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98A - 작업용 전동 승강기 - Google Patents

작업용 전동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98A
KR20120134198A KR1020110052959A KR20110052959A KR20120134198A KR 20120134198 A KR20120134198 A KR 20120134198A KR 1020110052959 A KR1020110052959 A KR 1020110052959A KR 20110052959 A KR20110052959 A KR 20110052959A KR 20120134198 A KR20120134198 A KR 2012013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ase portion
chain
lifting
chai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호
최명환
Original Assignee
(주)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유 filed Critical (주)오유
Priority to KR102011005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198A/ko
Publication of KR2012013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양측면에 이동수단이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빔 형상이고,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고, 승강가이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편이 형성된 판 형상의 리프트부,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고, 점성 유체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체인기어는 제1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2체인기어는 루프 형상의 체인에 의해 상기 제1체인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의 일부는 상기 결합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전동 방식에 의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전원이 상실된 경우에도 점성 유체와의 마찰에 의하여 리프트부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 및 물품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전동 승강기{Electric Elevator for Work}
본 발명은 전동식으로 운전되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방식에 의하여 이동 및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의 승강이 가능하고, 전원이 상실될 경우에도 점성 유체의 마찰력에 의하여 승강기의 급속한 추락을 방지하는 감속장치가 구비된 작업용 전동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이 가능한 이동식 승강기는 작업 공간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과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승강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특히 과수원 등과 같은 농업용으로 이용되는 이동식 승강기의 경우 상기 차량으로서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농기계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승강기의 경우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는 농기계가 상대적으로 큰 이동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과수원과 같이 좁은 과수나무 사이의 통로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승강기의 경우 농기계에 부착된 리프트 장치가 단지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과수나무의 특성상 경사 방향으로의 승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경사 각도만큼 농기계가 직접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의 저하는 물론 농기계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승강기의 경우 리프트 장치를 유압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전동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동력 상실시 리프트 장치가 급속하게 추락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 이동수단에 의하여 작업시 좁은 공간내에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간이 이동수단이 안정되게 정지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의 승,하강이 가능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식으로 동작되는 상기 리프트 장치가 승강된 위치에서 공급되던 전원이 상실된 경우에 점성 유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장치가 급속하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양측면에 이동수단이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빔 형상이고,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고, 승강가이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편이 형성된 판 형상의 리프트부,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고, 점성 유체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체인기어는 제1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2체인기어는 루프 형상의 체인에 의해 상기 제1체인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의 일부는 상기 결합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는,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제1체인기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결합된 드럼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된 형상이고, 상기 회전체는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점성 유체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바에 결합된 신축암을 포함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편과 승강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리프트부와 베이스부에 대하여 베이스부의 양측면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신축암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지지바를 베이스부의 양측면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제3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로 구성되되, 양측 이동수단 각각은 독립적으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트랙터나 경운기를 차체로 이용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차체를 베이스부와 이와 연결된 이동수단만으로 간결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수 사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유압 방식 대신에 전동 방식에 의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전원이 상실되는 경우에도 기계식 마찰력에(즉, 회전체 블레이드와 점성 유체와의 마찰) 의하여 리프트부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 및 물품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경사 방향으로의 승강이 필요한 경우 베이스부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단순히 틸팅부의 구동에 의하여 정해진 경사 각도로 리프트부의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부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에 적용된 감속부(B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및
도4a와 도4b는 각각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와 경사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에 적용된 감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양측면에 이동수단(11)이 연결된 베이스부(10), 일측 단부(20a)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면(10a)과 후면(10b)에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부(2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20)를 따라 승하강하는 리프트부(30),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2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부(30)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1)의 차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하중과 작업에 수반되는 물건의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강철이나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견고한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를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1)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수원과 같은 농업용지를 이동할 경우 진흙이나 웅덩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수단(11)이 무한궤도(caterpillar)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이동수단(11)은 바퀴나 트랙터 바퀴 등과 같은 통상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11)은 전기를 이용한 제1구동모터(12)에 의하여 구동되는데, 상기 제1구동모터(12)는 양측 이동수단(11)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이동수단(11)의 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경우 방향 전환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12)는 베이스부(1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20)는 베이스부(10)의 상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일측 단부(20a)에는 제1체인기어(21)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22)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체인기어(21)는 베이스부(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면(10a)과 후면(10b)을 통해 돌출되는 회전축(1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축(13)은 제2구동모터(14)에 의하여 정역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체인기어(21)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체인기어(22)는 루프 형상의 체인(23)에 의하여 상기 제1체인기어(21)에 연결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체인기어(21)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체인(23)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가이드부(20)를 베이스부(10)와 대면하는 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빔으로 구성함으로써, 승강가이드부(20)의 내부에 상기 제1체인기어(21), 제2체인기어(22) 및 체인(23)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전면측과 후면측의 승강가이드부(20)가 두 쌍이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한 쌍 또는 세 쌍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각각의 승강가이드부(20)에서의 승강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구동모터(14)의 구동축 상에서 서로 이격된 2개의 구동기어(15)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동기어(15)를 대응되는 회전축(13)에 구비된 동력전달기어(16)와 연결시켜 제2구동모터(14)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5)와 동력전달기어(16)는 동력전달체인(1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통상의 체인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승강가이드부(20)가 복수의 쌍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승강가이드부(20)의 상단은 연결바(2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승강가이드부(20)의 연결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틸팅부(50)에 의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의 양측면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연결바(24)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30)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건을 탑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테두리에는 작업자 등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높이의 안전바(3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20)와 대향하는 면(즉, 베이스부의 전면 및 후면과 같은 방향인 면)(30a)에는 결합편(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편(32)은 체인(23)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2체인기어(21,2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체인(23)이 이동할 경우 상기 리프트부(30)가 체인(2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전동식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승강 상태에서 전원이 상실될 경우(예를 들어, 배터리의 방전 등)에는 자중에 의하여 리프트부(30)가 급속하게 추락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리프트부(30)에 탑승하거나 탑재된 작업자 또는 물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체의 점성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부(30)의 승강 및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부(40)는 상기 승강가이드부(20)를 사이에 두고 제1체인기어(21)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축(13)에 결합된 회전체(41)와, 상기 회전체(41)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체결부재(42)에 의하여 상기 승강가이드부(20)에 결합된 드럼형상의 하우징(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41)의 외측면과 하우징(43)의 내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블레이드(41a,43a)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원주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된 형상이고, 상기 회전체(41)는 하우징(43)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43)의 내부에는 오일과 같이 높은 점성을 가진 유체(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압축성이고 불연성인 유체)(미도시)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승강가이드부(20)와 접하는 하우징(43)의 결합부에는 내부에 채워진 점성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성 유체는 하우징(43)이 승강가이드부(20)에 결합된 후에 하우징(43)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점성 유체가 하우징(43)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속부(40)는 전원이 상실될 경우 회전체(41)의 블레이드(41a)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과정에서 하우징(43) 내부에 채워진 점성 유체와의 마찰에 의하여 감속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부(30)가 급속한 속도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유압 방식 대신에 전동 방식에 의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전원이 상실되는 경우에도 기계식 마찰력에(즉, 회전체 블레이드와 점성 유체와의 마찰) 의하여 리프트부(30)가 급격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 및 물품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는 트랙터나 경운기를 차체로 이용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차체를 베이스부와 이와 연결된 이동수단만으로 간결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수 사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베이스부(1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부(30)를 정해진 경사 각도를 따라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틸팅(tilting)부(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부(50)는 베이스부(10)의 전면(10a)과 후면(10b)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2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바(51)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바(51)에 결합된 신축암(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편(32)과 승강가이드부(20)는 각각 상기 리프트부(30)와 베이스부(10)에 대하여 베이스부(10)의 양측면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암(52)은 제3구동모터(53)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지지바(51)를 베이스부(10)의 양측면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승강가이드부(20)의 경사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축암(52)은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제3구동모터(53)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암 또는 다단식 암(52a)이 입구를 통해 출몰하는 통상의 신축암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경사 방향으로의 승강이 필요한 경우 베이스부(10)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단순히 틸팅부(50)의 구동에 의하여 정해진 경사 각도로 리프트부(30)의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현저히 제고할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부(10)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4a와 도4b는 각각 도1에 도시한 작업용 전동 승강기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와 경사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먼저 작업자가 상기 전동 승강기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부(110)를 통하여 이동, 승하강 또는 경사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전원공급원(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2,3구동모터(12,14,5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동수단(11), 회전축(13) 및 신축암(52)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니 레버가 설치된 통상의 리모컨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원(120)은 전동 승강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같은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구동모터(12,14)와 전원공급원(120)은 베이스부(1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수직 방향으로 리프트부(30)를 승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단순히 회전축(13)을 정역회전시키기만 하면 회전 방향을 따라 체인(2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부(30)가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부(20)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전동 승강기(1)는 경사 방향으로 리프트부(30)를 승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틸팅부(50)를 동작시켜 상기 승강가이드부(20)를 원하는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하고, 이후에 회전축(13)을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방향을 따라 체인(23)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부(30)가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승강가이드부(20)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10 : 베이스부 11 : 이동수단
20 : 승강가이드부 21 : 제1체인기어
22 : 제2체인기어 23 : 체인
30 : 리프트부 32 : 결합편
40 : 감속부 50 : 틸팅부

Claims (4)

  1. 양측면에 이동수단이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빔 형상이고,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고, 승강가이드부와 대향하는 면에 결합편이 형성된 판 형상의 리프트부;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고, 점성 유체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부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체인기어는 제1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2체인기어는 루프 형상의 체인에 의해 상기 제1체인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의 일부는 상기 결합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승강가이드부를 사이에 두고 제1체인기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결합된 드럼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된 형상이고, 상기 회전체는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점성 유체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된 승강가이드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바에 결합된 신축암을 포함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편과 승강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리프트부와 베이스부에 대하여 베이스부의 양측면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신축암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지지바를 베이스부의 양측면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제3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로 구성되되, 양측 이동수단 각각은 독립적으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1020110052959A 2011-06-01 2011-06-01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20120134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59A KR20120134198A (ko) 2011-06-01 2011-06-01 작업용 전동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59A KR20120134198A (ko) 2011-06-01 2011-06-01 작업용 전동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98A true KR20120134198A (ko) 2012-12-12

Family

ID=4790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959A KR20120134198A (ko) 2011-06-01 2011-06-01 작업용 전동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19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9788A (zh) * 2017-03-31 2017-06-13 安徽广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粮食烘干的提升机
CN108146480A (zh) * 2018-01-10 2018-06-12 周金曼 一种适用于多种航空发动机涡轮转子的运输车
CN110104534A (zh) * 2018-02-01 2019-08-09 深圳市今天国际智能机器人有限公司 升降设备
KR20200024385A (ko) 2018-08-28 2020-03-09 오병호 복수의 차륜을 구비한 농기계 이동체
US10858893B2 (en) 2018-02-02 2020-12-08 Adam Toma Laterally movable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methods of use
CN112141262A (zh) * 2020-08-07 2020-12-29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机舱狭小空间设备布置与安装方法
KR20210136510A (ko) *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9788A (zh) * 2017-03-31 2017-06-13 安徽广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粮食烘干的提升机
CN108146480A (zh) * 2018-01-10 2018-06-12 周金曼 一种适用于多种航空发动机涡轮转子的运输车
CN110104534A (zh) * 2018-02-01 2019-08-09 深圳市今天国际智能机器人有限公司 升降设备
US10858893B2 (en) 2018-02-02 2020-12-08 Adam Toma Laterally movable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methods of use
KR20200024385A (ko) 2018-08-28 2020-03-09 오병호 복수의 차륜을 구비한 농기계 이동체
KR20210136510A (ko) *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112141262A (zh) * 2020-08-07 2020-12-29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机舱狭小空间设备布置与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198A (ko)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KR101762570B1 (ko)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EP3061874A1 (en) Low profile compact tool carriers
CN105152036A (zh) 一种玻璃自动安装电动搬运小车
JP2008301717A (ja) 作業車の作業装置下降規制構造
KR101456337B1 (ko)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CN210641309U (zh) 一种具有双动力系统的自动调平果园作业平台
CN102701813A (zh) 肥料翻抛机
KR20150107535A (ko)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EP2906495B1 (en) Base unit for a vehicle
CN205023757U (zh) 一种玻璃自动安装电动搬运小车
JP2006027782A (ja) 自走農用高所作業機の走行速度牽制装置
JP2008253231A (ja) 走行車体
JP6000146B2 (ja) 乗用作業車の作業装置連結構造
EP3455154A1 (en) Cran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equipped with a drive system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200451931Y1 (ko)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KR101741372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CN213141312U (zh) 一种三支点电动叉车防倾翻机构
JP6000145B2 (ja) 乗用作業車の作業装置連結構造
KR20160051110A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112062055B (zh) 一种三支点电动叉车防倾翻机构
CN215553129U (zh) 一种便于移动的无极绳连续牵引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