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792B1 -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Google Patents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9792B1 KR101799792B1 KR1020170073339A KR20170073339A KR101799792B1 KR 101799792 B1 KR101799792 B1 KR 101799792B1 KR 1020170073339 A KR1020170073339 A KR 1020170073339A KR 20170073339 A KR20170073339 A KR 20170073339A KR 101799792 B1 KR101799792 B1 KR 101799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basket
- housing
- sprocket
- li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tomato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하부몸체(12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대(1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100); 및 상기 작업대(16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구니 교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바구니 교대부(200)는,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와 상기 트레이(250)를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선회시키는 선회 장치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리프트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곧게 선 자세에서 열매 수확한 후 바구니로 투입할 수 있고, 수확물이 담긴 바구니를 내리는 작업을 1인이 선 채로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허리를 굽힐 때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설재배용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파프리카나 토마토 같은 농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가 리프트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으며, 수확한 작물을 담은 바구니를 빈 바구니와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키운 작물을 수확할 때, 고랑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재배하는 농작물이 키 작은 식물이면, 고랑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수레 형태의 이송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이송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수레에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수확물이나 각종 도구를 수레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의 일례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9615호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재배하는 농작물이 키 큰 식물일 때는, 한국 특허등록 제10-1327367호의 발명처럼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이송장치를 많이 사용하는데, 보통 고랑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 상부에는 작업자가 올라탈 수 있는 작업대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이송장치에서는, 작업대에 올라탄 작업자가 리프트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높은 위치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확물은 작업자가 작업대 한쪽에 쌓아놓은 바구니를 하나씩 꺼내어 작업대 바닥에 내려놓고 투입하게 된다.
이때 파프리카나 토마토와 같이 연한 수확물은 바구니에 투입할 때 충격에 의해 상하기 쉬우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 조심해서 넣는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그리고 수확물이 가득 찬 바구니는 한쪽 편에 차례로 적층해 놓고, 다음 바구니를 꺼내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는 작업자는 근골격계 질환에 시달리는 일이 많다.
한편, 모든 바구니에 수확물이 다 차면, 상기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이송장치를 하역위치로 이동하여 바구니를 내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때 상부에 적층된 바구니는, 작업자가 일단 리프트 작업대 바닥으로 내린 후 다시 작업대에서 하역장 바닥으로 들어 옮기는, 2단계 절차를 거치거나, 2인이 각 단계를 분업해서 내려야 하므로 노동력 소비가 과도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확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바구니의 하차 시에도 작업자 한 사람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위에 설치되어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와 상기 작업대의 위에 설치되는 바구니 교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구니 교대부는,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선회시키는 선회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 장치부는, 체인과 다수의 스프로킷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이동장치;와 상기 트레이 이동장치를 감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체인은 돌출부가 형성된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트레이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선회 장치부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선회 장치부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전방 스프로킷과 후방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방 스프로킷은 작업대의 작업자 위치로 전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회 장치부에는 하우징 상부와 하부를 길게 잇는 트레이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가이드를 따라 안내되는 유동 방지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에는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에 바구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과 냉각제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를 이용하면, 리프트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곧게 선 자세에서 열매 수확한 후 바구니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수확물이 담긴 바구니를 내리는 작업도 1인의 작업자가 선 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작업속도의 향상 및 노동력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둘레를 따라 트레이가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고, 작업자 방향 쪽 궤도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므로, 작업자 손 위치에 맞추어 바구니 상부 공간이 열려 있도록 트레이의 정지위치를 세팅할 수 있으므로, 수확물의 바구니 투입이 쉬워 지고, 수확물을 투입할 때 충격으로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확물이 가득 찬 바구니를 빈 바구니로 교대하는 일은 트레이가 궤도를 따라 선회하는 바구니 교대부를 조작하여 기계적으로 실시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이 필요 없어 노동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트레이는 하부에 냉각제를 수용하여, 상부에 바구니에 담긴 수확물이 작업 중에도 계속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에 이탈 방지턱을 설치하여, 트레이가 흔들려도 얹혀 있는 바구니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작동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좌측 하우징과 트레이의 작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좌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우측 하우징과 트레이의 작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우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한 수확작업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한 바구니 하역작업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작동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좌측 하우징과 트레이의 작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좌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우측 하우징과 트레이의 작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의 우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한 수확작업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한 바구니 하역작업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앞', '뒤', '전', '후'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3개의 큰 구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하부몸체(120)와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부에 설치한 리프트부(100), 그리고 리프트부(100)의 상부에 설치하는 바구니 교대부(200)가 그것이다.
우선 하부몸체(120)는 견고한 케이싱 속에 각종 동력 발생장치를 수납한 것이다. 상기 동력 발생장치들은 하부몸체 하단에 설치된 바퀴(121)를 구동하거나 리프트부의 신축 작용을 일으키는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전동기나 유압모터 같은 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의 실시례에서는 바퀴(121)가 레일(110) 위를 주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바퀴(121)를 무한궤도나 고무타이어 등으로 구성하여 레일이 없는 노지에서도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리프트부(100)는 상기 하부몸체(120) 위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30), 하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30)에 결합되면서 X자형 링크를 형성하는 여러 쌍의 리프트 바(140), 그리고 상기 리프트 바(1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30) 및 이 상부프레임 위에 고정되는 작업대(1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여러 쌍의 리프트 바(140)가 형성하고 있는 X자형 링크의 링크축(141)에 실린더 로드로 연결되어 있어서, 리프트 바(140)들을 접거나 펴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150)도 설치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31)은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 직사각형 프레임의 한쪽 편에는 리프트 바(1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다른 쪽 편에는 다른 리프트 바(140)의 일단이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부(100)의 여타 세부 구성과 작용은 모두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구니 교대부(200)는 작업대(16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바구니 교대부(200)는, 하우징 둘레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와 상기 트레이(250)를 하우징 둘레에 형성되는 궤도를 따라 선회시키는 선회 장치부(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선회 장치부(210)는 체인(230)과 다수의 스프로킷(211, 212, 213)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이동장치와 상기 트레이 이동장치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를 보면, 트레이 이동장치의 스프로킷은 선회 장치부(210) 위쪽에 있는 상부 스프로킷(211)과 선회 장치부(210) 아래쪽에 있는 전방 스프로킷(212)과 후방 스프로킷(213)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스프로킷이 직삼각형의 꼭짓점 위치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상부 스프로킷(211)과 전방 스프로킷(212) 및 후방 스프로킷(213)은 하나의 체인(230)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후방 스프로킷(21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대(160)의 작업자 위치로 전진 배치하여, 상부 스프로킷(211)과 후방 스프로킷(213)을 잇는 체인이 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체인(230)은 직삼각형의 이동 궤도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체인(230)에 결합된 트레이(250) 역시 직삼각형의 순환 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단, 이러한 직삼각형 궤도 구성은 필요적 조건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나, 작업 환경 등에 맞추어 변형할 수 있다. 즉, 후방 스프로킷(213)의 위치를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수직으로 위쪽으로 옮겨서, 직삼각형이 아닌 부등변삼각형 궤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스프로킷(211)과 전방 스프로킷(212) 및 후방 스프로킷(21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은 한 쌍으로 설치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룬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6의 도시를 살펴보면, 상부 스프로킷(211), 전방 스프로킷(212), 후방 스프로킷(213) 및 체인(230)은 각각 상부하우징(220, 225), 전방 하우징(228), 후방 하우징(229) 및 체인 하우징(227)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220, 225)과 전방 하우징(228) 및 후방 하우징(229)은 체인 하우징(227)에 의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하우징이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220, 225)과 전방 하우징(228) 및 후방 하우징(229)은 각각 한 쌍이 설치되므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하우징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고하며, 안쪽으로 도시된 하우징이 도 4에 도시된 좌측 하우징이고, 바깥쪽으로 도시된 하우징이 도 6에 도시된 우측 하우징이다. 그리고 한 쌍의 상부 하우징을 좌측 상부하우징(220)과 우측 상부하우징(225)으로 구분해 놓았다.
도 6에 도시된 우측 상부하우징(225)에는 구동축(214)가 설치되며, 이 구동축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좌측 상부하우징(220)의 축구멍(215)에 결합된다. 이 구동축은 상부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부 스프로킷(211)의 중심축이 된다.
상기 구동축(214)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는 상부하우징의 좌측이나 우측에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의 설치 구성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은 내측이 빈 공간으로 된 직삼각형 형상을 가지는데, 필요에 따라 직삼각형의 넓은 판재 한 쌍으로 상기 공간부가 생기지 않도록 하우징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체인(230)은 통상의 링크 플레이트들을 연결하여 형성하되, 소정간격마다 링크플레이트에 돌출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31)는 링크 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좁고 길게 연장되어 나온 판재 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돌출부(231)가 형성된 링크 플레이트에는 트레이(250)를 결합한다. 트레이(250)와 돌출부(231)는 트레이 프레임(252)과 돌출부(231)의 끝 부분을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축(232)으로 연결하여, 이 힌지축(232)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의 외곽 테두리 면에는 외부로 개방된 홈(222)이 형성된다. 이 홈(222)을 통해 체인의 돌출부(231)가 밖으로 노출된 채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선회한다.
그리고 한 쌍의 하우징이 마주보고 있는 내측면으로는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길게 잇는 트레이가이드(221, 226)가 설치된다.
트레이 가이드는 좁고 긴 홈통 형상을 가지는데, 후술하는 트레이(250)의 유동 방지핀(253, 254)이 삽입되어 홈통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며(도 2, 도 3, 도 5 참조),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트레이가이드를 전방 트레이가이드(226)과 후방 트레이가이드(221)로 나누어 설치하였다. 전방 트레이가이드(226)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 하우징 내면에 설치하고, 후방 트레이가이드(22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하우징 내면에 설치하였다. 상기 후방 트레이가이드(221)는 작업자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한다.
각 트레이가이드의 입구와 출구 부분은 홈이 나팔모양으로 벌어지게 하여 유동 방지핀 유도부(221-1, 221-2, 226-1, 226-2)를 형성한다. 유동 방지핀 유도부는 유동 방지핀(253, 254)이 쉽게 홈통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250)의 일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250)는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251)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면에 손잡이 형태로 형성한 트레이프레임(252)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프레임(252)의 중앙부위에는 축구멍(257)을 형성하며, 이 축구멍(257)은 앞서 설명한 힌지축(232)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받침대(251)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공간부(255)를 형성한 이중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255)에 냉각제(아이스 팩)를 삽입해 둠으로써, 수확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받침대 위의 바구니에 담긴 수확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255)의 냉각제 냉기를 수확물로 잘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5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끄트머리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 방지핀(253, 254) 한 쌍을 형성한다.
유동 방지핀(253, 254)은 트레이가 선회 운동할 때. 트레이가이드의 좁고 긴 홈통에 삽입되어 이동하므로, 트레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51)의 전후방 단부 상면에는 바구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256)이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이탈 방지턱(256)은 수확물이 담긴 바구니를 끌어낼 때는 방해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튀어나오는 푸시버튼 스위치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안전 펜스(170)는 작업자가 작업대(160) 위에서 작업할 때 실족 등의 사고를 막는 장치이다. 작업자가 작업대(160)로 오르내리기 좋도록, 안전 펜스(170)의 일부를 미닫이나 여닫이 식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작업대(160)의 일측에 설치하는 고정 제어기(310)나 작업자는 들고 움직일 수 있는 이동 제어기(311)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하부몸체(120)의 주행, 리프트부(100)의 신축, 바구니 교대부(200)의 선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 시작 전에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00)을 조작하여 리프트부(10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낮춘다, 도 9에 도시된 정도로 리프트부(100)가 낮아지면, 바구니 교대부(200)의 트레이(250)에 빈 바구니(400)를 올리고, 이어서 선회장치부(210)를 가동하여 1 단위씩 트레이(250)가 선회토록 한 후 빈바구니를 트레이에 올려놓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때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트레이를 1 단위씩 선회시키는 용도의 제어 버튼을 하부몸체에 소정 부위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빈 바구니의 적재가 모두 완료되면, 작업자는 작업대 위에 올라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본 발명의 리프트 작업차를 작업 위치로 이동 시킨다.
작업위치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제어부(300)로 리프트부(100)를 작동시켜 작업 높이까지 작업대(160)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바구니 교대부(200)의 트레이(250)에 올려있는 바구니(400)가 작업자가 선 채로 손을 뻗어 편하게 닿는 위치에 오도록 선회 장치부(210)를 작동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서있는 상태에서 주변의 재배작물에서 수확물을 채취하여,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선 채로 바로 바구니에 투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체인이 트레이가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게 되고, 이 궤도는 작업자 방향에서 바구니 상부 공간이 열리면서 작업자에게 바구니가 근접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수확물의 바구니 투입이 용이해 지고, 바구니까지 투입 거리가 짧아 투입되는 수확물에 큰 충격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레이(250)이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할 때, 작업자 쪽에 있는 트레이들은 유동 방지핀(254)이 후방 트레이가이드(221)의 홈통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고, 작업자 반대쪽에 있는 트레이들은 유동 방지핀(253)이 전방 트레이가이드(226)의 홈통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250)가 이동할 때, 힌지축(232)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바구니에 수확물이 가득 차면, 다시 선회 장치부(210)를 작동시켜 트레이를 1 단위 선회시킴으로써, 작업자 앞에 빈 바구니가 대기하는 상태로 만든다.
상기 작업을 반복하여, 바구니 교대부(200)의 트레이(250)에 거치된 모든 바구니에 수확물이 가득 차면, 작업자는 리프트부(100)을 하강시키고, 하부몸체의 바퀴를 구동하여 하역위치로 이동한다.
하역 위치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작업대(160)에서 내려와, 제어부(300)을 조작하여 리프트부(10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낮춘다.
이어서 바구니 교대부(200)의 트레이(250)를 선회시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역하고자 하는 바구니가 작업자가 선채로 잡고 들어낼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제어한다.
한 바구니의 하역이 끝나면, 선회 장치부(210)를 가동하여 1 단위씩 트레이가 선회토록 한 후, 다시 수확물이 들어있는 바구니를 끌어내린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면, 작업자가 무리하게 허리를 굽혔다 피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아도 손쉽게 바구니 하역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리프트부 110 : 레일
120 : 하부몸체 121 : 바퀴
130 : 하부프레임 131 : 상부프레임
132 : 안내홈 140 : 리프트 바
141 : 링크축 150 : 유압 실린더
160 : 작업대 170 : 안전 펜스
200 : 바구니 교대부 210 : 선회 장치부
211 : 상부 스프로킷 212 : 전방 스프로켓
213 : 후방 스프로킷 214 : 구동축
215 : 축구멍 221, 226 : 트레이가이드
221-1, 221-2, 226-1, 226-2 : 유동 방지핀 유도부
222 : 홈 220, 225 : 상부 하우징
227 : 체인 하우징 228 : 전방 하우징
229 : 후방 하우징 230 : 체인
231 : 돌출부 232 : 힌지축
240 : 하우징프레임 241 : 지지프레임
250 : 트레이 251 : 받침대
252 : 트레이프레임 253, 254 : 유동 방지핀
257 : 축구멍 255 : 공간부
256 : 이탈 방지턱 300 : 제어부
310 : 고정 제어기 311 : 이동 제어기
400 : 바구니 401 ; 수확물
120 : 하부몸체 121 : 바퀴
130 : 하부프레임 131 : 상부프레임
132 : 안내홈 140 : 리프트 바
141 : 링크축 150 : 유압 실린더
160 : 작업대 170 : 안전 펜스
200 : 바구니 교대부 210 : 선회 장치부
211 : 상부 스프로킷 212 : 전방 스프로켓
213 : 후방 스프로킷 214 : 구동축
215 : 축구멍 221, 226 : 트레이가이드
221-1, 221-2, 226-1, 226-2 : 유동 방지핀 유도부
222 : 홈 220, 225 : 상부 하우징
227 : 체인 하우징 228 : 전방 하우징
229 : 후방 하우징 230 : 체인
231 : 돌출부 232 : 힌지축
240 : 하우징프레임 241 : 지지프레임
250 : 트레이 251 : 받침대
252 : 트레이프레임 253, 254 : 유동 방지핀
257 : 축구멍 255 : 공간부
256 : 이탈 방지턱 300 : 제어부
310 : 고정 제어기 311 : 이동 제어기
400 : 바구니 401 ; 수확물
Claims (6)
- 하부몸체(120);
상기 하부몸체(120) 위에 설치되어, 작업대(1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100);
상기 작업대(160) 위에 설치되는 바구니 교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바구니 교대부(200)는,
체인(230)과 다수의 스프로킷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이동장치와 상기 트레이 이동장치를 감싸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선회 장치부(210);와
하우징 둘레를 따라 선회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250)는,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251)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면에 손잡이 형태로 형성한 트레이프레임(252)으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25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끄트머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유동 방지핀(253, 254)을 형성하며,
상기 선회 장치부(210)에는,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길게 잇는 트레이가이드를 전방 트레이가이드(226)과 후방 트레이가이드(221)로 나누어 설치하되,
상기 전방 트레이가이드(226)은 우측 하우징 내면에 설치하고, 후방 트레이가이드(221)는 좌측 하우징 내면에 작업대(160) 상의 작업자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트레이가이드는 좁고 긴 홈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250)의 유동 방지핀(253, 254)을 삽입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트레이가이드의 입구와 출구 부분은 홈이 나팔모양으로 벌어져 유동 방지핀 유도부(221-1, 221-2, 226-1, 226-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트레이(250)를 결합하는 돌출부(231)가 형성된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선회 장치부(210)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상부 스프로킷(211);과 상기 선회 장치부(210)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전방 스프로킷(212)과 후방 스프로킷(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방 스프로킷(213)은 작업대(160)의 작업자 위치로 전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50)에는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251)에 바구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25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50)에는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251)에 냉각제를 수용하는 공간부(2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339A KR101799792B1 (ko) | 2017-06-12 | 2017-06-12 |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339A KR101799792B1 (ko) | 2017-06-12 | 2017-06-12 |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9792B1 true KR101799792B1 (ko) | 2017-11-21 |
Family
ID=608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3339A KR101799792B1 (ko) | 2017-06-12 | 2017-06-12 |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97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82972A (zh) * | 2019-11-19 | 2020-01-14 | 辽宁科技大学 | 一种履带式桃子采集装置 |
KR20200018099A (ko) | 2018-08-10 | 2020-02-19 | 이원식 |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41560B2 (ja) | 2009-02-23 | 2013-07-17 | 司電機産業株式会社 | 植物栽培装置 |
KR101483391B1 (ko) * | 2014-03-18 | 2015-01-15 | 신용관 |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
-
2017
- 2017-06-12 KR KR1020170073339A patent/KR1017997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41560B2 (ja) | 2009-02-23 | 2013-07-17 | 司電機産業株式会社 | 植物栽培装置 |
KR101483391B1 (ko) * | 2014-03-18 | 2015-01-15 | 신용관 |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8099A (ko) | 2018-08-10 | 2020-02-19 | 이원식 |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KR102218544B1 (ko) * | 2018-08-10 | 2021-02-19 | 이원식 |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CN110682972A (zh) * | 2019-11-19 | 2020-01-14 | 辽宁科技大学 | 一种履带式桃子采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9792B1 (ko) |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
KR200450022Y1 (ko) |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 |
JP2015173611A (ja) | 高設式栽培用作業装置 | |
JP7386409B2 (ja) | 栽培施設 | |
KR102024031B1 (ko) | 작물 수확 장치 | |
JP6970953B2 (ja) | 刈取機の刈落とし装置 | |
JP5034689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062729B1 (ko) | 자동 채소 묶음장치 | |
JP2011115172A (ja) | 野菜収穫機 | |
JP3380866B2 (ja) | 茶畝跨走型茶刈機における刈取茶の荷捌き装置 | |
TWI630154B (zh) | Storage device with conveying structure | |
JPH11243741A (ja) | 根菜作物の収穫機 | |
US1855257A (en) | Portable box car loader | |
KR20200018099A (ko) |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
KR102715610B1 (ko) | 노지 과수 수확 로봇 | |
JPH0220908Y2 (ko) | ||
JP2878662B2 (ja) | 根菜類の収穫機 | |
JP7127774B2 (ja) | 作物収穫機 | |
US748932A (en) | Corn-shocker | |
JP7103594B2 (ja) | 作物収穫機 | |
JP5995502B2 (ja) | 野菜収穫機 | |
KR20240106304A (ko) | 확장형 작업대 | |
JP2000324930A (ja) | 茶畝跨走型茶刈機における刈取茶の荷捌き装置 | |
JP2015029485A (ja) | 移動栽培装置 | |
JP2015112091A (ja) | 作業用搬送台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