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31Y1 -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 Google Patents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931Y1
KR200451931Y1 KR2020090005745U KR20090005745U KR200451931Y1 KR 200451931 Y1 KR200451931 Y1 KR 200451931Y1 KR 2020090005745 U KR2020090005745 U KR 2020090005745U KR 20090005745 U KR20090005745 U KR 20090005745U KR 200451931 Y1 KR200451931 Y1 KR 200451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fruit trees
fruit
pulley
fruit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35U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2020090005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3/00Harvest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5/00Carriers for supporting persons when working in the field, e.g. while thinning b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70Flowers; Pots;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과수원에서 과수나무 관리시 일어나는 전정, 인공수정, 적화, 적과, 봉지싸기, 수확, 운반 등의 전반적인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하여 안전사고와 피로도를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대를 마련하여 상기 경사대를 따라 승강하는 작업대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각각의 모터와 연결하여 구동하는 바퀴를 양측에 마련하여 좁은 반경으로 회전가능케 하여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회전가능케 하여 누구라도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작업대에서 안전하게 과수나무의 전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으로 안전성이 뛰어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전동작업차, 경사대, 작업대, 롤러, 상도르래, 하도르래, 콘트롤박스

Description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Electric motion work a car for a fruit tree control}
본 고안은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과수원에서 과수나무 관리시 일어나는 전정, 인공수정, 적화, 적과, 봉지싸기, 수확, 운반 등의 전반적인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하여 안전사고와 피로도를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의 과수나무를 전정, 인공수정, 적화, 적과, 봉지싸기, 수확, 운반 등의 전반적인 작업을 하고자 하면 작업자들이 사다리를 나무에 설치하고, 그 설치된 사다리에 올라가서 과일을 수확하며, 수확한 과일을 바구니 또는 손수레에 담아서 원거리에 주차되어 있는 트럭으로 운반하여 이송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기 과수나무에 전반적인 작업중 수확하는 과정 및 수확한 과일을 이송하는 방법이 작업자가 불편하여 그 방지책으로 선등록번호 20-0140715호에서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를 마련하여 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하게 하여 작업자가 수 확한 과일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었으나, 과수나무에 수확하기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 수확하여 카트에 담아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책으로 선공개번호 10-2009-0018244호에서 트랙터 또는 경운기에 연결사용하기 위한 연결대와 구름용 바퀴가 구비된 차대의 상부에 작동실린더의 구동상태에 따라 접혀지거나 펴지는 리프트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하기 위한 트레일러를 장착하여 과수나무에 수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제공되었으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에 연결하여 좁은 과수나무 사이로 들어가야 하므로 번거러워 불편하였다.
근래에는 농촌에서 종사하는 인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노령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임금도 지나치게 상승하여 여러 가지 사회적인 제반 문제점으로 인하여 기계화 영농이 적극 추진되고 있음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각종 과수원에서는 경사진 지형과 과수나무 등의 외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일반 농지와 같이 영농기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워 상태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영농기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지형적인 조건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사용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수원에서 과수나무를 관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작업을 경사진 과수원의 지형 때문에 트랙터라던지 경운기 등과 같은 기계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수원에서 누구라도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과수나무에 전반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여러번 사다리에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러움과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다리에서 떨어져 큰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과수원에서 누구라도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과수나무에 전반적인 작업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좁은 과수나무 사이로 전반적인 작업을 가능케 경사진 경사대를 마련하여 상기 경사대를 따라 승강하는 작업대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각각의 모터와 연결하여 구동하는 바퀴를 양측에 마련하여 좁은 반경으로 회전가능케 하여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회전가능케 할 수 있는 과수용 전동작업차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11) 상부 일측에 경사대(12)와 버팀대(13)를 경사지게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대(12)의 상,하부에 밀착하는 롤러(24)를 마련하고 일측에 걸공(27)을 형성한 작업대(20)를 마련하되, 상기 작업대(20)는 수직고정대(21)와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작업대(22)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작업대(22)의 일측에는 회전작업대(23)를 힌지(25)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작업대(23)의 끝단과 수직고정대(21)의 끝단을 연결고리(26)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하부 양측에는 모터(30)의 원동축(31)과 측면바퀴(34)를 연결한 구동축(32)을 체인(33)으로 연결하고, 상기 몸체(11)의 전면에는 바퀴고정구(16)를 마련하여 전면바퀴(35)를 마련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상도르래(36)와 연결 하는 몸체(11) 하부에 모터(30)와 연결한 하도르래(37)를 줄(39)로 작업대(20)의 걸공(27)과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에 경사진 경사대를 따라 승강하는 작업대에 의해 작업자가 과수나무에 맞게 승강하도록 하여 종래의 과수나무 관리에 따른 전반적인 작업시 작업자가 여러번 사다리에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러움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사대에 의해 과수나무와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하부 양측으로 각각의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바퀴에 의해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반경을 최소화시켜 회전가능케 하여 누구라도 좁은 과수나무 사이에서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작업대에서 안전하게 과수나무의 전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으로 안전성이 뛰어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1) 상부 일측에 경사대(12)와 버팀대(13)를 경사지게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대(12)의 상,하부에 밀착하는 롤러(24)를 마련하고 일측에 걸공(27)을 형성한 작업대(20)를 마련하되, 상기 작업대(20)는 수직고정대(21)와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작업대(22)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작업대(22)의 일측에는 회전작업 대(23)를 힌지(25)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작업대(23)의 끝단과 수직고정대(21)의 끝단을 연결고리(26)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하부 양측에는 모터(30)의 원동축(31)과 측면바퀴(34)를 연결한 구동축(32)을 체인(33)으로 연결하고, 상기 몸체(11)의 전면에는 바퀴고정구(16)를 마련하여 전면바퀴(35)를 마련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상도르래(36)와 연결하는 몸체(11) 하부에 모터(30)와 연결한 하도르래(37)를 줄(39)로 작업대(20)의 걸공(27)과 연결한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마련된 측면바퀴(34)와 상기 경사대(12)를 따라 승강하는 작업대(20)의 승강을 가능케 하도르래(37)를 작동시키는 모터(30)의 조작은 상기 몸체(11)의 중앙부에 수직대(14)를 마련하여 콘트롤러(24)를 고정시켜 각각의 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마련한 상도르래(36)와 하도르래(37)는 경사대(12)를 따라 작업대(20)를 안전하게 승강가능케 몸체(11) 양측에 상도르래(36)와 하도르래(37)를 마련하되, 상기 양측의 하도르래(37)를 연결하는 회전축(38)을 마련하여 모터(30)에 의해 양측의 하도르래(37)를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5)를 마련하여 상기 몸체(11)를 견고하게 하여 작업대(20)에서 작업자와 과수나무(1)의 전반적인 작업에 필요한 도구 및 수확한 과일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수나무(1)의 사이에서 과수나무(1)에 전반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과수나무(1)의 사이에 전동작업차(10)를 마련하여 상기 작업대(20)를 승강시켜 작업자를 전반적인 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실어 원하는 과수나무(1)로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몸체(11) 양측에 마련한 측면바퀴(34)와 연결한 모터(30)를 콘트롤박스(40)에서 작동시키면 몸체(11)의 전면에 마련된 전면바퀴(35)와 함께 구동하여 전동작업차(10)의 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과수나무(1)로 이동한 후 작업자가 과수나무(1)에서 전반적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몸체(11) 하부의 하도르래(37)와 연결한 모터(30)를 작동시키면 상기 하도르래(37)가 작동하면서 상기 하도르래(37)와 연결하여 상도르래(36)와 작업대(20)의 걸공(27)에 연결한 줄(39)이 작동하면 작업대(20)가 경사대(12)의 상,하부에 밀착된 롤러(24)에 의해 경사대(12)를 따라 승강시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작업대(20)가 경사대(12)를 따라 승강하게 되면서 작업자를 과수나무(1)의 높고 낮은 곳으로 간편하게 승강시켜 원하는 높이에서 전반적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과수나무(1)에서 전반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다음 과수나무(1)로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몸체(11) 양측에 마련한 측면바퀴(34)와 연결한 모터(30)를 콘트롤박스(40)에서 작동시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으로 과수나무(1)가 일렬로 마련된 상태에서 먼저 전동작업차(10)로 일렬의 과수나무(1)를 전진하면서 먼저 전반적인 작업을 완료하면 다시 회전하여 다른 일렬의 과수나무(1)로 전동작업차(10)를 회전시켜 다시 작업대(20)를 전반적인 작업을 필요로하는 과수나무(1)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하고자 하는 측면바퀴(34)와 연결한 모터(30)를 콘트롤박스(40)에서 구동시키면 다른 측면바퀴(34)는 정지된 상태에서 한쪽 측면바퀴(34)가 회전반경이 좁게 회전하게 되면서 전동작업차(10)를 90도 또는 180도 등의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회전된 상태로 다시 전동작업차(10)의 측면바퀴(34)를 구동하여 다음 작업할 과수나무(1)로 이동시켜 전반적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0)의 수직고정대(21)와 연결한 고정작업대(22)의 일측에 힌지(25)로 연결한 회전작업대(2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작업차(10)의 작업이 완료하였거나 보관장소에 보관시에는 상기 회전작업대(23)를 힌지(25)에 의해 회전시켜 고정작업대(22)와 접히게 하여 보관시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필요시 다시 회전작업대(23)를 원복시키면 연결고리(26)에 의해 회전작업대(23)가 펼치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과수나무 10 : 전동작업차
11 : 몸체 12 : 경사대
13 : 버팀대 14 : 수직대
15 : 지지대 16 : 바퀴고정구
20 : 작업대 21 : 수직고정대
22 : 고정작업대 23 : 회전작업대
24 : 롤러 25 : 힌지
26 : 연결고리 27 : 걸공
30 : 모터 31 : 원동축
32 : 구동축 33 : 체인
34 : 측면바퀴 35 : 전면바퀴
36 : 상도르래 37 : 하도르래
38 : 회전축 39 : 줄
40 : 콘트롤박스

Claims (1)

  1. 몸체(11) 상부 일측에 경사대(12)와 버팀대(13)를 경사지게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대(12)의 상,하부에 밀착하는 롤러(24)를 마련하고 일측에 걸공(27)을 형성한 작업대(20)를 마련하되, 상기 작업대(20)는 수직고정대(21)와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작업대(22)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작업대(22)의 일측에는 회전작업대(23)를 힌지(25)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작업대(23)의 끝단과 수직고정대(21)의 끝단을 연결고리(26)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하부 양측에는 모터(30)의 원동축(31)과 측면바퀴(34)를 연결한 구동축(32)을 체인(33)으로 연결하고, 상기 몸체(11)의 전면에는 바퀴고정구(16)를 마련하여 전면바퀴(35)를 마련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상도르래(36)와 연결하는 몸체(11) 하부에 모터(30)와 연결한 하도르래(37)를 줄(39)로 작업대(20)의 걸공(27)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KR2020090005745U 2009-05-12 2009-05-12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KR200451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45U KR200451931Y1 (ko) 2009-05-12 2009-05-12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45U KR200451931Y1 (ko) 2009-05-12 2009-05-12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35U KR20100011335U (ko) 2010-11-22
KR200451931Y1 true KR200451931Y1 (ko) 2011-01-19

Family

ID=4420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45U KR200451931Y1 (ko) 2009-05-12 2009-05-12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77A (ko) * 2014-04-24 2015-11-03 강상록 과수용 작업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718B1 (ko) * 2014-06-25 2016-11-09 김남주 농업용 고소작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996A (ja) 2000-09-22 2002-04-02 Kubota Corp 高所作業車
JP2002220985A (ja) 2001-01-23 2002-08-09 Kenkichi Sato 安全取り付け踏み台
KR100667220B1 (ko) 2006-03-29 2007-01-11 홍지향 전정 수확 시스템 및 전정 수확 방법
US20070267250A1 (en) 2006-05-19 2007-11-22 Wolff Richard J Electric human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996A (ja) 2000-09-22 2002-04-02 Kubota Corp 高所作業車
JP2002220985A (ja) 2001-01-23 2002-08-09 Kenkichi Sato 安全取り付け踏み台
KR100667220B1 (ko) 2006-03-29 2007-01-11 홍지향 전정 수확 시스템 및 전정 수확 방법
US20070267250A1 (en) 2006-05-19 2007-11-22 Wolff Richard J Electric human li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77A (ko) * 2014-04-24 2015-11-03 강상록 과수용 작업차
KR101598487B1 (ko) 2014-04-24 2016-02-29 강상록 과수용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35U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793B1 (en) Vehicle mounte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90277536A1 (en) Tree climbing and trimming device
KR102070103B1 (ko) 자주 구동식 작업대
CN210103326U (zh) 试验仪器搬运专用小型吊车
KR200451931Y1 (ko)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US8876455B2 (en) Pull and lift system for transporting roofing materials
KR101456337B1 (ko)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KR20120134198A (ko) 작업용 전동 승강기
CN110199825B (zh) 一种自动升降式高空伐木设备
US7172083B1 (en) Mobile hydraulic hoist
US20060045710A1 (en) Hoist
JPH1160177A (ja) 高所作業車
WO1990006279A1 (en) A crane assembly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100031918A (ko) 작업용 대차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AU2016101045B4 (en) Agricultural apparatus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1598487B1 (ko) 과수용 작업차
KR101547507B1 (ko) 착탈식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212667223U (zh) 一种园林修剪工作用的机动车
CN219217463U (zh) 伸缩式升降搬运车
CN220666861U (zh) 一种边缘防护的可升降施工平台
CN209922836U (zh) 升降装置
US9624740B2 (en) Hydraulic pipe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