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31B1 - 작물 수확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31B1
KR102024031B1 KR1020170144714A KR20170144714A KR102024031B1 KR 102024031 B1 KR102024031 B1 KR 102024031B1 KR 1020170144714 A KR1020170144714 A KR 1020170144714A KR 20170144714 A KR20170144714 A KR 20170144714A KR 102024031 B1 KR102024031 B1 KR 102024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fer
rail
front frame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59A (ko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는, 상부에 작업자가 착석하는 작업 의자가 장착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기는 수확용 포대가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긴 수확용 포대가 탑재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부에 조작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물 수확 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CROP}
본 발명은 작물 수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밭의 이랑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는 전체 채소 재배 면적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식재료에 빠질 수 없는 작물이나, 수확작업이 한여름인 7~9월에 5~6회 다수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크다.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는 수확 작업 편이 장치는 인력으로 이동하며 수확하기 때문에 노동강도가 크다.
따라서 고추와 같이 노지 채소 수확 작업 편이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2014년 12월 4일에 출원된 KR 20-2014-0006101에는 '다목적 고추 수확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고추 및 노지채소 등 높이가 낮은 작물 수확 시 작업자가 탑승하여 밭의 이랑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작물 수확 시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수확용 포대를 후방 프레임에 탑재하도록 설계되어 계속적인 수확이 가능하고, 수확한 작물을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조작 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고, 주행 속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각도 조절 가능한 차광 부재가 장착되어 작업자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채소 또는 작물의 높낮이에 따라서 작업 의자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는, 상부에 작업자가 착석하는 작업 의자가 장착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기는 수확용 포대가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긴 수확용 포대가 탑재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부에 조작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 상기 수확용 포대를 이송하도록 마련된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부는 이송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 부분; 상기 제1 레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평행하게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레일 부분; 상기 제2 레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에 연결된 제3 레일 부분; 및 상면에 상기 수확용 포대가 놓여지도록 마련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휠이 구비되는 받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분은 상기 제1 레일 부분, 상기 제2 레일 부분 및 상기 제3 레일 부분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이송 레일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타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에 의해서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확용 포대의 이송 시에 작물 수확 장치의 전체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부는 이송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캔틸레버의 일단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일 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이송 캔틸레버의 타단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수확용 포대의 이송 위치에 따라서 상기 중앙 프레임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륜이 장착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는 후륜이 장착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후륜을 구동시키고, 상기 중앙 프레임 내에는 상기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부에 핸들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수확용 포대는 상기 핸들 부재에 매달리며, 상기 중앙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상기 작업 의자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한 차광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에 의하면, 고추 및 노지채소 등 높이가 낮은 작물 수확 시 작업자가 탑승하여 밭의 이랑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에 의하면, 작물 수확 시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수확용 포대를 후방 프레임에 탑재하도록 설계되어 계속적인 수확이 가능하고, 수확한 작물을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에 의하면, 조작 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고, 주행 속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에 의하면, 각도 조절 가능한 차광 부재가 장착되어 작업자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에 의하면, 채소 또는 작물의 높낮이에 따라서 작업 의자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핸들 부재에 수확용 포대가 매달린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후방 프레임에 수확용 포대가 탑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이송부가 이송 캔틸레버로 마련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핸들 부재에 수확용 포대가 매달린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후방 프레임에 수확용 포대가 탑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이송부가 이송 캔틸레버로 마련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10)는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후방 프레임(300) 및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100)은 작물 수확 장치(10)의 중앙에 배치된 프레임으로서, 상부에 작업자가 착석하는 작업 의자(1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작업 의자(110)는 중앙 프레임(100)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물의 높낮이에 따라서 작업 의자(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100)에는 구동 모터(120) 및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20)는 예를 들어, 중앙 프레임(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400)가 중앙 프레임(100)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경우, 구동 모터(120)는 중앙 프레임(100)의 일 측에 반대되는 타 측에서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터(120)의 배치는 이송 레일(400)을 통해서 수확용 포대가 전방 프레임(200)으로부터 후방 프레임(300)으로 이송 시에 작물 수확 장치(1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20)는 이송부(400)에서 수확용 포대(도 4 또는 5의 A)의 이송 위치에 따라서 중앙 프레임(100)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된 구동 모터(120)는 후륜(310)에 체인(미도시)에 의해서 연결되어, 후륜(31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중앙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구동 모터(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전방 프레임(2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기는 수확용 포대(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프레임(200)의 상면 면적은 수확용 포대(A)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전륜(210)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전륜(210)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20)가 후륜(310)에만 연결되므로, 전륜(210)은 후륜(310)의 구동에 따라서 수동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200)의 상부에는 핸들 부재(220) 및 조작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부재(220)는 작물 수확 장치(10)의 이동 시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확용 포대(A)가 핸들 부재(220)에 매달려서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을 수확용 포대(A)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230)는 작물 수확 장치(10)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이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부재(230)는 구동 모터(120)와 연동되어, 구동 모터(120)의 작동, 예를 들어 구동 모터(12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작물 수확 장치(10)의 주행 방향 또는 주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후방 프레임(300)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300)은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긴 수확용 포대(A)가 탑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프레임(200)의 상면에 배치된 수확용 포대(A)가 작물로 채워진 후에, 후방 프레임(300)에 옮겨져서, 후방 프레임(300)의 상면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후방 프레임(300)에는 복수 개의 수확용 포대(A)가 탑재될 수 있도록, 전방 프레임(200)의 상면 면적보다 후방 프레임(300)의 상면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후륜(3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전륜(210)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후륜(310)이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후륜(310)은 구동 모터(120)와 체인에 의해서 연결되어, 구동 모터(120)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후륜(310)의 구동에 의해서 작물 수확 장치(10)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중앙 프레임(1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사이에는 차광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320)는 작업 의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작업자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차광 부재(320)는 틸팅 구조로 중앙 프레임(1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사이에 연결되어 빛의 방향에 따라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320)는 수동으로 또는 조작 부재(230)에 의해서 자동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된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는 이송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 장치(10)에서 이송부(400)는 이송 레일(410)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레일(410)은 전방 프레임(200)으로부터 후방 프레임(300)으로 수확용 포대(A)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송 레일(410)은 2열로 마련될 수 있고, 'ㄷ'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레일(410)은 제1 레일 부분(412), 제2 레일 부분(414), 제3 레일 부분(416) 및 받침 부분(4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부분(412)은 전방 프레임(200)의 일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 부분(414)은 제1 레일 부분(412)에 연결되어, 중앙 프레임(100)과 평행하게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3 레일 부분(416)은 제2 레일 부분(414)에 연결되어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 부분(418)의 상면은 수확용 포대(A)가 놓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레일 부분(412), 제2 레일 부분(414) 및 제3 레일 부분(416)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받침 부분(418)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휠(418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휠(4182) 중 일부는 2열의 이송 레일(410) 중 내측 이송 레일에 접해서 이동하고, 복수 개의 휠(4182) 중 나머지 일부는 2열의 이송 레일(410) 중 외측 이송 레일에 접해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휠(4182)이 4개로 마련된 경우, 세 개의 휠(4182)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고, 2열의 이송 레일(410) 중 외측 이송 레일에 접해서 이동할 수 있고, 나머지 한 개의 휠(4182)은 상기 세 개의 휠(4182)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고, 2열의 이송 레일(410) 중 내측 이송 레일에 접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레일(410)의 형태는 전술된 것이 국한되지 아니하며, 수확용 포대(A)를 전방 프레임(200)으로부터 후방 프레임(3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송 레일(410) 상에서 수확용 포대(A)가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이송되거나, 이송 레일(410) 상에서 수확용 포대(A)가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레일(410)은 구동 모터(120)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아서 작동되는 무한 궤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조작 부재(230)에 의해서 이송 레일(410)의 작동이 개시되는 경우에 이송 레일(410) 상에서 수확용 포대(A)가 후방 프레임(300)을 향해서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레일(410)은 전술된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 수확 장치(10)이 좁은 밭 이랑을 주행하는 경우 또는 수확용 포대(A)를 후방 프레임(300) 상에 탑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이송 레일(410)을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송 레일(410), 특히 제1 레일 부분(412) 및 제3 레일 부분(416)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 수확 장치(10)이 좁은 밭 이랑을 주행하는 경우, 제1 레일 부분(412) 및 제3 레일 부분(416)이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이송 레일(410)이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에 가까이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반면, 작물 수확 장치(10)이 상대적으로 넓은 밭 이랑을 주행하는 경우, 제1 레일 부분(412) 및 제3 레일 부분(414)이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이송 레일(410)이 중앙 프레임(100), 전방 프레임(200) 및 후방 프레임(300)에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중앙 프레임(100) 또는 전방 프레임(200)은 이송 레일(410)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130, 140,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제1 지지 부재(130) 및 제2 지지 부재(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130)는 예를 들어 중앙 프레임(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2 레일 부분(414)의 외측 하단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 부재(140)는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130)보다 상부에 연결되어, 제2 레일 부분(414) 내측 하단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 부재(130) 및 제2 지지 부재(14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지지 부재(130)가 제2 레일 부분(414) 내측 하단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지지 부재(140)가 제2 레일 부분(414)의 외측 하단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전방 프레임(200)의 일 측에는 제3 지지 부재(2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부재(240)는 전륜(210)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레일 부분(412) 내측 하단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 지지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 지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130, 140, 240)에 의해서 이송 레일(410)을 따라 수확용 포대(A)가 이송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130, 140, 240)의 구성은 전술된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이송 레일(4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 것 가능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 프레임(100) 또는 전방 프레임(200)에서 구동 모터(120)가 노출된 측과 동일한 중앙 프레임(100)의 타 측에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에 의해서 이송 레일을 따라서 수확용 포대(A)의 이송 시에 작물 수확 장치(10)의 전체 균형이 유지될 수 있고, 수확용 포대(A)가 전방 프레임(200)으로부터 후방 프레임(300)으로 이송 시에 이송 레일(410)이 위치된 일 측으로부터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이송부(400)는 이송 캔틸레버(420)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캔틸레버(420)의 일단은 중앙 프레임(100)의 일 측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이송 캔틸레버(420)의 타단은 전방 프레임(200)의 일 측 및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캔틸레버(420)의 타단이 전방 프레임(200)의 일 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받침 부재(422) 상에 수확용 포대(A)가 놓여지고, 이송 캔틸레버(4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해서, 이송 캔틸레버(420)의 타단이 후방 프레임(300)의 일 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받침 부재(422) 상의 수확용 포대(A)가 후방 프레임(300) 상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400)가 이송 캔틸레버(420)로 마련된 경우에도,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를 통해서 수확용 포대(A)가 전방 프레임(200)으로부터 후방 프레임(300)으로 이송 시에 이송 레일(410)이 위치된 일 측으로부터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작물 수확 장치
100: 중앙 프레임
110: 작업 의자
120: 구동 모터
130: 제1 지지 부재
200: 전방 프레임
210: 전륜
220: 핸들 부재
230: 조작 부재
240: 제2 지지 부재
300: 후방 프레임
310: 후륜
320: 차광 부재
400: 이송부
410: 이송 레일
412: 제1 레일 부분
414: 제2 레일 부분
416: 제3 레일 부분
418: 받침 부분
420: 이송 캔틸레버
422: 받침 부분

Claims (9)

  1. 상부에 작업자가 착석하는 작업 의자가 장착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기는 수확용 포대가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수확한 작물이 담긴 수확용 포대가 탑재되는 후방 프레임;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 상기 수확용 포대를 이송하도록 마련된 이송부;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에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가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일 측에 반대되는 타 측에서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부에 조작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이송부는 이송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레일 부분;
    상기 제1 레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과 평행하게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을 향하여 연장된 제2 레일 부분;
    상기 제2 레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에 연결된 제3 레일 부분; 및
    상면에 상기 수확용 포대가 놓여지도록 마련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휠이 구비되는 받침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중앙 프레임,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의 일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부분 및 제3 레일 부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받침 부분은 상기 제1 레일 부분, 상기 제2 레일 부분 및 상기 제3 레일 부분을 따라서 이동되는, 작물 수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이송 레일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작물 수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또는 상기 전방 프레임의 타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런싱 부재에 의해서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서 상기 수확용 포대의 이송 시에 작물 수확 장치의 전체 균형이 유지되는 작물 수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이송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캔틸레버의 일단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일 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이송 캔틸레버의 타단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 사이에서 회전되는 작물 수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수확용 포대의 이송 위치에 따라서 상기 중앙 프레임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작물 수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륜이 장착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의 하부에는 후륜이 장착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후륜을 구동시키고,
    상기 중앙 프레임 내에는 상기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배치되는 작물 수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부에 핸들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수확용 포대는 상기 핸들 부재에 매달리며,
    상기 중앙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사이에 상기 작업 의자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한 차광 부재가 배치되는 작물 수확 장치.
KR1020170144714A 2017-11-01 2017-11-01 작물 수확 장치 KR102024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14A KR102024031B1 (ko) 2017-11-01 2017-11-01 작물 수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14A KR102024031B1 (ko) 2017-11-01 2017-11-01 작물 수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9A KR20190049159A (ko) 2019-05-09
KR102024031B1 true KR102024031B1 (ko) 2019-09-27

Family

ID=6654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14A KR102024031B1 (ko) 2017-11-01 2017-11-01 작물 수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7079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저상형 전동식 밭 작업용 보조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625A (ja) * 2001-07-04 2003-01-14 Seirei Ind Co Ltd 野菜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537A (ja) * 1997-04-10 1998-10-20 Japan Tobacco Inc 電動葉編み機を持つ葉たばこ収穫装置及び収穫方法
KR20140006101U (ko) * 2014-11-05 2014-12-04 이상걸 다목적 고추 수확기
KR20160136194A (ko) * 2015-05-19 2016-11-29 박중수 농작물 수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625A (ja) * 2001-07-04 2003-01-14 Seirei Ind Co Ltd 野菜収穫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7079A (ko) 2022-11-24 2024-05-31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저상형 전동식 밭 작업용 보조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9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031B1 (ko) 작물 수확 장치
KR20150113329A (ko) 구근류 수확기
JP5588204B2 (ja) 軟弱野菜収穫機
JP2005176784A (ja) ねぎ搬送装置
JP7226109B2 (ja) 野菜収穫機
JP2014150753A (ja) 馬鈴薯収集作業機
JP7239925B2 (ja) 非結球性葉菜類の刈取装置
JP2006296332A (ja) 野菜収穫機
JP2652747B2 (ja) 加工用トマト収穫作業機
KR101799792B1 (ko)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JP2012029601A (ja) 根菜類収穫機
JP2003079217A (ja) 農産物収穫機の収穫物収納袋載置装置
JP2878662B2 (ja) 根菜類の収穫機
JP6681686B2 (ja) 根菜収穫機
JPS6228819Y2 (ko)
JP3039588B2 (ja) 差動伝動装置
KR102488017B1 (ko) 구근류 농작물 수거 장치
JP2796586B2 (ja) 農産物選別装置
JP3774085B2 (ja) 収穫機
JP2970977B2 (ja) 農産物収穫機
JP3390258B2 (ja) 農産物収穫機
JP2003289707A (ja) 農作業機
JPH07143816A (ja) 結球野菜収穫機
JPH0837860A (ja) 農産物収穫機
JP2004254582A (ja) 農作物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