀중 어느 하나와 조립되고, 타단은 고정부재(37)에 의해 하부빔(35)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회전부재(31) 및 수직빔(30)의 회전범위를 변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직빔(30)과 결합된 신축붐(50)의 회전범위를 변경할 수가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1 고정홀(32)에 조립된 상태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의 안쪽에 형성된 제2 고정홀(33)에 조립되면,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하나의 조절실린더(36)로도 신축붐(50)의 회전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
도 2는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1 고정홀(32)에 조립된 상태에서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1 고정홀(32)에 조립된 상태에서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안쪽에 형성된 제2 고정홀(33)에 조립된 상태에서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안쪽에 형성된 제2 고정홀(33)에 조립된 상태에서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스트로크가 동일한 하나의 조절실린더(36)에 의해서도 신축붐(50)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도 6에는 신축붐(50)의 회전범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길이가 긴 신축붐(50) 단부에서는 회전범위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가로 프레임(12) 상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부로 연장된 하부빔(35)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빔(35)은 그 일단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빔(3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가 각각 수평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의 사이에는 회전부재(31)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부재(34)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재(34)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수직부재(34)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축붐의 작업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고소 작업차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조절실린더(36)가 회전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1 고정홀(3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2 및 도 3 참조) 신축붐(50)의 작업반경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31)에 조립된 조절실린더(36)의 일단을 분해한 후, 이를 회전부재(31)의 안쪽에 형성된 제2 고정홀(33)에 조립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어서 조절실린더(36)를 작동시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의 회전각도가 확대되고, 상기 회전부재(31)에 연결된 수직빔(30)의 회전각도가 확대되며, 상기 수직빔(30)의 단부에 연결된 신축붐(50)의 회전각도가 확대되어, 결과적으로 신축붐(50)의 작업범위가 확대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스트로크(S)에 의해서도 회전부재(31)의 회전각도를 α에서 α'로 변화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축붐(50)의 작업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조절실린더로 신축붐(50)의 작업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고, 신축붐(50)의 작업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스트로크가 긴 다른 조절실린더(36)를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신축붐(50)의 작업범위 확대를 위해 스트로크가 긴 다른 조절실린더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하나의 조절실린더로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조절실린더를 여러 모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신축붐(50)의 작업범위를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실린더(36)의 일단을 회전부재(31)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2 고정홀(33)에 조립하면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1)에 2개의 고정홀(32)(33)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고정홀(32)(33)은 3개 이상을 형성하여 작업반경의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세로 프레임(Frame)
12: 가로 프레임
20: 무한궤도 21: 휠(Wheel)
30: 수직빔(Beam) 31: 회전부재
32: 제1 고정홀 33: 제2 고정홀
34: 수직부재 35: 하부빔
36: 조절실린더 37: 고정부재
38: 상부부재 39: 하부부재
40: 승강실린더 41: 제1 고정부
42: 제2 고정부
50: 신축붐(Boom)
60: 탑승부 61: 작업발판
62: 제1 수직지지대 63: 제2 수직지지대
64: 적재박스 지지판 65: 적재박스
66: 손잡이부 67: 작동레버(Lever)
68: 컨트롤 박스(Control Box)
12: 가로 프레임
20: 무한궤도 21: 휠(Wheel)
30: 수직빔(Beam) 31: 회전부재
32: 제1 고정홀 33: 제2 고정홀
34: 수직부재 35: 하부빔
36: 조절실린더 37: 고정부재
38: 상부부재 39: 하부부재
40: 승강실린더 41: 제1 고정부
42: 제2 고정부
50: 신축붐(Boom)
60: 탑승부 61: 작업발판
62: 제1 수직지지대 63: 제2 수직지지대
64: 적재박스 지지판 65: 적재박스
66: 손잡이부 67: 작동레버(Lever)
68: 컨트롤 박스(Control Box)
Claims (4)
- 구동용 엔진과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2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빔(30)과, 상기 수직빔(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신축붐(50)과, 상기 수직빔(30)과 상기 신축붐(50)을 연결하여 상기 신축붐(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0)와, 상기 신축붐(5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탑승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빔(30)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1)와,
본체(10)의 가로 프레임(12) 상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부로 연장된 하부빔(35)과,
상부로 연장된 상기 하부빔(3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와,
상기 상부부재(38) 및 하부부재(39)의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부재(31)와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부재(34)와,
상기 회전부재(31)와 상기 하부빔(35)을 연결하는 조절실린더(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31)의 일측에,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32)(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1)는 한 쌍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 사이에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일단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실린더(36)의 일단은 고정부재(37)에 의해 하부빔(3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34)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부에 삽입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838U KR200479291Y1 (ko) | 2014-03-07 | 2014-03-07 |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838U KR200479291Y1 (ko) | 2014-03-07 | 2014-03-07 |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3433U true KR20150003433U (ko) | 2015-09-16 |
KR200479291Y1 KR200479291Y1 (ko) | 2016-01-12 |
Family
ID=5434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838U KR200479291Y1 (ko) | 2014-03-07 | 2014-03-07 |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29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8577A (zh) * | 2017-11-17 | 2018-03-06 | 安徽骏达起重机械有限公司 | 高空起重作业装置 |
CN108064555A (zh) * | 2018-01-10 | 2018-05-25 | 重庆大学 | 一种草莓采摘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87471A (zh) * | 2017-03-03 | 2017-08-25 |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 一种香蕉采摘设备 |
KR102223570B1 (ko) * | 2019-08-01 | 2021-03-05 | 이선호 | 열전소자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식 태양열 발전장치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071A (ko) | 2002-11-29 | 2004-06-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냉각수 순환계 고장 진단장치 |
KR20060041010A (ko) * | 2004-11-08 | 2006-05-11 | 김종만 |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
JP2007320386A (ja) * | 2006-05-31 | 2007-12-13 | Sasaki Corporation | 農業用高所作業車の走行部安全装置構造 |
KR20100048537A (ko) * | 2008-10-31 | 2010-05-11 |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
KR100989822B1 (ko) | 2010-07-16 | 2010-10-29 | 주식회사 세웅 | 농업용 고소작업대 |
JP2011001171A (ja) * | 2009-06-19 | 2011-01-06 | Kawashima Nogu Seisakusho:Kk | 農業用高所作業機 |
KR101098336B1 (ko) | 2011-07-18 | 2011-12-23 | 장진만 |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농업용 고소 작업대 |
KR101200204B1 (ko) | 2011-07-18 | 2012-11-09 | 정성원 |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 |
-
2014
- 2014-03-07 KR KR2020140001838U patent/KR20047929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071A (ko) | 2002-11-29 | 2004-06-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냉각수 순환계 고장 진단장치 |
KR20060041010A (ko) * | 2004-11-08 | 2006-05-11 | 김종만 |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
JP2007320386A (ja) * | 2006-05-31 | 2007-12-13 | Sasaki Corporation | 農業用高所作業車の走行部安全装置構造 |
KR20100048537A (ko) * | 2008-10-31 | 2010-05-11 |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
JP2011001171A (ja) * | 2009-06-19 | 2011-01-06 | Kawashima Nogu Seisakusho:Kk | 農業用高所作業機 |
KR100989822B1 (ko) | 2010-07-16 | 2010-10-29 | 주식회사 세웅 | 농업용 고소작업대 |
KR101098336B1 (ko) | 2011-07-18 | 2011-12-23 | 장진만 |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농업용 고소 작업대 |
KR101200204B1 (ko) | 2011-07-18 | 2012-11-09 | 정성원 |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8577A (zh) * | 2017-11-17 | 2018-03-06 | 安徽骏达起重机械有限公司 | 高空起重作业装置 |
CN108064555A (zh) * | 2018-01-10 | 2018-05-25 | 重庆大学 | 一种草莓采摘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291Y1 (ko) | 2016-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291Y1 (ko) |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KR102073180B1 (ko) | 농업용 고소차 | |
US20160001622A1 (en) | Variable height vehicle | |
KR101008221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20130096559A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US20220225570A1 (en) | Multipurpose machine for cultivating trees | |
US20140041962A1 (en) | Self-moving operating machine with variable axle width | |
KR101823592B1 (ko) |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 |
KR101260601B1 (ko) | 고소차용 신축식 작업대 | |
CN104663027B (zh) | 一种液压履带式田园管理机 | |
CN207158737U (zh) | 一种小型果园升降作业平台 | |
KR20130084478A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JP2007276998A (ja) | 高所作業車 | |
KR200472815Y1 (ko) |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KR101741372B1 (ko) |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 |
KR101669152B1 (ko) |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KR101547507B1 (ko) | 착탈식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US6860699B2 (en) | Straddle loader | |
KR102166354B1 (ko) | 작업차 | |
JPH03224876A (ja) | 農作業車用クローラ走行装置 | |
KR20130007079U (ko) | 맨홀커버 설치용 테이블리프트 | |
JP2013055897A (ja) | コンバインの姿勢制御装置 | |
KR102529992B1 (ko) |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 |
CN220935784U (zh) | 一种可变修剪半径的球形灌木修剪机 | |
CN214267803U (zh) | 底盘装置和抓料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