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180B1 - 농업용 고소차 - Google Patents

농업용 고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180B1
KR102073180B1 KR1020190043888A KR20190043888A KR102073180B1 KR 102073180 B1 KR102073180 B1 KR 102073180B1 KR 1020190043888 A KR1020190043888 A KR 1020190043888A KR 20190043888 A KR20190043888 A KR 20190043888A KR 102073180 B1 KR102073180 B1 KR 10207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fting
elevating
cylind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라
Original Assignee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高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한궤도 등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측으로 구비되는 하부플랫폼, 상기 하부플랫폼에 장착되어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이동수단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실린더에 의해 작업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작업대에 수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포크를 장착하되 이를 틸팅수단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농업용 고소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고소차{A High Place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고소(高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한궤도 등을 통해 주행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측으로 구비되는 하부플랫폼, 상기 하부플랫폼에 장착되어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이동수단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실린더에 의해 작업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작업대에 수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포크를 장착하되 이를 틸팅수단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농업용 고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과실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상 사다리를 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 사다리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고, 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간혹 사다리가 넘어져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는 고소작업대(차)가 제안되고 있다.
고소 작업차는 별도의 장비없이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하여 과수원 등의 가지치기나 과일 따기 등과 같은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배관 공사, 덕트 공사, 건물 외벽공사 등을 진행할 때 등등 매우 폭넓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차)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바퀴(10)가 장착되는 이동수단(20)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고소 작업위치에서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하여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30a)와, 상기 이동수단의 상단부와 작업대의 하단부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를 고소 작업위치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이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 다음, 상기 작업대에 작업에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구비되는 작업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작업위치로 승강도중이거나 완전히 승강하여 작업 중일 때 별도의 안전지지수단이 없어 흔들리거나 전도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수원을 포함한 농업분야에서는 수확물을 건조, 냉동, 냉장 등의 조건에 맞는 보관실에 상자 단위로 넣고 빼는 작업이 많으나,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구비되는 작업대에는 물건을 외부에서 들어 올리지 못하여 별도의 지게차를 구비하여야 하고, 별도의 지게차가 구비되어야 해서 수화물에 대한 이동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KR 20-0266423 (등록번호) 2002.02.18. KR 10-2008-0039329 (공개번호) 2008.05.07. KR 10-1323637 (등록번호) 2013.10.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한궤도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측으로 구비되는 하부플랫폼, 상기 하부플랫폼에 장착되어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이동수단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실린더에 의해 작업대가 승강되면서 지지도록 하여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고소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작업대의 외부에서 수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포크를 장착하고 이를 틸팅수단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수화물의 이동성과 고소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틸팅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성을 갖는 지게차 없이도 다수의 수확물을 쉽게 들어올 수 있는 농업용 고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궤도바퀴(111) 및 상기 궤도바퀴(111)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12)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110)과;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부면으로 장착 구비되는 하부플랫폼(120);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하 승강(昇降)되는 승강수단(130); 상기 승강수단(13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바닥플레이트(141)와 난간지지대(142)로 구성되어 고소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대(140); 상기 하부플랫폼(120)에 설치되면서 그 전면 또는 후면을 일정각도로 기울여 이를 틸팅시키는 틸팅실린더(180);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140)에는 'ㄴ'자 형태의 작업용 포크(170)가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작업대(14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에 따라 상하 신축되면서 상기 작업대(140)를 지지하는 신축유니트(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유니트(150)와 상기 작업용 포크(170) 및 상기 틸팅실린더(180)는 모두 동일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수단(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실린더(18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작업대(140)의 전면 및 상기 작업용 포크(170)가 동시에 승하강되며,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베이스브라케트(151)와,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부측으로 신축 승강되는 다단의 승강브라케트(152),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를 다단으로 승강 신축시키는 브라케트실린더(153), 및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154)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업용 포크(170)는 수하물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17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회동핀(172)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절첩 회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작업대(140)의 상기 난간지지대(142)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173)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틸팅실린더(180)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를 승강시키는 전방실린더(181)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후면부를 승강시키는 후방실린더(182)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고, 고소작업 모드에서는 수평유지를 위하여 각 실린더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지게차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전방실린더(181) 및 후방실린더(182)가 각각 동시에 신축 또는 신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는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브라케트(152a)와,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2승강브라케트(152b),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3승강브라케트(152c)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는 상부측의 제1상부도르래(A)와 하부측의 제1하부도르래(B)가 설치되되, 상기 제1상부도르래(A)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상부와이어(Aa)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도르래(B)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하부와이어(Ab)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는 상부측의 제2상부도르래(C)와 하부측의 제2하부도르래(D)가 설치되되, 상기 제2상부도르래(C)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상부와이어(Ca)가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도르래(D)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하부와이어(Cb)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는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이동수단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수단을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실린더에 의해 작업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의 작업안정성을 높여 작업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작업대의 외부에서 수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포크를 장착하고 이를 틸팅수단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수화물의 이동성과 고소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복잡한 구성을 갖는 지게차 없이도 과수를 비롯한 다수의 수확물 상자를 쉽게 들어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에 구비되는 작업대의 개략적인 확대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의 작업대에 설치되는 포크가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의 신축유니트의 개략적인 상태도와 평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의 신축유니트의 상태단면도와 신장 승강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를 이용해 작업대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의 작업대가 틸팅수단에 의해 포크가 틸팅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종래의 고소차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궤도바퀴(111) 및 상기 궤도바퀴(111)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12)가 설치되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110)과,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부면으로 장착 구비되는 하부플랫폼(120),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하 승강(昇降)되는 승강수단(130),
상기 승강수단(13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바닥플레이트(141)와 난간지지대(142)로 구성되어 고소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대(140), 및
일단은 상기 하부플랫폼(120)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작업대(14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130)과 연동하여 상하 신축되면서 상기 작업대(140)를 지지하는 신축유니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소차(100)는 상기 승강수단(130)을 하강하여 상기 작업대(140)를 가장 아래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작업대(140)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기 승강수단(130)을 작동해 고소 작업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수단(110)은 일반적인 장비로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궤도바퀴(111)와 상기 궤도바퀴(111)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궤도바퀴(111) 대신에 일반 타이어바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대(140)에는 상기 이동수단(110)과 상기 승강수단(130) 및 후술하는 틸팅실린더를 조종하는 제어부(1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140)에서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고소 위치로 승강시켜 작업을 수행하고 난 후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이동수단(110)을 조종하여 또 다른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30)은 다단으로 설치되는 X자 형태의 리프트암(131)과 상기 리프트암(131)을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동실린더(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131)이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신축 승강(昇降)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승강수단(130)은 통상적으로 팬터그래프형태로 신축되면서 상기 작업대(140)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수단(130)은 팬터그래프형태 이외의 종래기술에 의해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작업대(140)에는 물건을 들어올리는 'ㄴ'자 형태의 절첩가능하거나(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거나 펼칠 수 없는 고정형 포크를 탈부착할 수 있는 작업용 포크(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작업용 포크(170)는 하중이 있는 물건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들어올리는 수평플레이트(17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회동핀(172)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절첩 회동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작업대(140)의 상기 난간지지대(142)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173)로 구성되고, 상기 난간지지대(142)에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상기 회동핀(172)에 의해 그 접혀진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플레이트고정구(174)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고정구(174)는 일단이 난간힌지핀(174ab)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142)에 설치되고 타단은 작동손잡이(174ac)가 설치되는 회동레버(174a)와, 상기 난간지지대(142)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레버(174a)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174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74b)는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절첩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레버(174a)를 회전하여 고정하는 고정스토퍼(174ba)와 상기 회동레버(174a)를 역회전하여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절첩 회전된 상태를 해제하고 이를 다시 고정 지지시키는 해제스토퍼(174bb)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고정구(174)는 상기 실시예 이외의 공지된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상기 회동핀(172)을 통해 상기 난간지지대(142)로 절첩 회동된 후 상기 회동레버(174a)를 회전하여 상기 고정스토퍼(174ba)에 걸어주게 되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절첩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회동레버(174a)를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절첩 회동된 상태에서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상기 회동핀(172)에 의해 회전되어 펼쳐지면서 작업할 수 있는 상태(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베이스브라케트(151)와,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부측으로 신축 승강되는 다단의 승강브라케트(152),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를 다단으로 승강 신축시키는 브라케트실린더(153), 및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15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펌프(154)에 의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를 신장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브라케트(152)가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그 단부에 연결된 상기 작업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펌프(154,유압펌프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작동하는 구조임)에 의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를 신장시키키는 작동은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승강수단(130)을 승강시키는 상기 작동실린더(132)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즉,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132)가 작동되면 상기 승강수단(130)이 승강되는 동시에 상기 유압펌프(154)에 의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도 작동되면서 상기 신축유니트(150)도 신축 승강되면서 상기 작업대(140)를 고소 작업위치로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유니트(15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는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브라케트(152a)와,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2승강브라케트(152b),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3승강브라케트(152c)를 포함하며,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끝단부에는 상기 작업대(1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는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의 승강에 따라 신축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와 지지브라케트(155)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는 상부측의 제1상부도르래(A)와 하부측의 제1하부도르래(B)가 설치되되, 상기 제1상부도르래(A)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상부와이어(Aa)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도르래(B)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하부와이어(A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펌프(1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1상부도르래(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상부와이어(Aa)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를 당겨 올려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가 10cm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는 20cm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는 상부측의 제2상부도르래(C)와 하부측의 제2하부도르래(D)가 설치되되, 상기 제2상부도르래(C)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상부와이어(Ca)가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도르래(D)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하부와이어(C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펌프(1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1상부도르래(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상부와이어(Aa)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를 당겨 올려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상부도르래(C)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상부와이어(Ca)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를 당겨 올려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가 10cm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는 20cm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는 40cm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3승강브라케트의 상승비가 1:2:4로 이루어진다.
반대로, 상기 승강브라케트(152)가 하강될 때에는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2상부도르래(C)와 상기 제2하부도르래(D)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2,3승강브라케트가 상기와는 반대로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승강브라케트(152)가 제1,2,3승강브라케트의 3단계로 승강 신축되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시 3단 이상으로 연이어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신축유니트(15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작업대(140) 하단과 하부플랫폼(120) 사이를 연결되어 신축 승강되되면서 상기 작업대(140)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140)가 상승하면서 신장되고 하강하면서 수축되며, 작업용 포크(170)가 수화물을 적재하고 상승할 때에 상기 작업대(140)가 좌우 어느 쪽으로 급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신축유니트(150)의 최상단 브라케트에는 신축유니트를 상기 작업대(140)와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상기 신축유니트(150)가 지면에서 수평이 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상기 작업대(140)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공압이나 유압실린더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플랫폼(120)에는 그 전면 또는 후면을 상하로 경사지게 기울여 틸팅시키는 틸팅실린더(1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틸팅실린더(180)는 네 모서리에 각 하나씩 총 4개가 위치하며 고소 작업차 모드에서는 각각의 실린더를 상하로 조정하여 작업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게차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를 승강시키도록 전방에 위치한 2개의 전방실린더(181)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후면부를 승강시키도록 후방에 위치한 2개의 후방실린더(182)가 각각 묶음(세트)으로 작동(2개의 전방실린더가 동시에 작동하거나 2개의 후방실린더가 동시에 작동)하여 지게차포크를 틸팅시키거나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에서 2개의 상기 전방실린더(181)를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가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가 후면부에 비해 높이 상승한다. 즉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가 높고 후면부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작업대(140)도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가 높고 후면부가 낮아지게 되고 상기 작업대(140)에 설치되는 상기 작업용포크(170)의 상기 바닥면플레이트(141)의 선단부가 높아지면서 틸트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140)을 하강시킨 후 상기 작업용포크(170)에 구비된 상기 수평플레이트(171)를 펼쳐서 수화물의 바닥면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고 상기 작업용 포크(170)를 틸팅시켜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선단부를 상부측으로 올려 기울여 주면 수화물이 전도될 염려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작업용 포크(170)가 전방 상부측으로 틸팅(tilting)됨으로써 이에 적재된 수화물이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전방실린더(181)과 상기 후방실린더(182)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전방실린더(181)와 후방실린더(182)는 고소작업차 모드에서는 4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지게차 모드에서는 전방실린더(181) 2개와 후방실린더(182) 2개가 각각 동시에 신장되고 수축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방실린더(181)와 상기 후방실린더(182)는 상기 작업용 포그(170)를 통하여 작업대(140)의 외부에서 수화물을 싣고 내리고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동작과 동작 사이에 신장되거나 수축되며, 전방실린더(181)는 전방실린더 전체가 신장되고 수축되며, 후방실린더(182)는 후방실린더 전체가 신장되고 수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싣거나,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거나 또는 내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차는 무한궤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하부플랫폼, 상기 하부플랫폼에 장착되어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이동수단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실린더에 의해 작업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작업대에 수화물을 들어올리는 작업포크를 장착하여 이를 틸팅수단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100:농업용 고소차
110:이동수단 111:궤도바퀴 112:구동장치
120:하부플랫폼
130:승강수단 131:리프트암 132:작동실린더
140:작업대 141:바닥플레이트 142:난간지지대
150:신축유니트
15:베이스브라케트 151a:베이스고정구 152:승강브라케트
152a:제1승강브라케트 152ab:제1승강고정구 152b:제2승강브라케트
152ba:제2승강고정구 152c:제3승강브라케트 152ca:제3승강고정구
153:브라케트실린더 154:유압펌프 155:지지브라케트
A:제1상부도르래 B:제1하부도르래 Aa:제1상부와이어 Ab:제1하부와이어
C:제2상부도르래 D:제2하부도르래 Ca:제2상부와이어 Cb:제2하부와이어
160:제어부
170:작업용포크
171:수평플레이트 172:회동핀 173:수직플레이트
174:플레이트고정구 174a:회동레버 174ab:난간힌지핀
174b:스토퍼 174ba:고정스토퍼 174bb:해제스토퍼
180:틸팅실린더
181:전방실린더 182:후방실린더

Claims (6)

  1. 궤도바퀴(111) 및 상기 궤도바퀴(111)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12)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110)과;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부면으로 장착 구비되는 하부플랫폼(120);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하 승강(昇降)되는 승강수단(130);
    상기 승강수단(13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바닥플레이트(141)와 난간지지대(142)로 구성되어 고소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대(140);
    상기 하부플랫폼(120)에 설치되면서 그 전면 또는 후면을 일정각도로 기울여 이를 틸팅시키는 틸팅실린더(180);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140)에는 'ㄴ'자 형태의 작업용 포크(170)가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작업대(14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에 따라 상하 신축되면서 상기 작업대(140)를 지지하는 신축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유니트(150)와 상기 작업용 포크(170) 및 상기 틸팅실린더(180)는 모두 동일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수단(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실린더(18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작업대(140)의 전면 및 상기 작업용 포크(170)가 동시에 승하강되며,
    상기 신축유니트(150)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베이스브라케트(151)와,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부측으로 신축 승강되는 다단의 승강브라케트(152),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를 다단으로 승강 신축시키는 브라케트실린더(153), 및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154)로 구성되는 농업용 고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포크(170)는 수하물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171)와 상기 수평플레이트(171)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회동핀(172)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171)가 절첩 회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작업대(140)의 상기 난간지지대(142)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173)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고소차.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실린더(180)는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전면부를 승강시키는 전방실린더(181)와 상기 하부플랫폼(120)의 후면부를 승강시키는 후방실린더(182)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고,
    고소작업 모드에서는 수평유지를 위하여 각 실린더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지게차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전방실린더(181) 및 후방실린더(182)가 각각 동시에 신축 또는 신장되는 농업용 고소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브라케트(152)는 상기 브라케트실린더(153)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브라케트(152a)와,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2승강브라케트(152b),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제3승강브라케트(152c)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에는 상부측의 제1상부도르래(A)와 하부측의 제1하부도르래(B)가 설치되되, 상기 제1상부도르래(A)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상부와이어(Aa)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도르래(B)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브라케트(15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고정구(1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2승강고정구(152ba)에 연결되는 제1하부와이어(Ab)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승강브라케트(152b)에는 상부측의 제2상부도르래(C)와 하부측의 제2하부도르래(D)가 설치되되, 상기 제2상부도르래(C)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상부와이어(Ca)가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도르래(D)에는 일단이 상기 제1승강브라케트(152a)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제1승강고정구(152a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승강브라케트(152c)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상기 제3승강고정구(152ca)에 연결되는 제2하부와이어(Cb)가 구비되는 농업용 고소차.
KR1020190043888A 2019-04-15 2019-04-15 농업용 고소차 KR10207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88A KR102073180B1 (ko) 2019-04-15 2019-04-15 농업용 고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88A KR102073180B1 (ko) 2019-04-15 2019-04-15 농업용 고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180B1 true KR102073180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88A KR102073180B1 (ko) 2019-04-15 2019-04-15 농업용 고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1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863A (zh) * 2020-09-01 2020-11-2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高邮市供电分公司 一种配电房辅助维修装置
KR20210123894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KR20210136510A (ko) *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20220069383A (ko) *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CN116448331A (zh) * 2023-05-11 2023-07-18 广州中冠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制动卡钳密封性能检测设备
KR102615631B1 (ko) *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2633161B1 (ko) * 2023-03-02 2024-02-02 한성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US11910751B1 (en) * 2023-03-17 2024-02-27 King Saud University Robotic system for harvesting and maintaining date palm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970042244A (ko) * 1995-12-28 1997-07-24 유상부 접을 수 있는 지게차 포크
KR200214478Y1 (ko) * 2000-09-19 2001-02-15 양홍모 유압식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소형 기자재 승강장치
KR200266423Y1 (ko)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KR20080039329A (ko) 2007-12-26 2008-05-07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고소작업차
KR20120050357A (ko) * 2010-11-10 2012-05-18 송준복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KR101323637B1 (ko) 2013-05-31 2013-11-05 대경정공(주)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970042244A (ko) * 1995-12-28 1997-07-24 유상부 접을 수 있는 지게차 포크
KR200214478Y1 (ko) * 2000-09-19 2001-02-15 양홍모 유압식 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소형 기자재 승강장치
KR200266423Y1 (ko)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KR20080039329A (ko) 2007-12-26 2008-05-07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고소작업차
KR20120050357A (ko) * 2010-11-10 2012-05-18 송준복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KR101323637B1 (ko) 2013-05-31 2013-11-05 대경정공(주)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894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KR102405917B1 (ko) * 2020-04-06 2022-06-07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KR20210136510A (ko) *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340469B1 (ko) * 2020-05-08 2021-12-16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111976863A (zh) * 2020-09-01 2020-11-2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高邮市供电分公司 一种配电房辅助维修装置
KR20220069383A (ko) *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KR102550230B1 (ko) 2020-11-20 2023-06-30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KR102615631B1 (ko) *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2633161B1 (ko) * 2023-03-02 2024-02-02 한성산업(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US11910751B1 (en) * 2023-03-17 2024-02-27 King Saud University Robotic system for harvesting and maintaining date palms
CN116448331A (zh) * 2023-05-11 2023-07-18 广州中冠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制动卡钳密封性能检测设备
CN116448331B (zh) * 2023-05-11 2024-04-30 河南众德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制动卡钳密封性能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00048536A (ko)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KR101804278B1 (ko)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456337B1 (ko)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2001136822A (ja) 果実収穫作業車
JP2020063119A (ja) 移動式リフト
JP2001348200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3178060U (ja) リフト車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JP2014001034A (ja) リフト車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KR101252098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809937B1 (ko) 작업차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JPH0811621A (ja) 高所作業車
KR102529992B1 (ko)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102516397B1 (ko)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JP6412373B2 (ja) リフト車
CN115506608A (zh) 一种智能建造集成平台及基于该平台的厂房建造方法
JPH07300297A (ja) 横伸縮性バケット操作架台
JP2016216219A (ja) リフト車
JPH03337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