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992B1 -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 Google Patents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992B1
KR102529992B1 KR1020210007464A KR20210007464A KR102529992B1 KR 102529992 B1 KR102529992 B1 KR 102529992B1 KR 1020210007464 A KR1020210007464 A KR 1020210007464A KR 20210007464 A KR20210007464 A KR 20210007464A KR 102529992 B1 KR102529992 B1 KR 10252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adder
frame body
driv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990A (ko
Inventor
임대우
Original Assignee
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21000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9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06C7/04Hand-operated extending means carried by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20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 E06C1/22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poles with extensible, e.g. telescopic, ladder part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사다리에 탑승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정지상태에서는 각종 작업이 안정적이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개의 크로스바(11)들과 상부에는 상판(12)이 구비되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상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개의 받침판(23)들이 일측으로 축핀(24)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다리봉(20)과, 상기 사다리봉(20)과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받침판(23)의 타측으로 유동핀(31)들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시키는 링크막재(3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에 위치 고정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트리거(4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51)로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하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12)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샤프트(51)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연결된 핸들(61) 조작으로 구동바퀴(5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조향축(60)과, 상기 샤프트(51)에 동력을 전달하여 정, 역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70)와, 상기 핸들(61)과 연결된 설치판(81)에 배치되는 조작레버(82)들에 의해 구동부(70)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80)와, 상기 조향축(60)과 연결되는 구동바퀴(50)를 레버(91)의 위치 전환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승강수단(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powered ladder workbench}
본 발명은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사다리에 탑승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정지상태에서는 각종 작업이 안정적이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천정 높이에 각종 공사를 시행하거나 과수원 등에서 농작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작업대가 필요하다.
작업대는 일자형이나 A형 타입의 일반형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 외부전기 또는 배터리에 의한 모터의 동력으로 하거나 엔진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리프트 장비가 있다.
사다리나 리프트는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거나 중량물을 상하차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천장작업(천장 인테리어, 보수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리프트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특히 물류센터와 같은 창고의 물품관리를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공간에서 동력(주로 내연기관을 이용한 동력)을 이용한 리프트는 작업공간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잡한 기계구조로 된 리프트는 그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중소업체에서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런 문제점이 있고, 이동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 이동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좁은 공간에서는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건축물의 각 층간을 오르내릴 수 없어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44222호 (2013년03월11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4935호 (2009년06월10일 등록)
종래,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사다리는 사용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작업자가 내려와 이동을 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사다리 위에서 작업을 할 때, 안정성이 결여되는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사다리위에서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체 하중이 비교적 가벼워 간편하게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싣고 내릴 수 있어 취급 편의성이 우수한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들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위치에서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작업의 안정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수개의 크로스바(11)들과 상부에는 상판(12)이 구비되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상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개의 받침판(23)들이 일측으로 축핀(24)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다리봉(20)과,
상기 사다리봉(20)과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받침판(23)의 타측으로 유동핀(31)들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시키는 링크막재(3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에 위치 고정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트리거(4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51)로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하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12)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샤프트(51)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연결된 핸들(61) 조작으로 구동바퀴(5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조향축(60)과,
상기 샤프트(51)에 동력을 전달하여 정, 역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70)와,
상기 핸들(61)과 연결된 설치판(81)에 배치되는 조작레버(82)들에 의해 구동부(70)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80)와,
상기 조향축(60)과 연결되는 구동바퀴(50)를 레버(91)의 위치 전환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승강수단(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70)는 구동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71)와, 이 모터(71)의 회전을 샤프트(51)에 적정 회전수로 전달하는 변속기어박스(7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퀴승강수단(90)은 틀체(10)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회전봉(92)의 양단부로는 레버(91)들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회전봉(9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하고,
회전봉(92)의 중앙에 고정되어 함께 선회되는 캠판(93)과,
이 캠판(93)에 편심위치와 고정편(96)을 힌지핀(94a)들로 연결하는 링크부재(94)와,
이 고정편(96)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조향축(60)의 외측으로 유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동링(95)과,
상기 작동링(95)의 하부에 거리를 두고 고정볼트(1)로 조향축(60)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링(96)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91)의 회전 조작으로 캠판(93)과 링크부재(94)의 연동으로 작동링(95)이 고정링(96)을 가압하여 조향축(60)과 구동바퀴(50)가 하강되어 아웃트리거(40)가 지면에서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봉(92)의 양단부에는 사각축(92a)을 마련하여 레버(9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사각축(92a)의 나사구멍(92b)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재(98)에 의해 레버(91)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레버(91)에는 고정구멍(91a)을 뚫고, 회전봉(9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위치로 틀체(10)에는 고정구멍(91a)에 끼워져 레버(91)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핀(99)이 설치된다.
상기 사다리봉(20)에는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22)들이 부착된다.
상기 링크막재(30) 또는 어느 한 받침판(23)과 틀체(10) 사이에는 사다리봉(20)이 경사지게 펼침상태를 유지하거나 절첩이 가능하도록 장홀(33) 위치로는 유동핀(3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틀체(10)에 고정된 고정핀(34)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부재(32)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승한 사다리 작업대를 구동제어부를 조작하여 전진과 후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핸들로는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외부의 동력연결 없이 스스로 주행하며 원하는 장소까지 작업대를 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사다리와 틀체 및 링크부재를 나란하게 절첩시켜 적은 부피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전원이나 동력 연결이 불필요 하고, 작업시에 안정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전체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구입비 및 운전비가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다리 작업대가 작업을 위해 정위치에서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사다리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받침판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다리 작업대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사다리 작업대가 주행을 위해 레버를 조작하여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사다리 작업대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레버를 절단하여 사다리 작업대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8는 도 7의 B-B부분 단면도.
도 9는 구동바퀴와 연결된 조향축을 승강 조작하기 위한 바퀴승강수단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바퀴승강수단의 레버를 조작하여 구동바퀴와 조향축을 하강시킨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틀체의 상판에 조립된 조향축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사시도.
도 13은 링크막재와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설치 구조를 보인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이나 전원 연결 없이 작업자를 원하는 작업 위치로 방향 전환과 이동이 가능 하도록 된 사다리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틀체(10)의 일측으로 A형 사다리 구조를 이루도록 받침판(23)들이 다수개 다단으로 구비하고 있는 사다리봉(20)을 연결하여 아웃트리거(40)에 의해 안정된 받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방향전환과 이동이 필요할 때에는 변속기어박스(72)와 정·역회전을하는 모터(71)로 이루어진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바퀴(50)가 구동되어 원하는 위치로 사다리형 작업대 전체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모터(71)는 틀체(10)의 하단부에 갖춰진 공구함(13)의 충전식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되고, 상기 모터(71)는 핸들(61)의 상부에 갖춰진 구동제어부(80)에 의해 정·역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틀체(10)는 수개의 크로스바(11)들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세워지고, 가장 하부의 크로스바(11)의 양쪽 끝단에는 아웃트리거(40)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지면과 안정된 받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틀체(10)의 상단에는 힌지핀(21)으로 사다리봉(20)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사다리봉(20)의 저면에는 수개의 바퀴(22)들이 구름 자유롭게 설치되어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사다리봉(20)에는 수개의 받침판(23)들이 축핀(24)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고, 사다리봉(20)과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받침판(23)의 타측으로 유동핀(31)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막대형상의 링크막재(30)가 연결된다.
따라서, 사다리봉(20)과 받침판(23)들 및 링크막재(30)는 서로 축핀(24)과 유동핀(31)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펼침 사용상태에서는 받침판(23)을 이용해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는 사다리 작업대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틀체(10)와 사다리봉(20) 및 링크막재(30)를 나란하게 절첩하여 그 부피를 최대로 줄여 차량에 탑재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링크막재(30) 또는 어느 한 받침판(23)과 틀체(10) 사이에는 사다리봉(20)이 경사지게 펼침상태를 유지하거나 절첩이 가능하도록 막대형상의 연결부재(32)가 설치된다.
이 연결부재(32)는 끝단은 ㄱ형상으로 된 장홀(33)이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유동핀(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틀체(10)에 고정된 고정핀(3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13)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사다리 작업대로 사용되는 펼침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사다리 작업대로 사용하기 위해 받침판(23)들은 대략 수평하게 펼쳐지게 하고, 사다리봉(2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펼침 상태에서 틀체(10)와 받침판(23) 사이를 연결부재(32)가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2)에 의해 더 이상 사다리봉(20)의 각도가 벌어져 사다리 형태가 무너지거나, 받침판(23)을 포함하여 사다리봉(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이나 보관을 위해서 사다리봉(20)을 틀체(10) 위치로 회동시키게 되면 연결부재(70)에 파여진 장홀(33)을 따라 유동핀(31)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링크막재(30)와 받침판(23) 및 사다리봉(20)이 각각 절첩될 수 있다.
여기서, 이 연결부재(32)의 장홀(33) 위치는 고정핀(34)에 걸어지도록 그 설치 위치를 바꿔서 장치하여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사다리형 작업대는 작업중일 때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구동바퀴(50)는 자중에 의해 지면에 가볍게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은 아웃트리거(40)가 지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바퀴(22)가 지면에 각각 접촉되어 흔들림 없이 받침판(23)를 밟고 올라간 상태에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대를 이동하기 위해 구동바퀴(50)가 지면을 향해 전진 이동되면 아웃트리거(40)가 들어 올려져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구동바퀴(50)와 바퀴(22)를 이용한 구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틀체(1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핸들(61)로부터 샤프트(51) 까지 연결된 조향축(60)을 통해 구동바퀴(5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양쪽으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바퀴(50)는 샤프트(51)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향축(60)의 끝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죠인트를 통해 샤프트(51)와 연결되거나, 또는 샤프트(51)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속기어박스(72)와 결합된 상태로 핸들(61)을 좌우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51)와 구동바퀴(50)의 방향이 전환되어 원하는 위치로 작업용 사다리를 조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바퀴(50)는 샤프트(51)의 양쪽에서 각각 한개씩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한쪽으로 2개 이상 복수로 한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경우 안정성을 더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조향축(60)은 길이가 긴 사각 봉 형상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12)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샤프트(51)와 핸들(61) 사이를 연결하게 되는데, 크로스바(11)와 상판(12)에는 조향축(6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싱(6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바퀴(50)는 작업중일 때에는 지면에 자중에 의해 가볍게 접촉되어 있게 된다.(도 2)
그리고, 작업자가 받침판(23)에 밟고 있는 탑승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거나 다음 장소로 이동이 필요로 한 경우, 바퀴승강수단(90)을 조작하여 구동바퀴(50)를 조향축(60)과 같이 강제로 지면을 향해 하강시키게 되면, 아웃트리거(40)를 살짝 들어서 지면과 떨어트리게 되고, 구동바퀴(50)와 사다리봉(20)의 끝단부에 설치된 바퀴(22)들만이 지면과 접촉된다.(도 8)
이때, 구동바퀴(50)를 이동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핸들(61)의 위치를 조절 한 후 구동부(70)가 동작되도록 구동제어부(80)를 조작하게 되면 구동바퀴(50)에 동력이 전달되어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동바퀴(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부(70)는 구동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71)와, 이 모터(71)의 회전을 샤프트(51)에 적정 회전수로 전달하는 변속기어박스(7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필요한 전원은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게 되는데, 틀체(10) 하단부에 마련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공구함(13) 내부로 보관하여 전선을 배선하는 것에 의해 모터(71)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71)의 회전을 변속기어박스(72)를 통해 감속 또는 가속된 상태로 구동바퀴(50)를 구동하여 작업용 사다리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아웃트리거(40)는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들어져 있고, 구동바퀴(50)와 바퀴(22)들이 양쪽에서 지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주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80) 조작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상기 핸들(61)과 연결된 설치판(81)에 조작레버(82)들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조향축(60)과 구동바퀴(50)를 선택적으로 승강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바퀴승강수단(90)은 틀체(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틀체(10)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회전봉(92)의 양단부로는 레버(91)들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회전봉(9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봉(92)의 양단부에는 사각축(92a)을 마련하여 레버(91)가 회전봉(92)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사각축(92a)의 나사구멍(92b)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재(98)에 의해 레버(91)의 이탈이 방지된다.(도 5)
상기 회전봉(92)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캠판(93)이 고정되어 회전봉(92)과 함께 선회되고, 이 캠판(93)에 편심위치와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편(96) 사이를 링크부재(94)로 힌지핀(94a)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고정편(96)은 작동링(95)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링(95)은 조향축(60)의 외측으로 유동 자유롭게 끼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작동링(95)의 하부에는 거리를 두고 고정볼트(1)로 조향축(60)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링(97)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용 사다리가 작업중일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레버(91)가 지면과 대략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경우는 바퀴승강수단(90)이 동작되기 직전 상태로 구동바퀴(50)가 자중에 의해 지면위에 살짝 접촉만 하고 있게 된다.(도 8 및 도 9)
그리고, 사다리 작업대의 위치 이동을 위해서는 우선 이 바퀴승강수단(90)을 동작해야 한다.
즉, 상기 레버(91)를 작업자가 강제 회전시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틀체(10)와 나란하게 대략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레버(91)에 연결된 회전봉(92)이 캠판(93)과 링크부재(94)의 연동으로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조향축(60)에 끼워 설치되어 있던 작동링(95)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링(95)이 고정볼트(1)에 의해 조향축(60)에 결합되어 있던 고정링(97)을 하부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향축(60)과 구동바퀴(50)가 지면을 향해 하강되면서 아웃트리거(40)가 틀체(10)와 같이 상승되는 결과로 구동바퀴(50)가 구동부(70)의 동력으로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작업용 사다리의 주행가능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91)의 대략 끝단에는 틀체(10)를 향해 고정구멍(91a)을 뚫고, 회전봉(9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위치로 틀체(10)에는 고정구멍(91a)에 끼워져 레버(91)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핀(99)이 설치된다.
레버(91)는 회전봉(92)의 양단부에 마련된 사각축(9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레버(91)를 틀체(10)와 나란하게 대략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구멍(91a)에 스톱퍼핀(99)이 끼워지도록 양쪽 레버(91)들 위치를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바퀴승강수단(90)의 작동 상태로 계속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로의 주행이 완료된 후 다시 안정되게 사다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와 역으로 레버(91)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양쪽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레버(91)들을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시 아웃트리거(40)가 하강하여 지면과 접촉되고, 구동바퀴(50)는 자중에 의해서만 지면에 가볍게 접촉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들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틀체 11 - 크로스바
12 - 상판 20 - 사다리봉
21 - 힌지핀 22 - 바퀴
23 - 받침판 30 - 링크부재
40 - 아웃트리거 50 - 구동바퀴
51 - 샤프트 60 - 조향축
61 - 핸들 70 - 구동부
71 - 모터 80 - 구동제어부
90 - 바퀴승강수단 91 - 레버
92 - 회전봉 93 - 캠판
94 - 링크부재 95 - 작동링
97 -고정링 99 - 스톱퍼핀

Claims (6)

  1. 수개의 크로스바(11)들과 상부에는 상판(12)이 구비되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상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개의 받침판(23)들이 일측으로 축핀(24)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다리봉(20)과,
    상기 사다리봉(20)과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받침판(23)의 타측으로 유동핀(31)들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시키는 링크막재(3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에 위치 고정되어 지면에 접촉된는 아웃트리거(40)와,
    상기 틀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51)로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하부에 위치되는 크로스바(11)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12)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샤프트(51)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연결된 핸들(61) 조작으로 구동바퀴(5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조항축(60)과,
    상기 샤프트(51)에 동력을 전달하여 정,역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70)와,
    상기 핸들(61)과 연결된 설치판(81)에 배치되는 조작레버(82)들에 의해 구동부(70)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80)와,
    상기 조항축(60)과 연결되는 구동바퀴(50)를 레버(91)의 위치 전환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퀴승강수단(9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승강수단(90)은 틀체(10)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회전봉(92)의 양단부로는 레버(91)들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회전봉(9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하고,
    회전봉(92)의 중앙에 고정되어 함께 선회되는 캠판(93)과,
    이 캠판(93)에 편심위치와 고정편(96)을 힌지핀(94a)드로 연결하는 링크부재(94)와,
    이 고정편(96)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조향축(60)의 외측으로 유동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동링(95)과,
    상기 작동링(95)의 하부에 거리를 두고 고정볼트(1)로 조향축(60)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링(97)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91)의 회전 조작으로 캠판(93)과 링크부재(94)의 연동으로 작동링(95)이 고정링(97)을 가압하여 조향축(60)과 구동바퀴(50)가 하강되어 아웃트리거(40)가 지면에서 상승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0)는 구동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되는 모터(71)와, 이 모터(71)의 회전을 샤프트(51)에 적정 회전수로 전달하는 변속기어박스(72)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92)의 양단부에는 사각축(92a)을 마련하여 레버(9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사각축(92a)의 나사구멍(92b)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재(98)에 의해 레버(91)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91)에는 고정구멍(91a)을 뚫고, 회전봉(9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위치로 틀체(10)에는 고정구멍(91a)에 끼워져 레버(91)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핀(9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막재(30) 또는 어느 한 받침판(23)과 틀체(10) 사이에는 사다리봉(20)이 경사지게 펼침상태를 유지하거나 절첩이 가능하도록 ㄱ 형상으로 된 장홀(33) 위치로는 유동핀(3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틀체(10)에 고정된 고정핀(34)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부재(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1020210007464A 2021-01-19 2021-01-19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10252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64A KR102529992B1 (ko) 2021-01-19 2021-01-19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64A KR102529992B1 (ko) 2021-01-19 2021-01-19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90A KR20220104990A (ko) 2022-07-26
KR102529992B1 true KR102529992B1 (ko) 2023-05-08

Family

ID=8260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64A KR102529992B1 (ko) 2021-01-19 2021-01-19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87A (ja) * 2003-12-25 2005-07-14 Sanko Tec:Kk 移動式作業台
KR102070103B1 (ko) * 2018-07-25 2020-01-28 임대우 자주 구동식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762B1 (ko) * 1996-07-22 1999-02-18 나사균 전화교환대앰디프용 충전이동식작업사다리구조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101244222B1 (ko)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87A (ja) * 2003-12-25 2005-07-14 Sanko Tec:Kk 移動式作業台
KR102070103B1 (ko) * 2018-07-25 2020-01-28 임대우 자주 구동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90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757B1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102070103B1 (ko) 자주 구동식 작업대
CN202138987U (zh) 一种构造简单、搬运轻便、容易操作的多功能升降平台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US20050056484A1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CN102849649A (zh) 一种构造简单、搬运轻便、容易操作的多功能升降平台
US5310018A (en) Scaffold
KR20160127966A (ko)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KR20090057630A (ko)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20160063830A (ko) 자동 이송대차
CN212130024U (zh) 一种建筑工程用的支架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2529992B1 (ko)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CN1631760A (zh) 组合剪叉支撑伸缩升降机构
KR200479291Y1 (ko)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220104989A (ko)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US20220371868A1 (en) Vehicle apparatus with an elevatable platform used for building a structure
CN212259826U (zh) 一种自走式采摘平台
CN211909701U (zh) 升降装置
US11345022B2 (en) Collapsible, multiple axis cartesian robot
EP0341918A1 (en) Powered access platform units
CN219887606U (zh) 一种pc柱辅助装置
JPS5849322Y2 (ja) 台車装置付作業ステ−ジ
CN219620825U (zh) 一种多功能高空作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