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099A -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 Google Patents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099A
KR20200018099A KR1020180093896A KR20180093896A KR20200018099A KR 20200018099 A KR20200018099 A KR 20200018099A KR 1020180093896 A KR1020180093896 A KR 1020180093896A KR 20180093896 A KR20180093896 A KR 20180093896A KR 20200018099 A KR20200018099 A KR 2020001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ir
coupled
shaf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544B1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18009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tomato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작업대(1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100); 상기 작업대(160) 위에 설치되는 트레이 회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회전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와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중앙에, 양쪽 끝 부분이 결합되는 회전하지 않는 중심축(214);과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양끝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와 상기 중심축(214)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를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부(210)는 종동기어(212)에 연결된 회전날개 베어링(215)과 구동 회전날개(230)를 회전시키며, 구동 회전날개(230)의 회전력은 구동 회전날개(230)의 끝 부분에 결합된 트레이 축(232)에 전달되고, 상기 트레이 축(232)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트레이 축(232)과 끝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 회전날개(231)를 회전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Lift Car For Harvesting Fruit}
본 발명은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설재배용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파프리카나 토마토 같은 농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가 리프트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으며, 수확한 열매를 담은 바구니를 빈 바구니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회전형 트레이를 구비한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나 온실 등에서 키운 작물의 열매를 수확할 때, 고랑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확하는 열매가 높은 위치에 열리는 경우에는, 한국 특허등록 제10-1327367호의 발명처럼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탈 수 있는 작업대가 설치된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이송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종래의 이송장치에서는, 작업자가 작업대 한쪽에 쌓아놓은 바구니를 하나씩 꺼내어 작업대 바닥에 내려놓고 수확한 열매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파프리카나 토마토같이 충격에 약한 수확물은 바구니에 투입할 때 충격에 의해 상하기 쉬우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려 조심해서 넣는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허리를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장시간 반복 수행하므로 근골격계 질환에 시달리는 일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등록 제10-1799792호의 발명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리프트 작업대 위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다수의 트레이가 하우징 수직 둘레의 트레이가이드를 따라 선회하는 선회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수확물이 가득 찬 바구니와 빈 바구니가 적재된 트레이를 상하로 위치 교대한 후, 리프트 위의 작업자가 열매 수확과 빈 바구니로의 투입을 곧게 선 자세에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등록 제10-1799792호의 발명은 트레이가이드의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트레이의 유동방지핀이 이동 중 홈에서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트레이가이드의 홈 깊이를 30mm 이상 깊게 형성하여야만 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전체 장치의 너비가 너무 커져서 작업차가 작물 사이의 고랑을 따라 진행할 때 장치와 작물이 부딪혀 작물에 손상이 생기는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트레이가이드의 홈에 삽입된 트레이의 유동방지핀이 홈을 따라 이동할 때, 홈 내면과 유동방지핀 사이에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 이동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도 발생했다.
그리고 다수의 트레이에 수확물이 가득 찬 바구니가 올려 있으면, 그 무게가 커지므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체인을 상당히 굵은 것으로 사용하여야 하였으므로 체인 구동을 위한 모터도 대용량의 것이 필요하였고, 굵은 체인 때문에 장치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므로 리프트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도 고용량의 것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생겼다.
특허등록 제10-1327367호 특허등록 제10-179979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동방식으로 트레이를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장치를 구비하여, 장치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선회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와 상기 작업대 위에 설치되는 트레이 회전부;를 포함한다.
트레이 회전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회전날개;와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의 중앙에, 양쪽 끝 부분이 결합되는 회전하지 않는 중심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의 양끝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와 상기 중심축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부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고정대;와 상기 모터고정대를 상기 중심축에 고정시키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중심축은, 양쪽 마구리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결합공(218)이 형성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마구리에는 전선인입공이 함께 형성되며, 한 쌍의 회전날개 사이의 중심축 상에는 전선인출공이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회전날개의 중앙에는 회전날개 베어링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날개 베어링에는 상기 종동기어가 일체로 더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일 단부가 상기 종동기어와 회전날개 베어링 및 구동 회전날개를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종동기어에 연결된 회전날개 베어링과 구동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며, 구동 회전날개의 회전력은 구동 회전날개의 끝 부분에 결합된 트레이 축에 전달되고, 이렇게 트레이 축에 전달된 회전력은 이 트레이 축과 끝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 회전날개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모터에 직결된 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날개를 회전 작용과 트레이의 선회작용을 이끌어 내므로, 트레이 선회 시 오동작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심축은 구동부를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어려웠던 방식인 회전 날개에 모터의 구동력을 기어로 직결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동부를 장치 내부 공간으로 수납하게 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고, 특히 리프트 작업차 주행 시 주변 작물에 구동부가 부딪혀 손상을 주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모터에 직결된 기어가 바로 회전날개에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종래 기술처럼 두꺼운 체인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장치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장치의 소형화와 동력의 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부를 저면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동력 전달에 관여하는 주요 구성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작업 예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과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는 2개의 큰 구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하부몸체(120) 위에서 상하로 신축 가능한 리프트부(100)와 이 리프트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레이 회전부(200)가 그것이다.
하부 몸체(120)는 견고한 케이싱 속에 동력 발생장치를 수납한 것이다. 상기 동력 발생장치는 하부 몸체 하단에 설치된 바퀴(121)를 구동하거나 리프트부의 신축 작용을 일으키는 유압 실린더(150)를 구동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동기나 유압모터 같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례에서는 바퀴(121)가 레일(110) 위를 주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퀴(121)를 필요에 따라 무한궤도나 고무타이어 등으로 구성하면 레일이 없는 노지에서도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리프트부(100)는 상기 하부몸체(120) 위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30)과 하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하면서 X자형 링크를 형성하는 여러 쌍의 리프트 바(140), 그리고 상기 리프트 바(14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31) 및 이 상부프레임 위에 고정되는 작업대(160)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 바(140)가 형성하고 있는 X자형 링크의 링크축(141)에는 유압실린더(150)를 설치하여, 리프트 바(140)들을 접거나 펼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31)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 직사각형 프레임의 한쪽 편에는 리프트 바(1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다른 쪽 편에는 안내홈(132)을 형성하여 다른 리프트 바(140)의 일단이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리프트부(100)의 상세 구성과 작용은 모두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트레이 회전부(200)는 작업대(160)의 상부 한쪽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 회전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와 이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중앙을 서로 연결해 주는 중심축(214),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양끝 부분에서 회전날개와 회전날개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 및 이 다수의 트레이(250)가 선회할 수 있도록,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날개(230, 23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1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는 구동 회전날개(230)와 종동 회전날개(23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날개(230, 231)는 십자형 판재로 형성하며, 십자형 판재의 중앙부에는 구멍을 뚫어, 회전날개 베어링(215, 216)을 삽입하고 단단히 결합시킨다. 그리고 십자형 판재의 가지 끝 부분은 봉상의 트레이 축(232)을 결합한다.
이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세운 후, 중앙부의 구멍에 결합된 회전날개 베어링(215, 216)의 내륜에 중심축(214)의 양단을 끼워 연결한다.
이때 회전날개 베어링(215, 216)은 레이디얼 베어링을 사용하여, 결합된 회전날개(230, 231)는 베어링 외륜과 함께 회전하고, 베어링 내륜에 끼워진 중심축(214)은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구동부(210) 쪽에 설치된 회전날개 베어링(215)에는 후술하는 종동기어(212)가 일체로 더 결합되어 있어서, 중심축(214)의 일 단부가 상기 종동기어(212)와 회전날개 베어링(215) 및 구동 회전날개(230)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중심축(214)은 기다란 환봉으로 형성하였으나, 회전하지 않는 축이므로 각봉으로 형성하여도 문제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축(214)의 양쪽 마구리에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결합공(218)이 형성되며, 그 중 한쪽 마구리에는 전선인입공(217-1)을 함께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전선인입공(217-1)이 형성되는 마구리는 후술할 구동부(210)가 결합되는 중심축(214) 부분의 반대편 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10)와 회전날개 베어링(215) 사이의 중심축(214) 상에는 전선인출공(217)을 형성한다,
이때 전선인출공(217)은 상기 전선인입공(217-1)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하여, 외부의 전선을 전선인입공(217-1)으로 삽입한 후 전선인출공(217)으로 뽑아내서 구동부(21)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선인입공(217-1)과 전선인출공(217) 구성은 회전하는 회전날개(230, 231)나 선회하는 트레이(250)와 전선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준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210)가 결합되는 중심축(214) 부분에는, 중심축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하 연결공(214-1)과 좌우로 관통하는 좌우 관통공(214-2)을 형성한다.
상기 좌우 관통공(214-2)은 연결브래킷(221-1)에 형성된 브래킷 결합공(224)과 서로 통하는 위치에 형성하므로, 볼트(미도시)로 브래킷 결합공(224)과 좌우 관통공(214-2)을 동시에 관통시키면 연결브래킷(221-1)을 중심축(214)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연결공(214-1)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고정대(221)에 형성된 전후위치 조절공(223)과 서로 통하는 위치에 형성하므로, 볼트로 전후위치 조절공(223)과 상하 연결공(214-1)을 동시에 관통시키면 모터고정대(221)를 중심축(214)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축(214)의 마구리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프레임 결합공(218)에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의 상부에 형성된 중심축 결합공(243)을 일치시켜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중심축(214)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중심축(214)은 마구리 부분이 회전날개(230, 231)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게 설치되므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40)과 회전날개(230, 2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230, 231)에 진동이 생겨도 지지프레임(240)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미도시)를 장착하는 모터고정대(221), 상기 모터고정대(221)를 상기 중심축(214)에 고정시키는 연결브래킷(221-1)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11) 및 상기 구동기어(211)에 치합되는 종동기어(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동부(21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중심축(214) 상에 설치되므로,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동력 전달이 확실한 기어전달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터(미도시)는 모터고정대(221)의 일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된 판재에 형성된 다수의 상하위치 조절공(222)에 볼트로 고정 장착된다.
모터고정대(221)의 일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된 판재와 회전 날개 사이에는 구동기어(211)가 위치하며, 모터고정대(221)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축(미도시)이 상기 구동기어(211)의 중심부에 형성된 모터 축구멍(213)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기어(211)에 치합되는 종동기어(212)는 중심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에 중심축(214)을 관통시켜 설치한다. 이때 종동기어(212)와 중심축(214)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종동기어(212)의 회전력이 중심축(214)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종동기어(212)는 일면이 구동 회전날개(23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날개 베어링(215)의 외륜 쪽에 고착된다. 따라서 종동기어의 회전력은 회전날개 베어링(215)의 외륜을 직접 회전시키고, 따라서 이 베어링 외륜에 고착된 구동 회전날개(230)도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트레이(25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바구니가 적재되는 받침대(251)와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면에 판재 형태로 형성한 한 쌍의 트레이프레임(252), 이 한 쌍의 트레이프레임(252)을 상단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 서로 연결해 주는 트레이 축(232)으로 구성된다. 이때 트레이 프레임(252)이 트레이 축(232)의 외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트레이 프레임(252)과 트레이 축(232) 사이에는 트레이 베어링(23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축(232)은 양쪽 끄트머리는 각각 구동 회전날개(230)와 종동 회전날개(231)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 회전날개(23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트레이 축(232)을 통해 종동 회전날개(231)로 전달되므로, 종동 회전날개도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트레이 프레임(252)과 트레이 축(232)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날개(230, 231)가 회전하더라도 트레이(250)의 받침대(251)는 항상 지면에 수평이 되는 자세로 트레이 축(232)에 매달려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240)은 회전날개(230, 231)와 트레이(250)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21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에서 지지프레임(240)은 삼각대 형상으로 형성하여, 삼각대 형상 상부 꼭짓점 부근에는 중심축 결합공(243)을 형성하여 중심축(214)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삼각대 형상의 하단 밑변은 일부를 구부려 돌출시킨 고정편(242)을 형성하여,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판(241)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241)은 리프트의 작업대(16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의 삼각대 형상은 장치 전체의 중량 감소시키면서 장치를 지지하는 데에 충분한 강성을 얻는 데에 효율적인 형태이다.
상기한 트레이 회전부(200)의 구성에 다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부(2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구동기어(211)를 회전시키다. 이에 따라 치합된 종동기어(212)도 회전하고, 종동기어(212)에 고착 연결된 회전날개 베어링(215)과 구동 회전날개(230)도 회전하게 된다.
구동 회전날개(230)를 회전력은 구동 회전날개(230)의 끝 부분에 결합된 트레이 축(232)에 전달되고, 상기 트레이 축(232)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트레이 축(232)과 끝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 회전날개(231)를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트레이(250)는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며 장치 바깥 둘레를 선회하게 된다. 이때 중심축(214)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중심축(214)은 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에 도시된 안전 펜스(170)는 작업자가 작업대(160) 위에서 작업할 때 실족 등의 사고를 막는 장치이다. 작업자가 작업대(160)로 오르내리기 좋도록 안전펜스(170)의 일부를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나 여닫이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작업대(160)의 한쪽에 설치하는 고정 제어기(310)나 작업자는 들고 움직일 수 있는 이동 제어기(311)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하부몸체(120)의 주행, 리프트부(100)의 신축, 구동부(210)의 구동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작업 시작 전에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리프트부(10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낮춘다, 리프트부(100)가 낮아지면, 트레이 회전부(200)의 트레이(250)에 빈 바구니(400)를 올리고, 이어서 구동부(210)를 가동하여 1단위씩 트레이(250)가 선회토록 한 후, 빈 바구니를 트레이에 올려놓는 작업을 반복한다.
빈 바구니의 적재가 모두 완료되면, 작업자는 작업대 위에 올라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본 발명의 리프트 작업차를 작업 위치로 이동한다.
작업위치에 도착하면, 제어부(300)로 리프트부(100)를 작동시켜 작업 높이까지 작업대(160)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이 회전부(200)의 트레이(250)에 올려있는 빈 바구니(400)가 작업자가 선 채로 손을 뻗어 편하게 닿는 위치에 오도록 구동부(2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서있는 상태에서 주변의 열매를 채취하여 바구니에 투입한다. 바구니에 열매가 가득 차면, 다시 구동부(210)를 작동시켜 트레이를 1단위 선회시킴으로써, 작업자 앞에 빈 바구니가 대기하는 상태로 만든다.
상기 작업을 반복하여, 트레이 회전부(200)의 트레이(250)에 거치된 모든 바구니에 열매가 가득 차면, 작업자는 리프트부(100)를 하강시키고, 하부몸체의 바퀴를 구동하여 하역위치로 이동한다.
하역 위치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작업대(160)에서 내려와,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리프트부(10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낮춘다, 이어서 트레이 회전부(200)의 트레이(250)를 선회시켜, 하역하고자 하는 바구니가 작업자가 선 채로 잡고 들어낼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제어한다.
한 바구니의 하역이 끝나면, 구동부(210)를 가동하여 1단위씩 트레이가 선회토록 한 후, 다시 수확물이 들어있는 바구니를 끌어내린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리프트부 110 : 레일
120 : 하부 몸체 121 : 바퀴
130 : 하부프레임 131 : 상부프레임
132 : 안내홈 140 : 리프트 바
141 : 링크축 150 : 유압 실린더
160 : 작업대 170 : 안전 펜스
200 : 트레이 회전부 210 : 구동부
211 : 구동기어 212 : 종동기어
213 : 모터 축구멍 214 : 중심축
214-1 : 상하 연결공 214-2 : 좌우 연결공
215, 216 : 회전날개 베어링 217 : 전선 인출공
217-1 : 전선 인입공 218 : 지지프레임 결합공
220 : 모터 장착부 221 : 모터 고정대
221-1 : 연결 브래킷 222 : 상하위치 조절공
223 : 전후위치 조절공 224 : 브래킷 결합공
230, 231 : 회전날개 232 : 트레이 축
233 : 트레이 베어링 240 : 지지프레임
241 : 바닥판 242 : 고정편
243 : 중심축 결합공 250 : 트레이
251 : 받침대 252 : 트레이프레임
300 : 제어부 310 : 고정 제어기
311 : 이동 제어기 400 : 바구니
401 ; 수확물

Claims (5)

  1. 작업대(1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100);
    상기 작업대(160) 위에 설치되는 트레이 회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회전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와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중앙에 양쪽 끝 부분이 결합되는 회전하지 않는 중심축(214);과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양끝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이(250);와
    상기 중심축(214)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를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10)는,
    모터를 장착하는 모터고정대(221);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11);
    상기 구동기어(211)에 치합되는 종동기어(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14)은,
    양쪽 마구리에 다수의 지지프레임 결합공(218)이 형성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마구리에는 전선인입공(217-1)이 함께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 사이의 중심축 상에는 전선인출공(2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4.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날개(230, 231)의 중앙에는 회전날개 베어링(215, 216)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날개 베어링(216)에는 상기 종동기어(212)가 일체로 더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214)의 일 단부가 상기 종동기어(212)와 회전날개 베어링(215) 및 구동 회전날개(230)를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10)는 종동기어(212)에 연결된 회전날개 베어링(215)과 구동 회전날개(230)를 회전시키며,
    구동 회전날개(230)의 회전력은 구동 회전날개(230)의 끝 부분에 결합된 트레이 축(232)에 전달되고,
    상기 트레이 축(232)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트레이 축(232)과 끝 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 회전날개(23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KR1020180093896A 2018-08-10 2018-08-10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KR10221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96A KR102218544B1 (ko) 2018-08-10 2018-08-10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96A KR102218544B1 (ko) 2018-08-10 2018-08-10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99A true KR20200018099A (ko) 2020-02-19
KR102218544B1 KR102218544B1 (ko) 2021-02-19

Family

ID=6966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96A KR102218544B1 (ko) 2018-08-10 2018-08-10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677A (zh) * 2022-05-20 2022-08-12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用于油橄榄果实的振动采收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85A (ko) * 1999-07-16 1999-10-05 신천식 회전형 식물재배장치
KR20090008270U (ko) * 2008-02-13 2009-08-18 (주)모닝스타 모종재배장치
KR101327367B1 (ko)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799792B1 (ko) 2017-06-12 2017-11-21 이원식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85A (ko) * 1999-07-16 1999-10-05 신천식 회전형 식물재배장치
KR20090008270U (ko) * 2008-02-13 2009-08-18 (주)모닝스타 모종재배장치
KR101327367B1 (ko) 2012-06-15 2013-11-11 근우테크 주식회사 리프트 및 덤프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799792B1 (ko) 2017-06-12 2017-11-21 이원식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677A (zh) * 2022-05-20 2022-08-12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用于油橄榄果实的振动采收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44B1 (ko)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0380T3 (e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de artículos
ES2498742T3 (es) Robot y sistema de transferencia de sustrato
CN110710383A (zh) 一种香蕉采摘与吊放作业机器人
CN109850825A (zh) 一种可移动式物料装卸升降装置
CN108214518A (zh) 巡检机器人
CN208480065U (zh) 一种柔性pcb板的自动贴片装置
KR20200018099A (ko)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JP2018012604A (ja) 調節可能なバラスト取付装置を備えた移動式クレーン
CN110228074A (zh) 一种用于鸡房内可自动装箱的捡蛋机械手
CN207524605U (zh) 一种抗紫外线板材切割用上料装置
KR20130081854A (ko) 농업용 고소작업차
KR20150003433U (ko)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140067250A (ko)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382145B1 (ko) 이송 진공로봇
CN205555969U (zh) 一种具有独立顶升结构的可旋转潜入式自动导引车
KR101674718B1 (ko) 농업용 고소작업기
CN104528607A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CN211520676U (zh) 一种模板自动定位装置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101741374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설치구조
KR101799792B1 (ko)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CN208603635U (zh) 一种方便装车的农作物升降机
KR20160051110A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JPH0651256B2 (ja) ガントリーローダ
KR20160095458A (ko) 과수원용 고소작업차량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