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29B1 - 자동 채소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채소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29B1
KR102062729B1 KR1020170183554A KR20170183554A KR102062729B1 KR 102062729 B1 KR102062729 B1 KR 102062729B1 KR 1020170183554 A KR1020170183554 A KR 1020170183554A KR 20170183554 A KR20170183554 A KR 20170183554A KR 102062729 B1 KR102062729 B1 KR 10206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vegetable
chain
mounting body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193A (ko
Inventor
박용재
신명준
신동수
전승원
박동근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 형상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체인 및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 이동수단과; 상기 체인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채소다발이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체인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거치대에 거치된 채소다발을 묶음테이프로 묶음 처리하는 묶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업자가 채소다발을 파지하여 투입/묶음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기존에 비해 투입/거치/이동/묶음/배출 공정을 갖는 무한궤도방식으로 작업자의 채소다발 투입만으로 묶음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채소 묶음장치{Automatic vegetable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채소다발을 파지하여 투입/묶음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기존에 비해 투입/거치/이동/묶음/배출 공정을 갖는 무한궤도방식으로 작업자의 채소다발 투입만으로 묶음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생산된 파, 부추, 열무, 우엉, 미나리 등의 채소를 유통/보관/판매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수량을 묶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농가에서는 수작업에 의존하여 일일이 다발로 묶는 비효율적인 방법을 통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인건비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는 엄청난 인력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묶음 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그 외관 또한 좋지 못하여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가 제안한 바, 아암에 내부 양측에 텐션롤러가 장착된 클럽헤드와; 체인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U"형상의 이송호퍼와; 밀대, 커터, 발열체가 조립된 접합 및 절단헤드와; 상기 절단헤드를 전/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수평작동장치와; 텐션조절부와, 이송호퍼의 장력지지 가이드 등으로 구성되었지만, 밀착력 부족, 제품의 이탈 및 파손의 우려, 유지 보수 불편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3을 통해 채소다발을 열가소성수지로 된 결속테이프를 이용하여 감싸서 열 접합함에 따라 자동으로 다발로 묶을 수 있도록 테이프휠을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하여 결속테이프의 공급을 원활히 하며, 테이프고정수단에 의해 피결속물의 다발을 단단하게 형성함과 더불어 잘린 테이프조각을 강제배출시킴에 따라 엉키지 않게 하며, 상기 결속테이프의 열융착부를 냉각수단으로 신속히 냉각시켜 열에 의해 채소다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을 통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묶음 작업만 자동일 뿐, 나머지 투입/회수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성 및 인건비를 확보하는 묶음장치가 요구된다.
KR 10-0853492 B1 KR 10-0726096 B1 KR 10-1188719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대의 상부에 체인, 밸트 등의 라인을 따라 다수의 거치대를 무한궤도방식으로 이동시켜 묶음수단을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의 투입만으로 채소다발의 거치, 묶음수단을 통한 채소다발의 묶음, 다음 거치를 위한 채소다발 배출을 일련에 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한 묶음작업과 더불어 인건비를 절감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형상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체인 및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 이동수단과; 상기 체인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채소다발이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체인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거치대에 거치된 채소다발을 묶음테이프로 묶음 처리하는 묶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상/하 관통 설치된 다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밸트의 연결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 작동시키는 전동모터와; 상기 다수의 스프로킷을 따라 한 바퀴를 감아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상기 체인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를 갖는 채소다발을 수납/거치하는 거치몸체와; 상기 거치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올려지는 채소다발이 적정 중량 이상이면 상기 거치몸체의 내측으로 개폐 유도하는 수납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납뚜껑은 상기 거치몸체의 양쪽 상단에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모서리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각각 뚜껑판과 차단판을 갖는 두 개의 개폐패널과; 상기 뚜껑판 및 거치몸체의 바깥쪽에 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에 양단이 탄성 연결된 두 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패널의 차단판이 상기 거치몸체의 상측 개방부분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부에 채소다발을 올려 상기 스프링의 인장력 이상의 중량일 경우 상기 개폐패널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채소다발이 거치몸체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묶음수단에 대응되는 반대쪽 작업대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묶음수단에 의해 묶음된 채소다발이 상기 거치대로부터 자유낙하로 작업대의 바깥쪽으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의 하단에는 작업자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투입만으로 채소다발의 거치, 묶음수단을 통한 채소다발의 묶음, 다음 거치를 위한 채소다발 배출을 일련에 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한 묶음작업과 더불어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소 묶음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소 묶음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서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소 묶음장치에 적용되는 거치대의 구성 및 작동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소 묶음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채소 묶음장치(100)는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형상의 작업대(1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10)의 상부에는 체인(121) 및 스프로킷(123)을 포함하여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 이동수단(1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인(121)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채소다발이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120)의 체인(121)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거치대(130)에 거치된 채소다발을 묶음테이프로 묶음 처리하는 묶음수단(1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120)은 체인(121), 스프로킷(123) 및 전동모터(12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로킷(123)은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110)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상/하 관통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125)는 상기 작업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밸트의 연결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123)을 회전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체인(121)은 상기 다수의 스프로킷(123)을 따라 한 바퀴를 감아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5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130)는 거치몸체(131)와 수납뚜껑(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몸체(131)는 상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상기 체인(121)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를 갖는 채소다발을 수납/거치하는 상자로 채소다발의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납뚜껑(132)은 상기 거치몸체(131)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올려지는 채소다발이 적정 중량 이상이면 상기 거치몸체(131)의 내측으로 개폐 유도한다.
이때, 상기 수납뚜껑(132)은 개폐패널(133)과 스프링(137)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패널(133) 상기 거치몸체(131)의 양쪽 상단에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모서리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각각 뚜껑판(134)과 차단판(135)을 갖는 것으로 양측에 두 개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137)은 두 개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판(134) 및 거치몸체(131)의 바깥쪽에 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136)에 양단이 탄성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3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패널(133)의 차단판(135)이 상기 거치몸체(131)의 상측 개방부분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135)의 상부에 채소다발을 올려 상기 스프링(137)의 인장력 이상의 중량일 경우 상기 개폐패널(133)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채소다발이 거치몸체(131)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묶음수단(140)에 대응되는 반대쪽 작업대(110)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121)을 따라 상기 묶음수단(140)에 의해 묶음된 채소다발이 상기 거치대(130)로부터 자유낙하로 작업대(110)의 바깥쪽으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거치대(1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부재(11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10)의 하단에는 작업자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1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투입만으로 채소다발의 거치, 묶음수단을 통한 채소다발의 묶음, 다음 거치를 위한 채소다발 배출을 일련에 공정을 자동화하여 신속한 묶음작업과 더불어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자동 채소 묶음장치
110: 작업대
111: 경사부재
113: 캐스터
120: 이동수단
121: 체인
123: 스프로킷
125: 전동모터
130: 거치대
131: 거치몸체
132: 수납뚜껑
133: 개폐패널
134: 뚜껑판
135: 차단판
136: 연결고리
137: 스프링
140: 묶음수단

Claims (6)

  1.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상/하 관통 설치된 다수의 스프로킷(123)과, 상기 작업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구동밸트의 연결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123)을 회전 작동시키는 전동모터(125)와, 상기 다수의 스프로킷(123)을 따라 한 바퀴를 감아 무한궤도방식으로 라인 연결된 체인(121)으로 구성되어 수평 이동하는 이동수단(120)과;
    상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상기 체인(121)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를 갖는 채소다발을 수납/거치하는 거치몸체(131)와, 상기 거치몸체(131)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에 올려지는 채소다발이 적정 중량 이상이면 상기 거치몸체(131)의 내측으로 개폐 유도하는 수납뚜껑(132)으로 구성되어 채소다발이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130)와;
    상기 작업대(110)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120)의 체인(121)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거치대(130)에 거치된 채소다발을 묶음테이프로 묶음 처리하는 묶음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뚜껑(132)은,
    상기 거치몸체(131)의 양쪽 상단에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모서리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각각 뚜껑판(134)과 차단판(135)을 갖는 두 개의 개폐패널(133)과;
    상기 뚜껑판(134) 및 거치몸체(131)의 바깥쪽에 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136)에 양단이 탄성 연결된 두 개의 스프링(137)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13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패널(133)의 차단판(135)이 상기 거치몸체(131)의 상측 개방부분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135)의 상부에 채소다발을 올려 상기 스프링(137)의 인장력 이상의 중량일 경우 상기 개폐패널(133)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채소다발이 거치몸체(131)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묶음수단(140)에 대응되는 반대쪽 작업대(110)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121)을 따라 상기 묶음수단(140)에 의해 묶음된 채소다발이 상기 거치대(130)로부터 자유낙하로 작업대(110)의 바깥쪽으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거치대(1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부재(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10)의 하단에는 작업자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1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소 묶음장치.
KR1020170183554A 2017-12-29 2017-12-29 자동 채소 묶음장치 KR10206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54A KR102062729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 채소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54A KR102062729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 채소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93A KR20190081193A (ko) 2019-07-09
KR102062729B1 true KR102062729B1 (ko) 2020-01-06

Family

ID=6726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554A KR102062729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 채소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67B2 (ja) 1989-12-28 2000-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方法
JP2009096494A (ja) * 2007-10-15 2009-05-07 Suzutec Co Ltd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JP2010179926A (ja) 2009-02-04 2010-08-19 Shoei Kogyo:Kk 結束装置
JP2016141447A (ja) 2015-02-03 2016-08-08 株式会社スズテック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96B1 (ko) 2006-03-22 2007-06-13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KR100853492B1 (ko) 2007-01-04 2008-08-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발 묶음장치
KR101188719B1 (ko) 2010-04-01 2012-10-10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67B2 (ja) 1989-12-28 2000-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方法
JP2009096494A (ja) * 2007-10-15 2009-05-07 Suzutec Co Ltd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JP2010179926A (ja) 2009-02-04 2010-08-19 Shoei Kogyo:Kk 結束装置
JP2016141447A (ja) 2015-02-03 2016-08-08 株式会社スズテック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93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6165B (zh) 一种水果采摘分级装箱机器人
US4041672A (en) Apparatus for bunching broccoli and a method therefor
JP2007099523A (ja) イチゴ搬送体
KR102352306B1 (ko) 박스 사이드 테이핑기
CN102815426B (zh) 瓶包分离机
KR101746914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US201002912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imming and coring romaine lettuce and other harvested products
KR102062729B1 (ko) 자동 채소 묶음장치
US3473310A (en) Harvesting apparatus
WO2018002345A1 (en) A pack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JP5019530B2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US3215288A (en) Tobacco harvester with coacting conveyors and tobacco receiving means having an open side
CN114516441B (zh) 一种用于苹果包网袋的机器
JP6528071B2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CN217673401U (zh) 皮筋捆扎设备
CN103688689A (zh) 一种草料捆扎包装系统
KR20140000469U (ko) 과일 보호봉투 제거장치
KR101799792B1 (ko)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CN212290516U (zh) 一种用于玩具的快速包装装置
US3608292A (en) Collection system for harvesting machines
JPH09207907A (ja) 結束機
CN209992047U (zh) 一种塑料粒子的称重设备
CN217183914U (zh) 一种水果采摘机器人
US20180297727A1 (en) Packaging apparatus
CN107745835A (zh) 一种铜线自动码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