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02B1 -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 Google Patents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402B1
KR102151402B1 KR1020190013684A KR20190013684A KR102151402B1 KR 102151402 B1 KR102151402 B1 KR 102151402B1 KR 1020190013684 A KR1020190013684 A KR 1020190013684A KR 20190013684 A KR20190013684 A KR 20190013684A KR 102151402 B1 KR102151402 B1 KR 10215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auxiliary
main
worktable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837A (ko
Inventor
장영윤
장세윤
장진만
Original Assignee
장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102019001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작업대와, 메인작업대에서 양측으로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와, 보조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작업대가 메인작업대에서 출입됨에 따라 자동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확장 발판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로서, 메인작업대에는 보조작업대의 출입시 확장 발판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브라켓이 구비되고, 확장 발판에는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Sub foot table having worktable for agricultural machinery}
본 발명은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기계의 작업대에서 양측으로 출입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확장되는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과실 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농업용 기계나 대차(이하 "농기계"라 한다)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수단을 매개로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비이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는 대부분 중앙의 메인테이블에서 양쪽으로 보조테이블이 안내되어 출입되게 마련되고, 보조테이블은 메인테이블에서 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나 실린더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출입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모든 고소작업대는 보조테이블이 메인테이블 전체의 폭에 정도의 폭으로 구비된 것과, 메인테이블의 사이즈로 메인테이블의 하면에 복층(2층)으로 적층되어 구비된 것이 있다.
위의 모든 고소작업대들은 메인테이블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보조테이블의 길이가 짧아 메인테이블에서 보조테이블이 최대한 양쪽으로 연장된다하더라도 테이블의 최대 확장 폭은 메인테이블 폭의 2배 정도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의 테이블 폭이 이렇게 확장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더욱 넓은 폭을 갖는 테이블을 요구해 왔다. 이런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123630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로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에는 메인테이블에서 보조테이블 만을 연장시켜 펼친 상태로 사용하거나 보조테이블은 물론 접이식 발판까지 펼쳐 고소작업을 할 수 있어 테이블의 폭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고소작업대는, 메인테이블에서 보조테이블이 출입됨에 따라 접이식 발판이 보조테이블에서 발판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되어 펼쳐지거나 메인테이블의 세움부재에 의해 보조테이블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접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이식 발판은 메인테이블에서 보조테이블이 인출될 때 발판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되면서 펼쳐져야 하나, 보조테이블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힌 접이식 발판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이 전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조테이블의 인출시에도 접이식 발판이 펼쳐지지 않는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보조테이블이 메인테이블 내로 인입될 시에는 보조테이블과 평행하게 회전되어 있던 발판의 가동스토퍼 단부가 메인테이블의 세움부재에 접촉되면서 접이식 발판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는데, 이는 세움부재의 메인테이블에 설치함에 있어 세움부재가 가동스토퍼와 정확히 맞아야 하므로 세움부재의 설치시 정확한 정밀함에 요구되므로 허용공차가 너무 작아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매우 저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236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농기계용 고소작압차의 메인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가 출입됨과 동시에 보조작업대에서 확장 발판이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한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메인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가 출입될 때 확장 발판을 보조작업대에서 회동시키는 가이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보조작업대의 출입시 확장 발판을 정확히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는, 메인작업대와, 메인작업대에서 양측으로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와, 보조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작업대가 메인작업대에서 출입됨에 따라 자동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확장 발판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로서, 메인작업대에는 보조작업대의 출입시 확장 발판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브라켓이 구비되고, 확장 발판에는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브라켓에는 확장 발판의 가이드롤러가 원호를 그리며 출입되어 확장 발판을 회동시키는 협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브라켓에는 협지부 전방에 수직한 선단부와, 협지부 후방에 수직한 후단부가 구비되되, 후단부는 선단부보다 높게 돌출되고, 선단부 위로 돌출된 후단부의 상부는 선단부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가이드롤러가 협지부에서 원호를 그리며 출입되도록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작업대에는 지주가 구비되고, 지주에는 안전난간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안전난간은 지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승강바와, 양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지주는 그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바를 안내하는 가이드공과, 후면에 형성되어 안전난간의 회동시 승강바가 걸림되는 걸림공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지주에서 안전난간의 회동시 연결바는 확장 발판의 영역 이내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따르면,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메인작업대에서 보조작업대가 출입됨에 따라 확장 발판이 메인작업대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에 의해 보조작업대에서 하향 회동되어 펼쳐져 확장되거나 또는 상향 회동되어 보조작업대에서 수직하게 접히도록 구비됨으로써 보조작업대의 출입시 확장 발판이 자동 회동되어 정확히 펼쳐져 확장되고 접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와 확장 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작업대의 인출과 동시에 확장 발판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작업대와 보조작업대 및 확장 발판의 분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에서 확장 발판의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판이 가이드브라켓에서 회동되는 상태를 차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작업대 및 확장 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메인작업대의 저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 작업대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소작업대로서, 농기계의 하나인 농용 차량의 승강리프트인 X자형 링크 상단에 별도로 설치되어 사용하거나 농용 차량의 승강리프트인 X자형 링크 상단에 일체화되어 농업용 고소작업차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농용 차량은 승강리프트인 X자형 링크가 리프트실린더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며, 이렇게 X자형 링크가 접히고 펼쳐짐에 따라 그 상단에 구비된 본 발명의 작업대가 승강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작업대(100)와, 메인작업대(100)에서 양측으로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200)와, 보조작업대(20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에서 출입됨에 따라 자동 회동되어 펼쳐져 확장되거나 또는 접히는 확장 발판(300)을 포함한다.
메인작업대(100)는 상면이 평탄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메인작업대(10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메인작업대(100)를 받쳐 지지하는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상하 복층 구조로서, 상측 프레임은 메인작업대(100)의 하면에 직접 설치되어 메인작업대(100)을 받쳐 지지하고, 하측 프레임은 메인작업대(100)와의 사이에 보조작업대(200)가 출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110) 중 하측 프레임에는 메인작업대(100)의 하부에서 보조작업대(200)를 양측으로 출입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구동수단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횔(121)과,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이격되어 정.역회전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횔(122)과,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종동스프로킷횔(122)에 S자 형태로 엇갈리게 감김되어 구비되고 그 양단부는 보조작업대(200)의 이동프레임(210) 양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체인(123)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체인(123)이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종동스프로킷횔(122)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풀려 이동되면서 보조작업대(200)를 메인작업대(100)에서 출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로킷횔(121)은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서 구동모터(120)에 의해 직접 정.역회전 구동되고, 종동스프로킷횔(122)은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이격된 프레임(110)의 타측에서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체인(123)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된다.
이때, 체인(123)은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종동스프로킷횔(122)에 S자 형태로 엇갈리게 감김됨으로써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장력이 유지된 체인(123)은 구동스프로킷횔(121)의 회전시 이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이동된다.
또한, 체인(123)은 그 양단부가 보조작업대(200)의 이동프레임(210) 양측에 각각 연결되되, 보조작업대(140)의 이동프레임(210) 양측에는 고정브라켓(220)(221)이 각각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220)(221)에는 체인(123)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스프로킷횔(121)에 의한 체인(123)의 이동시는 체인(123)의 양단부가 결합 고정된 고정브라켓(220)(221)을 통해 체인(123)의 이동방향으로 보조작업대(200)가 신속하게 이동된다.
게다가,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 양측에는 보조작업대(200)의 이동프레임(210)에 구비된 이동롤러(211)가 접하여 정지되는 스톱퍼(130)(131)가 구비되고, 이 스톱퍼(130)(131)에는 이동롤러(211)가 접촉되어 스위칭 됨에 따라 구동모터(12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메인작업대(100)에서 인출되는 보조작업대(200)의 인출량을 정확히 제한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보조작업대(200)는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 삽입된 채로 메인작업대(100)의 양측으로 각각 출입되는 복수의 부재로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작업대(200)는 메인작업대(100)의 하면에서 양측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평탄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조작업대(200) 하면 양측에는 보조작업대(200)의 이동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프레임(210)이 각각 설치되어 구비되며, 이동프레임(210)에는 이동롤러(211)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이동롤러(211)는 보조작업대(200)와 같이 이동되면서 메인작업대(100)의 스톱퍼(130)(131)에 접하여 보조작업대(200)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롤러(211)는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 또는 이 프레임(110)에 별도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서 구름되어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고정브라켓(220)(221)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고정브라켓(220)(221)에는 전술한 구동수단의 체인(123)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체인(123)이 구동스프로킷횔(121)과 종동스프로킷횔(122) 사이를 S자 형태로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위상차로 인해 양 고정브라켓(220)(221) 중 일측의 고정브라켓(220)은 이동프레임(210)에 근접하게 구비되고, 타측의 고정브라켓(221)은 이동프레임(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브라켓(221)에는 체인(123)을 이동프레임(210) 측으로 당기는 텐션을 발휘하는 텐션스프링(222)이 더 구비된다.
즉, 텐션스프링(222)은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221)과 체인(123)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체인(123)을 이동프레임(210) 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체인(123)의 장력을 견고히 유지할 뿐 아니라 체인(123)을 구동스프로킷횔(121) 또는 종동스프로킷횔(122)에 견고하게 감김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작업대(200)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난간(230)이 구비되되, 이 안전난간(230)은 보조작업대(20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주(233)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안전난간(2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33)의 상단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승강바(231)와, 양 승강바(231)를 연결하는 연결바(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주(233)는 중공의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승강바(231)의 힌지핀(231a)이 관통 결합되어 승강바(231)의 상하 이동시 힌지핀(231a)을 안내함과 더불어 힌지핀(231a)의 이동을 구속하는 한 쌍의 가이드공(233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후면에는 안전난간(230)의 회동시 승강바(231)의 하단부가 걸림되는 걸림공(233b)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공(233b)은 승강바(231)의 안정적인 걸림을 위해 승강바(231)에 대응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주(233)의 전면에는 지주(233)에서 안전난간(230)의 회동시 승강바(231)가 접한 상태로 받쳐져 지지되는 받침판(234)의 구비되고, 이 받침판(234)은 지주(233)에서 전면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지주(233)에서 회동된 안전난간(230)의 연결바(232)는 후술될 확장 발판(300)의 영역 이내에 위치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회동된 안전난간(230)의 연결바(232)가 확장 발판(300)의 영역 내에 구비됨에 따라 확장 발판(300) 위에 선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주(233)의 전면에는 보조작업대(200)에서 수직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는 확장 발판(300)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235)가 구비되고, 이 댐퍼(235)에 확장 발판(300)이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확장 발판(300)과 지주(233) 간의 충돌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보조작업대(200)의 선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발판(30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에서 출입됨에 따라 확장 발판(300)이 자동 회동되어 펼쳐져 확장되거나 또는 접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확장 발판(300)의 자동 회동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브라켓(400)에 의해 이루어지고, 확장 발판(300)에는 가이드브라켓(400)에 접하여 가이드브라켓(400)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321)가 아이들링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확장 발판(300)에는 지지브라켓(31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지지브라켓(310)에는 지지브라켓(310)을 보조작업대(200)에서 회동되게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핀(311)이 구비된다.
그리고, 확장 발판(300)을 관통한 힌지핀(311)에는 토션스프링(312)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312)의 양단부는 확장 발판(300)과 보조작업대(200)에 각각 지지되게 구비됨으로써 확장 발판(300)은 토션스프링(312)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작업대(200)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토션스프링(312)의 탄성력은 확장 발판(300)의 자중보다 작은 힘을 갖도록 구비되어, 확장 발판(300)이 보조작업대(200)에서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확장 발판(300)을 역 회동 즉 원위치로 복귀시키지는 못한다.
또한, 확장 발판(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310)의 일단부는 단차진 지지부(310a)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310a)는 확장 발판(300)의 회동시 보조작업대(200)의 선단부 하면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펼쳐진 확장 발판(300)이 보조작업대(200)와 동일 평면으로 구비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확장 발판(300)의 양측면에는 마운팅브라켓(32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320)의 하단부는 확장 발판(30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마운팅브라켓(320)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가이드롤러(321)가 아이들링 상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롤러(3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가이드브라켓(400)의 협지부(410)에 삽입되어 협지부(410)에서 출입되게 구비된다.
한편, 가이드브라켓(400)은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서 보조작업대(20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출입될 시 확장 발판(300)의 가이드롤러(321)를 안내하여 확장 발판(300)이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 부재이다.
이러한 가이드브라켓(4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선단부(401)와, 선단부(40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에 수직하게 세워진 후단부(402)와, 선단부(401)와 후단부(402) 사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확장 발판(300)의 가이드롤러(321)가 출입되는 협지부(410)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브라켓(400)의 후단부(402)는 선단부(401)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선단부(401) 위로 돌출된 후단부(402)의 상부는 선단부(401) 측으로 완만하게 굽어져 절곡된 절곡부(403)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브라켓(400)의 후단부(402)에 형성된 절곡부(403)에 의해서 확장 발판(300)의 가이드롤러(321)가 원호를 그리도록 가이드되어 협지부(410)에서 출입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서 자동 회동되는 확장 발판(3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평상시엔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 내로 인입되어 구비되고, 이에 확장 발판(300)은 보조작업대(200)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접힌 상태로 작업하다가 필요시에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서 보조작업대(200)를 인출시키게 된다.
이는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에 고정된 구동모터(120)가 작동됨에 따라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의 프레임(110)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출되고, 보조작업대(200)의 인출과 동시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확장 발판(300)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보조작업대(200)의 인출력이 확장 발판(30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장 발판(30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321)는 가이드브라켓(400)의 협지부(410)를 따라 자동으로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확장 발판(300)의 가이드롤러(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지부(4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협지부(410) 상부의 절곡부(403)에 의해 원호를 그리며 협지부(410)에서 빠져나와 인출되고, 가이드롤러(321)가 협지부(4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 확장 발판(300)에 구비된 지지브라켓(310)의 지지부(310a)가 보조작업대(200)의 하면에 접하여 확장 발판(300)이 보조작업대(200)와 자동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구비된다.
이때, 토션스프링(312)은 확장 발판(300)과 보조작업대(200) 사이에서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되나, 토션스프링(312)의 탄성력(복원력)은 펼쳐진 확장 발판(300)의 자중보다 작은 힘을 가짐으로써 펼쳐진 확장 발판(300)을 역 회동시키지는 못하므로 확장 발판(300)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확장 발판(30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난간(230)을 지주(233)의 상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전시켜 지주(233)와 직교되게 구비한다.
따라서, 안전난간(230)이 지주(233)의 외측으로 접혀 펼쳐짐으로써 작업자가 확장 발판(300)을 밟고 설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펼쳐진 안전난간(230)은 확장 발판(300)의 영역 이내에 구비됨으로써 확장 발판(300) 위에 선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120)가 역 작동되면, 메인작업대(10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던 보조작업대(200)가 메인작업대(100)의 하면으로 인입되고, 보조작업대(200)의 이동과 동시에 확장 발판(300) 역시도 메인작업대(100)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확장 발판(300)의 가이드롤러(321)가 가이드브라켓(400)의 후단부(402) 상부의 절곡부(403)에 걸림되어 협지부(410) 내로 삽입되면서 보조작업대(200)에 수평하게 펼쳐져 있던 확장 발판(300)이 자동적으로 보조작업대(200)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접히게 된다.
이때, 압축되어 있던 토션스프링(312)의 탄성력은 확장 발판(3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으로 부합되어 작용되므로 확장 발판(300)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고, 보조작업대(200) 측으로 신속하게 접히는 확장 발판(300)은 지주(233) 외측면의 댐퍼(235)에 접촉됨으로써 지주(233)와의 충돌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메인작업대 110 : 프레임
120 : 구동모터 121 : 구동스프로킷휠
122 : 종동스프로킷휠 123 : 체인
130,131 : 스톱퍼 200 : 보조작업대
210 : 이동프레임 211 : 이동롤러
220,221 : 고정브라켓 222 : 텐션스프링
230 : 안전난간 231 : 승강바
231a : 힌지핀 232 : 연결바
233 : 지주 233a : 가이드공
233b : 걸림공 234 : 받침판
235 : 댐퍼 300 : 확장 발판
310 : 지지브라켓 310a : 지지부
311 : 힌지핀 312 : 토션스프링
320 : 마운팅브라켓 321 : 가이드롤러
400 : 가이드브라켓 401 : 선단부
402 : 후단부 403 : 절곡부
410 : 협지부

Claims (5)

  1. 메인작업대와, 메인작업대에서 양측으로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와, 보조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조작업대가 메인작업대에서 출입됨에 따라 자동 회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확장 발판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로서,
    메인작업대에는 보조작업대의 출입시 확장 발판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가이드브라켓이 구비되고, 확장 발판에는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농기계용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브라켓에는 확장 발판의 가이드롤러가 원호를 그리며 출입되어 확장 발판을 회동시키는 협지부가 구비되는 농기계용 작업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브라켓에는 협지부 전방에 수직한 선단부와, 협지부 후방에 수직한 후단부가 구비되되, 후단부는 선단부보다 높게 돌출되고, 선단부 위로 돌출된 후단부의 상부는 선단부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가이드롤러가 협지부에서 원호를 그리며 출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농기계용 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작업대에는 지주가 구비되고, 지주에는 안전난간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안전난간은 지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승강바와, 양 승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지주는 그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바를 안내하는 가이드공과, 후면에 형성되어 안전난간의 회동시 승강바가 걸림되는 걸림공을 포함하는 농기계용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주에서 안전난간의 회동시 연결바는 확장 발판의 영역 이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농기계용 작업대.
KR1020190013684A 2019-02-01 2019-02-01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KR10215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684A KR102151402B1 (ko) 2019-02-01 2019-02-01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684A KR102151402B1 (ko) 2019-02-01 2019-02-01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37A KR20190017837A (ko) 2019-02-20
KR102151402B1 true KR102151402B1 (ko) 2020-09-03

Family

ID=6556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684A KR102151402B1 (ko) 2019-02-01 2019-02-01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740A (ko)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세웅 확장기능을 갖는 고소작업장치
KR102516397B1 (ko) * 2019-11-04 2023-04-03 엘앤에스(주)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US11608649B2 (en) * 2020-03-12 2023-03-21 The Boeing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fall protection
KR102183990B1 (ko) 2020-04-06 2020-11-27 한성웰텍 (주) 사방으로 연결이 가능한 고소작업대
KR102146400B1 (ko) 2020-06-08 2020-08-2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장치
KR102390718B1 (ko) 2020-09-01 2022-04-25 장민경 고소 작업차
KR102263228B1 (ko) 2020-11-03 2021-06-10 (주)한성티앤아이 듀얼 컨트롤 시스템을 갖춘 과수용 작업차
KR102338233B1 (ko) * 2020-11-20 2021-12-13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소방차용 탑승함
KR102270911B1 (ko) 2021-02-26 2021-06-3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US20230010425A1 (en) * 2021-07-07 2023-01-12 The Boeing Company Inboard-Mounted Safety Latch Mechanism for Preventing a Walkway Platform Flip Door From Being Raised Without a Guardrail Installed
US20230011346A1 (en) * 2021-07-07 2023-01-12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 Walkway Platform Flip Door From Being Raised Without a Guardrail Installe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30B1 (ko)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667157B1 (ko) 2015-06-30 2016-10-17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782834B1 (ko) 2016-12-15 2017-09-29 주식회사 세웅 발목 보호 기능을 갖는 고소작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6239A (ja) * 1982-09-29 1983-07-11 Nozawa Seisakusho:Kk 自走式作業台車
JPS5974999U (ja) * 1982-11-08 1984-05-21 株式会社野沢製作所 自走式作業台車
KR200450022Y1 (ko) * 2008-01-16 2010-08-31 주식회사 세웅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30B1 (ko)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667157B1 (ko) 2015-06-30 2016-10-17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782834B1 (ko) 2016-12-15 2017-09-29 주식회사 세웅 발목 보호 기능을 갖는 고소작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37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402B1 (ko)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KR101123630B1 (ko)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459637B1 (ko)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의 발판 확장장치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US9169066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200479669Y1 (ko)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KR101635394B1 (ko) 고소작업대용 안전가드장치
KR20200117144A (ko)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KR20090004114U (ko) 고소작업대의 압착사고 방지기
KR101667157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811174B1 (ko) 고소작업대
KR102202449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JP3429655B2 (ja) 作業用足場台
CN110225875A (zh) 电梯装置
KR20220006383A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JP2001130881A (ja) 高所作業台用手摺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KR102270911B1 (ko)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JP3883981B2 (ja) 足場装置
JP6717620B2 (ja) 手摺枠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KR20120000780U (ko) 접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비용 사다리
CN221001892U (zh) 一种低空作业用支护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