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784B1 -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784B1
KR101786784B1 KR1020160068205A KR20160068205A KR101786784B1 KR 101786784 B1 KR101786784 B1 KR 101786784B1 KR 1020160068205 A KR1020160068205 A KR 1020160068205A KR 20160068205 A KR20160068205 A KR 20160068205A KR 101786784 B1 KR101786784 B1 KR 10178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frame
bar
coupl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6006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 고정되는 견인 모듈(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승강 모듈(30); 및 상기 승강 모듈(30) 상에 결합되는 적재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모듈(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적재 모듈(4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의 교차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교차 연결봉(33), 높이 조절바(31,32)의 상하부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의 슬라이드 봉(34), 상기 슬라이드 봉(34)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적재 모듈(4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35,37) 및 상기 견인 모듈(20)과 교차 연결봉(33)에 양측이 연결되는 액츄에이터(36)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연결봉(33)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상기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 블록(35,37)이 상기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적재 모듈(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High-place working apparatus and cart with drawbar}
본 발명은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기존의 사다리 같은 불안정한 구조의 작업 수단을 탈피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차량을 통해 견인하여 장소를 이동 설치할 수 있는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에 과수원 작업용 리프트의 개발이 활성화되지 않아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과수 작업의 특성상 사람의 키를 넘어서는 작업이 대부분인 관계로 작업의 생산성이 매우 낮게 된다. 이에 따라 고소 작업용 장치를 도입하여 운용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는 과수원 등에서 가지치기, 과실수확, 농약살포 등에 사용되며, 작업 자가 작업대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대를 지칭한다.
상기한 종래의 과수 작업용 고소작업대는 승강장치가 구성된 메인 작업대의 내부 또는 하부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 작업대가 구성되고, 작업 여건에 따라 상기 보조 작업대를 동시에 또는 한쪽을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수작업용 고소작업대는 출몰 가능한 보조 작업대가 메인 작업대와 단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 박스를 이동시킬 때 들어올려야 가능하고, 또한 메인 작업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보조 작업대가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금속판으로 구성된 작업대가 휘어지는 경우가 많아 작업 중인 작업자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메인 작업대에서 보조 작업대의 출몰시 작동 불량으로 이어지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대는 지면의 경사도만큼 고소 작업대가 경사지게 되므로, 고소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시 불안함을 느끼게 되고, 작업자나 탑재물의 하중분포에 따라 고소작업대가 전복할 우려도 있어 사용상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여전히 농업용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기존의 사다리 같은 불안정한 구조의 작업 수단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고소 작업용 장치는 고소 작업대와 상기 고소 작업대의 위치를 변경하게 하는 차량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바, 고소 작업대의 효율적인 사용 및 이송 관리를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다.
고소 작업용 장비를 개시한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248639호 및 제10-1200204호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문헌들은 농업용 또는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리프트의 상승 구조를 Z자형 및 다단형으로 제공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안정성을 기하게 한다는 내용을 기술한다.
(특허문헌 1) KR 10-1248639 B
(특허문헌 2) KR 10-1200204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농업용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기존의 사다리 같은 불안정한 구조의 작업 수단을 탈피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차량을 통해 견인하여 장소를 이동 설치할 수 있는 농업용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 고정되는 견인 모듈(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승강 모듈(30); 및 상기 승강 모듈(30) 상에 결합되는 적재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모듈(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적재 모듈(4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의 교차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교차 연결봉(33), 높이 조절바(31,32)의 상하부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의 슬라이드 봉(34), 상기 슬라이드 봉(34)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적재 모듈(4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35,37) 및 상기 견인 모듈(20)과 교차 연결봉(33)에 양측이 연결되는 액츄에이터(36)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연결봉(33)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상기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 블록(35,37)이 상기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적재 모듈(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견인 모듈(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 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견인바(21),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내측 끝단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 견인바(22),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견인 결속구(23), 상기 세로 견인바(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로드(25), 상기 지지 로드(2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6) 및 지지 로드(25)의 하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26)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플레이트(27)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모듈(40)은, 플레이트 형태의 작업대(41), 상기 작업대(41)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며 제2 슬라이드 홈(45)이 형성된 작업대 하판(42), 상기 작업대(41)의 내외부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보조대(43) 및 상기 보조대(43)의 가장자리 측에 상부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판(44)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대(43)는 상기 작업대(41)를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대(43)는 각각 구동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작업대(41)에서의 인출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 결속구(23)는,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전단에서 굴곡진 상태로 배치되는 결속 프레임(23a), 상기 결속 프레임(23a)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판(23b) 및 상기 결속 프레임(23a)의 끝단을 상하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결속바(23c)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프레임(23a)은,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상부단에서 소정거리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농업용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는 농업용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기존의 사다리 같은 불안정한 구조의 작업 수단을 탈피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차량을 통해 견인하여 장소를 이동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과수 작물이 담긴 바구니를 작업대 상에 복수의 행열로 배열한 상태에서 안전바를 이용하여 추락을 방지하게 하고, 상기 상태에서 장치의 전방에 구비된 견인대 상에 견인 차량을 연결한 후에 바로 목적지를 향해 이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는 고소 작업대를 이용하여 수확된 과수를 바구니에 담은 후에, 상기 고소 작업대 상에서 수확된 과수가 담긴 바구니를 다시 차량에 옮기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이송을 했던 번거로움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가동되는 복수의 실린더를 통해 작업대 상에서 수평으로 확장되는 보조판의 안정적인 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에서 작업대의 보조판이 수평으로 확장된 상태를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운반차로서 사용되는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 상에 과수 적재용 박스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를 설명한다.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 고정되는 견인 모듈(20),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승강 모듈(30) 및 승강 모듈(30) 상에 결합되는 적재 모듈(4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일예로서 상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사각 프레임 형상일 수 있으며, 사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그 내측에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된다. 사각 프레임의 측방에는 구동 휠(14)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견인 모듈(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 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견인바(21), 세로 견인바(21)의 내측 끝단에 결합되는 동시에 베이스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 견인바(22), 세로 견인바(21)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견인 결속구(23), 세로 견인바(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로드(25), 지지 로드(2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6) 및 지지 로드(25)의 하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26)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플레이트(27)를 포함한다.
견인 결속구(23)는 세로 견인바(21)의 전단에서 굴곡진 상태로 배치되는 결속 프레임(23a), 결속 프레임(23a)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판(23b) 및 결속 프레임(23a)의 끝단을 상하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결속바(23c)를 포함한다.
결속 프레임(23a)은 세로 견인바(21)의 상부단에서 소정거리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수평부는 단차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수평부 중 단차진 하단 부위 상에는 결속바(23c)가 관통 결합된다. 결속바(23c)는 견인 차량(50)의 후방에 결합된 견인대(52) 상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된다. 결속바(23c)의 하단에는 이를 관통하는 결속핀이 구비되어져, 견인대(52)에 체결된 결속바(23c)의 이탈을 방지한다.
승강 모듈(30)은 베이스 프레임(10)과 적재 모듈(4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의 교차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교차 연결봉(33), 높이 조절바(31,32)의 하부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의 슬라이드 봉(34), 슬라이드 봉(34)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 슬라이드 홈(12)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1 슬라이드 블록(35) 및 견인 모듈(20)의 가로 견인바(22)와 교차 연결봉(33)에 양측이 연결되는 액츄에이터(36)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36)는 한쌍이 교차 연결봉(33) 상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바(31,32)는 교차 연결봉(3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높이 조절바(31) 및 제2 높이 조절바(32)를 포함한다.
제1 높이 조절바(31)는 그 하단이 슬라이드 블록(35)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은 적재 모듈(40)의 하단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높이 조절바(32)는 그 상단이 제2 슬라이드 홈(45)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2 슬라이드 블록(37)을 통해 적재 모듈(40)을 구성하는 작업대 하판(42)상에 결합되고, 그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 모듈(4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작업대(41), 작업대(41)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며 제2 슬라이드 홈(45)이 형성된 작업대 하판(42), 작업대(41)의 내외부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보조대(43) 및 보조대(43)의 가장자리 측에 상부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판(44)을 포함한다.
적재 모듈(40)은 작업대(41), 보조대(43), 안전판(44)으로 이루어지는 3단 적재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즉, 1단 적재는 보조대(43)가 작업대(4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전판(44)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이고, 2단 적재는 보조대(43)가 작업대(4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안전판(44)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이며, 3단 적재는 보조대(43)가 작업대(4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안전판(44)을 보조대(43)에 수평하게 배치한 상태이다.
보조대(43)는 솔밸브 시스템이 장착된 실린더 확장형의 전자 방식으로서 작업대(41)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4개의 보조대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이다. 즉, 각각의 보조대(43)는 구동 실린더(60)에 의해 작업대(41)에서의 인출 구동이 이루어진다.
구동 실린더(60)는 실린더 본체 및 실린더 본체 내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본체는 작업대(41)의 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측단은 보조대(43) 상에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 구조를 통해서, 구동 실린더(60)를 작동하여 피스톤을 실린더 본체에서 인출하는 경우에는 피스톤에 연결된 보조대(43)가 작업대(41)에서 슬라이딩 운동하여 확장된다.
한편, 상기 구동 실린더(60)를 이루는 실린더 본체 및 피스톤은 작업대(41)와 보조대(43)의 하부 상에 배치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를 통해서, 적재 모듈(40) 상에 수확된 과수를 다량으로 적재하는 경우에도 작업대(41)및 보조대(43)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작업대(41)와 보조대(43) 간에 일체형 랙 앤 피니언 구조를 통해서 구동 방식을 기존의 유압 방식이 아닌 전동식 모터 방식으로 구성한다. 즉, 기존 제품의 작업대의 경우에는 작업대의 발판을 확장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경우에, 좌우 인출방식을 제조사 별로 다양한 기술을 채용함으로 사용 시에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해 왔고, 구체적으로는 이물질로 인한 실린더 및 와이어 구동부의 고장, 구조의 복잡성 및 상부 중량 증가 등은 장비 전체의 구조에 있어 매우 큰 문제점이 되었던바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한다.
기존 작업대의 경우에는 좌우 인출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 또는 복잡한 체인 시스템 등을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12V DC 전원을 사용한 모터 방식의 일체형 렉 앤 피니언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중량을 줄여 무게 중심을 낮추게 한다.
한편, 기존 작업대 확장식 리프트의 경우에는 작업대 확장부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하여 사람 또는 물건의 끼임으로 인하여 안전 사고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었던바, 끼임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대(41)와 보조대(43)가 겹쳐지는 부분 상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물질이 감지되는 경우 즉시 멈추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도 5는 운반차로서 사용되는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 상에 과수 적재용 박스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다.
작업대(41) 상에는 일 실시예로서 과수 작업용 박스를 가로 방향을 따라 3열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7줄로 과수 작업용 박스를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서 21개의 과수 작업용 박스를 배치가능할 수 있다. 한편, 과수 작업용 박스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쌓을 수 있는 구조인바, 3단으로 과수 작업용 박스를 적재함으로써 다량의 과수 운반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작업대(41) 상에 과수 작업용 박스를 5×5로 배치하고 3단으로 적재함으로써 총 75개의 과수 작업용 박스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견인 차량(50)의 후방에 결합된 견인대(52)를 견인 모듈(20)의 견인 결속구(23)에 연결한 상태에서 과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를 배치한다.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를 지정된 장소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먼저 손잡이(26)를 작동하여 로드 플레이트(27)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로드 플레이트(27)의 하면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한다. 즉, 지지 로드(25)에 연결된 세로 견인바(21) 및 가로 견인바(22)에 의해서 베이스 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는, 승강 모듈(30)의 액츄에이터(36)를 구동한다.
수축된 상태의 액츄에이터(36) 상에 동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가로 견인바(22)와 교차 연결봉(33) 상에 배치된 액츄에이터(36)가 신장하면서 상기 교차 연결봉(33)을 밀어올리게 되면 제1 슬라이드 블록(35)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 슬라이드 홈(12)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작업대 하판(42)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홈(45)을 따라 제2 슬라이드 블록(37)이 적재 모듈(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교차 연결봉(33)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 높이 조절바(31)와 제2 높이 조절바(32)는 각각 제1 슬라이드 블록(35)와 제2 슬라이드 블록(37)이 베이스 프레임(10)과 적재 모듈(4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적재 모듈(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작업대(4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 보조대(43)를 작업대(41)의 측방으로 인출한 이후에 안전판(44)을 상부 방향으로 접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적재 모듈(40) 상에는 폭 방향을 따라 거의 2배에 가까운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즉, 보조대(43)의 인출 가능 구조 및 승강 모듈(30)의 접철 구조를 통해서 운반시에는 용적을 최소화하고, 과수 작업 시에는 용적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후, 과수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견인 차량(50)의 후방에 결합된 견인대(52)를 견인 모듈(20)의 견인 결속구(23)에 연결한 상태에서 손잡이(26)를 작동하여 로드 플레이트(27)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로드 플레이트(27)의 하면이 지면에서 이격시킨 후에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농업용 견인식 고소 작업 장치는 농업용으로 과수원 등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기존의 사다리 같은 불안정한 구조의 작업 수단을 탈피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차량을 통해 견인하여 장소를 이동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프레임
20 : 견인 모듈
30 : 승강 모듈
40 : 적재 모듈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 고정되는 견인 모듈(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승강 모듈(30); 및
    상기 승강 모듈(30) 상에 결합되는 적재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모듈(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적재 모듈(40) 사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의 교차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교차 연결봉(33), 높이 조절바(31,32)의 상하부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형태의 슬라이드 봉(34), 상기 슬라이드 봉(34)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적재 모듈(4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35,37) 및 상기 견인 모듈(20)과 교차 연결봉(33)에 양측이 연결되는 액츄에이터(36)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 모듈(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 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견인바(21),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내측 끝단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로 견인바(22) 및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는 견인 결속구(23)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 결속구(23)는,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전단에서 굴곡진 상태로 배치되는 결속 프레임(23a), 상기 결속 프레임(23a)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판(23b) 및 상기 결속 프레임(23a)의 끝단을 상하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결속바(23c)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프레임(23a)은, 상기 세로 견인바(21)의 상부단에서 소정거리 상부로 연장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루며,
    상기 교차 연결봉(33)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상기 한쌍의 높이 조절바(31,32)는 각각 상기 슬라이드 블록(35,37)이 상기 슬라이드 홈(12,4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적재 모듈(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는,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모듈(40)은,
    플레이트 형태의 작업대(41), 상기 작업대(41)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며 제2 슬라이드 홈(45)이 형성된 작업대 하판(42), 상기 작업대(41)의 내외부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보조대(43) 및 상기 보조대(43)의 가장자리 측에 상부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판(44)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대(43)는 상기 작업대(41)를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대(43)는 각각 구동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작업대(41)에서의 인출 구동이 이루어지는,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4. 삭제
KR1020160068205A 2016-06-01 2016-06-01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KR10178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05A KR101786784B1 (ko) 2016-06-01 2016-06-01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05A KR101786784B1 (ko) 2016-06-01 2016-06-01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784B1 true KR101786784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05A KR101786784B1 (ko) 2016-06-01 2016-06-01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818B1 (ko) * 2018-12-14 2020-06-15 한운기 이동 가능한 폴더형 태양광 발전장치
CN116476411A (zh) * 2023-04-20 2023-07-25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聚氨酯碳玻混拉板材的挤拉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596B2 (ja) * 1991-04-12 2001-05-08 出光興産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KR200450022Y1 (ko) * 2008-01-16 2010-08-31 주식회사 세웅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JP3164596U (ja) * 2010-09-24 2010-12-09 後藤 博 テーブルリフト
KR101536592B1 (ko) * 2014-11-18 2015-07-14 권기원 개량된 상하역 구조를 갖는 농기계 운반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596B2 (ja) * 1991-04-12 2001-05-08 出光興産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KR200450022Y1 (ko) * 2008-01-16 2010-08-31 주식회사 세웅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JP3164596U (ja) * 2010-09-24 2010-12-09 後藤 博 テーブルリフト
KR101536592B1 (ko) * 2014-11-18 2015-07-14 권기원 개량된 상하역 구조를 갖는 농기계 운반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818B1 (ko) * 2018-12-14 2020-06-15 한운기 이동 가능한 폴더형 태양광 발전장치
CN116476411A (zh) * 2023-04-20 2023-07-25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聚氨酯碳玻混拉板材的挤拉设备
CN116476411B (zh) * 2023-04-20 2024-02-09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聚氨酯碳玻混拉板材的挤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0572B2 (en) Modular pallet jack
EP1819571B1 (de) Transportgerät für hochbauendes transportgut
EP3183190B1 (de) Lager- und/oder kommissioniersysteme
EP310786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containern in hochregallagern
US9458000B2 (en) Pallet truck adapter
DE602005004767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gern von sperriger Last
DE202014011467U1 (de) Lasthandhabungsvorrichtung für das Entnehmen von Einheiten aus einem Lagersystem
US8764373B2 (en) Utility carryall for utility, skid steer and industrial tractors
KR101786784B1 (ko)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KR20090018244A (ko) 과수용 리프트 트레일러
DE202015006120U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tückgütern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DE3642700C3 (de) Hydraulischer Gabelhubwagen mit Scherenabstützung
DE102011118363A1 (de) Transportsystem für Transportbehälter oder Gitterboxen
DE3881523T2 (de) Betriebsvorrichtung für eine lagerungsanordnung.
DE602004002097T2 (de) Anhänger mit hebeeinrichtung für container
DE102009051785A1 (de) Gabelstaplerarbeitsbühne
DE4126728A1 (de) Hebe- und foerderfahrzeug
CN110078000A (zh) 便携式提升作业一体升降机
DE102008061334A1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schweren Gegenständen
JP3149739U (ja) 箱昇降運搬車
DE102007015095B4 (de) Untersatz für Transportpaletten und andere auf Stützelementen unter Bildung einer Brücke abstellbare Transport- und Lagereinheiten
DE102018112566A1 (de) Flurförderzeug mit ausfahrbarer Struktur
AT7098U1 (de) Klappbares transportgerät
DE4104347A1 (de) Lagenkommissionierstapler mit zwei separat steuerbaren, hoehenbeweglichen lasttraeg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