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535A -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 Google Patents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535A
KR20150107535A KR1020140030646A KR20140030646A KR20150107535A KR 20150107535 A KR20150107535 A KR 20150107535A KR 1020140030646 A KR1020140030646 A KR 1020140030646A KR 20140030646 A KR20140030646 A KR 20140030646A KR 20150107535 A KR20150107535 A KR 2015010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vertical boom
body frame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재
박선심
주재황
성원석
Original Assignee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한동특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한동특장(주) filed Critical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535A/ko
Publication of KR2015010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의 주행이 편리하고, 부정지, 경사면에서의 고소작업시 접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궤도 바퀴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측의 궤도 바퀴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드라이버 내장식 BLDC모터가 설치되어 정밀한 속도 제어는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출발 또는 정지시 관성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행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음과 진동 및 매연 등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가 장착되어 경사면 등에서 차체가 쉽게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소작업차가 지게차 및 로더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나며, 유사시 작업차의 수직붐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간편하게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1인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 가능한 전동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수직붐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수직붐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 작업부와; 상기 수직붐의 승하강 작동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주행을 위해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 각각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와,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 각각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감속기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 각각으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무한궤도 바퀴 각각의 동력축과 상기 감속기를 직결시키는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AGRICULTURAL ECO-FRIENDLY ELECTRIC AERIAL LIFT}
본 발명은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의 주행이 편리하고, 부정지, 경사면에서의 고소작업시 접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궤도 바퀴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측의 궤도 바퀴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드라이버 내장식 BLDC모터가 설치되어 정밀한 속도 제어는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출발 또는 정지시 관성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행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음과 진동 및 매연 등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가 장착되어 경사면 등에서 차체가 쉽게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소작업차가 지게차 및 로더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나며, 유사시 작업차의 수직붐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간편하게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1인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소작업차량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와, 작업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로 위치고정된 상태로 고층 외벽공사 및 가로등 보수, 간판설치 등의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반듯이 아웃트리거에 의해 고소차량을 사방에서 지지하여 위치고정해야 하므로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또 고소차량을 이동시 일일이 아웃트리거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해야 하므로 기동성이 떨어져, 수시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며 고소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과수농가의 과수수확용으로 부적합한 실정이다.
더불어, 농사지(農事地)의 경우에는 일반 도로와는 달리 경사가 심한 곳이 많으므로 아웃 트리거가 필요하고, 그 위치와 경사에 따라 적절한 방향을 지지할 수 있는 아웃 트리거가 필요하지만 그런 구성이 구비된 농사용 고소차량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고소작업용 차량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431776호에서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부가 구비되고, 탑승부의 승,하강 및 전,후진 이동을 위한 리프트와 작동을 위한 유압장치가 구비되되, 특히, 탑승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어부가 작업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직접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한 작업위치 설정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이동성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급출발 또는 급정거에 따른 차체의 이동과 불규칙한 지형에서의 차량 비틀림 현상에 의해 차량의 유동이 심하게 발생되거나, 주행을 위한 구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과다하게 발생되고, 고소작업자가 탑승부에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농사작업의 경우에는 1인이 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용 차량은 1인이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한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엔진, 구동모터, 회전모터, 조작부 등에서의 이상 발생시 리프트의 승하강 작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공중에서 작업중인 탑승자가 위험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추가적인 인력이 불가피하게 되었던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대다수의 고소작업용 차량은 엔진을 통해 차체를 주행시키고, 탑승부를 승하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음과 매연을 유발하게 되면서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발생됨과 동시에 연료가 과다하게 소모되었으며, 경사면에서 브레이크 장치가 밀리면서 차체가 비틀리게 되는 등의 현상에 의해 구동이 불안정해지게 됨으로써 부정지 접지 능력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고, 이는 결국, 구륜을 위해 연결된 모터의 회전에 부하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구동 장치들의 고장 발생과 급출발 및 급정거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소작업차의 구동 및 운전이 간편하고, 부정지, 경사면에서의 고소작업시 접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궤도 바퀴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측의 궤도 바퀴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드라이버 내장식 BLDC모터가 구비되어 정밀한 속도 제어는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출발 또는 정지시 관성에 따른 작업차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행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음과 진동 및 매연 등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와 장착되어 경사면 등에서 차체가 쉽게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소작업차가 지게차 및 로더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나며, 유사시 작업차의 수직붐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간편하게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1인 작업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 가능한 전동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수직붐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수직붐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 작업부와; 상기 수직붐의 승하강 작동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주행을 위해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 각각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와,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 각각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감속기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 각각으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무한궤도 바퀴 각각의 동력축과 상기 감속기를 직결시키는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수직붐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제3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수직붐을 승하강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와 연계작동되며 상기 수직붐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와 연계작동되며 상기 작업부의 수평을 유지하는 제3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제3 유압실린더는, 상기 제3 전기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공급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제동시키고 제동된 상태의 바퀴를 해제시키는 전자식 브레이크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유압식 또는 수동식 케이블 조작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기모터는 BLDC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를 감싸며 회전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방에서 승하강 작동되는 버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직붐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작업부는, 상기 수직붐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 연결부와, 상단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소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된 포크암이 구비된 포크부와, 수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포크부의 하단에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울타리를 이루도록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안전프레임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안전고리와, 적재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안전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적재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프레임은, 상기 작업판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작업차가 전동식으로 구동됨으로써 소음 및 연료 소비를 절감하면서 구동 및 운전이 간편하고, 작업차의 이동시 급출발 및 급정거에 따른 차체프레임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정지, 경사면에서의 접지 능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체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차가 지게차 및 로더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직붐의 작동에 따른 차체프레임이 뒤틀리는 현상에도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출발 또는 정지시 관성에 따른 작업차의 움직임에 따른 작업부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행성이 향상되고, 고소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장치들의 이상 증상에 의해 전자식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에도 긴급 제동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작업차의 수직붐이 사용자의 휴대폰과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사시에도 작업차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됨으로써 농가 등에서 1인 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좌우 회전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승하강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주행 구동을 위한 주요 연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감속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작업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작업부가 지게차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제어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이하에서는 "고소작업차"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좌우 회전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승하강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주행 구동을 위한 주요 연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감속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작업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작업부가 지게차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의 제어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농가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따라 간편한 탈부착 작업을 통해 고소작업용 운반차, 로더, 지게차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로의 다기능 농기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규칙한 노면에서 주행이 자유롭도록 무한궤도 바퀴(11)가 구비된 차체프레임(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농가의 협소한 장소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도에 부합하도록 주행을 위한 궤도 바퀴와 별도의 유압공급장치를 통해 승하강되는 수직붐이 배터리를 통해 전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독립식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농가용 고소작업차에 비해 주행 소음 및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매연이 발생되지 않으며,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주행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차체프레임(10), 배터리(20), 수직붐(30), 동력발생부(40), 작업부(50), 제어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프레임(10)은 주행 가능한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11)가 양측에 설치되어 경사지고 평탄하지 못한 불규칙한 지면에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과수수확 등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체프레임(10)은 후술되는 상기 배터리(20), 수직붐(30), 동력발생부(40), 작업부(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차체를 이루고,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주행을 통해 전후이송 및 좌우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터리(20)는 외부로부터의 충전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상기 동력발생부(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치우친 부분에서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무게중심이 후방에 가깝게 편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배터리(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수직붐(30)은 상기 차체프레임(10)으로부터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상기 동력발생부(40)의 구동력에 의해 후술하는 상기 작업부(50)를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붐(30)은 상기 차체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31)과, 상기 턴테이블(31)에 고정된 제1 지지브라켓(31a)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승하강 가능한 중공형의 리프트(32)와, 상기 리프트(32) 중공 내에서 상기 리프트(32)의 길이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신축붐(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31)은 상기 수직붐(30)을 회전시키도록 저부에 고정될 수 있는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웜과 상기 웜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오일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전동식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3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중앙 부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후퇴되는 위치 즉, 상기 양측의 배터리(2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 고소작업차(1)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방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터리(20)와 상기 수직붐(30)의 자중으로 인해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전방으로 쏠리는 현상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40)는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발생부(40)는 제1 전기모터(41), 제2 전기모터(42), 감속기(43), 유니버셜 조인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는 상기 무한궤도 바퀴(11)를 구동시켜 상기 차체프레임(10)이 주행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후방에서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와 연직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과 동일 축 상에 배치되도록 수평하게 고정되어 각각의 회전축이 인접한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70)을 통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43)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 각각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감속기(43a,43b)는 각각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일측 즉, 상기 양측의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에 구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회전구동력을 양측의 상기 무한궤도 바퀴(11) 각각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무한궤도 바퀴(11)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를 통해 상기 감속기(43)와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에 의해 상기 감속기(43)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는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과 상기 감속기(43) 사이에서 커플링 결합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기모터(41), 제2 전기모터(42), 상기 감속기(43) 및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는 모두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직결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속기(43)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회전축에 구비된 태양기어(43a)와, 상기 태양기어(43a)의 둘레를 감싸며 회전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43b)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것으로, 상기 감속기(43)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회전구동력을 토크가 증폭된 상태로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감속기(43)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직경 또한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감속기(43a,43b)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콤팩트한 외형을 갖추게 됨으로써 공간활용 능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강한 회전력에도 비틀림 강성이 유지되고, 노면의 충격 등에 의한 상기 감속기(43) 및 바퀴의 동력축(111)의 상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지 등에서도 동력전달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동력발생부(40)는, 상기 수직붐(30)을 상기 차체프레임(10)으로부터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제3 전기모터(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40)는 제1 유압실린더(46), 제2 유압실린더(47) 및 제3 유압실린더(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유압실린더(46,47,48)는 상기 제3 전기모터(45)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유압공급장치(도면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붐(40) 즉, 상기 턴테이블(3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기 리프트(32)를 승하강시키고, 상기 리프트(32)에서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신축붐(33)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즉,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유압실린더(46)는 일단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 즉 실린더 로드의 상단이 상기 리프트(32)의 중앙 부분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리프트(42)를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유압실린더(47)는 상기 작업부(50)에 탑승한 고소작업자가 더 높은 곳에 위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신축붐(33)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신축붐(33)의 하단부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리프트(3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3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압실린더(46)와 연계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붐(33)은 상기 리프트(42)의 중공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진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유압실린더(48)는 상기 수직붐(30)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작업부(5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신축붐(33)에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유압공급장치를 통해 그 타단부에서 전후진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가 상기 연결부(51) 즉, 제2 지지브라켓(51a)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유압실린더(48)는 상기 리프트(42)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상기 작업부(50)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압실린더(51)와 연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수직붐(30)은 상기 차체프레임(10)으로부터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수직붐(30)은 리미트센서가 설치된 경우 상기 리미트센서에 감지되는 각도까지 선회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상기 수직붐(30)이 안정적으로 지탱될 수 있도록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60도 정도의 범위로 선회각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동력발생부(40)는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무한궤도 바퀴(11)를 제동시키고, 제동된 상태의 바퀴를 해제시키는 전자식 브레이크(41a,42a)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43)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 또는 수동식 케이블 조작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 바퀴(11)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유닛(44a,44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41a,4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회전축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체프레임(10)이 경사지에 정차하게 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회전 작동이 완전히 정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수단(70)에서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로 파킹 모드와 같은 신호를 송출한 경우, 상기 무한궤도 바퀴(11)가 경사지 또는 부정지에서 완전히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체프레임(10)이 경사면에서 밀리게 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유닛(44a,44b)은 상기 감속기(43)와 유니버셜 조인트(4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유닛(44a,44b)이 상기 감속기(43)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디스크 및 캘리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어수단(70)의 수동 제어를 통해 유압식으로 상기 캘리퍼를 작동시킴으로써 바퀴의 동력축(111)을 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유닛(44a,44b)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프레임(10) 또는 후술하는 상기 작업부(50)의 일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캘리퍼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조작을 통해 상기 무한궤도 바퀴(11)를 제동시키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41a,42a)의 제동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유압이나 수동식 케이블에 의해 직접 제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차된 고소작업차가 경사지에서 갑작스럽게 이동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 제어수단(70)을 통해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와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41a,42a)를 간편하게 조작함으로써 주행 및 제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장치들의 이상 증상에 의해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41a,42a)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에도 긴급 제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41,42,4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기모터가 BLDC(Brushless DC Motor) 모터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것으로, 특히, 제1 전기모터(41) 및 상기 제2 전기모터(42)는 상기 감속기(43)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로 정밀한 회전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방향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차체프레임(10) 양측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11)의 회전 제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회전속도 및 방향제어는 전류제어용 인버터와 구동드라이버가 내장된 상기 BLDC 모터의 3상 브릿지 회로의 구성을 통해 모터의 3상(U,V,W)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동력축(111)을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 BLDC 모터로 구성된 상기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각각의 회전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경우, 협소한 공간을 이동하는 고소작업차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각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과 동시에 상호 회전비를 동일하게 한 경우 제자리에서의 회전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BLDC 모터로 구성된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의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궤도 바퀴의 제어 방식과는 달리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의 응답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브러쉬(Brush) 타입 모터에 비해 고장율 및 수명과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BLDC 모터, 즉 제1 전기모터(41) 및 제2 전기모터(42)는 상기의 브레이크 장치(44a,44b)에 가중될 수 있는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감속기(33)의 감속 기능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44)의 특성과 더불어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이루면서 상기 제어수단(70)을 통해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41a,42a)에 파킹 모드 신호를 송출한 경우 출발 및 정지 동작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등 주행성이 향상됨으로써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업부(50)는 상기 수직붐(40)의 상단 즉, 상기 리프트(42)에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신축붐(43)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부(50)는 상기 수직붐(30)의 상기 신축붐(33) 상단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연결된 제2 지지브라켓(51a)과, 상기 제2 지지브라켓(51a) 상단에 축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 회전되는 회전부재(51b)가 구비된 연결부(51)를 통해 상기 수직붐(30)의 상단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작업부(50)는 상기 연결부(51)와, 포크부(52)와, 작업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포크부(52)는 상기 작업판(53)을 수평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작업판(53)은 수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포크부(5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차체프레임(10) 및 상기 작업부(50)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센서(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센서(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일측과 상기 작업부(50)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중 일방으로 기울어져 경사각이 일정 각도 예를 들면 10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센서(15)에서 기울기 보정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 유압실린더(46,47,48)가 상기 수직붐(30)과 상기 작업부(50)의 경사각이 1도 이내가 될 때까지 작동하여 주행중에도 전후좌우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특히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과수수확 작업 중에 상기 작업부(50)의 유동으로 인한 고소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고소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수직붐(40)에 의해 공중으로 승하강 작동되는 상기 작업부(50)를 통해 고소작업차가 지게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부(6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작업판(63)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울타리를 이루도록 일측에 출입구(64a)가 형성된 안전프레임(64)과, 상기 출입구(64a)를 개폐하는 안전고리(65)와, 적재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안전프레임(64)의 일측에 설치된 적재프레임(6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프레임(64)은 상기 작업판(63)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고소작업자가 상기 안전프레임(64)에 의해 추락과 같은 위험에 대비하며 상기 작업판(63)에 탑승한 상태로 과수를 수확하는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고, 수확된 과수를 상기 작업판(53)과 적재프레임(56)에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부(52) 및 상기 작업판(53)은 상기에서 각각 상기 작업판(53)을 수평하게 지지하고,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안전프레임(54)이 해체된 상태에서는 상기 포크부(52) 및 상기 작업판(53)이 지게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포크부(52)는 상단이 상기 수직붐(30)의 상단에 좌우 회전되게 설치된 연결부(51)의 회전부재(51b)에 고정되어 소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된 포크암(52a)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암(52a)의 하단부에서 상기 작업판(53)을 수평하게 지지하도록 연결된 포크(5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포크부(52)와상기 작업판(53)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가 적재물(C)을 실어 이송할 수 있는 지게차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에서 승하강 작동되는 버킷(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고소작업차에 로더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전기모터(45)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유압공급장치에 연결되는 제4 유압실린더(61)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버킷(60)은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방 중앙에서 전후진 작동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4 유압실린더(61)에 의해 승하강 구동됨으로써 쓰레기, 퇴비 등 다양한 적재대상물을 적재 또는 이송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20), 동력발생부(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전후진 및 좌우회전 구륜신호의 전송과 상기 수직붐(30)의 승하강 및 회전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유무선콘트롤러(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 유무선콘트롤러(71)의 조작을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과 상기 수직붐(30)의 승하강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유무선콘트롤러(71)는 상기 배터리(20)의 공급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동력발생부(40) 즉,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41,42,45)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41,42,45)의 간편한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제2, 제3, 제4 유압실린더(46,47,48,61)를 승하강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1)는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수직붐(30)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과 같은 무선장치에서 무선콘트롤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APP), 프로그램 등을 설치한 경우, 종전과 같이 지상 또는 상기 작업부(50)에 설치될 수 있는 조작수단을 대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수직붐(30)의 승히강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유무선콘트롤러(71)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유사시 상기 작업부(50)에 탑승한 고소작업자가 상기 작업부(50)로부터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부(50)에는 별도의 음향시스템(도면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음향시스템은 오디오, 비디오, 마이크, 확성기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고소작업중에 음악 또는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유사시 마이크 및 확성기를 통해 원거리까지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 엔진과 유압펌프 등에 의해 수직붐이 기동됨으로써 상기 엔진이 작동되는 경우 그 소음이 심해 주변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농가에서의 과수원 등에 사용되는 경우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매연에 의해 과수의 발육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발생부(40)가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과 그에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최소화하도록 주동력원을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41,42,45)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터리(2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오일의 누유 등에 의한 고소작업차의 오염과 기계적인 소음 및 진동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매연 등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므로 농업환경에 맞는 매우 친환경적인 고소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 유압 시스템에 비해 공간적 이점과 차량 연비 개선, 제어성이 뛰어나게 되는 효과 또한 발휘하게 되는 것으로, 보다 정밀한 제어를 통해 주행에 따른 동력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차량의 속력에 따라 조향감을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안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저소음, 저진동 구현은 물론 작은 Torque Ripple로 조향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됨으로써 제어의 용이성, 고효율화는 물론 내구성이 우수한 전동 고소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고소작업차(1)는 상기 무한궤도 바퀴(11)와 직결 연결구조를 갖는 유니버셜 조인트(44)의 구성을 통해 경사, 부정지에서도 동력전달효율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상기 감속기(43) 및 상기 브레이크 장치(44a,44b)와 같은 연결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주행시 안정적인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의 출발과 주행 상태에서의 정지 동작 등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주행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고소작업차 10 차체프레임
11 무한궤도 바퀴 20 배터리
30 수직붐 31 턴테이블
32 리프트 33 신축붐
40 동력발생부 41 제1 전기모터
42 제2 전기모터 43 감속기
43a 태양기어 43b 복수개의 유성기어
44 유니버셜 조인트 45 제3 전기모터
46 제1 유압실린더 47 제2 유압실린더
48 제3 유압실린더 50 작업부
51 연결부 52 포크부
53 작업판 54 안전프레임
55 안전고리 56 적재프레임
60 버킷 70 제어수단

Claims (10)

  1.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 가능한 전동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수직붐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수직붐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 작업부와;
    상기 수직붐의 승하강 작동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주행을 위해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 각각을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와,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 각각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감속기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 각각으로 전달된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무한궤도 바퀴가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무한궤도 바퀴 각각의 동력축과 상기 감속기를 직결시키는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수직붐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제3 전기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수직붐을 승하강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와 연계작동되며 상기 수직붐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와 연계작동되며 상기 작업부의 수평을 유지하는 제3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제3 유압실린더는, 상기 제3 전기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공급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제동시키고 제동된 상태의 바퀴를 해제시키는 전자식 브레이크와, 상기 한 쌍의 감속기 각각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유압식 또는 수동식 케이블 조작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 바퀴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전기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기모터는 BLDC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제1 전기모터 및 제2 전기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를 감싸며 회전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방에서 승하강 작동되는 버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직붐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수직붐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고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된 연결부와, 상단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소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된 포크암이 구비된 포크부와, 수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포크부의 하단에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울타리를 이루도록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안전프레임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안전고리와, 적재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안전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적재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프레임은, 상기 작업판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KR1020140030646A 2014-03-14 2014-03-14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KR20150107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646A KR20150107535A (ko) 2014-03-14 2014-03-14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646A KR20150107535A (ko) 2014-03-14 2014-03-14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35A true KR20150107535A (ko) 2015-09-23

Family

ID=5424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646A KR20150107535A (ko) 2014-03-14 2014-03-14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5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485A (zh) * 2016-11-21 2017-02-22 镇江市胜得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自动采果机的快速行进装置
CN107856579A (zh) * 2017-12-08 2018-03-30 北京中车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接触网检修作业车及其平台装置
KR20190031213A (ko) * 2019-03-05 2019-03-25 장진만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102158449B1 (ko)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조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6485A (zh) * 2016-11-21 2017-02-22 镇江市胜得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自动采果机的快速行进装置
CN107856579A (zh) * 2017-12-08 2018-03-30 北京中车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接触网检修作业车及其平台装置
KR20190031213A (ko) * 2019-03-05 2019-03-25 장진만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102158449B1 (ko)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132C (en) Mobile elevator working and load-lifting platform
CN206814297U (zh) 一种可移动式大吨位电动遥控操作吊车
WO2016004200A2 (en) Self-propelled trailer
KR20150107535A (ko)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JP2005061050A5 (ko)
CN111661764B (zh) 一种安全性高的轮式起重机
JPS5815438B2 (ja) クレ−ン車
CN104891396B (zh) 一种伸缩臂履带式高空作业平台
JPH06257182A (ja) 前進機構または車輪駆動機構によって移動可能な作業機械
KR102215888B1 (ko) 소형 다용도 건설 장비
US4044902A (en) Aerial lifting equipment
JP5514434B2 (ja) 自走式高所作業車及び自走式高所作業車におけるバッテリの搭載位置決定方法
CN105525639A (zh) 履带式多功能抢险车
CN101117202A (zh) 一种新型液压履带式起重机
JPH09226447A (ja) 移動式照明灯装置
CN214653149U (zh) 一种移动式吊重作业车
CN205023757U (zh) 一种玻璃自动安装电动搬运小车
JP7122224B2 (ja) 高所作業車
KR101741374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설치구조
JP2006131340A (ja) 作業用車両
JP3076931B2 (ja) 傾斜地走行用作業車
KR101677413B1 (ko) 작업용 조향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JP2001019374A (ja) 高所作業車
CN202138222U (zh) 高空作业平台的自行式底盘
JP2015033353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