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717B1 -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717B1
KR101615717B1 KR1020150165401A KR20150165401A KR101615717B1 KR 101615717 B1 KR101615717 B1 KR 101615717B1 KR 1020150165401 A KR1020150165401 A KR 1020150165401A KR 20150165401 A KR20150165401 A KR 20150165401A KR 101615717 B1 KR101615717 B1 KR 10161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tension
band
roll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상
Original Assignee
대은엠비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엠비코(주) filed Critical 대은엠비코(주)
Priority to KR102015016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8Driven rot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에 있어서, 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가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피딩롤러와 가압 피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 사이로 상기 밴드를 공급하는 피딩 롤러부; 고정 텐션롤러와 가압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 사이의 상기 밴드를 잡아 당기는 텐션 롤러부;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딩 구동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하는 피딩 링크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feeding and tension unit for band for packing a box and banding app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매 대상이 되는 제품들은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되어 운송된다. 구체적으로 제품을 종이로 이루어진 박스 내에 넣어 보관하거나, 또는 제품의 외면을 비닐 등으로 래핑(wrapping)하여 제품 외관을 보호한다.
래핑된 제품 또는 박스에 담긴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롤러로 구성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완성된 제품을 운송 수단인 차량 등에 탑재하거나, 추가적인 포장 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송되는 제품에 대해 2차적으로 포장을 하기 위해서, PP밴드(Polypropylene band) 또는 PET밴드(Polyester Band) 등을 이용하여 제품 또는 제품이 담긴 박스를 둘러 밴딩(banding)하게 된다. 밴딩은 열십자(十) 또는 우물정자(井)등과 같이 밴드가 직교되도록 하여, 포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밴드는 릴(reel)에서 풀려나와 제품을 둘러싸는 구조인 아치에 마련되어 밴딩을 준비하며, 밴드는 아치에서 빠져나와 제품의 외면에 밀착되고, 끝단은 열융착 등에 의해 절단 및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밴드를 아치로 공급하기 위해서 피딩 롤러가 마련되며, 밴드가 아치에서 빠져나와 제품의 외면을 두르도록 하기 위해서 텐션 롤러가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의 피딩 롤러와 텐션 롤러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동 모터가 마련됨에 따라, 전기료가 비효율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밴드를 이용한 포장을 빠르게 연속적으로 수행할 경우, 피딩과 텐션의 전환 과정 등에서 밴드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어 포장 속도를 충분히 높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품을 포장(밴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모터로 피딩 롤러와 텐션 롤러를 모두 작동 가능하게 하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피딩과 텐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여 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은, 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가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피딩롤러와 가압 피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 사이로 상기 밴드를 공급하는 피딩 롤러부; 고정 텐션롤러와 가압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 사이의 상기 밴드를 잡아 당기는 텐션 롤러부;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딩 구동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하는 피딩 링크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의 피딩 롤러축에 벨트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의 텐션 롤러축에 기어로 연결되며, 상기 피딩 구동모터가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텐션 링크부가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이격시켜 텐션을 해제하며, 상기 피딩 구동모터가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피딩 링크부가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이격시켜 피딩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딩 링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피딩 캠; 상기 텐션 링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텐션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딩 링크부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피딩 캠에 의해 타단이 승강하는 피딩 크랭크; 상기 피딩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제1 피딩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피딩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피딩 링크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피딩 축을 회전시키는 제2 피딩 링크; 상기 제2 피딩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승강하는 제3 피딩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피딩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피딩 링크의 승강에 의해 타단에 마련되는 제2 피딩 축을 회전시키는 제4 피딩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딩 축 또는 상기 제2 피딩 축은, 상기 가압 피딩롤러와 편심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 링크부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텐션 캠에 의해 타단이 승강하는 텐션 크랭크; 상기 피딩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제1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텐션 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2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3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텐션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4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5 텐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5 텐션 링크는, 상기 제4 텐션 링크의 움직임에 의해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 텐션롤러를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는, 상기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상기 박스를 두르는 상기 밴드가 접착 또는 절단되어 상기 박스에 포장되도록 하는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작동을 구현하는 캠 구동축을 갖는 캠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피딩 캠 및 상기 텐션 캠은,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박스가 놓이는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박스를 두르는 상기 밴드의 전단의 이송을 막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하는 스토퍼 홀더; 상기 밴드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 홀더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밴드 홀더; 상기 밴드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 홀더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밴드 홀더; 상기 제1 밴드 홀더와 상기 제2 밴드 홀더 사이에 마련되는 밴드 가압블록; 상기 밴드가 두 겹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밴드를 절단하는 나이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밴드 홀더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1 밴드 홀딩 캠;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밴드 홀더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2 밴드 홀딩 캠; 및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 가압블록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밴드 가압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피딩 롤러 및 텐션 롤러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여, 피딩 및 텐션에 소모되는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는, 피딩 롤러와 텐션 롤러가 링크 구조에 의하여 움직여서 밴드의 피딩 또는 텐션이 작동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 밴드 이탈을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을 포함하는 밴딩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롤러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동력 전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피딩 링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에서 피딩 롤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피딩 크랭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텐션 링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텐션 크랭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밴드부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을 포함하는 밴딩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롤러들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동력 전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피딩 링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에서 피딩 롤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피딩 크랭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텐션 링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의 텐션 크랭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의 밴딩부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장치(1)는, 박스(P) 포장용 밴드(B)의 피딩 및 텐션 유닛(2)과 밴딩부(10), 캠 구동모터(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5 내지 도 21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밴딩부(10)의 밴딩 작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밴딩부(10)는, 슬라이딩 테이블(11), 스토퍼(12), 스토퍼 홀더(13), 제1 밴드 홀더(14), 제2 밴드 홀더(15), 밴드 가압블록(16), 히터(17), 나이프 유닛(18)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테이블(11)은 박스(P)가 놓인다. 슬라이딩 테이블(11)은 측 방향(도면 기준으로 좌우 방향과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 테이블(11)의 이동은 캠 구동축(21)에 연결된 링크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딩 테이블(11)이 이동하는 경우는 박스(P)에 밴드(B)가 감겼을 경우에 해당한다. 밴드(B)는 슬라이딩 테이블(11)과 박스(P)를 한꺼번에 감싸 포장하게 되므로, 포장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밴드(B)로부터 슬라이딩 테이블(11)이 이탈되어야 한다.
스토퍼(12)는, 슬라이딩 테이블(11)의 하단에 마련되고 박스(P)를 두르는 밴드(B)의 전단의 이송을 막는다. 밴드(B)가 아치(도시하지 않음)를 지나면서 박스(P)를 두르게 되면, 밴드(B)의 전단은 스토퍼(12)에 의해 가로막혀 폐곡선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2)는 상하 방향 또는 슬라이딩 테이블(11)과 동일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스토퍼(12)의 이동은 캠 구동축(21)에 연결된 별도의 링크 구조(도시하지 않음) 또는 캠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토퍼 홀더(13)는, 스토퍼(12)의 하단에 마련되고 밴드(B)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한다. 밴드(B)는 스토퍼 홀더(13)를 지나 아치를 통과하면서 박스(P)를 두른 후 스토퍼(12)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스토퍼(12)에 걸리는 밴드(B)의 전단은, 스토퍼 홀더(13)를 통과하는 밴드(B)와 상하로 겹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박스(P)를 포장할 때 서로 접착되는 부분을 구성한다.
스토퍼 홀더(13)는 슬라이딩 테이블(11)과 동일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토퍼 홀더(13)의 이동은 캠 구동축(21)에 연결된 별도의 링크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밴드 홀더(14)는, 밴드(B)의 공급 방향(도면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을 따라 스토퍼 홀더(13)의 전방(도면 기준으로 우측)에 마련되고 밴드(B)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밴드(B)는 제1 밴드 홀더(14)와 스토퍼 홀더(13)의 경로를 따라 아치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밴드 홀더(14)는 밴드(B)를 가압해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밴드 홀더(14)는 박스(P)를 두른 밴드(B)의 전단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제1 밴드 홀더(14)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밴드 홀더(14)의 상하 움직임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되는 제1 밴드 홀딩 캠(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밴드 홀더(15)는, 밴드(B)의 공급 방향(도면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을 따라 제1 밴드 홀더(14)의 후방(도면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된다. 제2 밴드 홀더(15)는 밴드(B)를 눌러 고정하게 되는데, 제2 밴드 홀더(15)는 아치로 유입되는 밴드(B)를 누를 수 있다.
즉 제2 밴드 홀더(15)는, 스토퍼 홀더(13)의 후방에서 밴드(B)를 누르게 되며, 아치로 유입되기 전의 밴드(B)를 눌러 고정한다. 반면 제1 밴드 홀더(14)는 아치를 돌아 박스(P)를 감은 밴드(B)를 눌러 고정한다. 제1 밴드 홀더(14)와 제2 밴드 홀더(15) 모두 한 겹의 밴드(B)를 누르는 것은 동일하나, 제1 밴드 홀더(14)는 박스(P)를 두른 밴드(B)를 고정하고, 제2 밴드(B)는 박스(P)를 두르기 위해 아치로 들어가기 전의 밴드(B)를 고정한다.
제1 밴드 홀더(14)가 밴드(B)를 누르는 지점과 제2 밴드 홀더(15)가 밴드(B)를 누르는 지점 사이에서 밴드(B)는 두 겹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때 겹치는 밴드(B) 부분을 접착하면 박스(P) 포장이 완료될 수 있다.
제2 밴드 홀더(15)는 제1 밴드 홀더(14)와 유사하게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 밴드 홀더(15)의 상하 움직임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되는 제2 밴드 홀딩 캠(2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1 밴드 홀더(14)의 승강과 제2 밴드 홀더(15)의 승강은 서로 다른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 가압블록(16)은, 제1 밴드 홀더(14)와 제2 밴드 홀더(15) 사이에 마련된다. 즉 밴드 가압블록(16)은 슬라이딩 테이블(11)의 하단에서 밴드(B)가 두 겹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마련된다.
밴드 가압블록(16)은 제1 밴드 홀더(14)와 제2 밴드 홀더(15)가 밴드(B)를 누르고 있을 때, 두 겹으로 겹쳐진 밴드(B) 부분을 가압하여 접착시킨다. 물론 접착을 위해 밴드 가압블록(16)이 밴드(B)를 누르기 이전에 밴드(B)의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 가압블록(16)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밴드 가압블록(16)의 상하 움직임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되는 밴드 가압 캠(2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1, 2 밴드 홀더(14, 15)의 승강과 밴드 가압블록(16)의 승강은 서로 다른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17)는, 밴드(B)가 두 겹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가열한다. 히터(17)는 제1 밴드 홀더(14)와 제2 밴드 홀더(15) 사이에서 밴드(B)가 두 겹으로 겹쳐질 때, 두 겹의 밴드(B) 사이에 인입되어 밴드(B)를 녹인 후 밴드(B)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히터(17)가 밴드(B)를 녹이면, 밴드 가압블록(16)이 녹은 두 겹의 밴드(B)를 눌러서 접착한다.
히터(17)는 슬라이딩 테이블(11)과 마찬가지로 측방향으로 움직이며, 히터(17)의 움직임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되는 링크 구조(도시하지 않음) 또는 캠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구현된다.
나이프 유닛(18)은, 밴드(B)를 절단한다. 나이프 유닛(18)은 밴드 가압블록(16)에 마련되어 밴드 가압블록(16)의 승강과 함께 움직이며, 밴드 가압블록(16)이 두 겹의 밴드(B)를 누를 때 날카로운 면을 이용하여 밴드(B)를 자른다.
캠 구동모터(20)는, 밴딩부(10)의 작동을 구현하는 캠 구동축(21)을 갖는다. 캠 구동축(21)에는 제1 밴드 홀딩 캠(22), 제2 밴드 홀딩 캠(24)과, 밴드 가압 캠(23)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제1 밴드 홀딩 캠(22) 등의 형태는 서로 상이하여 제1 밴드 홀더(14), 제 밴드 홀더(15), 밴드 가압블록(16)의 승강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캠 구동축(21)에는 후술할 피딩 캠(25)과 텐션 캠(26)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캠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해서 피딩 링크부(50)와 텐션 링크부(70)가 작동되어 피딩과 텐션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21을 토대로 밴딩 작업의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밴드(B)는 피딩 롤러부(40)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며, 밴드(B)의 전단은 제1 밴드 홀더(14)에 마련된 경로와 스토퍼 홀더(13)에 마련된 경로를 통과한 뒤, 아치를 거쳐 박스(P)를 두른 후, 슬라이딩 테이블(11)과 제1 밴드 홀더(14) 사이 및 슬라이딩 테이블(11)과 스토퍼 홀더(13) 사이로 유입되고 스토퍼(12)에 의해 이송이 저지된다.
이후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밴드 홀더(14)가 상승해 밴드(B)를 눌러 고정하며, 스토퍼 홀더(13)와 스토퍼(12)가 밴드(B)로부터 이탈되고, 텐션 롤러부(60)에 의해 밴드(B)가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아치에 놓여있던 밴드(B)는 아치로부터 빠져나와 박스(P)에 밀착되도록 감긴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밴드 홀더(15)가 상승해 밴드(B)를 눌러 고정한다. 이때 제1 밴드 홀더(14)가 밴드(B)를 누른 지점과 제2 밴드 홀더(15)가 밴드(B)를 누른 지점 사이에서 밴드(B)는 두 겹으로 마련된다.
이후 도 18을 참조하면, 두 겹으로 마련되는 밴드(B)의 사이에 히터(17)가 측방향으로 유입되어 열을 가해 밴드(B)가 접착 가능한 상태로 녹을 수 있다.
이후 도 19를 참조하면, 히터(17)가 밴드(B)로부터 이탈된 후 밴드 가압블록(16)이 상승해 두 겹으로 마련되는 밴드(B)를 가압한다. 이때 두 겹의 밴드(B)는 히터(17)에 의해 녹은 상태이므로 가압에 의하여 접착되며, 밴드 가압블록(16)에 연결된 나이프 유닛(18)이 제1 밴드 홀더(14)의 좌측에서 밴드(B)를 절단한다.
이후 도 20을 참조하면, 밴드 가압블록(16)과 제1 밴드 홀더(14) 및 제2 밴드 홀더(15)가 모두 하강한다. 밴드(B)는 두 겹으로 마련되는 부분이 가열 및 가압에 의하여 접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2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테이블(11)이 밴드(B)로부터 이탈된다. 밴드(B)는 슬라이딩 테이블(11)을 포함해서 박스(P)를 감싸게 되므로, 슬라이딩 테이블(11)이 빠져나가면 최종적으로 박스(P)의 포장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해 박스(P) 포장용 밴드(B)의 피딩 및 텐션 유닛(2)을 설명하도록 한다.
박스(P) 포장용 밴드(B)의 피딩 및 텐션 유닛(2)은, 피딩 구동모터(30), 피딩 롤러부(40), 피딩 링크부(50), 텐션 롤러부(60), 텐션 링크부(70)를 포함한다.
피딩 구동모터(30)는, 일단이 피딩 롤러부(40)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피딩 구동모터(30)는 피딩 구동축(31)의 일단이 피딩 롤러부(40)의 제1 고정 피딩롤러(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피딩 구동축(31)의 일단은 제1 고정 피딩롤러(41)의 피딩 롤러축(43)에 벨트(33)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딩 구동모터(30)에는 일단에는 피딩 구동풀리(32)가 마련되며, 제1 고정 피딩롤러(41)의 피딩 롤러축(43)에도 피딩 롤러풀리(44)가 마련되어 피딩 구동풀리(32)와 피딩 롤러풀리(44)가 벨트(33)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벨트(33)는, 제2 고정 피딩롤러(45)의 피딩 롤러축(48)에 마련된 피딩 롤러풀리(49)에도 연결되어 삼각형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딩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이 벨트(33)에 의하여 제1 고정 피딩롤러(41) 및 제2 고정 피딩롤러(45)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피딩 구동모터(30)는, 타단이 텐션 롤러부(60)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피딩 구동모터(30)는 피딩 구동축(31)의 타단이 텐션 롤러부(60)의 고정 텐션롤러(61)에 연결될 수 있고, 피딩 구동축(31)의 타단은 고정 텐션롤러(61)의 텐션 롤러축(63)에 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딩 구동모터(30)의 타단에는 텐션 구동기어(34)가 마련되고 고정 텐션롤러(61)의 텐션 롤러축(63)에는 텐션 롤러기어(64)가 마련되어, 텐션 구동기어(34)와 텐션 롤러기어(64)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피딩 구동모터(30)로 피딩과 텐션이 모두 가능하며, 다만 피딩 구동모터(3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피딩을 구현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텐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피딩 구동모터(30)가 제1 고정 피딩롤러(41)에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텐션 링크부(70)가 고정 텐션롤러(61)와 가압 텐션롤러(62)를 이격시켜 텐션을 해제하며, 피딩 구동모터(30)가 고정 텐션롤러(61)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피딩 링크부(50)가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제1 가압 피딩롤러(42)를 이격시켜 피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피딩 구동모터(30)로 피딩과 텐션을 위한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되, 피딩 링크부(50)와 텐션 링크부(70)를 이용하여 피딩 롤러부(40) 또는 텐션 롤러부(6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딩 구동모터(30)는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벨트(33)로 연결되고 고정 텐션롤러(61)와 기어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반대로 피딩 구동모터(30)가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기어로 연결되고 고정 텐션롤러(61)와 벨트(33)로 연결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어와 벨트(33)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피딩 구동모터(30)와 제1 고정 피딩롤러(41) 및 고정 텐션롤러(61) 간의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피딩 롤러부(40)는,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제1 가압 피딩롤러(42)를 포함한다.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제1 가압 피딩롤러(42) 사이로 밴드(B)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피딩 롤러부(40)는 제2 고정 피딩롤러(45)와 제2 가압 피딩롤러(4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고정 피딩롤러(45)는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마찬가지로 피딩 구동모터(30)에 의해 구동되며, 제2 가압 피딩롤러(46)는 제1 가압 피딩롤러(42)와 마찬가지로 피딩 링크부(50)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제1 고정 피딩롤러(41) 및 제1 가압 피딩롤러(42)가 마련되는 지점과, 제2 고정 피딩롤러(45) 및 제2 가압 피딩롤러(46)가 마련되는 지점 사이에는 밴드 가이드블록(47)이 마련될 수 있고, 밴드 가이드블록(47)은 밴드(B)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밴드(B)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고정 피딩롤러(41)는 피딩 구동모터(30)와 벨트(33)로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받을 수 있으며, 제2 고정 피딩롤러(45)도 피딩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제2 고정 피딩롤러(45)는 피딩 구동모터(30)와 벨트(33) 또는 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피딩 링크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해 제1 가압 피딩롤러(42)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한다. 피딩 링크부(50)는 제1 가압 피딩롤러(42)를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할 수 있다.
피딩 링크부(50)는 피딩 크랭크(51), 제1 피딩 링크(52), 제2 피딩 링크(53), 제3 피딩 링크(55), 제4 피딩 링크(57)를 포함한다. 피딩 링크부(50)는 피딩 캠(25)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피딩 캠(25)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될 수 있다.
피딩 크랭크(51)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피딩 캠(25)에 의해 타단이 승강한다. 피딩 크랭크(51)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피딩 크랭크(51)의 일부분(돌출된 부분)이 피딩 캠(25)과 맞닿아 있으면서, 피딩 캠(25)의 형상 변화에 따라 피딩 크랭크(51)의 타단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피딩 링크(52)는, 일단이 피딩 크랭크(51)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한다. 제1 피딩 링크(52)는 피딩 크랭크(51)와 로드엔드 베어링(load-end bearing)(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연결되므로, 피딩 크랭크(51)와 제1 피딩 링크(52) 사이의 절곡된 각도는 변화할 수 있다. 로드엔드 베어링은 피딩 링크들과 텐션 링크들의 연결 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피딩 링크(53)는, 일단이 제1 피딩 링크(52)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 피딩 링크(52)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피딩축(54)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2 피딩 링크(53)는 제1 피딩축(54)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의 제1 피딩 링크(52)가 승강하면 제2 피딩 링크(53)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딩축(54)에는 제1 편심 연결부(541)가 연결되며, 제1 편심연결부(541)의 중심은 제1 피딩축(54)과 나란하게 마련된다. 이때 제1 편심연결부(541)에는 제1 가압 피딩롤러(42)가 연결되며 제1 가압 피딩롤러(42)의 중심은 제1 편심연결부(541)의 중심과 어긋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 피딩축(54)은, 제1 가압 피딩롤러(42)와 편심 연결될 수 있다.
제1 피딩축(54)이 회전하면, 제1 편심연결부(541)에 의하여 제1 가압 피딩롤러(42)의 중심이 움직여서 제1 가압 피딩롤러(42)가 제1 고정 피딩롤러(41)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 피딩 링크(53)에는 스프링(56)이 마련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제2 피딩 링크(53)는 제1 피딩 링크(52)의 승강에 의해 탄성을 이겨내고 제1 피딩축(5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피딩 링크(55)는, 일단이 제2 피딩 링크(53)의 타단에 연결되고 승강한다. 제1 피딩 링크(52)가 상승하면 제3 피딩 링크(55)는 하강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4 피딩 링크(57)는 일단이 제3 피딩 링크(55)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3 피딩 링크(55)의 승강에 의해 타단에 마련되는 제2 피딩축(58)을 회전시킨다. 제4 피딩 링크(57)는 제2 피딩축(58)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의 제3 피딩 링크(55)가 승강하면 제4 피딩 링크(57)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4 피딩 링크(57)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피딩축(58)은, 제2 편심연결부(581)를 통해 제2 강바 피딩롤러(46)에 편심 연결되며 제1 피딩축(54)과 동일한 원리로 피딩을 해제 또는 작동하는데, 제2 피딩축(58)은 제2 가압 피딩롤러(46)를 제2 고정 피딩롤러(45)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즉 피딩 링크부(50)의 작동에 의해, 제1 가압 피딩롤러(42)는 제1 고정 피딩롤러(41)로부터 멀어지고 제2 가압 피딩롤러(46)는 제2 고정 피딩롤러(45)로부터 멀어져서 피딩이 모두 해제될 수 있고(도 3), 또는 반대로 피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텐션 롤러부(60)는, 고정 텐션롤러(61)와 가압 텐션롤러(62)를 포함하며, 고정 텐션롤러(61)와 가압 텐션롤러(62) 사이의 밴드(B)를 잡아당겨서 밴드(B)에 텐션을 부여한다.
고정 텐션롤러(61)는 피딩 구동모터(30)와 기어로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밴드(B)를 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가압 텐션롤러(62)는 텐션 링크부(70)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즉 가압 텐션롤러(62)는 고정 텐션롤러(61)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여서 텐션이 해제되거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텐션 링크부(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가압 텐션롤러(62)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한다. 텐션 링크부(70)는 가압 텐션롤러(62)를 고정 텐션롤러(61)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할 수 있다.
텐션 링크부(70)는 텐션 크랭크(71), 제1 텐션 링크(72), 제2 텐션 링크(74), 제3 텐션 링크(75), 제4 텐션 링크(76), 제5 텐션 링크(77)를 포함한다. 텐션 링크부(70)는 텐션 캠(2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텐션 캠(26)은 캠 구동축(21)에 마련될 수 있다.
텐션 크랭크(71)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텐션 캠(26)에 의해 타단이 승강한다. 텐션 크랭크(71)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텐션 크랭크(71)의 일부분(돌출된 부분)이 텐션 캠(26)과 맞닿아 있으면서, 텐션 캠(26)의 형상 변화에 따라 텐션 크랭크(71)의 타단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텐션 링크(72)는, 일단이 피딩 크랭크(51)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한다. 제1 텐션 링크(72)와 텐션 크랭크(71) 사이에는 앞서 언급한 로드엔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고, 텐션 링크들 사이에도 로드엔드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텐션 링크(72)에는 스프링(73)이 마련되며, 스프링(73)은 제1 텐션 링크(72)가 하강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1 텐션 링크(72)는 상승한 상태에 놓여 있다가 텐션 캠(26)에 의해 텐션 크랭크(71)가 회전하면 하강할 수 있다.
제2 텐션 링크(74)는, 일단이 제1 텐션 링크(72)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연결되며 타단이 힌지 고정된다. 제1 텐션 링크(72)가 승강하면 제2 텐션 링크(74)는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2 텐션 링크(74)의 타단은 제3 링크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3 텐션 링크(75)는, 일단이 제2 텐션 링크(74)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2 텐션 링크(7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텐션 링크(72)가 승강하면 제2 텐션 링크(74)와 제3 텐션 링크(75)가 동시에 일정한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힌지점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4 텐션 링크(76)는, 일단이 제3 텐션 링크(75)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4 텐션 링크(76)는 제3 텐션 링크(75)가 일단이 힌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때 회전 및/또는 이동할 수 있다. 제4 텐션 링크(76)는 양단이 힌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3 텐션 링크(75)의 회전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제5 텐션 링크(77)는, 일단이 제4 텐션 링크(76)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 고정되며, 제5 텐션 링크(77)의 타단 힌지점은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5 텐션 링크(77)는, 제4 텐션 링크(76)의 움직임에 의해서 타단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제5 텐션 링크(77)에서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가압 텐션롤러(62)가 마련될 수 있다.
제5 텐션 링크(77)가 제4 텐션 링크(76)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면, 가압 텐션롤러(62)는 고정 텐션롤러(61)와 멀어지거나(도 11) 가까워지도록(도 12) 움직일 수 있다. 가압 텐션롤러(62)가 고정 텐션롤러(61)와 멀어지면 텐션이 해제되고, 반대의 경우 텐션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텐션 링크부(70)의 작동에 의해, 가압 텐션롤러(62)는 고정 텐션롤러(61)로부터 멀어져서 텐션이 해제될 수 있고(도 4), 또는 반대로 텐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딩 롤러와 텐션 롤러가 하나의 피딩 구동모터(30)에 의하여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피딩 링크부(50)와 텐션 링크부(70)를 이용하여 피딩 롤러부(40)에 의한 피딩 또는 텐션 롤러부(60)에 의한 텐션을 제어하여 밴드(B)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신속한 박스(P) 포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밴딩 장치 2: 피딩 및 텐션 유닛
B: 밴드 P: 박스
10: 밴딩부 11: 슬라이딩 테이블
12: 스토퍼 13: 스토퍼 홀더
14: 제1 밴드 홀더 15: 제2 밴드 홀더
16: 밴드 가압블록 17: 히터
18: 나이프 유닛 20: 캠 구동모터
21: 캠 구동축 22: 제1 밴드 홀딩 캠
23: 밴드 가압 캠 24: 제2 밴드 홀딩 캠
25: 피딩 캠 26: 텐션 캠
30: 피딩 구동모터 31: 피딩 구동축
32: 피딩 구동풀리 33: 벨트
34: 텐션 구동기어 40: 피딩 롤러부
41: 제1 고정 피딩롤러 42: 제1 가압 피딩롤러
43: 피딩 롤러축 44: 피딩 롤러풀리
45: 제2 고정 피딩롤러 46: 제2 가압 피딩롤러
47: 밴드 가이드블록 48: 피딩 롤러축
49: 피딩 롤러풀리 50: 피딩 링크부
51: 피딩 크랭크 52: 제1 피딩 링크
53: 제2 피딩 링크 54: 제1 피딩축
541: 제1 편심연결부 55: 제3 피딩 링크
56: 스프링 57: 제4 피딩 링크
58: 제2 피딩축 581: 제2 편심연결부
60: 텐션 롤러부 61: 고정 텐션롤러
62: 가압 텐션롤러 63: 텐션 롤러축
64: 텐션 롤러기어 70: 텐션 링크부
71: 텐션 크랭크 72: 제1 텐션 링크
73: 스프링 74: 제2 텐션 링크
75: 제3 텐션 링크 76: 제4 텐션 링크
77: 제5 텐션 링크

Claims (8)

  1. 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가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피딩롤러와 가압 피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 사이로 상기 밴드를 공급하는 피딩 롤러부;
    고정 텐션롤러와 가압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 사이의 상기 밴드를 잡아 당기는 텐션 롤러부;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딩 구동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하는 피딩 링크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고정 텐션롤러는 하나의 상기 피딩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의 피딩 롤러축에 벨트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의 텐션 롤러축에 기어로 연결되며,
    상기 피딩 구동모터가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텐션 링크부가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이격시켜 텐션을 해제하며, 상기 피딩 구동모터가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피딩 링크부가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이격시켜 피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링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피딩 캠;
    상기 텐션 링크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텐션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링크부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피딩 캠에 의해 타단이 승강하는 피딩 크랭크;
    상기 피딩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제1 피딩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피딩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피딩 링크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피딩축을 회전시키는 제2 피딩 링크;
    상기 제2 피딩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승강하는 제3 피딩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피딩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피딩 링크의 승강에 의해 타단에 마련되는 제2 피딩축을 회전시키는 제4 피딩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딩축 또는 상기 제2 피딩축은, 상기 가압 피딩롤러와 편심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링크부는,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텐션 캠에 의해 타단이 승강하는 텐션 크랭크;
    상기 텐션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제1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텐션 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2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텐션 링크;
    일단이 상기 제3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텐션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4 텐션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5 텐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5 텐션 링크는, 상기 제4 텐션 링크의 움직임에 의해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는 가압 텐션롤러를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상기 박스를 두르는 상기 밴드가 접착 또는 절단되어 상기 박스에 포장되도록 하는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작동을 구현하는 캠 구동축을 갖는 캠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피딩 캠 및 상기 텐션 캠은,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박스가 놓이는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박스를 두르는 상기 밴드의 전단의 이송을 막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하는 스토퍼 홀더;
    상기 밴드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 홀더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밴드 홀더;
    상기 밴드의 공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밴드 홀더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 밴드 홀더;
    상기 제1 밴드 홀더와 상기 제2 밴드 홀더 사이에 마련되는 밴드 가압블록;
    상기 밴드가 두 겹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밴드를 절단하는 나이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밴드 홀더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1 밴드 홀딩 캠;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밴드 홀더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2 밴드 홀딩 캠; 및
    상기 캠 구동축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 가압블록의 상하 움직임을 구현하는 밴드 가압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장치.

KR1020150165401A 2015-11-25 2015-11-25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KR10161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401A KR101615717B1 (ko) 2015-11-25 2015-11-25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401A KR101615717B1 (ko) 2015-11-25 2015-11-25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717B1 true KR101615717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401A KR101615717B1 (ko) 2015-11-25 2015-11-25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7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92U (ko) 2016-09-08 2018-03-19 (주)대한솔루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밴드 끈
CN111230516A (zh) * 2020-02-25 2020-06-05 米伦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兼备夹持旋转助行器配件的治具
KR102637380B1 (ko) 2023-08-01 2024-02-19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92U (ko) 2016-09-08 2018-03-19 (주)대한솔루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밴드 끈
CN111230516A (zh) * 2020-02-25 2020-06-05 米伦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兼备夹持旋转助行器配件的治具
KR102637380B1 (ko) 2023-08-01 2024-02-19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KR20240022526A (ko) 2023-08-01 2024-02-20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KR20240022525A (ko) 2023-08-01 2024-02-20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717B1 (ko)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
US3890763A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CN107848642A (zh) 包装机
EP2501618B1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ackaging of loose products or products placed in trays, with a usually heat-weldable stretch film
JPH0152255B2 (ko)
EP0388561A2 (en) Stretch film bundler
KR100853492B1 (ko) 다발 묶음장치
KR101102137B1 (ko) 랩 포장기
CN110758829B (zh) 一种物流中心的包装箱封装系统及其使用方法
PL1857368T3 (pl) Maszyna automatyczna i sposób pakowania produktów wydawniczych w folię z tworzywa sztucznego
JP5436932B2 (ja) ロール組立体のフィルム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包装方法
KR100597245B1 (ko) 적층된 샌드위치패널의 결속포장기
CN114655497B (zh) 水果包装装置
CN108622474A (zh) 一种装盒机
JPH0725366B2 (ja) 円筒状物品の包装装置
EP2390190A1 (en)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of various kinds into bags of heat weldable plastic material.
KR20220002842A (ko) 면봉 포장시트 접합장치
JP4366214B2 (ja) 結束装置及び結束方法
NL2012357B1 (en) Sealing unit, seal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or gas filled bags, and air or gas filled bag.
US5070676A (en) Stretch bundling
JP5883612B2 (ja) スプライサー
ES2208570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el embalaje automatico continuo de productos.
JP2009208838A (ja) ヒートシール装置
US4423673A (en) Apparatus for predraping strapping about an article to be strapped
JP2003261103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