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01B1 -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01B1
KR102106701B1 KR1020180075524A KR20180075524A KR102106701B1 KR 102106701 B1 KR102106701 B1 KR 102106701B1 KR 1020180075524 A KR1020180075524 A KR 1020180075524A KR 20180075524 A KR20180075524 A KR 20180075524A KR 102106701 B1 KR102106701 B1 KR 10210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ing
clutch shaft
shaft
bel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238A (ko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102018007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5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coils or to clutches having more than one coil i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물품을 결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는 모터(Motor),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테이블(First Table)과 제 2 테이블(Second Table), 상기 모터의 구동축(Driving Axis)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클러치축(Clutch Axis), 상기 클러치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벨트휠(Belt Wheel), 상기 구동축에 배치되는 구동휠(Driving Wheel)과 상기 벨트휠을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벨트(Belt), 상기 클러치축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휠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클러치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lutch), 상기 클러치축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Brake) 및 상기 클러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BINDING APPARATUS INCLUDING 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물품을 결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속장치는 화훼, 계란 및 채소 등과 같은 포장물을 포장끈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결속장치에서는 두 개의 작업테이블이 상호 이격배치되고 포장물이 테이블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장끈이 그 선단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휠대가 포장물을 중심에 두고 회동함으로써 포장끈이 포장물을 감싸 결속시키게 된다.
결속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502570호(문헌 1)에서는 포장물이 배치되는 테이블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암(휠대)이 테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암의 회전과 테이블의 수평에 관한 것이 집중하고 있으며 동력전달에 대한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10-2017-0061954(문헌 2)에서는 모터의 구동력을 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클러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증가(응답속도의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8-019322호(문헌 3)에는 휠대로의 포장끈 공급에 대한 기술적 구성은 개시되어 있으나, 동력을 신속하게 축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998-025381호(문헌 4)와 국내 공개특허 제1999-0068492호(문헌 5)에는 포장끈의 매듭에 대한 기술적 구성은 개시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동력을 신속하게 축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0-1502570호 [문헌 2] 공개특허10-2017-0061954호 [문헌 3]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8-019322호 [문헌 4] 공개특허 제1998-025381호 [문헌 5] 공개특허 제1999-0068492호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클러치축에 전달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에 놓여진 포장물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포장물을 결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는 모터(Motor),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테이블(First Table)과 제 2 테이블(Second Table), 상기 모터의 구동축(Driving Axis)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클러치축(Clutch Axis), 상기 클러치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벨트휠(Belt Wheel), 상기 구동축에 배치되는 구동휠(Driving Wheel)과 상기 벨트휠을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벨트(Belt), 상기 클러치축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휠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클러치축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lutch), 상기 클러치축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Brake) 및 상기 클러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테이블과 상기 제 2 테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Driving Switch)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클러치가 상기 벨트휠에 전자석(Electromagnet)에 의해 밀착되고, 상기 구동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클러치가 상기 벨트휠에서 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Housing) 내에 상기 클러치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Supporting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클러치축이 관통하는 관통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클러치가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는 상기 브레이크가 위치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벨트휠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클러치축에 고정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상기 지지부의 상기 타면에 고정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탈착되고, 상기 구동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테이블 및 상기 제 2 테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테이블 및 상기 제 2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는 전자식 클러치를 적용함으로써 모터의 동력을 클러치로 신속하게 전달하고, 이에 따라 포장물의 결속을 신속하게 진행할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는 포장물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결속을 진행함으로써 포장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결속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클러치부와 브레이크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가압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10A)는 결속부(Binding Part, 10) 및 가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10)는 제 1 테이블(11) 및 제 2 테이블(12)에 걸쳐 놓인 물품(P, 이하에서는 '포장물'이라 칭함)을 포장끈(미도시)을 이용하여 결속할 수 있다.
가압부(20)는 제 1 테이블(11) 또는 제 2 테이블(12)의 상부에 놓인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20)는 프레임(Frame, 24), 가압 플레이트(Pressurization Plate, 21), 가압실린더(22) 및 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4)은 가압부(20)의 다른 부분들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24)의 형상은 변경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임(24)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프레임(24)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4)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구동부(23)는 결속부(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3)는 결속부(10)의 지붕(16)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1)는 가압 실린더(22)를 통해 구동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1)는 구동부(2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속부(10)와 가압부(20)가 분리된 상태로 설명하였지만, 결속부(10)와 가압부(20)는 결합(융합)될 수 있다.
도 2에 결속부(10)와 가압부(20)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결속부(10)는 제 1 테이블(First Table, 11), 제 2 테이블(Second Table, 12), 하우징(Housing, 13), 포장끈 공급부(14), 포장끈(15) 및 지붕(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3) 내에는 클러치축(Clutch Axis) 등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포장끈 공급부(14)에는 포장끈이 감겨있을 수 있다.
포장끈 공급부(14)에 감겨있는 포장끈은 휠대(미도시)로 공급되어, 포장물의 결속에 사용될 수 있다. 포장물의 결속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포장끈 공급부(14)는 하우징(13)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포장끈 공급부(14)는 하우징(13)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지붕(16)은 도시하지 않은 휠대가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820은 도시하지 않은 휠대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S1, S2, S3과 그에 대응하는 화살표는 결속부(10)를 바라보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결속부(10)를 S1 방향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 3에서 설명하고, 결속부(10)를 S2 방향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 5에서 설명하고, 결속부(10)를 S3 방향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결속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결속부(10)는 하우징(13), 클러치축(100), 벨트휠(Belt Wheel, 200), 모터(Motor, 600), 구동휠(Driving Wheel, 620) 및 클러치(Clutch, 300), 브레이크(Brake, 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휠(620)은 모터(600)의 구동축(Driving Axis, 6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휠(620)은 구동축(610)에 고정되어, 구동축(6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축(100)은 모터(600)의 구동축(610)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벨트휠(200)은 클러치축(100)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벨트휠(200)과 클러치축(10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Bearing)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휠(200)과 클러치(300)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벨트휠(200)이 회전하더라도 클러치축(100)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휠(620)과 벨트휠(200)은, 도 4와 같이, 벨트(2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600)의 구동축(610)이 회전하면 구동휠(620)과 함께 벨트휠(200)이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벨트(210)는 구동휠(620)과 벨트휠(200)을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클러치(300)는 클러치축(100)에 배치되고, 벨트휠(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600)의 구동력을 클러치축(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러치(300)는 클러치축(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300)가 벨트휠(200)에 접촉하는 경우 벨트휠(200)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축(100)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300)는 전자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400)는 클러치축(100)에 배치되고, 클러치축(10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4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500은 지지부(Supporting Part)이다.
지지부(500)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13) 내에 클러치축(1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500)는 스크류(Screw, 520)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하우징(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00)는 클러치축(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터(600)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6을 살펴보면, 지지부(500)는 클러치축(100)이 관통하는 관통홀(Hole, 51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축(100)은 지지부(500)의 관통홀(510)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클러치(300)는 지지부(500)의 일면(SF2)에 위치하고, 브레이크(400)는 지지부(500)의 타면(SF1)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클러치(300)는 지지부(500)와 벨트휠(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클러치(300)는 제 1 클러치부(310)와 제 2 클러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러치부(310)는 지지부(500)의 일면(SF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클러치부(310)와 제 2 클러치부(320)는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클러치부(310)가 지지부(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부(320)는 회전가능하다.
아울러, 제 2 클러치부(320)는 클러치축(100)에 고정되어 클러치축(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브레이크(400)는 제 1 부분(First Part, 410)과 제 2 부분(Second Part, 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410)은 클러치축(200)에 고정되어, 클러치축(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2 부분(420)은 지지부(500)의 타면(SF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이 밀착되는 경우 클러치축(100)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결속장치(10)는 동력 전달부(800, 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800, 810)는 클러치축(100)의 회전력을 다른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 전달부(800, 810)는 클러치축(100)의 회전력을 휠대(700)로 전달하여 휠대(700)로 하여금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휠대(700)는 클러치축(100)의 회전에 의해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휠대(700)가 회전하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휠대(700)에 공급된 포장끈이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에 걸쳐 놓인 포장물(P)을 결속할 수 있다.
포장물(P)을 결속한 이후에, 도시하지 않은 매듭부가 포장끈의 매듭을 수행하고, 이후 절단부가 매듭된 포장끈을 절단할 수 있다.
포장끈의 매듭을 수행하는 매듭부와 포장끈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부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력 전달부(800, 810)는 제 1 동력 전달부(800)와 제 2 동력 전달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동력 전달부(800)는 클러치축(100)의 회전력을 제 2 동력 전달부(81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동력 전달부(810)는 제 1 동력 전달부(800)의 회전력을 휠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동력 전달부(800, 810)가 두 개의 기어(Gear)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동력 전달부(800, 810)는 기어가 아닌 벨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3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동력 전달부(800, 810)는 클러치축(100)의 회전력을 휠대(700)가 아닌 다른 부분, 예컨대 매듭부 및/또는 절단부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830은 제 2 테이블(12)과 휠대(700)를 연결하는 연결부일 수 있다. 연결부(830)는 휠대(700)가 회전하더라도 제 2 테이블(12)이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러치부(300)와 브레이크(400)의 구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클러치부와 브레이크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A)는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Driving Switch, SW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스위치(SW1)는 클러치(300)에게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S1)를 제 1 스위치(SW1)라고 칭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제 1 기간(D1)에서 제 1 스위치(SW1)가 턴-온(Turn-On)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기간(D1)에서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어 클러치(300)가 활성화(On)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작업자)가 제 1 스위치(SW1)를 눌러 클러치(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클러치(300)가 활성화되면 클러치(300)에 포함된 전자석(Electromagnet)에 의해 클러치(300)가 벨트휠(200)에 밀착될 수 있다. 클러치(300)와 벨트휠(200)의 밀착을 도면에서 영역 B에서 표시하였다.
제 1 기간(D1)에서는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탈착될 수 있다.
브레이크(400)가 전자식 브레이크인 경우, 브레이크(400)에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을 탈착시킬 수 있다.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의 탈착을 도면에서 영역 A에서 표시하였다.
이러한 제 1 기간(D1)에서는 모터(600)의 회전력이 벨트휠(200)을 통해 클러치축(100)으로 전달되고 클러치축(100)이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클러치축(100)의 회전력은 휠대(700)에 전달되어 휠대(700)가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장물(P)을 결속할 수 있다. 포장물(P)의 결속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기간(D2)에서는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러치(300)가 비활성화(Off)될 수 있다.
여기서는, 클러치(300)의 전자석이 자력을 잃게 되고, 이로 인해 클러치(300)가 벨트휠(200)로부터 탈착되고, 이에 따라 휠대(700)의 회전이 단속될 수 있다.
제 2 기간(D2)에서는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기간(D2)에서 클러치(300)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클러치(300)가 비활성화(Off)될 수 있다.
클러치(300)가 비활성화되면 클러치(300)에 포함된 전자석이 자력을 잃어 클러치(300)가 벨트휠(2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클러치(300)와 벨트휠(200)의 탈착을 도면에서 영역 D에서 표시하였다.
제 2 기간(D2)에서는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브레이크(400)가 전자식 브레이크인 경우, 브레이크(40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자력에 의해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을 밀착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의 밀착을 도면에서 영역 C에서 표시하였다.
이러한 제 2 기간(D2)에서는 모터(600)의 회전력이 클러치축(100)으로 전달되지 않아서 클러치축(100)의 회전이 단속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에 걸쳐 놓인 포장물(P)을 결속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러치(300)를 전자식으로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여 포장물(P)의 결속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결속장치(10A)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발 스위치(Foot Switch)를 이용하여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반복적인 동작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전자식으로 클러치(30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작은힘으로 클러치(300)의 구동이 가능하여 부상 유발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압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가압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A)에서 가압부(20)는 제 1 테이블(11) 및 제 2 테이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테이블(11) 및 제 2 테이블(12)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가압부(20)의 가압 플레이트(21)는 제 1 테이블(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테이블(11)을 향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에 걸쳐 놓인 포장물(P)에서 제 1 테이블(11)에 대응되는 부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20)를 제 1 스위치(SW1), 즉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클러치(300)와 가압부(20)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제 10 기간(D10)에서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될 수 있다.
제 10 기간(D10)에서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더라도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클러치(300)가 비활성화(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가압부(20)는 활성화될 수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400)도 활성화(On)되어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러치축(100)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가압부(20)는 활성화되어 가압 플레이트(21)가 제 1 테이블(11)을 향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B)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21)가 제 1 테이블(11)에 놓인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해 포장물(P)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후, 제 11 기간(D11)에서는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어 클러치가 활성화(On)될 수 있다. 반면에, 브레이크(400)는 비활성화(Off)되어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서로 탈착될 수 있다.
그러면, 가압 플레이트(21)가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해 포장물(P)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포장물(P)을 결속할 수 있다. 포장물(P)의 결속 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제 12 기간(D12)에서는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될 수 있다. 그러면, 클러치(300)와 가압부(20)가 모두 비활성화(Off)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압부(20)는 도 14의 (A)와 같이, 압력을 해제하고, 클러치축(100)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치(SW1)와 별개로 가압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치(SW2)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 20 기간(D20)에서 제 1 스위치(SW1)는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치(SW2)는 턴-온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스위치(SW1)의 턴-오프에 따라 클러치(300)는 비활성화되고, 제 2 스위치(SW2)의 턴-온에 따라 가압부(20)는 활성화될 수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400)도 활성화(On)되어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러치축(100)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가압부(20)는 활성화되어 가압 플레이트(21)가 제 1 테이블(11)을 향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 제 21 기간(D21)에서는 제 2 스위치(SW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SW1)는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어 클러치가 활성화(On)될 수 있다. 반면에, 브레이크(400)는 비활성화(Off)되어 브레이크(400)의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서로 탈착될 수 있다.
그러면, 가압 플레이트(21)가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해 포장물(P)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포장물(P)을 결속할 수 있다. 포장물(P)의 결속 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제 22 기간(D22)에서는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가 턴-오프될 수 있다. 그러면, 클러치(300)와 가압부(20)가 모두 비활성화(Off)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모터(Motor)(600);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테이블(First Table)(11)과 제 2 테이블(Second Table)(12); 모터(600)의 구동축(Driving Axis)(610)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클러치축(Clutch Axis)(100); 클러치축(100)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벨트휠(Belt Wheel)(200); 구동축(610)에 배치되는 구동휠(Driving Wheel)(620)과 벨트휠(200)을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벨트(Belt)(210); 클러치축(100)에 배치되고, 벨트휠(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600)의 구동력을 클러치축(100)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lutch)(300); 클러치축(100)에 배치되고, 클러치축(100)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Brake)(400); 클러치축(100)의 회전에 의해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대(700); 하우징(13) 내에 클러치축(1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크류(Screw, 520)에 해당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하우징(13)에 연결되어 클러치축(100)을 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 클러치축(100)이 관통하는 관통홀(Hole)(510)을 포함하는 지지부(500); 및 제 1 테이블(11) 및 제 2 테이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테이블(11) 및 제 2 테이블(12)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20); 및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Driving Switch)(SW1)를 포함하고,
    클러치(300)는 지지부(500)와 벨트휠(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클러치(300)와 브레이크(400) 각각은 지지부(500)의 일면(SF2) 및 타면(SF1)에 위치하며,
    클러치(300)는, 지지부(500)와 벨트휠(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클러치부(310)와 제 2 클러치부(320)를 포함하며, 제 1 클러치부(310)는, 지지부(500)의 일면(SF2)에 고정되며, 제 1 클러치부(310)와 제 2 클러치부(320)는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제 1 클러치부(310)가 지지부(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클러치부(320)가 회전가능하며, 제 2 클러치부(320)는, 클러치축(100)에 고정되어 클러치축(100)과 함께 회전하며,
    브레이크(400)는, 제 1 부분(First Part, 410)과 제 2 부분(Second Part, 420)을 포함하며, 제 1 부분(410)은 클러치축(200)에 고정되어, 클러치축(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제 2 부분(420)은 지지부(500)의 타면(SF1)에 고정됨으로써,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이 밀착되는 경우 클러치축(10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며,
    제 1 테이블(11)과 제 2 테이블(12)에 걸쳐 놓인 포장물(P)에서 제 1 테이블(11)에 대응되는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클러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인 구동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가압부(20)를 함께 구동시키며,
    제 1 구간에서 구동 스위치(SW1)가 턴-온되는 경우,
    제 1 구간에서 구동 스위치(SW1)가 턴-온되더라도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클러치(300)가 비활성화(Off)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가압부(20)는 활성화되고, 브레이크(400)도 활성화(On)되어 클러치축(100)이 회전하지 않으며, 가압부(20)는 활성화되어 가압 플레이트(21)가 제 1 테이블(11)을 향해 압력을 가하여 가압 플레이트(21)가 제 1 테이블(11)에 놓인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해 포장물(P)의 부피를 줄이며,
    제 2 구간에서는 구동 스위치(SW1)가 턴-온 상태에서 클러치(300)에 전력이 공급되어 클러치가 활성화(On)되고, 브레이크(400)는 비활성화(Off)되어 가압 플레이트(21)가 포장물(P)에 압력을 가해 포장물(P)의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포장물(P)을 결속시키며,
    제 3 구간에서는 구동 스위치(SW1)가 턴-오프되면, 클러치(300)와 가압부(20)가 모두 비활성화(Off)되는 경우, 가압부(20)는 압력을 해제하고, 클러치축(100)의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스위치(SW1)가 온(On) 상태인 경우, 클러치(300)가 벨트휠(200)에 전자석(Electromagnet)에 의해 밀착되고,
    구동 스위치(SW1)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클러치(300)가 벨트휠(200)에서 탈착되는 결속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스위치(SW1)가 온 상태인 경우,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탈착되고,
    구동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 1 부분(410)과 제 2 부분(420)은 밀착되는 결속장치.
  5. 삭제
KR1020180075524A 2018-06-29 2018-06-29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KR10210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24A KR102106701B1 (ko) 2018-06-29 2018-06-29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24A KR102106701B1 (ko) 2018-06-29 2018-06-29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38A KR20200002238A (ko) 2020-01-08
KR102106701B1 true KR102106701B1 (ko) 2020-05-28

Family

ID=6915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524A KR102106701B1 (ko) 2018-06-29 2018-06-29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949A (ja) * 2007-06-06 2008-12-18 Yamada Kikai Kogyo Co Ltd 結束アームの原点位置設定機構
JP2018039534A (ja) * 2016-09-08 2018-03-15 ミツイワ株式会社 物品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210U (ja) * 1991-12-30 1993-07-20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結束機械
KR100196727B1 (ko) 1996-10-01 1999-06-15 박종화 포장끈 자동결속기의 노터 레버 조절장치
KR19980019322A (ko) 1998-03-06 1998-06-05 박명칠 건강지압매트(Healthamt)
KR19990068492A (ko) 1999-05-26 1999-09-06 이동관 포장용끈자동결속장치
KR100853492B1 (ko) * 2007-01-04 2008-08-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발 묶음장치
KR101502570B1 (ko) 2014-08-04 2015-03-16 은 식 신 포장끈 자동 결속장치
KR20170061954A (ko) 2015-11-27 2017-06-07 은 식 신 포장끈 자동결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949A (ja) * 2007-06-06 2008-12-18 Yamada Kikai Kogyo Co Ltd 結束アームの原点位置設定機構
JP2018039534A (ja) * 2016-09-08 2018-03-15 ミツイワ株式会社 物品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38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29178A5 (ko)
CN104210867B (zh) 一种可调节式全自动翻转机及其方法
CN205931467U (zh) 一种纸箱缠胶带机
US7707802B2 (en) Film roping assembly for use within film wrapping or packaging machines
TWI245732B (en) Wrapping machine and method for wrapping a plastic foil web around an object
WO2005077644A3 (fr) Dispositif de depose de nappe ou de fils dans un moule pour la fabrication des pieces en materiaux composites
AU2013286810A1 (en) Pallet wrapping machinery
CN205418228U (zh) 捆扎机及其滚筒输送带传动装置
CN105845281B (zh) 一种组合式包胶机及其使用方法
MXPA02006390A (es) Dispositivo semiautomatico para cortar y sujetar pelicula, y metodo para operarlo.
KR102106701B1 (ko) 전자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결속장치
JP2017523935A (ja) グレージングパネル取外し装置
KR20170136745A (ko) 제동기능을 갖는 턴테이블 랩핑장치
CN101733830A (zh) 石膏板包边机
CN201745817U (zh) 毛毯装箱压实用的压包机
CN207998053U (zh) 一种便于携带的机械设备包装架
CN108766746B (zh) 一种变压器包胶机
US10584451B2 (en) Device for removing road tape
CN207791254U (zh) 用于打包机的气缸顶升转向装置
CN113636136A (zh) 一种应用于物流运输的节能捆扎包装设备
CN106968048A (zh) 一种双股绳一次多结的打结方法
CN217074906U (zh) 一种包扎机
CN205440954U (zh) 一种包装纸板捆绑机
CN209607587U (zh) 一种变压器线圈绕线设备
KR20170061954A (ko) 포장끈 자동결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