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357A -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357A
KR20120050357A KR1020100111807A KR20100111807A KR20120050357A KR 20120050357 A KR20120050357 A KR 20120050357A KR 1020100111807 A KR1020100111807 A KR 1020100111807A KR 20100111807 A KR20100111807 A KR 20100111807A KR 20120050357 A KR20120050357 A KR 2012005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work device
main body
receiving unit
aeri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복
Original Assignee
송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복 filed Critical 송준복
Priority to KR102010011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0357A/ko
Publication of KR2012005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한 최소한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은 물론, 전방 및 측방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함에 따라 농지의 경사면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작업자가 가장 안정감 있는 상태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농업용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장치는, 궤도(110)가 장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하면지지프레임(130)이 일체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에 탑재되어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유닛(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와 수용유닛(200)은 중심축이 결합핀(310)으로 결속된 승강조절바(300)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어, 본체(100) 상에서 수용유닛(200)이 상하구동 및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고소작업장치{HIGH PLACE WORKING DEVIC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과수 수확 등을 위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보다 안정감 있고 편리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는 물론, 전방 및 측 방향에 대해 구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황에 적합한 가장 이상적인 구배 조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소차량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기지장치로서, 주로 가로수절단, 가로등 보수, 간판설치나 건물의 외부작업 등과 같은 고소 작업시 사용되며, 고소작업을 위한 장비로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특수장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대한 전문기술이 요구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며, 고소작업에 따른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바, 이러한 특수장비를 구입하여 농사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현실에 있다. 또한,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은 2인 1조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작된 차량으로, 농사작업의 경우에는 통상 1인이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종래의 고소작업 차량을 농사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 고소차량은 빌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특수목적 차량이므로, 그 크기가 매우 크지만 그러한 크기의 고소작업 차량은 좁은 농로를 이동할 수 없으므로 농사용 차량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고, 또한 농사 작업의 경우에는 수십 미터의 작업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결국 필요 이상의 에너지만 낭비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농사용으로 사용할만한 고소차량은 통상 높은 위치에 있는 과수를 수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적재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아웃 트리거가 필요하게 되고, 통상적인 농지가 일반 도로와는 달리 경사가 심한 곳임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지지수단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농지의 위치와 경사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지지될 수 있는 고소작업차량이 필요한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그러한 구성이 구비된 농사용 고소차량은 전무한 실정이다.
.
더불어, 농사작업은 물건의 적재, 운반, 덤프, 고소작업 등 다양한 일련의 작업을 모두 처리하는 작업이므로, 농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농사용 차량은 이에 상응하는 다목적 기능을 가질 수 있어야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겠으나, 종래의 일반 고소차량은 특수 목적차량으로서, 단지 리프트 승강 방식의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 차량이므로 농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농사에 수반되는 작업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이 용이한 최소한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은 물론, 전방 및 측방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함에 따라 농지의 경사면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작업자가 가장 안정감 있는 상태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 해결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고소작업장치는,
궤도가 장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하면지지프레임이 일체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수용유닛은 중심축이 결합핀으로 결속된 승강조절바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어, 본체 상에서 수용유닛이 상하구동 및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조절바의 상측 단부가 수용유닛의 상면지지프레임에 구속되고, 하측 단부는 본체의 하면지지프레임에 구속되게 하는 한편, 상기 상면지지프레임 및 하면지지프레임에는 요철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요철부에 위치되는 승강조절바의 상하측 단부에 모터와 축 결합된 회전돌부를 배치하여 상기 회전돌부가 요철부에 안내되어 측 방향 왕복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조절바는 하면지지프레임의 선단부에서 회절링크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회절링크의 타단은 구동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회절링크의 위치변화로 상기 수용유닛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하면지지프레임의 사이 공간에는 구동축 및 구동실린더가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구동실린더의 로드가 구동되면서 상기 하면지지프레임을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유닛은 발판;과, 승강조절바와 연결 형성되는 상면지지프레임;과,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수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는 체인이 장착되고, 모터와 축 결합된 스프라켓에 상기 체인이 치합되면서 발판의 내측 공간부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내부 공간을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다수의 결합공이 천공된 지지대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결합공에 스토퍼가 안착됨에 따라 지지대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궤도에는 상하 구동되는 고정발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고소작업장치에 의하면, 상하는 물론, 전방 및 측 방향에 대해 구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황에 적합한 가장 이상적인 구배 조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수 수확 등을 위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보다 안정감 있고 편리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사시도.
도 2a,b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가 전방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음을 보인 구동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 구동을 보인 구동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방 구동을 보인 구동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용유닛이 측방 연장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대가 상방 연장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과수 수확 등을 위해 높은 곳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보다 안정감 있고 편리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1)에 관련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사시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가 전방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음을 보인 구동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장치(1)는 크게 본체(100);와, 수용유닛(200);과, 승강조절바(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는 베이스플레이트(120) 및 하면지지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궤도(110)가 장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하면지지프레임(130)이 일체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하면지지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후술하는 구동축(121) 및 구동실린더(122)가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도 4 내지 도 5 참조)
상기 승강조절바(300)는 2개 1조로 이루어져 본체(100)와 수용유닛(200)을 상호 연결 구성하는 것은 물론, 본체(100) 상에서 상기 수용유닛(200)이 보다 안정감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승강조절바(300)는 수용유닛(200)의 상면지지프레임(250)과 본체(100)의 하면지지프레임(130)에 각각 상하단이 고정되며, 그 중심축은 결합핀(310)으로 결속되어 서로 이격되지 않으면서 구동이 자유롭게 하였다.
상기 수용유닛(200)은 작업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발판(240);과, 승강조절바(300)와 연결 형성되는 상면지지프레임(250);과,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a와 2b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1)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과 관련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구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조절바(300)는 하면지지플레이트(130)의 선단부에서 회절링크(400)의 일단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절링크의 타단은 구동실린더(410)의 로드(410a)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구동실린더(410)의 구동에 따른 회절링크(400)의 위치변화로 인해 상기 수용유닛(2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하였다.
다시 말해서, 구동실린더(410)가 작동하게 되면 최초 인출된 상태에 놓여있던 로드(410a,도 2a 참고)가 일부 수축되면서 이와 결합된 회절링크(400)를 당겨주게 되고, 이때 로드에 의하여 회절링크의 위치가 변화되면서(로드와 결합된 회절링크의 단부가 후방으로 이동) 상기 회절링크의 또 다른 단부와 결합된 승강조절바(300) 또한 동일하게 위치 이동된다(도 2b 참고). 이에, 승강조절바는 회절링크의 구동에 따라 하향 전환되면서 하향되는 그 거리만큼 수용유닛(200)을 전방에 대해 기울어지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 구동을 보인 구동 예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상하 구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승강조절바(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조절바(3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측 단부가 수용유닛(200)의 상면지지프레임(250)에 구속되고, 하측 단부는 본체(100)의 하면지지프레임(130)에 구속된다. 더불어, 상기 상면지지프레임(250) 및 하면지지프레임(130) 각각에 요철부(250a)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부(250a)는 통상의 래크기어와 동일한 기술사상이며, 이와 대응되는 회전돌부(330)를 소정의 모터(320)에 장착되게 하여 상기 모터(3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돌부(330)와 요철부(250a)가 상호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서로 치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의 모터(320)는 요철부(250a)에 배치되는 승강조절바(300)의 각 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20)가 구동될 경우 모터와 결부된 회전돌부(330)를 회전시키게 되고, 요철부(250a)와 치합 상태에 놓여 있던 상기 회전돌부(330)의 회전으로 인해 유연하게 회전돌부를 요철부에 안내되게 함으로써, 승강조절바(300)가 상하 동일하게 측 방향 구동될 수 있게 하였다. 즉, 필요 상황에 따라 고소작업장치(1)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있어서 유용한 수단이 되는바, 도 3에서와 같이 최초 상향 배치되던 수용유닛(200)을 하향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조절바(300)를 상면지지프레임(250) 및 하면지지프레임(130)에 구비된 요철부(250a)를 따라 오른 방향(도 3의 도면기준)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용유닛(200)의 승강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측방 구동을 보인 구동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측방 구동은 구동축(121)과 구동실린더(1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 상면에 고정 장착되는 구동축(121) 및 상기 구동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동실린더(122)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각각 하면지지프레임(130)의 저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실린더(122)의 로드를 하면지지프레임(130)에 결속된 고정브래킷(131)을 통해 연결하였는바, 상하 구동되는 로드의 운동 방향에 따라 하면지지프레임(130)이 들려 올려지거나 혹은 제자리 배치되면서 수용유닛(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구동실린더(122)의 로드가 인출되면서 하면지지프레임(130)의 한쪽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맞은편에 구비된 구동축(121)에 의해 위치 변동 없이 하면지지프레임(130)이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용유닛이 측방 연장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용유닛(200)은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작업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양쪽 방향에 대해 연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260)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발판(240) 내측 공간부에 수용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60) 저면에는 체인(261)이 장착되고, 모터(600)와 축 결합된 스프라켓(601)에 상기 체인(261)이 치합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260)가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복수 구비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260)를 상기 발판(240)의 내측 공간부에 알맞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수평 높이를 차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렇게 분리된 영역에 배치되던 각각의 슬라이딩플레이트(260)는 필요에 따라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구동시켜 돌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궤도(110)에는 상하 구동되는 고정발(500)을 형성시켜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가 안정감 있게 위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바, 상기 고정발(500)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대가 상방 연장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대(230)는 수용유닛(200)에 위치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바, 이러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210)에는 스토퍼(211)가 더 구비된다. 또한, 수직부재(210)의 내부 공간을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230)가 끼워지게 하였는바, 다수의 결합공(230a)이 등간격 천공된 지지대를 수직부재에 끼우면서 상기 결합공 중 어느 하나와 스토퍼(211)를 중첩되게 하여 상기 스토퍼의 단부를 결합공에 인입시킴으로써, 수직부재(210) 상에서 지지대(23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장치에 의하면, 지면의 경사에 따라 가장 안정감 있는 상태로 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물론, 상하 및 측방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였고, 제어부(270)의 조작에 따라 이러한 기울기 각도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고소작업장치 100: 본체
110: 궤도 120: 베이스플레이트
121: 구동축 122: 구동실린더
130: 하면지지프레임 131: 고정브래킷
200: 수용유닛 210: 수직부재
211: 스토퍼 220: 수평부재
230: 지지대 230a: 결합공
240: 발판 250: 상면지지프레임
250a: 요철부 260: 슬라이딩플레이트
261: 체인 270: 제어부
300: 승강조절바 310: 결합핀
320: 모터 330: 회전돌부
400: 회절링크 410: 구동실린더
410a: 로드 500: 고정발
600: 모터 601: 스프라켓

Claims (8)

  1.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하면지지프레임(130)이 일체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탑재되어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유닛(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와 수용유닛(200)은 중심축이 결합핀(310)으로 결속된 승강조절바(300)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어, 본체(100) 상에서 수용유닛(200)이 상하구동 및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바(300)의 상측 단부가 수용유닛(200)의 상면지지프레임(250)에 구속되고, 하측 단부는 본체(100)의 하면지지프레임(130)에 구속되게 하는 한편,
    상기 상면지지프레임(250) 및 하면지지프레임(130)에는 요철부(250a)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요철부(250a)에 위치되는 승강조절바(300)의 상하측 단부에 모터(320)와 축 결합된 회전돌부(330)를 배치하여 상기 회전돌부(330)가 요철부(250a)에 안내되어 측 방향 왕복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바(300)는 회절링크(400)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회절링크(400)의 타단은 구동실린더(410)의 로드(410a)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실린더(410)의 구동에 따라 회절링크(400)의 위치변화로 상기 수용유닛(2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하면지지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는 구동축(121) 및 구동실린더(122)가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구동실린더(122)의 로드가 구동되면서 상기 하면지지프레임(130)을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200)은 발판(240);과, 승강조절바(300)와 연결 형성되는 상면지지프레임(250);과,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 및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240)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260)가 수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60)에는 체인(261)이 장착되고, 모터(600)와 축 결합된 스프라켓(601)에 상기 체인(261)이 치합되면서 발판(240)의 내측 공간부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10)에는 스토퍼(211)가 구비되고, 내부 공간을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다수의 결합공(230a)이 천공된 지지대(230)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결합공(230a)에 스토퍼(211)가 안착됨에 따라 지지대(23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110)에는 상하 구동되는 고정발(50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KR1020100111807A 2010-11-10 2010-11-10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KR20120050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07A KR20120050357A (ko) 2010-11-10 2010-11-10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07A KR20120050357A (ko) 2010-11-10 2010-11-10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357A true KR20120050357A (ko) 2012-05-18

Family

ID=4626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07A KR20120050357A (ko) 2010-11-10 2010-11-10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03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77A (ko) * 2014-04-24 2015-11-03 강상록 과수용 작업차
US9682645B2 (en) 2012-11-27 2017-06-20 Mmd Design & Consultancy Limited Transporter
CN107834422A (zh) * 2017-12-01 2018-03-23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和田供电公司 选择倾斜的电力设备检修台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WO2021165710A1 (en) * 2020-02-21 2021-08-26 Pek Automotive D.O.O Self-propelled agricultural mach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2645B2 (en) 2012-11-27 2017-06-20 Mmd Design & Consultancy Limited Transporter
KR20150123077A (ko) * 2014-04-24 2015-11-03 강상록 과수용 작업차
CN107834422A (zh) * 2017-12-01 2018-03-23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和田供电公司 选择倾斜的电力设备检修台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WO2021165710A1 (en) * 2020-02-21 2021-08-26 Pek Automotive D.O.O Self-propelled agricultural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0357A (ko)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GB2422141A (en) Elevating working platform for clamping to the framework of a building as the building is constructed
US20040262079A1 (en) Material-handling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US7740106B2 (en)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CN105538237B (zh) 一种电锤打孔辅助装置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20120134198A (ko)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101620097B1 (ko)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KR101070405B1 (ko)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DE102008061334B4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schweren Gegenständen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220068448A (ko) 차량용 드론 캐리어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CN215107188U (zh) 一种易于搭建的施工防护平台
CN213231447U (zh) 一种扩展式车载升降平台
KR101674718B1 (ko) 농업용 고소작업기
CN207919349U (zh) 利用车辆进行支撑的桥梁外侧检修装置
KR20200111914A (ko)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KR101252098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AU2013100182A4 (en) Stabilised boom
CN219971793U (zh) 升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