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103B1 - 자주 구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자주 구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103B1
KR102070103B1 KR1020180086288A KR20180086288A KR102070103B1 KR 102070103 B1 KR102070103 B1 KR 102070103B1 KR 1020180086288 A KR1020180086288 A KR 1020180086288A KR 20180086288 A KR20180086288 A KR 20180086288A KR 102070103 B1 KR102070103 B1 KR 10207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driven
handle
lifting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우
Original Assignee
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8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7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자주 구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리프트를 전, 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상, 하로 리프트를 이동시켜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상방향으로 세워지고, 수개의 크로스바(11)들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복합틀체(10)와,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면과 바퀴(22)들이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도록 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틀체(31)와, 이 이동틀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원웨이베어링(52)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샤프트(51)에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이 구동바퀴(50)를 복합틀체(10)의 상단에 연장된 핸들(61) 조작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 전달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40)은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에 한쌍의 베벨기어(43)(44)들을 치차 결합시키고, 이 베벨기어(43)(44)를 작업자가 강제회전시킬 때 고정바(42)가 상하 이동되며, 이 고정바(42)로부터 이동틀체(31) 사이를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서 승강작업대(30)가 승강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주 구동식 작업대{Self-powered workbench}
본 발명은 자주 구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리프트를 전, 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상, 하로 리프트를 이동시켜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천정 높이에 각종 공사를 시행하거나 과수원 등에서 농작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작업대가 필요하다.
작업대는 일자형이나 A형 타입의 일반형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 외부전기 또는 배터리에 의한 모터의 동력으로 하거나 엔진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리프트 장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사다리나 리프트는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거나 중량물을 상하차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천장작업(천장 인테리어, 보수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리프트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특히 물류센터와 같은 창고의 물품관리를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공간에서 동력(주로 내연기관을 이용한 동력)을 이용한 리프트는 작업공간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한 배터리를 이용한 친환경 리프트가 개발되어 일정규모의 대기업체 작업장에서는 사용되고 있으나, 중소업체의 작업장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고소작업용 리프트는 그 구동력이 전기나 엔진을 동력원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구조가 커지고 차체 하중이 무거워 지기 때문에 실내에서의 이동에 많은 제한이 있고 불편하다.
또한, 복잡한 기계구조로 된 리프트는 그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중소업체에서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리프트는 이동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 이동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좁은 공간에서는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건축물의 각 층간을 오르내릴 수 없어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44222호 (2013년03월11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4935호 (2009년06월10일 등록)
종래,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사다리는 사용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작업자가 내려와 이동을 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사다리 위에서 작업을 할 때, 안정성이 결여되는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사다리위에서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체 하중이 비교적 가벼워 간편하게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싣고 내릴 수 있어 취급 편의성이 우수한 자주 구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적절한 높이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릴 필요 없이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주 구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를 구비하여 작업의 안정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자주 구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상방향으로 세워지고, 수개의 크로스바(11)들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복합틀체(10)와,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면과 바퀴(22)들이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도록 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틀체(31)와, 이 이동틀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원웨이베어링(52)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샤프트(51)에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이 구동바퀴(50)를 복합틀체(10)의 상단에 연장된 핸들(61) 조작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 전달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40)은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에 한쌍의 베벨기어(43)(44)들을 치차 결합시키고, 이 베벨기어(43)(44)를 작업자가 강제회전시킬 때 고정바(42)가 상하 이동되며, 이 고정바(42)로부터 이동틀체(31) 사이를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서 승강작업대(30)가 승강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빔(71)을 고정 부착하고, 이 가이드빔(71)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길이 조정되어 볼트(72)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한쌍의 아웃트리거(7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트리거(70)를 상부를 향해 가이드빔(71)에 조립하여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베벨기어(43)(44)들중 주동측 베벨기어(44)에는 전동공구의 척에 결합되어 전동공구의 구동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툴바(45)가 외부를 향해 고정 부착된다.
삭제
상기 회전전달수단(60)은 크로스바(11)에 구비된 너트체(62)에 나사 체결되며 핸들(6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연결관(64)(65)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크류(63)가 구동바퀴(50)의 샤프트(51)에 연결되어 방향전환 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61)과 상부측 크로스바(11) 사이에는 스프링(69)이 설치되어 핸들(61)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틀체(31)에는 복합틀체(10)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유동가능하게 로크바(80)를 축핀(81)으로 힌지 결합하고, 베이스판(20)의 상단으로 돌출된 핀(83)에 고정홀(82)이 선택적으로 끼워져서 베이스판(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83)의 내측으로는 로크바(80)가 유동되지 않고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스프링(84)이 더 설치되고, 로크바(80)에 뚫어지는 고정홀(82)은 핀(83)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장타원 형상으로 연통되게 뚫게 된다.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체인(35)으로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3개의 핀(36)들로 링크부재(37)(38)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합틀체(10)의 상단에는 공구함(1) 또는 용기(2)가 위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1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재된 승강작업대를 지면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작업 위치까지 간단한 조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부에 구비된 핸들을 조정하여 외부의 동력연결 없이 스스로 주행하며 원하는 장소까지 작업대를 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승강작업대와 베이스판을 복합틀체와 나란하게 절첩시켜 적은 부피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원이나 동력 연결이 불필요 하고, 작업시에 안정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전체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구입비 및 운전비가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보관을 위해 플레이트와 베이스판이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작업대 사용을 위해 플레이트와 베이스판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와 리프팅수단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리프팅수단의 동작으로 승강작업대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9는 핸들의 조작으로 구동바퀴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전진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핸들과 구동바퀴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승강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구동바퀴가 지면을 향해 이동되어 방향 전환 및 전진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3은 로크바가 베이스판의 핀에 로크되지 않은 유동 가능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4는 로크바가 베이스판의 핀에 로크되어 유동 방지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5는 아웃트리거가 좌우로 확장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이나 전원 연결 없이 작업자를 원하는 작업 위치로 승강시킬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으로 방향 전환과 이동이 가능 하도록 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합틀체(10)의 안내로 승강작업대(30)가 리프팅수단(40)에 의해 상하 승강되고, 하부에 연결된 베이스판(20)과 아웃트리거(70)에 의해 안정된 받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방향전환과 이동이 필요할 때에 구동바퀴(50)를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로 작업대 전체를 모터나 엔진 동력 없이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틀체(10)는 수개의 크로스바(11)들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상방향하게 세워지고,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 일측에는 힌지핀(21)으로 베이스판(20)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베이스판(20)의 저면에는 수개의 바퀴(22)들이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어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베이스판(20)은 보관시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부피를 줄이기 위해 힌지핀(21)을 중심으로 복합틀체(10)와 나란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퀴(22)들을 이용해 작업대를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베이스판(20)이 힌지핀(21)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크바(80)가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축핀(81)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20)에는 로크바(80)가 축핀(8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위치로 핀(83)이 고정되어 로크바(80)의 하단부 위치로 뚫어진 고정홀(82)에 핀(83)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베이스판(20)이 복합틀체(10)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83)의 내측으로는 로크바(80)가 유동되지 않고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스프링(84)이 더 설치되고, 로크바(80)에 뚫어지는 고정홀(82)은 핀(83)이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장타원 형상으로 길게 연통되도록 뚫게 된다.(도 13 및 도 14)
따라서, 작업대를 이동하기 위해 구동바퀴(50)가 지면을 향해 전진될 때 베이스판(20)의 복합틀체(10)에 근접한 일측 단부, 즉 도 12에서 우측의 바퀴(22)가 살짝 들어 올려져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구동바퀴(50)를 이용한 구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로크바(80)를 핀(83)으로부터 걸림을 해제하게 되면 보관을 위해 베이스판(20)을 절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틀체(10)에는 레일홈(12)의 안내로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작업대(30)가 설치된다.
승강작업대(30)는 복합틀체(10)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된 이동틀체(31)와, 이 이동틀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복합틀체(10)와 나란히 절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2)가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32)에는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이 승강작업대(30)는 리프팅수단(40)에 의해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게 된다.
즉, 리프팅수단(40)의 구성은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에 한쌍의 베벨기어(43)(44)들이 정 위치에서 치차 결합되어 있다.
또, 고정바(42)와 승강작업대(30)의 이동틀체(31) 사이는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46)를 대신하여 체인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치차 결합되어 있는 베벨기어(43)(44)를 작업자가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바(42)가 구동스크류(41)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는데, 고정바(42)가 하강되면,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된 승강작업대(30)의 이동틀체(31)와 플레이트(32)는 상승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고정바(42)가 상승되면,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된 승강작업대(30)의 이동틀체(31)와 플레이트(32)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베벨기어(43)(44)들중 주동측 베벨기어(44)에는 툴바(45)가 외부를 향해 중심에 고정 부착되어, 밧데리로 작동되는 휴대용 드릴과 같은 전동공구의 척에 툴바(45)가 결합되도록 한 후, 이 전동공구의 구동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승강작업대(30)를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툴바(45)로는 볼트 또는 6각기둥 형상의 렌치막대가 적합하다.
한편,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는 핸들(61)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 전달수단(60)을 통해 구동바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바퀴(50)는 샤프트(51)의 양쪽 단부에 원웨이베어링(52)이에 의해 일방향, 즉 전진방향으로만 구동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정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핸들(61)과 구동바퀴(50)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전달수단(60)은 스크류(63)와 연결관(64)(65)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스크류(63)는 크로스바(11)에 구비된 너트체(62)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64)(65)은 예로서 사각파이프로 안테나 식으로 중첩되어 상단 연결관(64)은 핸들(61)에 연결되고, 하단측 연결관(65)은 스크류(63)와 연결되어 핸들(61)이 회전되면 구동바퀴(50)가 방향전환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동바퀴(50)는 승강작업대(30)의 플레이트(32)에 작업자가 탑재되어 작업중이거나 베이스판(20)의 바퀴(22)를 이용해 장소를 이동중일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서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 도 5 및 도 11)
그리고, 작업자가 플레이트(32)에 탑재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거나 다음 장소로 이동이 필요로 한 경우, 핸들(61)을 나사 전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스크류(63)가 너트체(62)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구동바퀴(50)가 지면을 향해 전진된다.
따라서, 아웃트리거(70)와 베이스판(20)의 일측(중앙위치)에 있는 바퀴(22)를 살짝 들어서 지면과 떨어트리게 되고, 구동바퀴(50)만 지면과 접촉된다.
이때, 구동바퀴(50)를 이동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한 후 핸들(61)을 잡고 일정각도(예로서 30도) 범위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시키게 되면, 샤프트(51)에 연결된 양쪽 구동바퀴(50)들중 하나는 원웨이베어링(52)에 의해 강제로 정지되고 나머지 하나는 전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반대 방향으로 핸들(61)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샤프트(51)에 연결된 양쪽 구동바퀴(50)들중 먼저 구동되었던 바퀴는 원웨이베어링(52)에 의해 강제로 정지되고 나머지 정지되어 있던 바퀴는 다시 전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업자가 플레이트(32)에 탑재된 상태에서 핸들(61)을 가볍게 잡고 일정 각도만큼만 반복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작업대를 조금씩 전후, 좌우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61)과 상부측 크로스바(11) 사이에는 스프링(69)이 설치되어 구동바퀴(50)를 따라 연결관(64)(65)이 깊게 중첩되는 것에 의해 핸들(61)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핸들(61)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빔(71)을 고정 부착하고, 이 가이드빔(71)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길이 조정되어 볼트(72)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한쌍의 아웃트리거(7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아웃트리거(70)는 플레이트(32)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지면에 양쪽으로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유동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되며, 필요한 만큼 아웃트리거(70)를 양쪽으로 벌려지게 한 후 볼트(72)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도 15)
또, 상기 아웃트리거(70)는 가이드빔(71)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조립하게 되면, 작업자가 바퀴(22)를 이용해 작업대를 장소 이동시킬 때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도 1)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체인(35)으로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또,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3개의 힌지핀(36)들로 링크부재(37)(38)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수직틀체(10)의 상단에는 공구함(1) 또는 농작물 수거용 용기(2)가 위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15)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나 리프트가 필요한 농업용 또는 건축 인테리어와 각종 산업 현장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천정이나 벽체 작업 중에 작업자가 스스로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나 공장 등의 자재창고 등의 자재 하역 정리 작업에 있어서, 작업 효율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공구함 2 - 용기
10 - 복합틀체 11 - 크로스바
12 - 레일홈 20 - 베이스판
21 - 힌지핀 22 - 바퀴
30 - 승강작업대 31 - 이동틀체
32 - 플레이트 33 - 경첩
40 - 리프팅수단 41 - 구동스크류
42 - 고정바 43,44 - 베벨기어
46 - 와이어 47 - 도르레롤러
50 - 구동바퀴 60 - 회전 전달수단
61 - 핸들 62 - 너트체
63 - 스크류 64,65 - 연결관
69 - 스프링

Claims (13)

  1. 지면에 상방향으로 세워지고, 수개의 크로스바(11)들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복합틀체(10)와,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면과 바퀴(22)들이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도록 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틀체(31)와, 이 이동틀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원웨이베어링(52)에 의해 일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샤프트(51)에 연결되는 구동바퀴(50)와,
    이 구동바퀴(50)를 복합틀체(10)의 상단에 연장된 핸들(61) 조작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구동바퀴(50)가 상하 승강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전달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40)은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에 한쌍의 베벨기어(43)(44)들을 치차 결합시키고, 이 베벨기어(43)(44)를 작업자가 강제회전시킬 때 고정바(42)가 상하 이동되며, 이 고정바(42)로부터 이동틀체(31) 사이를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서 승강작업대(30)가 승강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빔(71)을 고정 부착하고, 이 가이드빔(71)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길이 조정되어 볼트(72)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한쌍의 아웃트리거(7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70)를 상부를 향해 가이드빔(71)에 조립하여 손잡이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43)(44)들중 주동측 베벨기어(44)에는 전동공구의 척에 결합되어 전동공구의 구동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툴바(45)가 외부를 향해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60)은 크로스바(11)에 구비된 너트체(62)에 나사 체결되며 핸들(6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연결관(64)(65)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크류(63)가 구동바퀴(50)의 샤프트(51)에 연결되어 방향전환 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61)과 상부측 크로스바(11) 사이에는 스프링(69)이 설치되어 핸들(61)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틀체(31)에는 복합틀체(10)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틀체(10)의 하단부에 유동가능하게 로크바(80)를 축핀(81)으로 힌지 결합하고, 베이스판(20)의 상단으로 돌출된 핀(83)에 고정홀(82)이 선택적으로 끼워져서 베이스판(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핀(83)의 내측으로는 로크바(80)가 유동되지 않고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스프링(84)이 더 설치되고, 로크바(80)에 뚫어지는 고정홀(82)은 핀(83)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장타원 형상으로 연통되게 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체인(35)으로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틀체(31)의 상단과 플레이트(32)의 끝단부를 3개의 핀(36)들로 링크부재(37)(38)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시에 직각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틀체(10)의 상단에는 공구함(1) 또는 용기(2)가 위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1020180086288A 2018-07-25 2018-07-25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10207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88A KR102070103B1 (ko) 2018-07-25 2018-07-25 자주 구동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88A KR102070103B1 (ko) 2018-07-25 2018-07-25 자주 구동식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103B1 true KR102070103B1 (ko) 2020-01-28

Family

ID=6937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88A KR102070103B1 (ko) 2018-07-25 2018-07-25 자주 구동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1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6447A (zh) * 2021-02-22 2021-06-22 杨建勋 一种建筑砌墙用可移动升降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027106A (zh) * 2021-03-08 2021-06-25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一种地下室升降施工支撑辅助装置
CN113072016A (zh) * 2021-03-20 2021-07-06 南通通博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机电设备安装的爬行装置
KR20220104990A (ko) *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CN116553418A (zh) * 2023-07-04 2023-08-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供电公司 一种高空作业工器具装载装置
CN117344923A (zh) * 2023-11-28 2024-01-05 河南安筑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性能的轻质泄爆屋面及屋面辅助安装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145A (ja) * 2003-04-15 2004-11-11 Hanaoka Sharyo Kk 折り畳み式手押しリフト
KR20060087622A (ko) * 2005-01-29 2006-08-03 이광주 접철식 이동작업대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120069032A (ko) * 2010-12-20 2012-06-28 권오준 다기능 리프트
KR20120007965U (ko) * 2011-05-13 2012-11-21 이석경 다목적 소형 관리기
KR101244222B1 (ko)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20150007560A (ko) * 2013-07-11 2015-01-21 류봉현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145A (ja) * 2003-04-15 2004-11-11 Hanaoka Sharyo Kk 折り畳み式手押しリフト
KR20060087622A (ko) * 2005-01-29 2006-08-03 이광주 접철식 이동작업대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120069032A (ko) * 2010-12-20 2012-06-28 권오준 다기능 리프트
KR20120007965U (ko) * 2011-05-13 2012-11-21 이석경 다목적 소형 관리기
KR101244222B1 (ko)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20150007560A (ko) * 2013-07-11 2015-01-21 류봉현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990A (ko) *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102529992B1 (ko) * 2021-01-19 2023-05-08 임대우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CN113006447A (zh) * 2021-02-22 2021-06-22 杨建勋 一种建筑砌墙用可移动升降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027106A (zh) * 2021-03-08 2021-06-25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一种地下室升降施工支撑辅助装置
CN113027106B (zh) * 2021-03-08 2022-03-18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一种地下室升降施工支撑辅助装置
CN113072016A (zh) * 2021-03-20 2021-07-06 南通通博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机电设备安装的爬行装置
CN116553418A (zh) * 2023-07-04 2023-08-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供电公司 一种高空作业工器具装载装置
CN117344923A (zh) * 2023-11-28 2024-01-05 河南安筑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性能的轻质泄爆屋面及屋面辅助安装装置
CN117344923B (zh) * 2023-11-28 2024-05-03 河南安筑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性能的轻质泄爆屋面及屋面辅助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103B1 (ko)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102171757B1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US8789654B2 (en) Mast lift with screw drive and gas strut
US6651775B2 (en) Low level scaffold with ballscrew drive
US7093691B1 (en) Portable scissor-lift-assembly
US20140332317A1 (en) Mast lift with screw drive and gas strut
US3752261A (en) Multi-stage lift
EP1753690B1 (en) Mast lift machine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US5310018A (en) Scaffold
AU2011292055B2 (en) Mast lift using multi-stage mast module
JP2009084901A (ja) 昇降作業台装置
CN206872376U (zh) 一种通讯电缆维修升降装置
EP2639382A1 (en) Work platform
EP3110678B1 (en) Mobile assembly trolley
CN201087117Y (zh) 可移动嵌套式升降机
KR20120050357A (ko)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KR20100031918A (ko) 작업용 대차
KR20220104989A (ko)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CN221422618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多功能升降平台
EP0341918A1 (en) Powered access platform units
KR102529992B1 (ko)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101932596B1 (ko) 실내용 전동식 저상 작업 고소차
JPS586677B2 (ja) 大重量物用橋形クレ−ン
CN220666861U (zh) 一种边缘防护的可升降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