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22Y1 -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22Y1
KR200450022Y1 KR2020080000642U KR20080000642U KR200450022Y1 KR 200450022 Y1 KR200450022 Y1 KR 200450022Y1 KR 2020080000642 U KR2020080000642 U KR 2020080000642U KR 20080000642 U KR20080000642 U KR 20080000642U KR 200450022 Y1 KR200450022 Y1 KR 200450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main
auxiliary
answ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314U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2020080000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 상기 메인답판(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메인답판(1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20); 상기 슬라이딩레일(11) 저면의 양측단부에 메인답판(1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연결관(30);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끝단에 상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 양측의 벽체(2a)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농약살포차량의 리프트(lift)나 이에 탑재된 트레일러(trailer)에다 간편하게 탑재 가능한 작업대를 마련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특히 과수작업용 작업대 전용기에 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과수작업용 작업대를 구입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농약살포차량, 작업대, 메인답판, 보조답판, 가동가이드앵글

Description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Apparatus for working panel for speed sprayer vehicle}
본 고안은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의 메인답판에서 양쪽 측방에 대해 선택적으로는 물론 동시에 출몰 가능하게 되는 별도의 보조답판을 구비하여 작업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메인답판에서 가동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조답판이 연장되므로 메인답판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유동이 없어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대를 농약살포차량의 트레일러상에 직접 연결시키거나 또는 트레일러가 없는 농약살포차량의 리프트에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작업용 작업대는 과수원 등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서, 그 용도는 과수의 가지치기, 꽃 속음, 과실수확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과수작업용 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이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 단이 구비된 답판이 설치되어있는 전용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있다.
상기 전용기들은 모두가 승강수단이 구비된 메인답판 내에 이보다 1.5 내지 2배정도로 긴 보조답판이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답판은 정역구동모터와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과수의 형상, 즉 작업여건에 따라 정역구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보조답판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용기는 작업을 위한 과수와 과수 사이로 이동시켜 정지시킨 다음, 메인답판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메인답판에서 보조답판을 메인답판의 양측 중 어느 한쪽으로만 선택적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소정높이로 상승되게 조작한 후 과수의 가지치기, 꽃솎음, 봉지씌우기, 과실수확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용기에 있어서는, 과수작업용 작업대로서의 기능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일백 만원에서 수 백 만원에 상당하는 것이어서 과수농가가 구입하기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구입을 꺼리게 됨은 물론 기존의 각종 작업기에다가 전용기가 추가되기 때문에 더욱 넓은 면적의 보관창고가 요구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는 메인답판에서 보조답판이 항상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과수와 과수 사이를 이동할 때 과수의 가지와 접촉되기 쉽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답판이 과수와 접촉되면 과수의 가지, 꽃 내지 과실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과수사이를 이동할 때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과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수의 가지가 없는 높이, 즉 지면가까이로 메인답판과 보조답판을 최대로 낮추어 이동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농약살포차량의 리프트(lift)나 이에 탑재된 트레일러(trailer)에다 간편하게 탑재 가능한 작업대를 마련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특히 과수작업용 작업대 전용기에 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과수작업용 작업대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한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의 메인답판 내에 양쪽으로 분할된 보조답판을 마련하고 상기 각각의 보조답판을 정역구동모터의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메인답판의 양쪽 측방에 대해 선택적으로는 물론 동시에 보조답판이 출몰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과수의 간격이나 형상, 즉 작업여건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은 물론 작업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답판와 보조답판 사이에 가동가이드를 보조답 판이 출몰에 따라 출몰시킴으로써 메인답판에서 보조답판이 돌출 연장되면 가동가이드 또한 돌출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보조답판이 연장되더라도 메인답판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유동이 없어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는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이 마련된 메인답판; 상기 메인답판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메인답판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 상기 슬라이딩레일 저면의 양측단부에 메인답판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연결관; 상기 지지대연결관의 끝단에 상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연결관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 양측의 벽체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연결관은 슬라이딩레일 양단저면에 메인답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 결합되고 후단에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측방연결관과, 이 측방연결관의 전단에 고정 결합되고 양쪽끝단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전방연결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답판은 구동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연결관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된 중앙연결바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구동스프로킷을 갖는 2개의 정역구동모터; 상기 중앙연결바의 양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종동스프로킷; 및 상기 정역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이 무한궤도타입으로 연결되고 소정부위가 보조답판의 후단부와 고정되어 있는 체인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메인답판의 슬라이딩레일과 보조답판 사이에는 슬라이딩레일에서 보조답판이 돌출되기 시작하여 완전히 돌출되어도 일부분은 보조답판의 측면을 감싼 상태로 보조답판과 함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메인답판의 슬라이딩레일 내에 머물러있어 보조답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는 가동가이드앵글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답판의 양측끝단인 내측면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동가이드앵글의 중앙부에 보조답판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보조답판이 메인답판으로 삽입될 때는 걸림턱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이 같이 삽입되게 하며, 상기 보조답판이 측방으로 돌출될 때는 보조답판의 후단턱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이 같이 돌출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메인답판의 후단에는 직립 고정되는 후방안전난간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답판의 측단에 각각 직립되어 있는 측방안전난간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안전난간은 보조답판과 평탄하게 수평으로 놓일 수 있게 하단이 힌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는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이 마련된 메인답판; 상기 메인답판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메인답판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 상기 메인답판의 슬라이딩레일 저면에 각각의 지지대를 메인답판의 양쪽측면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한글자음의 피읖"ㅍ"형으로 마련되는 지지대연결관; 상기 지지대연결관의 저면에 메인답판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평행하게 장방형의 가로부재가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는 가로부재의 내측엔 승강리프트의 연결봉이 안내되거나 안정되게 걸리는 가이드레일과 록킹편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는 농약살포차량의 리프트(lift)나 이에 탑재된 트레일러(trailer)에다 간편하게 탑재 가능한 작업대를 마련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특히 과수작업용 작업대 전용기에 비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과수작업용 작업대를 구입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대의 메인답판 내에 양쪽으로 분할된 보조답판을 마련하 고 상기 각각의 보조답판을 정역구동모터의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메인답판의 양쪽 측방에 대해 선택적으로는 물론 동시에 보조답판이 출몰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과수의 간격이나 형상, 즉 작업여건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은 물론 작업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메인답판와 보조답판 사이에 가동가이드를 보조답판이 출몰에 따라 출몰시킴으로써 메인답판에서 보조답판이 돌출 연장되면 가동가이드 또한 돌출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보조답판이 연장되더라도 메인답판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유동이 없어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전, 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과, 이 메인답판(10) 저면의 양쪽에 배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안내되어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보조답판(20)과, 상기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양측단부인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대연결관(30)과, 이 지지대연결관(30)의 전, 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의 트레일러(2) 상단부인 양측 벽체(2a)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50)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연결관(30)에는 각각 탈착 가능한 별도의 지지대(40)를 끼워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운 상태로 본 고안의 작업대를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대(40)는 그 상단부가 지지대연결관(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메인답판(10)은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작업용 도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면이 편평한 판재 형상이며, 작업대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고, 전, 후단의 저면에는 보조답판(20)을 양쪽 측방으로 출몰될 때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레일(11)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답판(10)의 후단에는 이 메인답판(10) 상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이나 작업용 도구가 후방으로 이탈되어 메인답판(10) 상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높이의 후방안전난간(12)이 설치되며, 이 후방안전난간(12)은 메인답판(10)의 전체 폭에 걸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답판(20)은 메인답판(10)의 저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메인답판(1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답판(10)에 대하여 양쪽으로 2분할된 한 쌍의 장방형 사각판재 형상이며, 상기 보조답판(20)은 메인답판(10)의 후방안전난간(12)에 마련된 조작스위치에서 제어되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양측에 위치된 지지대연결관(30)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중앙연결바(32)와, 이 중앙연결바(3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동력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2개의 정역구동모터(34)와, 상기 중앙연결바(3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종동스프로킷(36) 및 상기 각 정역구동모터(34)의 구동스프로킷에서 종동스프로킷(36)에 이르기까지 무한궤도타입으로 연결되고 소정부위가 보조답판(20)의 저면에 연결 고정되어 이 보조답판(20)과 함께 일체로 이동되는 체인(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과 보조답판(20) 사이에는 이들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가동가이드앵글(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동가이드앵글(25)은 슬라이딩레일(11)에서 보조답판(20)이 돌출되기 시작하여 완전히 돌출되어도 일부분은 보조답판(20)의 측면을 감싼 상태로 보조답판(20)과 함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내에 머물러있어 보조답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동가이드앵글(25)과 보조답판(20)이 상호 슬라이딩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답판(20)의 양측끝단인 내측면 중앙에 걸림턱(20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동가이드앵글(25)의 중앙부에 보조답판(2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보조답판(20)이 메인답판(10)으로 삽입될 때는 걸림턱(20a)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25)이 같이 삽입되게 하며, 보조답판(20)이 측방으로 돌출될 때는 보조답판(20)의 후단턱(20b)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25)이 같이 돌출되도록 하는 걸림돌기(2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답판(20)들의 각 끝단에는 메인답판(10) 상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 내지 작업용 도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의 측방 안전난간(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측방안전난간(22)은 메인답판(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방안전난간(22)은 축 회전되어 보조답판(20)과 수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보조답판(20)의 끝단에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첨부도면과 같이 2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은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양측단부인 저면에 고정되되, 각각의 지지대(40)를 결합 고정하고 그 중앙부에는 보조답판(20)의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중앙연결바(32)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각관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은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양측단부인 저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후단부에 관통공(30a1)이 형성된 한 쌍의 측방연결관(30a)과, 이 측방연결관(30a)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양측단부에 각각 관통공(30b1)을 갖는 전방연결관(30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방연결관(30b)은 측방연결관(30a)에 비해 양측으로 소정길이 만큼 더 길게 연장되되 상기 관통공(30b1)이 메인답판(10)의 양쪽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대(40)가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이유는 메인답판(10)의 전방으로부터 진입하는 농약살포차량의 진입로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지지대(40)는 그 상단부가 지지대연결관(30)에 간편하게 탈착이 이뤄지도록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기 위한 장방형의 기둥이다. 상기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이유는 농약살포차량에 용이한 탑재를 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지지대(40)의 상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막대 형상의 삽입결합부(41)가 마련되는데 이는 지지대연결관(30)인 측방연결관(30a) 및 전방연결관(30b)의 각 관통공(30a1,30b1)으로 삽입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지지대연결관(30)의 전,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의 양측 벽체(2a)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도록 마련되되, 이는 상기 지지대연결관(30)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 트레일러(2)의 벽체(2a) 양측면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며, 하단부에 별도의 볼트나 핀 등의 체결구(55)를 관통시켜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농약살포차량에 탑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작업대는 지지대연결관(30)의 각 관통공(30a1,30b1)으로 각 지지대(40)의 삽입결합부(41)가 삽입 결합되어있어 지지대(40)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떠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가 작업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진입시키되 상기 트레일러(2)와 메인답판(10)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적으로 일치되면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를 상승시켜 그 상단부의 트레일러(2) 양측인 벽체(2a)가 측방연결관(30a)의 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트레일러(2)가 승강되고 나면, 상기 트레일러(2)의 벽체(2a)와 그 벽체(2a)의 양쪽측면일부를 감싸고 있는 연결부재(50)의 체결공(51)으로 별도의 체결구(도시되지 않음)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작업대가 농약살포차량의 트레일러(2)에 탑재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작업대의 장착이 완료되고 나면,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를 조작하여 메인답판(10)을 좀 더 상승시킨 다음, 지지대연결관(30)인 측방연결관(30a) 및 전방연결관(30b)에서 체결구(55)를 빼내어 제거하고, 측방연결관(30a) 및 전방연결관(30b)의 각 관통공(30a1,30b1)으로부터 지지대(40)의 삽입결합부(41)를 빼내어 각각의 지지대(40)를 제거한 후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소정의 과수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본 고안의 작업대는 과수사이를 이동할 때 메인답판(10)의 측면에서 보조답판(20)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 즉 메인답판(10)과 보조답판(20)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동일한 폭이어서 비교적 과수 사이의 폭이 좁더라도 과수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과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대의 메인답판(10) 상에 과수작업용 도구를 실거나 작업자가 탑승한 후, 소정의 과수작업에 적합한 높이로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를 조작하여 메인답판(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 다음 소정의 과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소정의 과수작업을 수행하다가 메인답판(10)보다 넓은 면적이 필요하면 메인답판(10)이나 그 후단의 후방안전난간(12)에 설치된 보조답판(20)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정역구동모터(34)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정역구동모터(34)가 구동되면 그 구동스프로킷에 종동스프로킷(36)이 체인(38)을 통해 무한궤도타입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체인(38)이 보조답판(20)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인(38)이 움 직인 만큼 보조답판(20)이 돌출되게 된다. 상기 보조답판(20)은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이나 양쪽이 모두 돌출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 다시 말해서 농액살포차량을 이동하지 않고도 과수의 가장자리는 물론 과수의 중앙부분에 이르기 까지 소정의 과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답판(20)에 설치된 측방안전난간(22)을 선택적으로 보조답판(20)과 동일한 수평선상 회전시키면 보다 넓은 보조답판(20)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과, 이 메인답판(10) 저면의 양쪽에 배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안내되어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보조답판(20)은 일실시예의 작업대와 동일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저면에는 각각의 지지대(40)를 메인답판(10)의 양쪽측면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측방연결관(30c)과 전후방연결관(30b)에 의해 한글자음의 피읖"ㅍ"형으로 지지대연결관(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저면에 메인답판(10)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평행하게 장방형의 가로부재(60)가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는 가로부재(60)의 내측엔 승강리프트(4)의 연결봉(4a)이 안내되거나 안정되게 걸리는 가이드레일(61)과 록킹편(62)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또한 농약살포차량에 탑재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먼저, 일실시예의 작업대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의 작업대 또한 지지대연결관(30)의 끝단에 각 지지대(40)의 삽입결합부(41)가 삽입 결합되어 지지대(40)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떠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를 어느 정도 승강시켜 작업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시키되, 상기 승강리프트(4)상단의 연결봉(4a)이 가로부재(60)의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안내되도록 진입시키면 하나의 연결봉(4a)은 록킹편(62)에 걸려 록킹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레일(61) 내에 위치됨으로써 본 고안의 작업대가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에 탑재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작업대의 장착이 완료되고 난 이후의 동작 및 작업과정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는 지지대연결관(30)을 변경하고 가이드레일(61) 및 록킹편(62)을 갖는 가로부재(60)를 부가함으로써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4)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나 상기 승강리프트에 탑재된 트레일러위에다 곧바로 탑재하여 사용하는 작업대이므로 농약살포차량의 승강리프트가 상승되는 높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분야, 예를 들어 과수의 가지치기, 꽃솎음, 과실수확 등의 과수작업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서 지지대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가동가이드앵글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도1의 측면도.
도 5는 도1의 배면도.
도 6은 도1의 저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작업대를 농약살포차량에 탑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트레일러 2a: 벽체
4: 승강리프트 4a: 연결봉
10: 메인답판 11: 슬라이딩레일
12: 후방안전난간 20: 보조답판
20a: 걸림턱 20b: 후단턱
22: 측방안전난간 25: 가동가이드앵글
25: 걸림돌기 30: 지지대연결관
30a: 측방연결관 30a1,30b1: 관통공
30b: 전방연결관 32: 중앙연결바
34: 정역구동모터 36: 종동스프로킷
38: 체인 40: 지지대
41: 삽입결합부 50: 연결부재
51: 체결공 60: 가로부재
61: 가이드레일 62: 록킹편

Claims (6)

  1. 삭제
  2.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 상기 메인답판(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메인답판(1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20); 상기 슬라이딩레일(11) 저면의 양측단부에 메인답판(1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연결관(30);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끝단에 상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 양측의 벽체(2a)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은 슬라이딩레일(11) 양단저면에 메인답판(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 결합되고 후단에 관통공(30a1)이 형성된 한 쌍의 측방연결관(30a)과, 이 측방연결관(30a)의 전단에 고정 결합되고 양쪽끝단에 각각 관통공(30b1)이 형성된 전방연결관(30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3.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 상기 메인답판(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메인답판(1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20); 상기 슬라이딩레일(11) 저면의 양측단부에 메인답판(1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연결관(30);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끝단에 상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 양측의 벽체(2a)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보조답판(20)은 구동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된 중앙연결바(32)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구동스프로킷을 갖는 2개의 정역구동모터(34); 상기 중앙연결바(32)의 양단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종동스프로킷(36); 및 상기 정역구동모터(34)의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36)이 무한궤도타입으로 연결되고 소정부위가 보조답판(20)의 후단부와 고정되어 있는 체인(3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4. 전후단의 저면에 각각 슬라이딩레일(11)이 마련된 메인답판(10); 상기 메인답판(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딩레일(11)을 따라 메인답판(10)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답판(20); 상기 슬라이딩레일(11) 저면의 양측단부에 메인답판(10)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연결관(30);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끝단에 상단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메인답판(10)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연결관(30)의 전후단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농약살포차량에 탑재된 트레일러(2) 양측의 벽체(2a)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과 보조답판(20) 사이에는 슬라이딩레일(11)에서 보조답판(20)이 돌출되기 시작하여 완전히 돌출되어도 일부분은 보조답판(20)의 측면을 감싼 상태로 보조답판(20)과 함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메인답판(10)의 슬라이딩레일(11) 내에 머물러 있어 보조답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는 가동가이드앵글(25)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답판(20) 양측끝단의 내측면 중앙엔 걸림턱(20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동가이드앵글(25)의 중앙부엔 보조답판(20)이 메인답판(10)으로 삽입될 때는 걸림턱(20a)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25)과 함께 삽입되며, 상기 보조답판(20)이 측방으로 돌출될 때는 보조답판(20)의 후단턱(20b)에 걸려 가동가이드앵글(25)과 함께 돌출되도록 보조답판(20)의 내측으로 걸림돌기(2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5. 삭제
  6. 삭제
KR2020080000642U 2008-01-16 2008-01-16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KR200450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42U KR200450022Y1 (ko) 2008-01-16 2008-01-16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42U KR200450022Y1 (ko) 2008-01-16 2008-01-16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14U KR20090007314U (ko) 2009-07-21
KR200450022Y1 true KR200450022Y1 (ko) 2010-08-31

Family

ID=4365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642U KR200450022Y1 (ko) 2008-01-16 2008-01-16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30B1 (ko) *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200204B1 (ko) 2011-07-18 2012-11-09 정성원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
KR101786784B1 (ko) * 2016-06-01 2017-10-18 (주)씨앤씨테크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37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의 발판 확장장치
KR102151402B1 (ko) * 2019-02-01 2020-09-03 장진만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KR102516397B1 (ko) * 2019-11-04 2023-04-03 엘앤에스(주)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KR102267216B1 (ko) * 2019-12-16 2021-06-21 (주) 세웅 엔진식 고소작업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33A (ja) * 1992-10-23 1994-05-17 Nippon Kiden Kk 伸縮自在足場
JPH08199795A (ja) * 1995-01-27 1996-08-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仮設用足場
KR200404072Y1 (ko) * 2005-09-22 2005-12-16 서영춘 인/출입되는 발판이 구비된 작업용 트레일러
KR20090018244A (ko) * 2007-08-17 2009-02-20 최명진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33A (ja) * 1992-10-23 1994-05-17 Nippon Kiden Kk 伸縮自在足場
JPH08199795A (ja) * 1995-01-27 1996-08-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仮設用足場
KR200404072Y1 (ko) * 2005-09-22 2005-12-16 서영춘 인/출입되는 발판이 구비된 작업용 트레일러
KR20090018244A (ko) * 2007-08-17 2009-02-20 최명진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04B1 (ko) 2011-07-18 2012-11-09 정성원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
KR101123630B1 (ko) *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786784B1 (ko) * 2016-06-01 2017-10-18 (주)씨앤씨테크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14U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022Y1 (ko)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KR101250770B1 (ko) 화훼단지용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운반 장치
KR101200204B1 (ko)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
JP2013090614A (ja) 移動栽培装置
CA3064759A1 (en) Vertical farming system with plant displacement assembly and irrigation unit for vertical farming system
ATE385975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gern von sperriger last
CN101229816A (zh) 一种晶圆运输车
KR101635394B1 (ko) 고소작업대용 안전가드장치
US9179609B2 (en) Guide and fastening device for plant support wires
KR20090018244A (ko)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CA2445270A1 (en) Automated storage plant
US5873552A (en) Snowmobile stand
KR101353295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
ES2552531T3 (es) Sistema de cámaras de trabajo para el tratamiento de superficies de piezas de trabajo
EP3069799B1 (en) Cleaning assembly for cleaning the inner walls of a container and combination of a cleaning assembly and a container to be cleaned
DE102009019168B3 (de) Gerät und Verfahren zum Verlegen und/oder Reinigen von Photovoltaikmodulen
CN112273049A (zh) 一种多功能自走式果园采摘设备
KR101786784B1 (ko)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KR102252346B1 (ko) 농업용 다목적 전기차의 작업기 장착장치
KR101799792B1 (ko)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CN109262177A (zh) 井架焊接平台
KR101598487B1 (ko) 과수용 작업차
CN208357001U (zh) 一种集成于破碎机上的检修平台组件及破碎机
ATE324338T1 (de) Regallager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