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337B1 -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337B1
KR101456337B1 KR1020120126408A KR20120126408A KR101456337B1 KR 101456337 B1 KR101456337 B1 KR 101456337B1 KR 1020120126408 A KR1020120126408 A KR 1020120126408A KR 20120126408 A KR20120126408 A KR 20120126408A KR 101456337 B1 KR101456337 B1 KR 10145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 lift
electric vehicle
work table
vehicl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388A (ko
Inventor
장세경
이상로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2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3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적재함에 승강 및 회전가능한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대 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수용된 바구니를 외부의 이동대차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신속, 용이한 고소작업이 가능하며, 전기자동차의 하부 측에는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시저리프트를 통해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승강 및 회전시킬수 있도록 한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은 전방에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이 구비되며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자동차와, 상기 적재함 상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저리프트와, 상기 시저리프트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가능하도록 내부에 작업공간이 제공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전기자동차 하부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수평을 제어하는 수평유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Vehicle for fruit tree cultivation having scissor lift}
본 발명은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적재함에 승강 및 회전가능한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대 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수용된 바구니를 외부의 이동대차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신속, 용이한 고소작업이 가능하며, 전기자동차의 하부 측에는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시저리프트를 통해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승강 및 회전시킬수 있도록 한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에서 높은 곳에 위치된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등의 작업을 할 때 소정 높이의 작업발판이나 사다리 등을 놓고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업이 진행될 경우 작업발판이나 사다리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옮겨가며 일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일의 진척속도가 느려 효율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위치이동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농업기계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있어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위치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은 갖지만 농업기계나 대차가 정차된 상태에서 고소 작업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근거리의 과실을 수확할 수 없어 농업기계나 대차의 위치를 재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확하여 저장된 과실 바구니를 또 다른 운반대차로 옮겨 싣는 것이 쉽지 않았고 또한 고소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농업기계나 대차가 지면에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차해 있지 않을 경우 고소 작업대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질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고소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적재함에 승강 및 회전가능한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대 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수용된 바구니를 외부의 이동대차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신속, 용이한 고소작업이 가능하며, 전기자동차의 하부 측에는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시저리프트를 통해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승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이 구비되며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자동차와, 상기 적재함 상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저리프트와, 상기 시저리프트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가능하도록 내부에 작업공간이 제공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전기자동차 하부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수평을 제어하는 수평유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전, 후방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출납 이동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수평이 제어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로드가 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기구의 이동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전기자동차가 지면으로부터 승, 하강 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대 일측에는 상기 시저리프트의 승, 하강 및 회전과 상기 수평유지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대의 타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적재되는 적재바구니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대의 일측 안전난간은 작업대의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의 바닥면 일측에는 이동경사판이 작업대의 외측으로 회동 및 이중출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과실이 적재된 적재바구니는 외측으로 회동 되어 있는 상기 안전난간 측으로 이동경사판을 회동 및 이중출납시켜 외부에 준비된 이동대차에 연결시켜 이동경사판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에 따르면 첫째, 전기자동차의 적재함에 승강 및 회전가능한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업대 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수용된 바구니를 외부의 이동대차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신속, 용이한 고소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 전기자동차의 하부 측에는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시저리프트를 통해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승강 및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1)은 전방에는 운전석(110)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120)이 구비되며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자동차(100)와, 상기 적재함(120) 상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저리프트(200)와, 상기 시저리프트(200)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가능하도록 내부에 작업공간이 제공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310)이 설치되는 작업대(300)와, 상기 전기자동차(100) 하부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자동차(100)의 수평을 제어하는 수평유지수단(4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1)에 대한 각각의 구성부재 및 그 연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10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시에 작업이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와 작업장비들을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운전석(110)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1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100)는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기자동차(100) 구동에 필요한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충전배터리(도시되지 않음) 등이 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100)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120)에는 턴테이블(13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턴테이블(130)은 추후에 설명될 시저리프트(200)와 적재함(120)을 전기자동차(100) 적재함(120) 측에서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적재함(120) 내부에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턴테이블(13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모터의 구동은 전술한 충전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받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턴테이블(130)의 회전방향 및 각도는 추후에 설명될 컨트롤러(320)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100)는 충전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차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적재함(120)의 턴테이블(130) 상에는 시저리프트(200)가 설치되는데, 이 시저리프트(200)는 턴테이블(130) 상에서 추후에 설명될 적재함(120)을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저리프트(200)는 교차 방식으로 연결되어 턴테이블(1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시저암(210)과 전술한 시저암(210)의 일측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시저리프트(200)의 높낮이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시저암(210)의 연결 및 운동원리와 구동모터의 동력전달 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저리프트(200)와 동일하여 종래기술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시저리프트(200) 상에는 작업대(300)가 설치되는데 이 작업대(300)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탑승하여 과수를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310)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작업대(300) 일측에는 시저리프트(200)의 승, 하강 및 회전과 추후에 설명될 수평유지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20)가 구비되며, 작업대(300)의 타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적재되는 적재바구니(3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작업대(300)의 일측 안전난간(310)은 작업대(300)의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대(300)의 바닥면 일측에는 이동경사판(340)이 작업대(300)의 외측으로 회동 및 이중출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과실이 적재된 적재바구니(330)는 외측으로 회동 되어 있는 안전난간(310) 측으로 이동경사판(340)을 회동 및 이중출납시켜 외부에 준비된 이동대차(500)에 연결시킨 다음, 이동경사판(340)의 경사면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과실이 저장된 적재바구니(330)의 하측에 이동바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작업대(300) 및 이동경사판(340)의 바닥면에는 전술한 이동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적재바구니(330)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적재바구니(330)에 설치되는 바퀴에는 경사면에서의 이동속도를 저감 시킬 수 있는 감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전기자동차(100) 하부 모서리 측에는 수평유지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이 수평유지수단(400)은 전기자동차(100)가 평지가 아닌 지점에서도 항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12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100)의 전, 후방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실린더로드(411)가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출납 이동되어 전기자동차(100)의 수평이 제어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410)와, 실린더로드(4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실린더로드(411)가 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실린더기구(410)의 이동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기자동차(100)가 지면으로부터 승, 하강 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420)가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수평유지수단(400)은 전술한 컨트롤러(320)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동제어되는데 이를 위해 컨트롤러(320)의 일측에는 전기자동차(100) 네 군데 바퀴 측의 수평유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평유지수단(400)에 적용되는 실린더기구(4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유압의 공급방법과 그 구체적인 작동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수평유지수단(4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동제어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구비되는 수평계(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수평계로부터 송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 2인을 1조로 작업조를 편성해 1인은 전기자동차(100)의 운전석(110)에 위치하고 나머지 1인은 작업대(300)에 위치한다. 먼저 운전석(110)에 위치한 작업자가 작업이 진행될 위치로 전기자동차(100)를 이동시킨 뒤 정차시키면 작업대(300)에 위치한 작업자는 컨트롤러(320)를 이용해 먼저 전기자동차(100)의 수평을 제어하고, 시저리프트(200)를 이용해 작업대(300)를 턴테이블(130) 상에서 작업 가능한 높이까지 승강시키는데, 이때 필요할 경우 턴테이블(130)을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작업대(300) 상의 작업자가 과실을 수확해 적재바구니(330)에 차례로 적재하고 적재바구니(330)가 과일로 차게 되면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1) 외부에 이동대차(500)를 준비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대(300)의 일측 안전난간(310)을 외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이동경사판(340)을 이동대차(500) 측으로 회동시키는데 이때 이동경사판(340)의 길이가 이동대차(500) 측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적재바구니(330)를 이동경사판(340)의 경사를 이용해 이동대차(500) 측으로 신속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경사판(340)을 이동대차(500)에 연결할 때에는 시저리프트(200)를 이용해 작업대(3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안전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100 : 전기자동차
110 : 운전석 120 : 적재함
130 : 턴테이블 200 : 시저리프트
210 : 시저암 300 : 작업대
310 : 안전난간 320 : 컨트롤러
330 : 적재바구니 340 : 이동경사판
400 : 수평유지수단 410 : 실린더기구
411 : 실린더로드 420 : 지지플레이트
500 : 이동대차

Claims (6)

  1. 전방에는 운전석(110)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120)이 구비되며 전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자동차(100);
    상기 적재함(120) 상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저리프트(200);
    상기 시저리프트(200)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가능하도록 내부에 작업공간이 제공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310)이 설치되는 작업대(300); 및
    상기 전기자동차(100) 하부 모서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기자동차(100)의 수평을 제어하는 수평유지수단(400)이 포함되며,
    상기 작업대(300)의 일측 안전난간(310)은 작업대(300)의 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300)의 바닥면 일측에는 이동경사판(340)이 작업대(300)의 외측으로 회동 및 이중출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과실이 적재된 적재바구니(330)는 외측으로 회동 되어 있는 상기 안전난간(310) 측으로 이동경사판(340)을 회동 및 이중출납시켜 외부에 준비된 이동대차(500)에 연결시켜 이동경사판(34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수단(400)은,
    상기 전기자동차(100)의 전, 후방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실린더로드(411)가 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출납 이동되어 상기 전기자동차(100)의 수평이 제어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410); 및
    상기 실린더로드(4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로드(411)가 지면 상에 지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기구(410)의 이동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전기자동차(100)가 지면으로부터 승, 하강 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4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0) 일측에는 상기 시저리프트(200)의 승, 하강 및 회전과 상기 수평유지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0)의 타측에는 수확한 과수가 적재되는 적재바구니(3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0) 일측에는 상기 시저리프트(200)의 승, 하강 및 회전과 상기 수평유지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6. 삭제
KR1020120126408A 2012-11-09 2012-11-09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KR10145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08A KR101456337B1 (ko) 2012-11-09 2012-11-09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08A KR101456337B1 (ko) 2012-11-09 2012-11-09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388A KR20140060388A (ko) 2014-05-20
KR101456337B1 true KR101456337B1 (ko) 2014-11-04

Family

ID=5088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408A KR101456337B1 (ko) 2012-11-09 2012-11-09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790B1 (ko) * 2021-11-30 2022-08-16 송주현 농산물 수확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718B1 (ko) 2014-06-25 2016-11-09 김남주 농업용 고소작업기
CN104191225A (zh) * 2014-09-11 2014-12-10 郑州贝龙液压技术有限公司 大型磨机加料仓转运及螺栓拆装检修车
CN105863510A (zh) * 2016-06-07 2016-08-17 陶德明 一种用于隧道的无死角施工的平台钻机
CN107416739A (zh) * 2017-08-25 2017-12-01 国家电网公司 电力检修平台及电力检修车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87U (ja) * 1991-03-27 1993-03-23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ヨン シザース式高所作業装置
KR940005551Y1 (ko) * 1989-05-26 1994-08-18 삼성전기 주식회사 음향기기의 자동선곡회로
KR200194273Y1 (ko) * 2000-04-11 2000-09-01 권기원 경운기의 적재함 승강장치
JP2001348200A (ja) * 2000-06-07 2001-12-18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2002234699A (ja) * 2001-02-08 2002-08-23 Aichi Corp 作業用車両
KR200404072Y1 (ko) * 2005-09-22 2005-12-16 서영춘 인/출입되는 발판이 구비된 작업용 트레일러
JP2008529930A (ja) * 2005-02-21 2008-08-07 グレアム,ジェフ リフティング及び位置決め装置
KR100882004B1 (ko) * 2007-08-16 2009-02-05 한국원자력연구원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용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의 볼트 체결공법
KR20090018244A (ko) * 2007-08-17 2009-02-20 최명진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JP2010158759A (ja) * 2008-12-08 2010-07-22 Daihen Corp ワーク搬送装置
KR20110067740A (ko) * 2009-12-15 2011-06-22 오창민 과일선별장치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JP7076079B1 (ja) * 2022-03-02 2022-05-27 学校法人冬木学園 乳汁分泌促進器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551Y1 (ko) * 1989-05-26 1994-08-18 삼성전기 주식회사 음향기기의 자동선곡회로
JPH0522487U (ja) * 1991-03-27 1993-03-23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ヨン シザース式高所作業装置
KR200194273Y1 (ko) * 2000-04-11 2000-09-01 권기원 경운기의 적재함 승강장치
JP2001348200A (ja) * 2000-06-07 2001-12-18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2002234699A (ja) * 2001-02-08 2002-08-23 Aichi Corp 作業用車両
JP2008529930A (ja) * 2005-02-21 2008-08-07 グレアム,ジェフ リフティング及び位置決め装置
KR200404072Y1 (ko) * 2005-09-22 2005-12-16 서영춘 인/출입되는 발판이 구비된 작업용 트레일러
KR100882004B1 (ko) * 2007-08-16 2009-02-05 한국원자력연구원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용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의 볼트 체결공법
KR20090018244A (ko) * 2007-08-17 2009-02-20 최명진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JP2010158759A (ja) * 2008-12-08 2010-07-22 Daihen Corp ワーク搬送装置
KR20110067740A (ko) * 2009-12-15 2011-06-22 오창민 과일선별장치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JP7076079B1 (ja) * 2022-03-02 2022-05-27 学校法人冬木学園 乳汁分泌促進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790B1 (ko) * 2021-11-30 2022-08-16 송주현 농산물 수확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388A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37B1 (ko) 시저리프트가 구비된 과수작업용 차량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KR20180081422A (ko) 과수 작업차
CN203106476U (zh) 可手动自动切换驱动的电力开关小车存储装置
KR20120134198A (ko)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101070405B1 (ko)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CN213265594U (zh) 一种可移动门架叉车
CN211198524U (zh) 板件半自动安装设备
KR20150107535A (ko)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CN109533850B (zh) 一种升降式搬运机器人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1391529B1 (ko) 스스로 움직이는 고소작업 및 농작물 수확장치
KR101674718B1 (ko) 농업용 고소작업기
JP5105174B2 (ja) 物品搬送装置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160095458A (ko) 과수원용 고소작업차량의 제어장치
GB2449763A (en) Moveable platform for safety in trailer loading
KR200451931Y1 (ko) 과수관리용 전동작업차
KR101809937B1 (ko) 작업차
JP4791719B2 (ja) ガスボンベ交換装置
JP2013216428A (ja) 高所作業車
KR101598487B1 (ko) 과수용 작업차
KR102516397B1 (ko)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KR20140002431U (ko) 드럼통 운반 장치
CN218618430U (zh) 一种迷你单臂堆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