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97B1 -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 Google Patents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97B1
KR102516397B1 KR1020200146352A KR20200146352A KR102516397B1 KR 102516397 B1 KR102516397 B1 KR 102516397B1 KR 1020200146352 A KR1020200146352 A KR 1020200146352A KR 20200146352 A KR20200146352 A KR 20200146352A KR 102516397 B1 KR102516397 B1 KR 10251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ing
plate
area expans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803A (ko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엘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에스(주) filed Critical 엘앤에스(주)
Publication of KR2021005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무의 상부의 열매 수확 및 전반적인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함이 확장될 수 있는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의 양측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적재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작업자가 과수에 더욱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어 보다 많은 과수를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 측에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를 수확하는 작업자가 직접 원하는 높이로 적재함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Work vehicle for fruit tree cultivation that can expand the loading space}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무의 상부의 열매 수확 및 전반적인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차)는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지에서 무한궤도 바퀴로 이동되어 수확한 과일 또는 농작물을 실어 운반하거나, 적재함이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나무를 가지치기 하거나 과일을 수 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수작업차는 과수의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함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붐이 회전하면서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붐 타입(boom type), X자형 링크의 승강 작동에 의해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타입(Lift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152호에 게시된 농업용 고소작업차와 같은 붐 타입은 리프트 타입에 비해 적재함의 크기가 제한적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947호에 게시된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와 같은 리프트 타입은 X자형의 링크에 의해 적재함의 승강 길이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152호 : 농업용 고소작업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적재공간의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과수나 농작물에 접근이 용이하고, 적재량을 확장 할 수 있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 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수 작업차는 양측부에 지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유닛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운동유닛, 및 상기 적재함 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하부가 연결되며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양측부에 측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적재함메인프레임과,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부로 개별 인출가능한 복수의 적재면적확장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전후방으로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인출방향으로 길이 연장 가능하여 되어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레일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유닛은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의 수납공간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장착되며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동레일을 구비하고, 다수의 레일유닛은 전후방향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양측부와 상기 양측부에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신장 및 신축되게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함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들의 각 단부에는 각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수납 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되며,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인출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상면에 나란하게 각각 회동되는 복수의 보조확장판과, 전후방향의 상기 보조확장판 양측부에 위치되게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에 따른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판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되는 측 단부의 전후방향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가이드판에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되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호형상으로 인입된 회동가이드홈에 수용가능하여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조작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의 양측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적재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작업자가 과수에 더욱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어 보다 많은 과수를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적재함 측에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를 수확하는 작업자가 직접 원하는 높이로 적재함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는 다수의 구동륜 중 전방 측과 후방측에 위치한 구동륜들이 개별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이동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일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이 상승되고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과수작업차의 레일유닛에 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과수작업차의 구름운동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구름운동유닛의 제1 내지 제3구동륜이 개별회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수 작업차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는 양측부에 지면과 접촉되는 구름운동유닛(80)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21)과, 베이스프레임(21)의 상방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21)에 대해 나란하거나 좌측 또는 타측이 상향되게 기울기 가변가능한 좌우틸팅프레임(31)과,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좌우틸팅프레임(31)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좌우틸팅유닛(41)과, 좌우틸팅프레임(31)과 나란하게 좌우틸팅프레임(31)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100)과, 좌우틸팅프레임(31)과 적재함(100)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틸팅프레임(31) 및 베이스프레임(21)에 대해 적재함(100)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61)과, 적재함(100) 일측에 설치되어 구름운동유닛(80) 및 적재함 승강유닛(61)의 구동을 조절하는 조작부(75)를 구비한다.
구름운동유닛(80)은 베이스프레임(21) 양측부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무한궤도로 회동가능한 좌측 및 우측 캐터필러(82,8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21) 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름운동유닛(8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87)와, 동력발생부(87)의 동력 발생과 적재함승강유닛(6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0)와, 작업자의 조작부(75)의 조작명령에 따라 적재함 승강유닛(61)과 구름운동유닛(8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3)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90)는 베이스프레임(21)의 내부공간에 무게중심을 이루도록 전후방 또는 좌우로 배치되며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터리(미도시)를 구비하며, 베터리는 외부 충전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발생부(87)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력발생부(87)는 전원공급부(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1구동모터(88), 제2구동모터(89)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는 제어부(93)와 연결되며, 제1구동모터(88) 및 제2구동모터(89)의 각 구동축 측에 구비되어 제1구동모터(88) 및 제2구동모터(89)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식 브레이크(미도시)와, 제1구동모터(88) 및 제2구동모터(89)의 각 구동축 상에 설치되거나 감속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디스크(미도시)와 유압에 의해 디스크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는 캘리퍼(미도시)를 포함하는 제동유닛(8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동유닛(96)은 사용자의 조작부(75) 조작에 의해 발생되어 제어부(93)에 전달된 조작신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캐터필러(82,84)를 제동 및 제동해제 한다.
좌우틸팅프레임(31)은 좌측 및 우측 캐터필러(82,8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21)의 상방에 위치되된다.
좌우틸팅유닛(41)은 각 일측이 베이스프레임(21)의 전단과 후단의 폭 방향 일측에 각각 장착되고 타측이 좌우틸팅프레임(31)의 전단과 후단의 폭 방향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제1틸팅실린더(42)와, 각 일측이 베이스프레임(21)의 전단과 후단의 폭 방향 타측에 각각 장착되고 타측이 좌우틸팅프레임(31)의 전단과 후단의 폭 방향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제2틸팅실린더(45)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틸팅실린더(42)가 길이 신장 시, 좌우틸팅프레임(31)의 폭 방향 일측이 타측보다 상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고, 복수의 제2틸팅실린더(45)가 길이 신장 시, 좌우틸팅프레임(31)의 폭 방향 타측이 일측보다 상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적재함(100)의 기울기는 좌우틸팅프레임(31)의 기울기에 결정된다.
적재함은(100)은 내부에 과수와 같은 농작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130)이 마련된 사각구조물로 형성되며 적재함 승강유닛(6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적재함승강유닛(61)은 좌우틸팅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틸팅프레임(3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함(100)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좌우틸팅프레임(31)과 적재함(50)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X자형의 복수의 링크부(62)와, 좌우틸팅프레임(31)에 장착되어 링크부(62)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복수의 리프트부(70)가 구비된다.
링크부(62)는 상단이 적재함(100)의 후방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좌우틸팅프레임(31)의 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바(63), 상단이 제1회동바(63)의 상단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적재함(5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제1회동바(62)의 하단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좌우틸팅프레임(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바(6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동바(63,64)는 상호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핀(6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부(62)는 도 6을 참고하면, 좌우틸팅프레임(3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회동바(63)를 연결할 수 있도록 좌우틸팅프레임(31)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리프트부(70)의 하부 연결되는 제1리프트부연결바(67)와, 좌우틸팅프레임(3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회동바(6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좌우틸팅프레임(31)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리프트부(70)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2리프트부연결바(69)를 구비한다.
복수의 리프트부(70)는 좌우틸팅프레임(31) 및 적재함(10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복수의 리프트부(70)는 제1리프트부연결바(67)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 측으로 연장된 실린더(71)와, 상단이 제2리프트부연결바(69)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실린더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73)가 각각 구비된다. 리프트부(70)는 조작부(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부(75)의 조작 정보에 따라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유압이 조절되면서 피스톤로드(73)가 진퇴된다.
조작부(75)는 적재함(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적재함승강유닛(61)에 의해 승강하는 적재함(10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조작부(75)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진 및 후진 좌우 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조향키(미도시)가 마련되며, 적재함승강유닛(6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들이 구비된다. 또한, 조작부(75)에는 돌발 상황 시 제동유닛(86)을 제어하여 동력발생부(87)를 급제동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스위치와,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적재함승강유닛(61)에 하부가 연결되며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한 쌍씩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개방되는 복수의 수납공간(102)을 갖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과, 각 수납공간(102)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이동되어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부로 개별 인출가능한 복수의 적재면적확장틀(121)과, 수납공간(102) 내에서 전후방으로 마주하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의 내주면과 적재면적 확장틀(121) 사이에 장착되며 적재면적 확장틀(121) 인출방향으로 길이 확장 및 축소 가능하여 되어 수납공간(102)으로부터 적재면적 확장틀(121)의 인출 및 수납공간(102)으로 수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레일유닛(141)과, 각 수납공간(102)에서 일측이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장착되고 타측이 적재면적확장틀(121)에 장착되어 길이 신축에 따라 적재면적확장틀(121)을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확장틀 이동실린더(181)를 구비한다.
또한, 적재함(100)은 각 적재면적확장틀(121)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확장판(191)과,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인출 및 수납에 따른 보조확장판(191)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판(201)과, 보조확장판(191)의 전후방향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회동가이드판(201)에 가이드되면서 보조확장판(191)의 회동을 조작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돌기(206)를 구비한다.
복수의 보조확장판(191)은 수납공간(102)에서 인출이 시작되는 측의 적재면적확장틀(121)들의 각 단부에는 각 적재면적확장틀(121)이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수납 시 적재면적확장틀(121)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되며, 적재면적확장틀(121)이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대해 인출시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상면에 나란하도록 각각 회동된다.
한 쌍의 회동가이드판(201)은 한 쌍의 보조확장판(191) 중 하나의 보조확장판(191)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회동가이드판(201)은 적재함메인프레임(101) 측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다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호형상으로 인입된 회동가이드홈(203)이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가이드돌기(206)는 적재면적확장틀(121)이 인출되는 방향의 한 쌍의 보조확장판(191)의 단부 측의 전방 방향 일측부 또는 후방 방향 타측부에 상호 멀어지게 각각 돌출형성되어, 회동가이드홈(203)에 수용가능하여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위치이동에 따라 회동가이드홈(203)에 안내되면서 보조확장판(191)의 회동을 조작한다.
그리고, 적재함(100)은 적재함메인프레임(101)과 함께 적재공간(130)을 형성하는 전단측 고정난간부(131)와, 후단측 고정난간부(134)와, 복수의 측부 이동 난간부(138)와;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의 후단측에 장착되는 접이식 계단(210)이 장착된다.
전단측 고정난간부(131)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의 전단측에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측이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부(75)는 하부가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고정되고, 상부가 전단측 고정난간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후단측 고정난간부(134)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의 후단측에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대해 상방으로 전단측 고정 난간부(131)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측부 이동 난간부(138)는 적재면적확장틀(121)이 인출되는 방향의 각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전단측 고정 난간부(131)와 후단측 고정 난간부(134)와 직교하며 내측이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단측고정난간부(134)는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폭 방향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호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및 제2 후단측 난간프레임(135,136)과, 제1 후단측 난간프레임(135)과 제2 후단측 난간프레임(136) 사이에 위치되고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폭 방향 일측이 제1 또는 제2 후단측 난간프레임(135,13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폭 방향 타측이 제1 또는 제2 후단측 난간프레임(135,136)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137)를 구비한다.
측부 이동 난간부(138)는 적재면적확장틀(121)에 대해 보조확장판(191)이 수직하게 회동 위치 시, 상단이 상방에 위치되게 적재면적확장틀(121)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다.
먼저,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은 도 2를 참고하면, 과수나 작물을 담은 상자를 지지하는 상판(103)과, 상판(103)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이격된 하판(104)과, 상판(103)과 하판(104)의 각 전단측을 연결하는 전단측판(106)과, 상판(103)과 하판(104)의 각 후단측을 연결하는 후단측판(108)과, 전단측판(106)과 후단측판(108)과 동일간격 이격되며 전단측판(106)과 후단측판(108)에 각각 나란한 제1구획판(110)과, 전단측판(106)과 후단측판(108)의 길이방향 중심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구획판(110)과 직교하는 제2구획판(112)과, 좌우틸팅프레임(31)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재함 승강유닛(61)과 결합되며 상부가 하판(104)과 결합되는 승강프레임(114)을 구비한다.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수납공간(102)이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양측으로 개방되게 제2구획판(112)이 구비되지 않거나, 승강프레임(114) 없이 하판(104)에 승강유닛(61)이 직접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적재면적확장틀(121)은 전단측판(106), 후단측판(108) 및 제1구획판(110)에 나란하게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레일유닛(141)의 제1이동레일(160)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레일결합판(122,125)과, 제1 및 제2레일결합판(122,125)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상판과 나란한 면적확장판(128)을 구비한다.
레일유닛(141)은 적재함메인프레임(101)의 수납공간(102)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142)과,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장착되며 고정레일(142)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한 쌍의 제1이동레일(160)과, 제1이동레일(160)과 고정레일(142) 사이에 위치되어 제1이동레일(160)과 고정레일(142)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동레일(150)을 구비한다.
레일유닛(141)은 각 수납공간(102)에, 전후방향의 적재면적확장틀(121) 양측부와,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양측부에 마주하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 측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게 다수 개 씩 장착된다.
또한, 레일유닛(141)은 제2이동레일(150)과 고정레일(142) 사이에서 제2이동레일(15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한 상태로 구름운동가능하여 고정레일(142)에 대해 제2이동레일(15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볼(168,169)과, 제1이동레일(160)과 제2이동레일(150) 사이에서 제1이동레일(160)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여 제2이동레일(150)에 대해 제1이동레일(16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3 및 제4가이드볼(170,171)과, 제1 및 제2가이드볼(168,169)이 상호 수직 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1가이드볼(168)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상기 제2가이드볼(169)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로 연장되게 절곡된 제1연결와이어(173)와, 제3 및 제4가이드볼(170,171)들이 상호 수직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3가이드볼(170)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상기 제4가이드볼(171)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 사이로 연장되게 절곡된 제2연결와이어(177)을 더 구비한다.
제1이동레일(160)은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고정장착되며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갖고 적재면적 확장틀(121)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제1길이연장부(162)와, 제1길이연장부162의 상단과 하단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폭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도록 호형곡률을 갖도록 인입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제1 또는 제2가이드볼(168,169)에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지지부(164,166)를 구비한다.
고정레일(142)은 수납공간(102) 내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의 전후방향 양측부와 마주하는 적재함메인프레임(101)에 양측부에 각각 고정장착되며 제1길이연장부(162)보다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큰 폭을 갖고 제1길이연장부(162)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길이연장부(144)와, 제3길이연장부(144)의 상단과 하단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폭 방향 내측이 상호 멀어지게 상하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3 또는 제4가이드볼(170,171)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제7 및 제8볼 지지부(146,148)를 구비한다.
제2이동레일(150)은 제7볼지지부(146)의 수직하방에 위치되어 제3가이드볼(17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3볼지지부(154)와, 제8볼지지부(148)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제4가이드볼(171)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4볼지지부(156)와, 제3볼지지부(154)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볼지지부(164)의 상방에 위치되어 제1가이드볼(168)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5볼지지부(155)와, 제4볼지지부(156)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볼지지부(166)의 하방에 위치되어 제2가이드볼(169)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6볼지지부(157)와, 제3볼지지부(154)와 제4볼지지부(156)를 연결하며 제1연결와이어(173)와 제2연결와이어(177) 사이에 위치되는 제2길이연장부(152)를 구비한다.
복수의 확장틀 이동실린더(181)은 수납공간(102) 내에서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하판(104) 상면에 일측이 장착되는 하판 결합 실린더본체(183)와, 수납공간(102) 내에서 적재면적확장틀(121)의 면적확장판(128)의 하면에 일측이 장착되며 타측이 실린더본체(183)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확장판 결합 피스톤 로드(185)를 각각 구비한다. 복수의 확장틀 이동실린더(181)은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신장 및 축소되면서 적재면적확장틀(121)을 수납공간(102)에 대해 인출시키거나 수납시킨다.
접이식 계단(210)은 개폐도어(137)의 위치에 대응되는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에 장착되는데, 적재함 메인프레임(101)의 후단 폭방향 중심측에 장착되고 상하로 연장되며 하단측이 적재함 상부보다 후방 측으로 돌출된 계단프레임(211)과, 계단프레임(211)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하단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계단플레이트(213)과, 계단프레임(211)의 상단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계단플레이트(215)와, 제2계단플레이트(215)의 타단과 제1계단플레이트(213)의 타측에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및 제2계단플레이트(213,215)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회동링크(217)을 구비한다.
제1계단플레이트(213)은 제2계단플레이트(215)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회동 시, 작업자가 개폐도어(137)를 통해 적재공간(130)으로 탑승하거나 하차가 용이하게 제2계단플레이트(215)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는 확장틀 이동실린더(181)와, 리프트부(70)와, 좌우틸팅유닛(41)의 제1틸팅실린더(42)와 제2틸팅실린더(45)에 유체 공급을 위한 유체저장탱크(미도시)와; 유체저장탱크에서 이동실린더(181)와, 리프트부(70)와, 좌우틸팅유닛(41)의 제1틸팅실린더(42)와 제2틸팅실린더(45)를 연결하는 유체공급관(미도시)들과; 조작부(75)의 조작에 따라 유체공급관 일측에 장착되어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펌핑하는 유체공급펌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는 적재함(100)의 양측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재공간(130)이 확장됨에 따라 작업자가 과수에 더욱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과수를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는 적재함(130) 측에 조작부(75)가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를 수확하는 작업자가 직접 원하는 높이로 적재함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301)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301)는 구름운동유닛(380)과 동력발생부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1)의 구조와 동일하다.
구름운동유닛(380)은 베이스프레임(21)의 폭 방향 양측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가능한 복수 쌍의 구동륜을 구비한다.
복수의 구동륜은 베이스프레임(21)의 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구동륜(381)과, 베이스프레임(21)의 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구동륜(383)과, 베이스프레임(21)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구동륜(385)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구동륜(381,383)은 제3구동륜(385)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개별회동가능하게 베이스프레임(21)에 장착된다.
동력발생부는 한 쌍의 제1구동륜(381)과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미도시)와, 한 쌍의 제2구동륜(미도시)과 연결되는 제2구동모터(미도시)와, 한 쌍의 제3구동륜(385)과 연결되는 제3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93)는 한 쌍의 제1구동륜(381)의 조향 및 제1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조향제어부(394)와, 한 쌍의 제2구동륜(383)의 조향 및 제2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조향제어부(395)와, 한 쌍의 제3구동륜(385)의 조향 및 제3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조향제어부(396)를 구비할 수 있다.
제동유닛은 제1 내지 제3구동모터의 구동축 측에 구비외어 제1 내지 제3구동모너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식 브레이크(미도시)와, 제1 내지 제3구동모터의 각 구동축 상에 설치되거나 감속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디스크(미도시)와 유압에 의해 디스크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는 캘리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3조향제어부(394,395,396)에 각각 개별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75)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내지 제3구동모터의 개별 구동 및 조향 조절을 위한 다수의 조향조절레버와 구동속도조절레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아, 복수의 제1 내지 구동륜(381,383,385)이 각각 개별 회동될 수 있도록 축 연결되고, 제어부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복수의 제1구동륜(381,381')에 각각 개별연결되는 제1 및 제2조향제어부와, 복수의 제2구동륜(383,383')에 각각 개별연결되는 제3 및 제4조향제어부와, 복수의 제3구동륜(385,385')에 각각 개별연결되는 제5 및 제6조향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75)에 제1 내지 제6조향제어부에 개별적으로 구동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조향조절레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발생부는 복수의 제1 내지 3구동륜(381,381',383,383',385,385')에 각각 구동속도 조정이 가능하게 일대일 연결되는 제1 내지 제6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301)는 다수의 구동륜 중 전방 측과 후방측에 위치한 구동륜들이 개별적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이동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과수작업차 21 : 베이스프레임
31 : 좌우틸팅프레임 41 : 좌우틸팅유닛
61 : 적재함승강유닛 62 : 링크부
70 : 리프트부 75 : 조작부
80 : 구름운동유닛 100 : 적재함
101 : 적재함메인프레임 102 : 수납공간
121 : 적재면적확장틀 130 : 적재공간
141 : 레일유닛 142 : 고정레일
150 : 제2이동레일 160 : 제1이동레일
191 : 보조확장판 201 : 회동가이드판
203 : 회동가이드홈 206 : 회동가이드돌기

Claims (7)

  1. 양측부에 지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운동유닛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나란하거나 좌측 또는 타측이 상향되게 기울기 가변가능한 좌우틸팅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좌우틸팅유닛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운동유닛 및 상기 적재함 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절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하부가 연결되며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한 쌍씩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개방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적재함메인프레임과,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부에 각각 개별 인출가능한 적재면적확장틀들과,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전후방으로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인출방향으로 길이 연장 가능하여 되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레일유닛과,
    각 상기 수납공간에서 일측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장착되어 길이 신축에 따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을 위치이동시키는 복수의 확장틀 이동실린더와,
    인출되는 측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들의 각 단부에는 각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수납 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되며,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이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대해 인출 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상면에 나란하게 각각 회동되는 복수 쌍의 보조확장판과,
    전후방향의 상기 보조확장판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대해 전방 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배치되게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 및 수납에 따른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판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인출되는 측 단부의 전후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가이드판에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으로 수평하게 인입되되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호형상으로 인입된 회동가이드홈에 수용가능하여 상기 보조확장판의 회동을 조작하는 다수 쌍의 회동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양측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장착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가능한 복수 쌍의 구동륜을 구비하고,
    복수 쌍의 상기 구동륜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구동륜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측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구동륜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구동륜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륜은 상기 제3구동륜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개별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유닛은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의 수납공간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레일과,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장착되며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복수의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동레일을 구비하고,
    다수의 레일유닛은
    전후방향의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양측부와 상기 양측부에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 측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신장 및 신축되게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2이동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상기 제2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볼과,
    상기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1이동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여 상기 제2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제1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3 및 제4가이드볼과,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볼이 상호 수직 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1가이드볼에 관통되고 하부가 상기 제2가이드볼에 관통되며 상기 제2 이동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로 연장된 제1연결와이어와,
    상기 제3 및 제4가이드볼들이 상호 수직상하방에 위치되게, 상부가 상기 제3가이드볼에 관통되고 하부가 상기 제4가이드볼에 관통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1이동레일 사이로 연장된 제2연결와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레일은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고정장착되며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갖고 상기 적재면적 확장틀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제1길이연장부와, 상기 제1길이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폭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도록 호형곡률을 갖도록 인입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볼에 접하는 제1 및 제2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의 전후방향 양측부와 마주하는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에 양측부에 각각 고정장착되며 상기 제1길이연장부보다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큰 폭을 갖고 상기 제1길이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길이연장부와, 상기 제3길이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폭 방향 내측이 상호 멀어지게 상하방향으로 각각 볼록한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상기 제3 또는 제4가이드볼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제7 및 제8볼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동레일은
    상기 제7볼지지부의 수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3가이드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3볼지지부와, 상기 제8볼지지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4가이드볼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4볼지지부와, 상기 제3볼지지부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볼지지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볼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제5볼지지부와, 상기 제4볼지지부에서 상기 적재면적확장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볼지지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제6볼지지부와, 상기 제3볼지지부의 상기 제4볼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와이어와 상기 제2연결와이어 사이에 위치되는 제2길이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메인프레임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나란하게 하방으로 이격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각 전단측을 연결하는 전단측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각 후단측을 연결하는 후단측판과, 상기 전단측판과 상기 후단측판과 동일간격 이격되며 상기 전단측판과 후단측판에 각각 나란한 제1구획판과, 상기 전단측판과 후단측판의 길이방향 중심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구획판과 직교하는 제2구획판과, 상기 좌우틸팅프레임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승강유닛과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면적확장틀은
    상기 전단측판, 상기 후단측판 및 상기 제1구획판에 나란하게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레일결합판과, 상기 제1 및 제2레일결합판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적재함 메인프레임의 상기 상판과 나란한 면적확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46352A 2019-11-04 2020-11-04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KR102516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9778 2019-11-04
KR1020190139778 2019-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03A KR20210053803A (ko) 2021-05-12
KR102516397B1 true KR102516397B1 (ko) 2023-04-03

Family

ID=7591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52A KR102516397B1 (ko) 2019-11-04 2020-11-04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22Y1 (ko) * 2008-01-16 2010-08-31 주식회사 세웅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KR20120089172A (ko) * 2011-02-01 2012-08-09 (주)세고스 편중형 슬라이딩 장치
KR101669152B1 (ko) 2014-10-31 2016-10-25 이종태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1923680B1 (ko) * 2017-01-06 2019-02-22 엘앤에스(주) 과수 작업차
KR102151402B1 (ko) * 2019-02-01 2020-09-03 장진만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03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US3485400A (en) Vehicle with sliding and tilting bed
CA2398132C (en) Mobile elevator working and load-lifting platform
US7004286B2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KR101046439B1 (ko)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US20090041564A1 (en) Powered hand truck
US3817401A (en) Self-propelled dual-jack hoist
CN110946005A (zh) 一种丘陵山地果园采收平台
US3125235A (en) Load lifting mechanism
US2916166A (en) Shuttle lift for parking machine
KR102516397B1 (ko)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KR101070405B1 (ko)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US4206833A (en) Mobile aerial tower
JPH1160177A (ja) 高所作業車
US3960282A (en) Car parking structure with a car lift at the entrance thereof
US3361268A (en) Tower crane
KR20200120314A (ko) 화물 분리가 용이한 농업용 지게차
EP0805067A1 (en) Loading lift for the container of a truck
CN211430108U (zh) 一种丘陵山地果园采收平台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JP2001136822A (ja) 果実収穫作業車
EP0286300A1 (en) Personnel access lift boom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JP4043721B2 (ja) ブーム式高所作業車
JP3140094U (ja) 油圧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リフ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