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446B1 -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 Google Patents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446B1
KR101159446B1 KR1020100057616A KR20100057616A KR101159446B1 KR 101159446 B1 KR101159446 B1 KR 101159446B1 KR 1020100057616 A KR1020100057616 A KR 1020100057616A KR 20100057616 A KR20100057616 A KR 20100057616A KR 101159446 B1 KR101159446 B1 KR 10115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cutting
pulley
belt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599A (ko
Inventor
안용우
Original Assignee
안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우 filed Critical 안용우
Priority to KR102010005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4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4Feeding webs from roll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폭의 랩을 장착시키더라도 다양한 폭 길이의 랩에 따라 견인컨베이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랩포장을 준비하고,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달성하되 그 부피가 작으며 정확하도록 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길이의 랩을 선택하면, 랩을 그 적당한 크기로 랩이송부를 통해서 풀어주고, 적당한 길이에서 랩커팅부를 통해서 절단하며, 다시 랩이송부를 통해서 랩핑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셋팅되는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달성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Description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The transfer unit of rap}
본 발명은 랩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폭의 랩을 장착시키더라도 다양한 폭 길이의 랩에 따라 견인컨베이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랩포장을 준비하고,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달성하되 그 부피가 작으며 정확하도록 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길이의 랩을 선택하면, 랩을 그 적당한 크기로 랩이송부를 통해서 풀어주고, 적당한 길이에서 랩커팅부를 통해서 절단하며, 다시 랩이송부를 통해서 랩핑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셋팅되는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달성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일반적으로 랩핑기는 투명한 재질의 필름인 랩을 통해서 다양한 상품을 자동으로 포장해주는 기계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랩핑기에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랩핑기는 첫째, 하나의 고정된 랩만이 사용될 수 있었다. 즉, 랩의 끝단을 잡고 적당한 길이로 뽑아내서 사용해야만 하기에 기체는 하나의 랩에만 고정되어 있다. 랩의 폭에서 좌우측단을 잡고 견인해야만 하기에 그러하다.
만일 랩의 폭이 다른 것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기체를 모두 뜯어 내고, 랩을 견인시키는 수단을 모두 재 장착해야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활용가능성이 낮았던 것이다. 특히나 종래의 랩핑기는 그 부피가 너무 커서 작은 사업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보다 중요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랩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폭의 랩을 장착시키더라도 다양한 폭 길이의 랩에 따라 견인컨베이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랩포장을 준비하고,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달성하되 그 부피가 작으며 정확하도록 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길이의 랩을 선택하면, 랩을 그 적당한 크기로 랩이송부를 통해서 풀어주고, 적당한 길이에서 랩커팅부를 통해서 절단하며, 다시 랩이송부를 통해서 랩핑을 위한 최적의 위치로 셋팅되는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달성한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는,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 랩장착부(110)에 장착된 랩(1)의 폭에 따라 랩이송부(130)의 견인컨베이어(14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작동부(120); 상기 랩장착부(110)의 상부로 올려진 랩(1)을 견인하여 랩핑을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랩이송부(130); 포장을 위한 거리만큼 이송된 랩(1)을 커팅하는 랩커팅부(150);가 결합하여 포장을 위한 랩을 이송시키고 커팅한다.
또한 본 발명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따른, 랩이송부(130)는, 랩(1)의 좌우 양단을 견인하기 위해 2개의 견인컨베이어(140)로 형성하되, 하나는 고정된 위치를 확보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랩(1)의 폭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설치하고 : 견인컨베이어(140)는, 견인컨베이어(140) 프레임패널(141)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롤(142)과; 상부롤(1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단에 체결되는 다수의 하부롤(143); 및 상기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된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가; 결합하여 상기 상부와 하부견인밸트(145)의 사이에 랩(1)의 끝단을 끼우고 서로 면접에서 클랩핑한 상태에서 랩(1)을 견인시키며 :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간의 긴밀한 면접을 위해서, 견인밸트는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1
"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로 겹쳐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따른, 하부견인밸트(145) 하단에는,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밸트(133)를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밸트(134)에 밀어 밀착시키는 3개의 지지밀개(135)와 이를 링크(136)구조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7)가 체결되고 : 랩이송부(130)의 견인컨베이어(14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작동부(120)는, 모터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타이밍풀리(121)와, 회전샤프트(122)의 끝단에 고정된 제2타이밍풀리(123)를 연결하는 제1타이밍밸트(124); 상기 회전샤프트(122)의 좌우 끝단부분에 체결되는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상기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대응되게 기체에 체결된 제5, 6타이밍풀리(127, 128); 상기 제3과 5타이밍풀리(125, 127)와 제4와 6타이밍풀리(126, 128)를 연결하는 제2, 3타이밍밸트(A, B); 및 연동견인컨베이어(140-2)의 하단에 체결된 쌍의 가이더(171)가 관통되어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연동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2);이 결합하되, 상기 제2, 3타이밍밸트(A, B)의 일측과 상기 가이더(171)가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이 회전샤프트(122)을 통해서 제2, 3타이밍밸트(A, B)를 이동시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좌우 방향 연동시키며 :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는, 기체의 하단에 장착된 랩장착풀(111); 랩장착풀(111)의 상단으로 랩(1)의 끝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112); 견인컨베이어(140)의 프레임패널(141)에서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에 형성된 사선의 장착홈(113);이 결합하여 랩(1)의 끝단을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인 랩 장착홈(113)에 끼워 넣어 작동을 시작한다.
또한 본 발명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따른, 랩커팅부(150)는, 랩장착부(110)의 기체 하단에 플레이트형태로 일측면이 다수의 날로 형성된 커팅 브레이드(151)와 브레이드를 지지하는 브레이드패널(152);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의 양단에 수직된 방향으로 체결되는 편심힌지(153)이 돌출된 편심블럭(154); 상기 편심블럭(154)에서 돌출된 편심힌지(153)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180);이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이 편심블럭(154)의 편심힌지(153)를 회동시켜, 편심블럭(154)에 결합된 상기 브레이드패널(152)과 커팅 브레이드(151)를 상하로 연동시키며 브레이드(151)의 끝단 커팅부(151-1)를 통해 랩을 절단하고 : 동력전달수단(180)은,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견인벨트(145)를 회동시키는 끝단 하부롤(143)의 축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풀리(181); 랩장착부(110)의 가이드롤(112) 축(182)단에 고정되는 가이드롤풀리(183); 동력전달풀리(181) 하단에 형성된 장형의 케리어샤프트(184) 끝단에 고정되는 커팅전달풀리(185); 가이드롤풀리(183)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조절풀리(186); 동력전달풀리(181)의 회전력을 일부 차용하여 랩(1)의 커팅하는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 및 상기 동력전달풀리(181),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와 장력조절풀리(186)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동력밸트(187);가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풀리(18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통해서 간헐적으로 브레이드패널(152)을 작동시키며 :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은, 케리어샤프트(184)의 일측에 고정되는 커팅풀리(191); 편심블럭(154)에 형성된 쌍의 편심힌지(153)에 쌍으로 장착되어 편심블럭(154)이 편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하 편심풀리(192,193); 가이드롤(112) 축 일측단과 케리어샤프트(184) 타단에 고정되는 클러치(194); 상기 커팅풀리(191), 상하 편심풀리(192, 19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편심밸트(195);가 결합하여 상기 케리어샤프트(184)가 회전을 하면, 그 커팅풀리(191)가 회전을 하며 편심밸트(195)를 통해 상하 편심풀리(192, 193)를 회동시키고, 편심풀리(192, 193)에 결합된 편심힌지(153)과 편심블럭(154) 및 브레이드패널(152)을 연동하여 랩(1)을 커팅한다.
또한 본 발명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따른, 클러치(194)는, 대다수의 작동은 동력밸트(187)를 통해서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하고, 동력전달풀리(181)가 결합된 케리어샤프트(184)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랩(1)의 커팅시에는 클러치(194)가 케리어샤프트(184)를 잡아 커팅전달풀리(185)를 동력전달풀리(181)와 함께 회전시켜 커팅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아주 다양한 폭 길이를 가진 랩을 장착해도 기체가 랩의 폭에 따라 견인컨베이어를 자체적으로 이송시켜 작동시키기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좌우 방향에 배치된 2개의 견인컨베이어를 통해서 랩의 끝단을 잡아당기기에 랩의 견인이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견인되는 랩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견인컨베이어만을 이용하여 랩을 견인하기에 부피가 작으며, 그에 따라 협소한 현장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랩핑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가 하우징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의 체결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의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견인컨베어어가 좌우방향으로 폭을 맞추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랩이 그 장착홈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가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는 연동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의 작동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랩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랩커팅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랩커팅부의 모습을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랩커팅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 클러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 랩커팅부의 작동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와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가 있고, 랩장착부(110)에 장착된 랩(1)의 폭에 따라 랩이송부(130)의 견인컨베이어(14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작동부(120)이 있으며, 상기 랩장착부(110)의 상부로 올려진 랩(1)을 견인하여 랩핑을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랩이송부(130)가 있다. 또한 포장을 위한 길이만큼 이송된 랩(1)을 커팅하는 랩커팅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포장을 위한 랩을 이송시키고 커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을 크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상품에 따른 랩핑 포장을 위해서 적당한 폭 크기의 랩을 선정하여 장착하는 단계에서부터, 그 랩의 끝단을 뽑아 견인하여 적당함 길이로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랩을 향해여 포장을 위한 상품을 이동시키고 상부포장을 하는 단계, 포장의 마감을 하는 단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계 중 랩을 장착하고, 이 장착된 랩을 적당한 길이로 뽑아 커팅하는 작동 및 랩핑을 위한 적당한 위치로 커팅된 랩을 이송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랩 이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랩 이송유니트는 다시 랩장착부(110)와 랩이송부(130), 컨베이어작동부(120) 및 랩커팅부(150)로 이루어진다. 랩장착부(110)는 랩(1)을 기체의 일측에 장착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랩장착부(110)는 다양한 폭을 가진 랩이 장착될 수 있다. 작은 물건이나 상품의 경우는 포장을 위한 랩(1)의 폭이 작아야만 하고 그 길이도 작아야 한다. 긴 길이의 랩(1)은 사실상 불필요하며 자원 낭비가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큰 물건이나 상품은 보다 큰 길이와 폭을 가진 랩(1)을 이용하여 랩핑 포장을 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의 랩핑기는 이렇게 다양한 상품을 위한 랩의 폭을 조절하기 힘들었다. 항상 같은 폭의 랩(1)만을 사용하여 포장을 하여야만 한 것이다. 물론 약간의 조절이 가능한 랩핑기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그 작동이 어렵고, 그 부피가 크며 고가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2개의 견인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였다.
언급된 랩장착부(110)는 이렇게 폭의 길이가 다른 랩을 손쉽게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랩장착부(110)에 지관과 함께 결합된 랩(1)은 그 끝단이 뽑혀서 상부로 올라오고, 랩이송부(130)를 통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중요한 점이 있다. 상기 랩장착부(110)에 장착되는 랩(1)은 어떤 랩(1)인지 그 폭은 어느 정도의 길이인지가 중요하다. 그리고 이 랩(1)이 다 사용되고 나서 다른 랩(1)으로 교체되면, 이 교체된 랩(1)에 따라 랩(1)의 끝단을 잡고 견인하는 견인컨베이어(140)는 랩(1)의 폭에 맞추어 이동을 해야만 한다. 좌우 양단의 랩(1)을 잡고 끌어 당겨야만 하기에 장착된 랩(1)의 폭과 상기 견인컨베이어(140)는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컨베이어작동부(120)는 이렇게 다양한 랩(1) 폭의 길이에 따라 견인컨베이어(140)를 이동시켜 적정한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다음으로 이렇게 랩(1)이 장착되면, 적당한 길이로 견인되어 랩(1)이 이송되어야 한다. 포장을 요하는 상품에 따라서 필요한 랩(1)의 길이는 다 다르다. 따라서 필요한 길이만큰 이송시키고 그 끝단을 커팅해야 만 다음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랩(1)을 이송시키는 구성이 랩이송부(130)이고, 그 끝단을 절단시키는 구성이 랩커팅부(150)이다. 결국 본 발명의 랩 이송유니트는 랩장착부(110), 컨베이어작동부(120), 랩이송부(130), 랩커팅부(150)로 이루어진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들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랩이송부(130)를 도시된 도 1 내지 6과 함께 설명한다. 랩이송부(130)는, 랩(1)의 좌우 양단을 견인하기 위해 2개의 견인컨베이어(140)로 형성하되, 하나는 고정된 위치를 확보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랩(1)의 폭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랩이 도시된 도 6에서처럼 장착되고 나면, 그 끝단을 당겨 견인컨베이어(140)의 장착홈(113)에 끼워져야만 한다. 이 장착홈(113)에 끼워지면 후술될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 사이에 랩(1)의 양단이 끼이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바로 이렇게 견인컨베이어(140)에 낀 랩(1)의 끝단은 견인컨베이어(140)의 작동에 따라 견인되어 적당한 길이로 뽑힐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랩이송부(130)는 랩(1)의 양단을 클램핑해야만 하기에 좌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되어야 한다. 장착되는 랩(1)의 폭은 항상 변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폭의 랩(1)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측의 견인컨베이어(140)는 같이 이동되어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는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를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을 벌리고 또 하나의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설치하여 다양한 랩(1) 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변화된 랩(1)의 폭만큼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이동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럼 상기 고정견인컨베이어(140-1)와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로 구분되는 견인컨베이어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견인컨베이어(140)는, 견인컨베이어(140) 프레임패널(141)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롤(142)이 있고, 상부롤(1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단에 체결되는 다수의 하부롤(143)이 있으며, 상기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된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상부와 하부견인밸트(145)의 사이에 랩(1)의 끝단을 끼우고 서로 면접에서 클랩핑한 상태에서 랩(1)을 견인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12에는 개략적인 견인컨베이어(14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견인컨베이어(140)는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나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나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단지 고정되거나 연동가능한 차이만 있는 것이다. 보다 자세히 이 견인컨베이어(140)를 살펴보면,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상부롤(142), 하부롤(14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142)의 외주면을 타고 감아놓은 상부견인밸트(144)가 있고, 그 하단으로 하부견인밸트(145)가 있는데,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단부분과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단부분은 면접하여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140)에서 중요한 사항은 상기 상부견인벨트(144)와 하부견인벨트(145) 사이에 랩(1)이 끼워진다는 점이다.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 사이에 끼여진 랩(1)은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가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면, 사이에 낀 랩(1)을 잡아 같이 이동시킨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랩장착부(110)에 감긴 랩(1)을 풀어 적당히 당겨주는 것이다. 이때 당겨주는 거리는 이미 포장되어야 할 상품의 부피나 크기에 따라 컨트롤러를 통해서 설정된 상태이기에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회전수는 조절될 것이다.
특이하게는, 상기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간의 긴밀한 면접을 위해서, 견인밸트는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2
"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로 겹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12와 기타 도면에서 보이듯,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140)는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를 배열시킴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개구된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3
"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러나 아래 방향 개구된 형상은 상부견인밸트(144)뿐만이 아니고 하부견인밸트(145)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서로 상부와 하부에서 포개어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렇게 상부롤(142)과 하부롤(143)를 배열하고 그 외주면에 별도의 견인밸트를 감아 위치시킨 이유는 크게 2가지이다.
첫째, 아래 방향에서 올라오는 랩의 끝단이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의 사이에 용이하게 끼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는 서로 면접하여 그 사이에 끼인 랩(1)을 클램핑하여 이동시켜야만 하기에 서로 견고히 밀착되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밀착도를 높일 수 있는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의 체결형상은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4
"한 형태여야 가장 합리적이었다.
물론 이를 위해서 하부견인밸트(145) 하단에는,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밸트(133)를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밸트(134)에 밀어 밀착시키는 3개의 지지밀개(135)와 이를 링크(136)구조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7)가 체결된다. 이 부분은 상기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밸트(133)와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밸트(134)를 더욱 견고히 밀착시켜, 하밸트(134)와 상밸트(133) 사이에 낀 랩(1)을 견고히 클램핑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솔레노이드(137)가 그 축을 연장시키면, 그 축단에 고정된 링크(136)가 타측 방향으로 상부로 상승시키면서 지지밀개(135)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이 지지밀개(135)의 가압력은 상기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밸트(133)를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밸트(134)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그 사이에 낀 랩(1)을 견고히 클램핑하는 것이다. 이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랩(1)은 이송하면서도 견인밸트 사이에 클램핑된 상태로 소망하는 거리만큼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은 각각 3개 내지 20개를 조합하여 견고한 밀착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을 다수개 장착시키면 그 비용이 증가되고 다소 뻑뻑한 작동이 될 소지가 있다. 그러나 너무 작으면 밀착도가 떨어져서 랩(1)을 견인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할 소지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5
" 형상으로 상부, 하부견인밸트(145)를 배열하고 있기에 꺽인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소한 3개 또는 4의 상부롤(142)가 하부롤(143)이 존재해야만 하며,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서 중심부분에도 다수의 롤을 배열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랩이송부(130)의 견인컨베이어(14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작동부(120)의 구성을 도시된 도 7 내지 11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작동부(120)는, 모터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타이밍풀리(121)와, 회전샤프트(122)의 끝단에 고정된 제2타이밍풀리(123)를 연결하는 제1타이밍밸트(124)가 있고, 상기 회전샤프트(122)의 좌우 끝단부분에 체결되는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상기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대응되게 기체에 체결된 제5, 6타이밍풀리(127, 128)가 있으며, 상기 제3과 5타이밍풀리(125, 127)와 제4와 6타이밍풀리(126, 128)를 연결하는 제2, 3타이밍밸트(A, B)가 있다. 또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의 하단에 체결된 쌍의 가이더(171)가 관통되어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연동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2)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제2, 3타이밍밸트(A, B)의 일측과 상기 가이더(171)가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이 회전샤프트(122)을 통해서 제2, 3타이밍밸트(A, B)를 이동시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좌우 방향 연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견인컨베이어(140)는 설명된 것처럼, 하나는 고정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이고 다른 하나는 연동견인컨베이어(140-2)이다. 랩(1)은 포장되는 상품에 따라서 다양한 폭의 길이를 가질 수 있기에 포장되는 상품이 변경되면 랩(1)의 폭도 다르게 변화를 가져야만 한다. 바로 이때 랩(1)이 변경되면 그 변경된 랩(1)의 폭에 따라 고정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는 그대로 있고,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이동을 하게 된다. 이 이동을 위해서 본 발명은 전술된 컨베이어작동부(130)를 설치한 것이다. 그 작동의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모터가 회전을 하면, 그 모터의 회전에 따라 축단에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21)가 회전을 한다. 이 제1타이밍풀리(121)는 제1타이밍밸트(124)를 통해서 회전샤프트(122)의 제2타이밍풀리(123)와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2개의 견인컨베이어(140)와 수직된 상태로 기체에 회전샤프트(122)가 체결되어 있고, 그 일측단에 도시된 제2타이밍풀리(123)가 고정되는데, 상기 모터의 축단에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21)와 회전샤프트(122)의 일측단에 고정된 제2타이밍풀리(123)는 제1타이밍밸트(124)를 통해서 연결된 상태이다.
결국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제1타이밍밸트(124)를 통해서 회전샤프트(122)가 회전한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22)에는 또 다른 제3, 4타이밍풀리(125, 126)가 체결되어 있고, 기체에 대응되는 제5, 6타이밍풀리(127, 128)와 제2, 3타이밍밸트(123, 12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3타이밍밸트(A, B)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하여 타이밍밸트에 체결된 가이더(171)를 좌우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가이더(171)는 연동견인컨베이어(140-2)의 하단에 체결되고, 그 중심부에 가이드레일(17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기체에 체결된 상태이다. 즉, 가이드레일(172)을 타고 상기 가이더(171)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는 상기 가이드레일(172)을 타고 이동할 때, 타측의 고정견인컨베이어(170-1)와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는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구조에 따라서 기체 일측의 모터가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축단에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21)가 제1타이밍밸트(124)를 연동시키고, 이 연동에 따라 제2타이밍풀리(123)가 고정된 회전샤프트(122)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122)에는 별도의 제3, 과 4타이밍풀리(125, 126)가 체결된 상태이기에 동일하게 회전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3타이밍풀리(125)는 제5타이밍풀리(127)와 제2타이밍밸트(A)를 통해서 연결되고, 제4타이밍풀리(126)는 제6타이밍풀리(128)와 제3타이밍밸트(B)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에 제2, 3타이밍밸트(123, 125)가 고정된 가이더(171)를 잡고 연동을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이더(171)의 상단에는 상기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체결된 상태이기에 모터의 회전은 상기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도 있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폭이 좁은 랩(1)이 장착되었을 때의 작동모습이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폭이 넓은 랩(1)이 장착되었을 때의 작동모습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앞에서 약간의 설명을 해놓은,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는, 기체의 하단에 장착된 랩장착풀(111)이 있고, 랩장착풀(111)의 상단으로 랩(1)의 끝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112)이 있으며, 견인컨베이어(140)의 프레임패널(141)에서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에 형성된 사선의 장착홈(113)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랩(1)의 끝단을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인 랩 장착홈(113)에 끼워 넣어 작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즉, 랩장착부(110)는, 서로 다른 폭의 랩(1)을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랩(1)의 지관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그 폭의 제한 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한편 이 랩장착부(110) 상단으로 가이드롤(112)이 있는데, 이 가이드롤(112)의 외주면을 감은 상태에서 랩(1)은 공급된다. 랩장착풀(111)에 감긴 상태에서 그 끝단이 풀려 가이드롤(112)의 외주면에 감기고, 그 끝단은 다시 상승하여 견인컨베이어(140)의 프레임패널(141)에 형성된 사선의 장착홈(113)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113)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끝단의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사이에 형성되기에 만일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의 장착홈(113)에 끼워진 랩(1)의 끝단은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외주면을 감은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에 끼인 상태로 기체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바로 본 발명은 간단하게 사람이 랩(1)의 끝단을 프레임패널(141)의 장착홈(113)에 끼워주는 작동 만하게 되면, 바로 공급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아주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랩커팅부(150)가 있다. 도시된 도 10 내지 14에서처럼, 상기 랩커팅부(150)는, 랩장착부(110)의 기체 하단에 플레이트형태로 일측면이 다수의 날로 형성된 커팅 브레이드(151)와 브레이드를 지지하는 브레이드패널(152)이 있고,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의 양단에 수직된 방향으로 체결되는 편심힌지(153)이 돌출된 편심블럭(154)이 있으며, 상기 편심블럭(154)에서 돌출된 편심힌지(153)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180)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이 편심블럭(154)의 편심힌지(153)를 회동시켜, 편심블럭(154)에 결합된 상기 브레이드패널(152)과 커팅 브레이드(151)를 상하로 연동시키며 브레이드(151)의 끝단 커팅부(151-1)를 통해 랩을 절단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10의 분해사시도를 통해서 그 작동을 설명하자면, 가이드롤(112)의 하부에 상부로 그 커팅부(151-1)가 올라서는 방향으로 브레이드(151)가 그 브레이드패널(15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의 좌우측단에는 도시된 편심블럭(154)이 장착된다. 상기 편심블럭(154)에는 별도의 체결클램프가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의 측단면과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만일 편심블럭(154)이 연동하게 되면, 그 연동방향에 따라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이 연동하고, 그 끝단의 브레이드 커팅부(151-1)가 랩(1)을 절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브레이드패널(152)의 연동은 상기 편심블럭(154)이 정 원형의 연동운동이 아닌 편심된 방향의 연동운동을 유지하여 커팅을 하는 방식이다. 즉, 편심블럭(154)에서 돌출된 편심힌지(153)가 동력을 전달받아 편심된 상태로 연동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따라 편심블럭(154)이 연동운동을 하고, 브레이드패널(152)이 연동하여 랩(1)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심블럭(154)의 돌출된 편심힌지(153)의 연동은 이 편심힌지(153)에 체결되는 동력전달수단(180)을 통해서 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력전달수단(180)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작동을 살펴본다.
도시된 도 10 내지 도 15에서처럼,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은,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견인벨트(145)를 회동시키는 끝단 하부롤(143)의 축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풀리(181)가 있고, 랩장착부(110)의 가이드롤(112) 축(182)단에 고정되는 가이드롤풀리(183)가 있으며, 동력전달풀리(181) 하단에 형성된 장형의 케리어샤프트(184) 끝단에 고정되는 커팅전달풀리(185)가 있다. 또한 가이드롤풀리(183)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조절풀리(186)가 있고, 동력전달풀리(181)의 회전력을 일부 차용하여 랩(1)의 커팅하는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풀리(181),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와 장력조절풀리(186)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동력밸트(187)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풀리(18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통해서 간헐적으로 브레이드패널(152)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동력전달수단(180)이 중요한 이유는 상기 편심힌지(153)를 연동시켜 브레이드(151)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동력을 본 발명에서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은 이미 전술된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롤(14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그대로 차용하여 본 발명의 커팅수단을 간헐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하부견인벨트(14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롤(143) 축단에 동력전달풀리(181)가 고정된다. 이 동력전달풀리(181)는 상기 하부롤(143)의 축단에 고정된 상태이기에 상기 하부롤(143)이 회전을 하면 동일한 회전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풀리(181)의 외주면을 감은 상태에서 별도의 동력밸트(187)가 고정되는데, 상기 동력밸트(187)의 내측에는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 및 장력조절풀리(186)가 포함된 상태이다.
즉, 상기 동력밸트(187)는 동력전달풀리(181),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 및 장력조절풀리(186)의 외주면을 감고 있는 상태이기에 상기 풀리들 중 하나만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동력밸트(187)를 통해서 모든 풀리들이 회전을 하는 방식이다.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을 하면서 그 회전력을 가이드롤풀리(183)에 전달하고, 이 회전력은 다시 커팅전달풀리(185)와 장력조절풀리(186)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상기 커팅전달풀리(185)이다.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팅전달풀리(185)를 회전시킨다는 점이다. 특히 상기 커팅전달풀리(185)는 그 중심점에 축이 되는 케리어샤프트(184)가 고정된 상태이기에 상기 커팅전달풀리(185)가 회전을 하면 상기 케리어샤프트(184)도 동일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에는 별도의 상기 케리어유닛(190)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편심블럭(154)의 편심힌지(153)를 편심연동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으로 도시된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은, 케리어샤프트(184)의 일측에 고정되는 커팅풀리(191)가 있고, 편심블럭(154)에 형성된 쌍의 편심힌지(153)에 쌍으로 장착되어 편심블럭(154)이 편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하 편심풀리(192,193)가 있으며, 가이드롤(112) 축 일측단과 케리어샤프트(184) 타단에 고정되는 클러치(194)가 있다. 또한 상기 커팅풀리(191), 상하 편심풀리(192, 19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편심밸트(195)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케리어샤프트(184)가 회전을 하면, 그 커팅풀리(191)가 회전을 하며 편심밸트(195)를 통해 상하 편심풀리(192, 193)를 회동시키고, 편심풀리(192, 193)에 결합된 편심힌지(153)과 편심블럭(154) 및 브레이드패널(152)을 연동하여 랩(1)을 커팅하는 것이다.
전술된 동력전달수단(180)의 작동과 함께 본 발명의 케리어유닛(190)의 작동의 상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력전달수단(180)의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롤(143)이 회전을 하면 그 하부롤(143)의 축에 고정된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을 하고, 동력전달풀리(181)의 외주면과 함께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 및 장력조절풀리(186)의 외주면이 동력밸트(187)를 통해서 감겨 있는 상태이기에 상기 4개의 롤은 동일한 회전을 유지한다. 이때 동력밸트(187)의 장력이 틀어지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풀리(186)를 연동함으로 그 장력의 조절이 유리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중요한 사항은 상기 동력밸트(187)의 연동으로 상기 커팅전달풀리(185)가 회전한다는 사실인데, 상기 커팅전달풀리(185)의 축은 도시된 케리어샤프트(184)이다.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의 일측에는 도시되 것처럼 별도의 커팅풀리(191)가 좌우 양쪽에 체결된다. 결국 상기 케리어샤프트(184)가 상기 커팅전달풀리(185)의 회전을 통해서 회전하게 되면, 역시 커팅풀리(191)도 회전을 시키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상기 커팅풀리(191)의 외주면에서 도시된 편심밸트(195)가 감긴 상태인데, 상기 편심밸트(195)도 상기 커팅풀리(191) 이외에 상하로 설치되는 편심풀리(192, 193)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장력조절풀리(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의 회전은 상기 커팅풀리(191), 상하의 편심풀리(192, 193)를 회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상기 편심풀리(192, 193)에는 이미 전술한 편심블럭(154)의 편심힌지(153)가 편심된 위치에 체결된다. 결국 상기 편심풀리(192, 193)가 그 외주면을 감싼 편심밸트(195)를 통해서 외전하게 되면, 그 편심풀리(192, 193)에 편심된 상태로 체결된 편심힌지(153)를 편심운동시키고, 편심힌지(153)가 고정된 편심블럭(154)은 상기 브레이드패널(152)과 브레이드(151)를 연동운동시키면서 그 커팅부(151-1)를 통해서 랩(1)을 절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랩커팅부(150)는 적당한 길이로 랩(1)을 커팅하여 랩핑기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롤(143)의 축단에 장착된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하면, 모두 8개의 풀리(동력전달풀리 포함)가 회전한다는 것에 문제이다. 즉, 동력전달수단(180)이 되는 동력전달풀리(181), 커팅전달풀리(185), 장력전달풀리(186), 가이드롤풀리(183)가 회전하고, 케리어유닛(190)이 되는 커팅풀리(191), 상하 방향에 형성되는 2개의 편심풀리(192, 193) 및 장력조절풀리가 회전하는 것이다. 사실 랩(1)은 작업에 따라서 어떤 시점에는 랩(1)을 이송시키면서 공급을 하고, 어떤 시점에서는 정지를 해야만 하며, 어떤 시점에서는 커팅을 해야하고, 또 어떤 시점에서는 커팅된 랩(1)을 공급해야만 한다.
그런데 전술된 것처럼, 하부롤(143)이 회전하면서 그 동력전달풀리(181)를 회전시킬 때, 모두 8개의 풀리가 같이 회전하며 랩커팅부(150)도 작동을 시킨다면 랩(1)은 이송되지 못하고 아주 짧은 길이로 항상 절단되면서 이동을 해야만 한다. 바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클러치(194)를 통해서 해결하였다.
즉, 상기 케리어유닛(190)에서 이미 설명된 것처럼, 가이드롤(112)의 축단과 케리어샤프트(184)의 축단에 형성된 일방향 클러치(194)는 상기 가이드롤(112)의 축에 형성된 가이드롤풀리(183)와 케리어샤프트(184) 축단에 형성된 커팅전달풀리(185)의 회전과 그 샤프트의 회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풀리(183)와 커팅전달풀리(185)가 회전을 하더라도 그 축이 되는 가이드롤 축(182)과 케리어샤프트(184)는 항상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클러치를 넣어 그 샤프트가 풀리의 회전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만 회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을 설명하자면, 상기 클러치(194)는, 대다수의 작동은 동력밸트(187)를 통해서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하고, 동력전달풀리(181)가 결합된 케리어샤프트(184)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랩(1)의 커팅시에는 클러치(194)가 케리어샤프트(184)를 잡아 커팅전달풀리(185)를 동력전달풀리(181)와 함께 회전시켜 커팅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한다.
가이드롤(112)은 항상 그 외주면에 랩(1)을 감은 상태로 랩(1)을 이송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랩(1)이 이송하면서 그 가이드롤(112)이 회전할 때, 항상 랩커팅부(150)가 작동을 하면 랩(1)은 작은 길이로 절단되어 랩핑 작용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랩(1)이 이송중일 때에는 랩커팅부(150)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의 끝단과 가이드롤(112)의 축(182)단에 별도의 클러치(194)를 결합하고 있다. 상기 랩(1)이 이송되는 시간에는 상기 클러치(194)를 풀어 상기 케리어샤프트(194)는 그 회전이 중지된다. 즉,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을 하여 동력전달수단(180)이 되는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 장력조절풀리(186)를 회전시킬 때에도 상기 커팅전달풀리(185)의 축이 되는 케리어샤프트(184)는 그 회전이 중지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용은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에 같이 체결된 커팅풀리(191)의 회전도 중지되기에 본 발명의 케리어유닛(190)이 되는 커팅풀리(191), 상하 방향의 편심풀리(192, 193) 및 장력조절풀리의 회전도 없다. 결국 상기 편심풀리(192, 193)는 회전을 하지 않아 체결된 편심힌지(153)를 연동시키지 않아 랩(1)이 커팅되는 문제점을 막는다.
그러다 필요한 시간에 상기 클러치(194)가 작동을 시작하면, 상기 케리어샤프트(194)가 상기 커팅전달풀리(185)의 회전과 함께 같이 회전을 하여, 그 내측의 커팅풀리(191)도 회전시키면서 상하 방향의 편심풀리(192, 193) 및 장력조절풀리를 회전시켜, 상기 편심풀리(192, 193)에 체결된 편심힌지(153)와 편심블럭(154) 및 브레이드(151)를 연동시켜 랩(1)을 커팅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롤(112)의 축단에도 상기 클러치(194)가 고정된 이유는 상기 케리어샤프트(184)에 체결된 클러치(194)가 시간적인 연동을 유지하면서 보다 정교하게 커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1; 랩 110; 랩장착부
120; 컨베이어작동부 130; 랩이송부
140; 견인컨베이어 171; 가이더

Claims (11)

  1.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
    모터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타이밍풀리(121)와 회전샤프트(122)의 끝단에 고정된 제2타이밍풀리(123)를 연결하는 제1타이밍밸트(124), 상기 회전샤프트(122)의 좌우 끝단부분에 체결되는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상기 제3, 4타이밍풀리(125, 126)와 대응되게 기체에 체결된 제5, 6타이밍풀리(127, 128), 상기 제3과 5타이밍풀리(125, 127)와 제4와 6타이밍풀리(126, 128)를 연결하는 제2, 3타이밍밸트(A, B), 및 연동견인컨베이어(140-2)의 하단에 체결된 쌍의 가이더(171)가 관통되어 연동견인컨베이어(140-2)가 연동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2)이 결합하되, 상기 제2, 3타이밍밸트(A, B)의 일측과 상기 가이더(171)가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이 회전샤프트(122)을 통해서 제2, 3타이밍밸트(A, B)를 이동시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좌우 방향 연동시키는 컨베이어작동부(120);
    상기 랩장착부(110)의 상부로 올려진 랩(1)을 견인하여 랩핑을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랩이송부(130);
    포장을 위한 거리만큼 이송된 랩(1)을 커팅하는 랩커팅부(150);가 결합하여 포장을 위한 랩을 이송시키고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랩이송부(130)는,
    랩(1)의 좌우 양단을 견인하기 위해 2개의 견인컨베이어(140)로 형성하되, 하나는 고정된 위치를 확보한 고정견인컨베이어(140-1)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랩(1)의 폭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연동견인컨베이어(140-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견인컨베이어(140)는,
    견인컨베이어(140) 프레임패널(141)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롤(142)과;
    상부롤(1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단에 체결되는 다수의 하부롤(143); 및
    상기 상부롤(142)과 하부롤(14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된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가; 결합하여 상기 상부와 하부견인밸트(145)의 사이에 랩(1)의 끝단을 끼우고 서로 면접에서 클랩핑한 상태에서 랩(1)을 견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견인밸트(144)와 하부견인밸트(145)간의 긴밀한 면접을 위해서, 견인밸트는 "
    Figure 112010039025026-pat00006
    "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로 겹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하부견인밸트(145) 하단에는,
    하부견인밸트(145)의 상밸트(133)를 상부견인밸트(144)의 하밸트(134)에 밀어 밀착시키는 3개의 지지밀개(135)와 이를 링크(136)구조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의 랩(1)을 장착하는 랩장착부(110)는,
    기체의 하단에 장착된 랩장착풀(111);
    랩장착풀(111)의 상단으로 랩(1)의 끝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112);
    견인컨베이어(140)의 프레임패널(141)에서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에 형성된 사선의 장착홈(113);이 결합하여 랩(1)의 끝단을 상부롤(142)과 하부롤(143) 사이인 랩 장착홈(113)에 끼워 넣어 작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랩커팅부(150)는,
    랩장착부(110)의 기체 하단에 플레이트형태로 일측면이 다수의 날로 형성된 커팅 브레이드(151)와 브레이드를 지지하는 브레이드패널(152);
    상기 브레이드패널(152)의 양단에 수직된 방향으로 체결되는 편심힌지(153)이 돌출된 편심블럭(154);
    상기 편심블럭(154)에서 돌출된 편심힌지(153)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180);이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180)이 편심블럭(154)의 편심힌지(153)를 회동시켜, 편심블럭(154)에 결합된 상기 브레이드패널(152)과 커팅 브레이드(151)를 상하로 연동시키며 브레이드(151)의 끝단 커팅부(151-1)를 통해 랩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180)은,
    견인컨베이어(140)의 하부견인벨트(145)를 회동시키는 끝단 하부롤(143)의 축에 고정되는 동력전달풀리(181);
    랩장착부(110)의 가이드롤(112) 축(182)단에 고정되는 가이드롤풀리(183);
    동력전달풀리(181) 하단에 형성된 장형의 케리어샤프트(184) 끝단에 고정되는 커팅전달풀리(185);
    가이드롤풀리(183) 하단으로 형성되는 장력조절풀리(186);
    동력전달풀리(181)의 회전력을 일부 차용하여 랩(1)의 커팅하는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 및
    상기 동력전달풀리(181), 가이드롤풀리(183), 커팅전달풀리(185)와 장력조절풀리(186)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동력밸트(187);가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풀리(18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통해서 간헐적으로 브레이드패널(152)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커팅력을 전달하는 케리어유닛(190)은,
    케리어샤프트(184)의 일측에 고정되는 커팅풀리(191);
    편심블럭(154)에 형성된 쌍의 편심힌지(153)에 쌍으로 장착되어 편심블럭(154)이 편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하 편심풀리(192,193);
    가이드롤(112) 축 일측단과 케리어샤프트(184) 타단에 고정되는 클러치(194);
    상기 커팅풀리(191), 상하 편심풀리(192, 193)의 외주면을 감아 결합시키는 편심밸트(195);가 결합하여 상기 케리어샤프트(184)가 회전을 하면, 그 커팅풀리(191)가 회전을 하며 편심밸트(195)를 통해 상하 편심풀리(192, 193)를 회동시키고, 편심풀리(192, 193)에 결합된 편심힌지(153)과 편심블럭(154) 및 브레이드패널(152)을 연동하여 랩(1)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클러치(194)는,
    대다수의 작동은 동력밸트(187)를 통해서 동력전달풀리(181)가 회전하고, 동력전달풀리(181)가 결합된 케리어샤프트(184)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랩(1)의 커팅시에는 클러치(194)가 케리어샤프트(184)를 잡아 커팅전달풀리(185)를 동력전달풀리(181)와 함께 회전시켜 커팅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KR1020100057616A 2010-06-17 2010-06-17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KR10115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16A KR101159446B1 (ko) 2010-06-17 2010-06-17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16A KR101159446B1 (ko) 2010-06-17 2010-06-17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599A KR20110137599A (ko) 2011-12-23
KR101159446B1 true KR101159446B1 (ko) 2012-06-25

Family

ID=4550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16A KR101159446B1 (ko) 2010-06-17 2010-06-17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154B1 (ko) * 2013-06-27 2014-10-13 (주) 율원엔지니어링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용 필름공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6097A (zh) * 2019-04-30 2019-07-02 深圳市博多电子有限公司 一种包胶设备
CN111846405B (zh) * 2020-08-03 2022-01-04 东台市汉源食品机械制造有限公司 食品加工用包装机原材料供料装置
CN117048042B (zh) * 2023-10-11 2024-01-09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托盘放置模具和鲜肉覆膜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123A (ja) * 1997-12-09 1999-06-29 Teraoka Seiko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KR200315483Y1 (ko) * 2003-03-20 2003-06-02 고형래 스크린프린터의 사이드컨베이어 폭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123A (ja) * 1997-12-09 1999-06-29 Teraoka Seiko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KR200315483Y1 (ko) * 2003-03-20 2003-06-02 고형래 스크린프린터의 사이드컨베이어 폭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154B1 (ko) * 2013-06-27 2014-10-13 (주) 율원엔지니어링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용 필름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599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802B2 (en) Film roping assembly for use within film wrapping or packaging machines
US3889892A (en) Center start surface wind reel with automatic cut-off and transfer
EP2183160B1 (en) Strapping machine with improved tension, seal and feed arrangement
KR101159446B1 (ko) 랩핑기의 랩 이송유니트
MX2013002836A (es) Dispositivo de anudado de nudo y sistema de cartucho que proporciona filamento de anudado con el mismo.
CA2345194A1 (en) Strapper with improved winding and cutting assembly
CN214190245U (zh) 一种束带机的环结机构
EP2661396B1 (en) Modular feed head for a strapping machine with reversing motor
CN111776826B (zh) 一种磁性软纱门自动化生产系统
EP1172298B1 (en) Packaging device
KR100853492B1 (ko) 다발 묶음장치
EP1384671A1 (en) A method for stopping and starting an automatic wrapping machine during a product change
US5028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nd crosscutting a running fabric web
CN110758829B (zh) 一种物流中心的包装箱封装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90114220A (ko)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포장장치
US2218062A (en) Plaiter-down folding attachment and method of laying the cloth
CN203580157U (zh) 用于拼接材料带的带区段的拼接装置
JP3170216B2 (ja) タバコ葉の葉編み装置
CN113597925A (zh) 一种用于捆扎机的卷线器及具有该卷线器的捆扎机
CN207792187U (zh) 一种纱布提带送料机构
EP1489003A1 (en) An apparatus for wrapping groups of products with plastic film
JP4346937B2 (ja) 自動製品包装機械のフィルム引張り装置
US61925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a yarn sheet from a yarn winder onto a winding beam
KR102542526B1 (ko) 사면 비닐포장기의 비닐공급장치
CN104210122A (zh) 用于拼接帘布材料的拼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