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492B1 - 다발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다발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492B1
KR100853492B1 KR1020070001145A KR20070001145A KR100853492B1 KR 100853492 B1 KR100853492 B1 KR 100853492B1 KR 1020070001145 A KR1020070001145 A KR 1020070001145A KR 20070001145 A KR20070001145 A KR 20070001145A KR 100853492 B1 KR100853492 B1 KR 10085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inding band
binding
fe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348A (ko
Inventor
김용석
양순용
박태표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태표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4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10Carriers travelling completely around the articles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0Means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bundles prior to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개시된 다발 묶음장치는, 슬라이딩레일과 상부지지대 및 작업공, 하부지지대를 가지는 테이블; 테이블의 슬라이딩레일에 체결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송하는 수납호퍼; 테이블 하부에는 결속밴드가 권취된 결속밴드롤; 일단부에 암구동축을 구비하여 상부지지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회동암; 회동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결속밴드가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감싸도록 하는 밴드캐리어부;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밴드캐리어부가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결속밴드로 감싼 상태로 접촉시 상호 접하는 결속밴드를 히팅에 의해 융착 접합되게 하는 결속밴드접합히트; 결속밴드접합히트에 의해 융착 접합된 결속밴드를 절단하는 결속밴드절단부; 결속밴드접합히트 하부에 결합되어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밴드캐리어부에 공급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결속밴드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결속밴드 단부를 밴드캐리어부에 연속 공급되게 하는 밴드연속공급부;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팽팽한 상태로 풀림되게 하는 결속밴드장력조절부;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축이 회동암의 암구동축과 연결되어 회동암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 구동되게 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다발, 묶음, 결속밴드, 결속테이프

Description

다발 묶음장치{A bund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발 묶음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테이블이 제거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a는 도 1에 도시한 밴드캐리어부의 확대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5a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6a는 도 3의 A부분 확대사시도,
도 6b 는 도 6a의 측단면도,
도 7a는 도 3에 도시한 결속밴드절단부의 확대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결속밴드장력조절부의 확대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발 묶음장치의 묶음시 상태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결속밴드 100:테이블
120:슬라이딩레일 140:상부지지대
150:하부지지대 170:누름부
200:수납호퍼 300:결속밴드롤
400:회동암 410:암구동축
500:밴드캐리어부 510:클램핑기어지지대
520:밴드클램핑고정기어 530:밴드클랭핑무빙기어
540:밴드클램핑스프링 550:장력조절스크류
600:결속밴드접합히트 700:결속밴드절단부
710:밴드절단컷트날 720:컷트날이송부
730:컷트지지대 800:밴드연속공급부
810:밴드공급피드에지 820:피드에지이송부
900:결속밴드장력조절부 910:슬라이딩바
920:슬라이딩롤러 930:고정롤러
940:장력로프 950:장력조절추
1000:구동모터 1100:콘트롤박스
본 발명은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피 결속물들을 열가소성수지로 된 결속테이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양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하는 다발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생산된 무우, 배추, 파 등의 농산물 혹은 산업체에서 제조하는 전선이나 호스 등의 공산품 등은 운반 및 판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량으로 묶게 된다.
그런데, 농산물이나 공산품을 일정한 수량으로 묶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할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묶임상태가 올바르지 못해 풀림이 발생하는 바, 근래에는 자동으로 묶어주는 다발 묶음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농산물이나 공산품을 일정한 다발로 묶는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 제0418864호, 실용신안등록 0418825호에 제시된다.
그러나, 선 고안은 클립헤드에 공급되는 결착테이프는 롤러의 회전에 의한 관성력으로 이미 풀려버리는 부분이 발생하여 느슨하게 공급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결착테이프의 길이가 농산물이나 공산품의 둘레길이보다 길어지게 되어 묶음상태가 느슨해져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결착테이프를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클립헤드에 공급되게 하여 농산물이나 공산품을 안정적인 묶음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다발 묶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발 묶음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레일을 가지며, 상부에는 상부지지대 및 작업공을 형성한 상태로 하부에는 하부지지대를 가지는 테이블과; 상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슬라이딩레일에 체결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송하는 수납호퍼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는 결속밴드가 권취된 결속밴드롤과; 일단부에 암구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걸림되게 하여 상기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결속밴드가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감싸도록 하는 밴드캐리어부와; 스프링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밴드캐리어부가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결속밴드로 감싼 상태로 접촉시 상호 접하는 결속밴드를 히팅에 의해 융착 접합되게 하는 결속밴드접합히트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에 의해 융착 접합된 결속밴드를 절단하는 결속밴드절단부와;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상기 밴드캐리어부에 공급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결속밴드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결속밴드 단부를 상기 밴드캐리어부에 연속 공급되게 하는 밴드연속공급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팽팽한 상태로 풀림되게 하는 결속밴드장력조절부; 및,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축이 상기 회동암의 암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 구동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는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눌러주 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는 스프링이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결합하는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 하단부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캐리어부는 양측으로 이송공이 형성된 측판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와 접하는 밴드접합베이스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회동암 일단부에 결합하는 클램핑기어지지대와,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의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하는 밴드클램핑고정기어와,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의 측판에 형성된 이송공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밴드클램핑무빙기어와,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의 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가 접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 사이에 결속밴드를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밴드클램핑스프링 및, 스프링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에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에 걸림되어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장력조절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밴드절단부는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밴드절단컷트날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컷트날이송부 및, 일단부가 상기 컷트날이송부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는 핀에 의해 상기 밴드절단컷트날과 결합되어 상기 컷트날이송부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밴드절단컷트날의 동작을 조절하는 컷트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연속공급부는 일측에 결속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밴드공급피드에지와,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와 연결되어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의 전후 이송을 조절하는 피드에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전자기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기어를 가지는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밴드장력조절부는 상기 테이블 하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결속밴드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롤러와,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는 장력로프 및, 상기 장력로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 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발 묶음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테이블이 제거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발 묶음장치는, 테이블(100), 수납호퍼(200), 결속밴드롤(300), 회동암(400), 밴드캐리어부(500), 결속밴드접합히트(600), 결속밴드절단부(700), 밴드연속공급부(800), 결속밴드장력조절부(900), 구동모터(10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테이블(100)은 하부에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레일(1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 일측에는 작업공(130)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지지대(140)를 구비하며, 상기 테이블(100)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지지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100)의 각 지지프레임(110)에는 상기 테이블(10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송바퀴(16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지지대(140)에는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을 눌러주는 누름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누름부(170)는 스프링(172)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지지대(140)에 결합하는 누름대(171)와, 상기 누름대(171) 하단부에 결합되는 누름판(173)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173)이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과 접한 상태로 가압한 후에 상기 누름대(171)의 스프링(172)이 상기 누름대(171)를 최초위치로 복원되게 하여 상기 누름판(173)이 다른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호퍼(200)는 농산물이나 공산품과 같은 물건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100)의 슬라이딩레일(120)에 체결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송하는 수납부이다.
이러한, 상기 수납호퍼(200)는 상부에 농산물이나 공산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호퍼(200)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수납호퍼(200)의 슬라이드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송손잡이(2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밴드롤(300)은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되는 물건을 감싼 상태로 묶게 되는 결속밴드(10)가 권취된 롤러이다.
이러한, 상기 결속밴드롤(300)은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암(4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지지대(14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암(400)은 축 회전시 상기 수납호퍼(200) 주위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드부를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동암(400)의 일단부에는 암구동축(410)을 구비하며, 상기 암구동축(410)이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지지대(14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암(400)이 상기 상부지지대(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는 상기 회동암(400)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롤(300)에 권취된 결속밴드(10)를 걸림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는 결속밴드(10)의 단부를 걸림고정되게 하여 상기 회동암(400)의 회전시 결속밴드(10)가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을 감싸도록 한다.
도 5a는 도 1에 도시한 밴드캐리어부(500)의 확대사시도,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5a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이러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이송공(512)이 형성된 측판(511)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와 접하게 되는 밴드접합베이스(513)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회동암(400) 일단부에 결합하는 클램핑기어지지대(510)와,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510)의 측판(511)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및,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510)의 측판(511)에 형성된 이송공(51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는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510)의 측판(511)에 형성된 이송공(512)에서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는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의 축을 연결하는 밴드클램핑스프링(540)과, 스프링(551)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510)에 체결하는 장력조절스크류(5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클램핑스프링(540)은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의 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가 상호 접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밴드클램핑스프링(540)은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 사이에 결속밴드(10)가 위치하게 되면 압착 걸림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스크류(550)는 스프링(551)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510)에 체결되어 상기 장력조절스크류(550)의 일단부가 스프링(551)에 의해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와 항상 접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와 접하는 상기 장력조절스크류(550)의 단부 일측에만 그라인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를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와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 사이에 걸림된 결속밴드(1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는 상기 회동암(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밴드캐리어부(500)가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을 결속밴드(10)로 감싼 상태에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의 밴드접합베이스(513)와 접하게 되면 상호 접하는 결속밴드(10)를 히팅에 의해 융착 접합되게 하는 부분이다.
도 6a는 도 3의 A부분 확대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프링(610)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0)의 하부지지대(15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는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에 의해 융착 접합된 결속밴드(10)의 하부를 절단되게 하는 부분이다.
도 7a는 도 3에 도시한 결속밴드절단부(700)의 확대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는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설치되는 밴드절단컷트날(710)과,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설치되는 컷트날이송부(720) 및, 일단부가 상기 컷트날이송부(720)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는 핀(731)에 의해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에 결합하는 컷트지지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컷트날이송부(720)는 상기 테이블(1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을 동작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컷트날이송부(720)는 수평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을 동작되게 하는 장치로써, 전자기석을 이용하거나, 실린더 장치, 모터와 기어장치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컷트날이송부(720)가 전자기석일 경우에는 전방의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이 자성체이거나 역시 전자기석으로써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절단컷트 날(710)을 직선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컷트지지대(730)는 일단부가 상기 컷트날이송부(720)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는 핀(731)에 의해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과 결합되어 상기 컷트날이송부(720)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밴드절단날컷트날의 동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컷트날이송부(720)가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 방향으로 이송하면 상기 컷트지지대(730)에 의해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이 작동되면서 결속밴드(10)의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컷트날이송부(720)가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면 결속밴드(10)의 절단작업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는 상기 결속밴드롤(300)에 권취된 결속밴드(10)를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에 공급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에 의해 절단된 결속밴드(10) 단부를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는 상기 하부지지대(150)에 설치된 결속밴드접합히트(60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가이드홈(8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블(100)의 하부지지대(150)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밴드공급피드에지(810)와, 상기 테이블(100)의 하부지지대(15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와 연결되어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의 전후 이송을 조절하는 피드에지이송부(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는 상기 가이드홈(811)을 통해 결속밴드(10)가 꼬임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에지이송부(82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컷트날이송부(720)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를 동작되게 하는 장치로써, 전자기석을 이용하거나, 실린더 장치, 모터와 기어장치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드에지이송부(820)가 전자기석일 경우에는 전방의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가 자성체이거나 역시 전자기석으로써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를 직선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속밴드장력조절부(900)는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롤(300)에 권취된 결속밴드(10)를 팽팽한 상태로 풀림되게 하면서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와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로 공급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결속밴드장력조절부(9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바(910)와, 상기 슬라이딩바(910)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롤(300)에서 풀림되는 결속밴드(10)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롤러(9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밴드장력부는 상기 테이블(100)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롤러(930)와,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롤러(920)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롤러(930)에 의해 가이드되는 장력로프(940) 및, 상기 장력로프(94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추(9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장력조절추(950)가 상기 장력로프(940)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롤러(920)를 당겨줌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롤러(920)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이송되는 결속밴드(10)를 팽팽하게 당겨주게 되어 항상 상기 결속밴드롤(300)에서 풀림되어 공급되는 결속밴드(10)를 팽팽하게 유지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1000)는 상기 회동암(400)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이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1000)는 상기 테이블(100)의 상부지지대(140)에 설치된 상태로 축이 상기 회동암(400)의 암구동축(41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테이블(100)에는 상기 구동모터(1000)와 상기 컷트날이송부(720)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820)를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11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발 묶음장치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테이블(100)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호퍼(200)에 농산물이나 공산품과 같은 물건을 다발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호퍼(200)의 이송손잡이(210)를 잡고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송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은 상기 누름부(170)의 누름판(173)에 접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170)의 누름대(171)에 구비된 스프링(172)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100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000)의 축과 연결 된 상기 암구동축(410)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동암(400)을 회전 구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동암(400)이 회전 구동하게 되면 상기 결속밴드롤(300)에 권취된 결속밴드(10)가 풀림되면서 상기 회동암(400)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에 의해 걸림고정된 결속밴드(10)가 상기 수납호퍼(200)에 수납된 물건을 감싸게 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의 클램핑기어지지대(510)에 구비된 상기 밴드접합베이스(513)가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호 접하는 결속밴드(10) 부위를 융착 접합되게 한다.
동시에,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의 컷트날이송부(720)가 작동되면서 상기 밴드절단컷트날(710)을 이송되게 하여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600)에 의해 융착 접합된 결속밴드(10)의 하부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의 피드에지이송부(820)가 작동되면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를 이송되게 하여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810)의 가이드홈(811)에 가이드되는 결속밴드(10)를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에 공급되게 한다.
즉,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의 밴드절단컷트날(710)에 의해 절단된 결속밴드(10)의 단부를 상기 밴드연속공급부(800)의 밴드공급피드에지(810)가 취부한 상태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의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와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 사이에 삽입된다.
이후, 다시 상기 구동모터(1000)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암구동축(410) 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동암(400)을 회전 구동되게 한다.
이때, 결속밴드(10)는 상기 밴드캐리어부(500)의 밴드클램핑고정기어(520)와 밴드클램핑무빙기어(530) 사이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암(400)에 회전에 따라 동시에 상기 결속밴드롤(300)에서 풀림된다.
그러면, 작업자가 다시 상기 수납호퍼(200)의 이송손잡이(210)를 이용하여 이송시켜 결속밴드(10)에 의해 묶여진 물건을 빼고 다시 농산물이나 공산품과 같은 다발의 물건을 수납하여 앞서 설명한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밴드롤(300)에서 풀림되는 결속밴드(10)는 상기 결속밴드장력부의 장력조절추(950)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풀림됨으로써 상기 결속밴드절단부(700)에 의해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캐리어부(500)로 재공급시에도 느슨함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항상 묶음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발 묶음장치는, 결속밴드롤에 취부된 결속밴드가 결속밴드장력부의 장력조절추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풀림됨으로써 결속밴드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태에서 밴드캐리어부로 재공급시에도 느슨해지지 않으므로 다발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레일을 가지며, 상부에는 상부지지대 및 작업공을 형성한 상태로 하부에는 하부지지대를 가지는 테이블과;
    상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슬라이딩레일에 체결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송하는 수납호퍼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는 결속밴드가 권취된 결속밴드롤과;
    일단부에 암구동축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걸림되게 하여 상기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결속밴드가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감싸도록 하는 밴드캐리어부와;
    스프링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밴드캐리어부가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결속밴드로 감싼 상태로 접촉시 상호 접하는 결속밴드를 히팅에 의해 융착 접합되게 하는 결속밴드접합히트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에 의해 융착 접합된 결속밴드를 절단하는 결속밴드절단부와;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상기 밴드캐리어부에 공급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결속밴드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결속밴드 단부를 상기 밴드캐리어부에 연속 공급되게 하는 밴드연속공급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밴드롤에 권취된 결속밴드를 팽팽한 상태로 풀림되게 하는 결속밴드장력조절부와;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축이 상기 회동암의 암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암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 구동되게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는 상기 수납호퍼에 수납된 물건을 눌러주는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는
    스프링이 탄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상부지지대에 결합하는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 하단부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캐리어부는
    양측으로 이송공이 형성된 측판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와 접하는 밴드접합베이스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회동암 일단부에 결합하는 클램핑기어지지대와,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의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하는 밴드클램핑고정기어와,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의 측판에 형성된 이송공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밴드클램핑무빙기어와,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의 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가 접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상기 밴드클램핑고정기어 및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 사이에 결속밴드를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밴드클램핑스프링 및,
    스프링을 탄지한 상태로 상기 클램핑기어지지대에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에 걸림되어 상기 밴드클램핑무빙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장력조절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절단부는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밴드절단컷트날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컷트날이송부 및,
    일단부가 상기 컷트날이송부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는 핀에 의해 상기 밴드절단컷트날과 결합되어 상기 컷트날이송부의 이송방향에 따라 상기 밴드절단컷트날의 동 작을 조절하는 컷트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연속공급부는
    일측에 결속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결속밴드접합히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밴드공급피드에지와,
    상기 테이블의 하부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와 연결되어 상기 밴드공급피드에지의 전후 이송을 조절하는 피드에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7.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전자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8.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9.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컷트날이송부 및 상기 피드에지이송부는 기어를 가지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장력조절부는
    상기 테이블 하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에 슬라이드 이송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결속밴드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롤러와,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롤러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고정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는 장력로프 및,
    상기 장력로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 묶음장치.
KR1020070001145A 2007-01-04 2007-01-04 다발 묶음장치 KR10085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145A KR100853492B1 (ko) 2007-01-04 2007-01-04 다발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145A KR100853492B1 (ko) 2007-01-04 2007-01-04 다발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348A KR20080064348A (ko) 2008-07-09
KR100853492B1 true KR100853492B1 (ko) 2008-08-21

Family

ID=3981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145A KR100853492B1 (ko) 2007-01-04 2007-01-04 다발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52Y1 (ko) 2013-03-12 2014-03-11 고용만 박스 밴드 조임 장치
KR101452470B1 (ko) 2014-06-11 2014-10-23 정우용 포장밴드 결속기
KR20190081193A (ko) 2017-12-29 2019-07-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채소 묶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01B1 (ko) * 2018-06-29 2020-05-28 은 식 신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CN113086271B (zh) * 2021-04-02 2022-10-11 盛视科技股份有限公司 侧向切胶机构及施封贴标机
CN117485647B (zh) * 2023-12-29 2024-04-02 太仓戴尔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扎带机自动穿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15A (ja) * 1999-08-10 2001-02-20 Taikoodo Kk 自動結束機における紐の引出し方法及び装置
KR200418864Y1 (ko) * 2006-03-22 2006-06-19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15A (ja) * 1999-08-10 2001-02-20 Taikoodo Kk 自動結束機における紐の引出し方法及び装置
KR200418864Y1 (ko) * 2006-03-22 2006-06-19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52Y1 (ko) 2013-03-12 2014-03-11 고용만 박스 밴드 조임 장치
KR101452470B1 (ko) 2014-06-11 2014-10-23 정우용 포장밴드 결속기
KR20190081193A (ko) 2017-12-29 2019-07-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채소 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348A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492B1 (ko) 다발 묶음장치
TW312672B (ko)
KR101188719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TW200944431A (en) Strap exchanger for a strapping system
CN104080702B (zh) 捆扎机的自动带条加载组件
JP2007522042A (ja) バンディング機械
JP2007522042A6 (ja) バンディング機械
JP5019530B2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KR101615717B1 (ko)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KR101159446B1 (ko)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EP2926645B1 (en) Needle gripper for an agricultural baler
CN211642695U (zh) 捆扎机
KR101561056B1 (ko) 암 회전형 랩핑장치
KR20240062333A (ko) 파워 밴딩이 가능한 반자동 스트랩핑 머신
KR102542526B1 (ko) 사면 비닐포장기의 비닐공급장치
JPH0410734Y2 (ko)
KR200191914Y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
JP7445561B2 (ja) 結束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4649209U (zh) 一种甘蔗茎段运输用打包装置
CN111409890A (zh) 捆扎机及其使用方法
CN217100583U (zh) 一种在打包机设备上应用的打包带输送装置
CN213620419U (zh) 一种纸板捆扎机
CN218184354U (zh) 一种便于果树绑枝的设备
JP2000177710A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JP4860683B2 (ja) 包装用容器の封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