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14B1 -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14B1
KR101746914B1 KR1020150027103A KR20150027103A KR101746914B1 KR 101746914 B1 KR101746914 B1 KR 101746914B1 KR 1020150027103 A KR1020150027103 A KR 1020150027103A KR 20150027103 A KR20150027103 A KR 20150027103A KR 101746914 B1 KR101746914 B1 KR 10174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tape
guide
cutter
winch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293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박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희 filed Critical 박철희
Priority to KR102015002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7Mot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제조단가를 크게 줄이고 소형으로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면서 사용이 편리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테이블의 전방에 고정판(3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안내봉(34)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의 전방에는 스프링이 탄지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송대(37)와, 상기 이송대위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하며 전/후방으로 맞물리는 기어(32)가 설치된 작동구(30)와, 상부에 안내홈(25)을 가진 양측의 가이드(24)가 설치되며 그 전방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구와 밀착되어 있는 보조대(26), 상기 가이드(24) 후방으로 설치되는 받침대(20), 상기 받침대(20)의 후방으로 수직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4)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60),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직이송대(64)가 구비되고 그 전방으로 구비된 절단구(70),윈치에 감겨져 절단구 전방을 통해 작동구(30)의 전후 기어(32) 사이를 통과하는 결속테이프(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이송대와 이송대(37)를 이동시키는 체인(5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device of bundie tape}
본 발명은 각종 농산물등의 피결속물들을 결속테이프로서 묶게 되는 것으로 일정량의 피결속물을 받침대 위에 밀어 넣으면 절단구가 하향하고 압착과 함께 절단되어 신속하게 피결속물이 묶여지는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라 함은 농가에서는 파, 부추, 열무, 우엉 등그리고 산업현장에서는 전선이나 호스 등을 운반하기 쉽고 판매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수량만큼씩 묶게 되는 것으로, 필요한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의 선등록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18825호(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다발묶음장치),공개특허공보제10-2011-0110415호(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특허등록제10-0726096호(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으로서 제조단가가 높아 경제적 부담을 가지게 되면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고장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제 20-0418825호 문헌 2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제10-2011-0110415호 문헌 3 :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제10-0726096호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제조단가를 크게 줄이고 소형으로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면서 사용이 편리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전방에 고정판(3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안내봉(34)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의 전방에는 스프링이 탄지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송대(37)와, 상기 이송대위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하며 전/후방으로 맞물리는 기어(32)가 설치된 작동구(30)와, 상부에 안내홈(25)을 가진 양측의 가이드(24)가 설치되며 그 전방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구와 밀착되어 있는 보조대(26), 상기 가이드(24) 후방으로 설치되는 받침대(20), 상기 받침대(20)의 후방으로 수직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4)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60),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직이송대(64)가 구비되고 그 전방으로 구비된 절단구(70),윈치에 감겨져 절단구 전방을 통해 작동구(30)의 전후 기어(32) 사이를 통과하는 결속테이프(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이송대와 이송대(37)를 이동시키는 체인(58)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소형이라 작업장의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배치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특히, 자동공급이 쉽지않은 동일한 크기 동일한 모양이 아닌 농작물을 처리하기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농작물에 손상을 주지않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요부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된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상태의 실시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의 요부가 되는 작동구(30)와 절단구(70)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테이블의 전방에 고정판(3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전 후방으로 안내봉 (34)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의 전방에는 스프링이 탄지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송대(37)와, 상기 이송대위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하며 전/후방으로 맞물리는 기어(32)가 설치되고 일측에 핸들(33)을 구비한 작동구(30)와, 상기 작동구의 후방으로 상부에 안내홈(25)을 가진 양측의 가이드(24)가 설치되며 그 전방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구와 밀착되어 있는 보조대(26)와, 상기 가이드(24) 후방으로 설치되는 받침대(20),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의 후방으로 수직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4)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60)와, 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직이송대(64)가 구비되고 그 전방으로 하부에 열압착부(77)와 커터(74)가 구비된 절단구(70)와,상기 상부프레임(14)의 상부에 윈치(16)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에 감겨져 절단구 전방을 통해 작동구(30)의 전후 기어(32) 사이를 통과하는 결속테이프(2)와 상기 수직프레임(12)에는 상부스프로킷(56)과 하부스프로킷(52)이 장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이송대를 이동시키는 체인(58)과, 상기 하부스프로킷(52)에는 윈치(51)가 부착되고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40)가 고정판(36)의 전방에 구비된 로울러(38)를 통해 이송대(37)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절단구(70)에는 결속테이프를 탄력적으로 수직 이송시키기 위한 탄력조절구(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구(70)에는 결속테이프를 하부로 밀착시키기 위해 탄성봉체(80)에 푸시(82)가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테이블의 상부에는 피결속물(1)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대(20), 그리고 받침대의 전방에 결속테이프를 당기면서 열접합한 후 결속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작동구(30), 그리고 후방에서 결속테이프(2)를 공급하면서 아래로 하강하여 결속된 결속테이프(2)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구(70)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구(30)와 절단구(70)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전/후이동 및 수직이동을 하게 된다.
먼저, 테이블(10)의 상면으로 전방에 수직프레임(36a)을 가진 고정판(3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전후방을 따라 하나 이상의 안내봉 (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봉의 전방에는 스프링이 탄지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송대(37)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는 안내봉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37) 위에는 이송대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작동구(30)가 부착되는데 상부에 전/후방으로 맞물리는 기어(32)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의 기어에는 핸들(33)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전/후의 기어(32) 사이에는 상부에서 투입되는 결속테이프(2)를 물게 되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결속테이프(2)를 아래로 당겨 내린다.
다음 상기 작동구(3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가이드(24)가 테이블(10)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24)의 상부에는 내측방향을 따라 안내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전술한 작동구(30)의 후미와 밀착되어 있는 보조대(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대(26)는 고무 혹은 수지재로서 후술하는 커터가 결속테이프를 절단할 때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4) 후방에는 피결속물(1)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대(20) 아래는 올려진 피결속물의 무게를 알 수 있도록 저울(22)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받침대(20)의 후방으로 테이블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2)이 구비되고 그 상단에 상부프레임(14)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 전방에는 테이블과 상부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샤프트(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60)에는 슬라이더(62)가 장착되어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62)에는 전방으로 향하는 수직이송대(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이송대(64)의 전방에는 하단부에 커터(74)를 장착한 절단구(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단구(70)는 전방에 탄력조절구(72)를 장착하고 전술한 샤프트를 따라 수직이동하는 것으로 하강하였을 때 전술한 보조대(26) 상면으로 커터(74)가 압착할 수 있는 위치에 커터고정구(76)에 의해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터 후방에는 열선(75)을 장착하여 저면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열압착부(77)를 두고 있으며, 그 후방으로 결속테이프를 하부로 밀착시키기 위한 푸시(82)가 장착된다.
상기 푸시(82)는 하강하였을 때 전술한 가이드(24)의 양측 안내홈(25)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래의 결속테이프(2)를 아래로 당겨 내린다. 이때 상기 푸시는 스프링에 탄지된 탄성봉체(80)에 부착된 것으로 탄력적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4)의 상부에는 윈치(16)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에는 결속테이프(2)가 감겨져 절단구 전방을 향하고 아래의 기어(32)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결속테이프(2)는 상부의 탄력조절구(72)에 의해 탄력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 상기 수직프레임(12)에는 상부스프로킷(56)과 하부스프로킷(52)이 소정의 보조스프로킷(54)과 함께 설치되면서 체인(58)에 의해 구동모터(5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체인(58)에는 전술한 슬라이더(62)가 장착되어 있고, 구동모터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에 따라서 수직이송대(64)를 위 아래로 수직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스프로킷(52)에는 일측면에 윈치(51)가 부착되고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40)가 고정판(36)의 전방에 구비된 로울러(38)를 통해 이송대(37)의 전방 체인고정고리(4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0)의 정회전은 절단구(70)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윈치가 와이어(40)를 당기면서 작동구(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탄력조절구(72)와 작동구(30) 사이 수직으로 끼워져 있는 결속테이프(2) 전방에서 피결속물(1)을 뒤로 밀면서 받침대(20)위로 올려 놓게 되면 피결속물(1) 외측으로 결속테이프(2)가 감싸진 상태가 되고 구동모터(50)의 정회전에 의해 절단구(70)는 아래로 작동구(3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은 작업자의 스위칭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결속테이프의 탄성 혹은 이동거리에 따른 각종 센서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작동구(30)는 결속테이프를 앞으로 당기게 되면서 피결속물을 견고히 묶게 되고,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하강하는 절단구(70)에 의해서 열압착과 함께 절단되는 것으로, 먼저 절단구(70)의 푸시(82)가 내려오면서 피결속물을 감싸고 있는 결속테이프(2)의 겹치는 부분을 아래로 밀면서 누른 다음, 커터(74)가 결속테이프를 절단함과 동시에 열압착부(77)는 결속테이프의 겹치는 부분을 열합착하여 서로 부착시킨다.
이후 구동모터(50)의 역회전에 의해 절단구(70)와 작동구(3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작동구의 핸들(33)를 회전시켜 결속테이프를 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결속테이프는 수직 아래로 당겨지고 상부의 탄력조절구에 의해 소정의 탄력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동작으로 피결속물들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되며 받침대(20)에 구비된 저울을 통해서 일정한 량을 지속적으로 혹은 원하는 량만큼을 조절하여 묶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테이블의 전방에 고정판(3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전 후방으로 안내봉 (34)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의 전방에는 스프링이 탄지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송대(37);
    상기 이송대위에 설치되어 전후 이송하며 전/후방으로 맞물리는 기어(32)가 설치되고 일측에 핸들(33)을 구비한 작동구(30);
    상기 작동구의 후방으로 상부에 안내홈(25)을 가진 양측의 가이드(24)가 설치되며 그 전방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구와 밀착되어 있는 보조대(26);
    상기 가이드(24) 후방으로 설치되는 받침대(20);
    상기 받침대(20)의 후방으로 수직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4)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샤프트(60);
    상기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직이송대(64)가 구비되고 그 전방으로 하부에 열압착부(77)와 커터(74)가 구비된 절단구(70);
    상기 상부프레임(14)의 상부에 윈치(16)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에 감겨져 절단구 전방을 통해 작동구(30)의 전후 기어(32) 사이를 통과하는 결속테이프(2);
    상기 수직프레임(12)에는 상부스프로킷(56)과 하부스프로킷(52)이 장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이송대를 이동시키는 체인(58);
    상기 하부스프로킷(52)에는 윈치(51)가 부착되고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40)가 고정판(36)의 전방에 구비된 로울러(38)를 통해 이송대(37)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대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구(70)에는 결속테이프를 탄력적으로 수직 이송시키기 위한 탄력조절구(7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구(70)에는 결속테이프를 하부로 밀착시키기 위해 탄성봉체(80)에 푸시(82)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는 하부에 저울(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KR1020150027103A 2015-02-26 2015-02-26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KR10174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03A KR101746914B1 (ko) 2015-02-26 2015-02-26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03A KR101746914B1 (ko) 2015-02-26 2015-02-26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93A KR20160104293A (ko) 2016-09-05
KR101746914B1 true KR101746914B1 (ko) 2017-06-14

Family

ID=5693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103A KR101746914B1 (ko) 2015-02-26 2015-02-26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74A (ko) 2017-08-09 2019-02-19 박철희 농산물 자동 묶음장치
KR20240005464A (ko) 2022-07-05 2024-01-12 제이스코홀딩스 주식회사 결속선 묶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87B1 (ko) * 2015-10-07 2017-01-20 박철희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CN114426114A (zh) * 2022-03-07 2022-05-03 隆士丹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贴胶带机构
CN117022763B (zh) * 2023-10-08 2023-12-08 兴化市顺杰高温合金制品有限公司 一种电阻丝切割后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5Y1 (ko) 2006-03-14 2006-06-14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다발 묶음장치
KR100726096B1 (ko) 2006-03-22 2007-06-13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KR101188719B1 (ko) 2010-04-01 2012-10-10 박태표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74A (ko) 2017-08-09 2019-02-19 박철희 농산물 자동 묶음장치
KR20240005464A (ko) 2022-07-05 2024-01-12 제이스코홀딩스 주식회사 결속선 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93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914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JP5636514B2 (ja) 梱包機テープ送り・戻し機構
KR101188719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CN109051124B (zh) 一种接线盒自动扎线设备
KR100726096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 묶음장치
KR101636718B1 (ko) 클리핑 시스템의 가이드장치용 가이드유니트
JP5019530B2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TWM463249U (zh) 膠膜牽引裝置
CN202609113U (zh) 一种自动加护角的打包机
CN110560776A (zh) 极片追切机构
KR101698687B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묶음장치
WO2004014732A3 (fr) Dispositif d'entrelacage et machine de palettisation equipee d'un tel dispositif
CN104443488B (zh) 一种自动包装机及其包装方法
CN105751554B (zh) 用于对接发粘的带件的拼接装置
CN104386302A (zh) 一种便携六杆机构胶带封箱器
CN110640365A (zh) 高效焊接设备
JP6528071B2 (ja) にら等の物品出荷調製装置
CN113597925A (zh) 一种用于捆扎机的卷线器及具有该卷线器的捆扎机
KR200418825Y1 (ko)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다발 묶음장치
US4406219A (en) Parcel tying-up machine
CN215530295U (zh) 一种用于捆扎机的卷线器及具有该卷线器的捆扎机
RU2581875C2 (ru) Машина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гибких упаковок
KR101637856B1 (ko) 밴딩기 이송장치
CN112043027A (zh) 立体口罩焊耳带机
CN216146766U (zh) 一种用于捆扎机的驱动机构及捆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