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680B1 - 과수 작업차 - Google Patents

과수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680B1
KR101923680B1 KR1020170026515A KR20170026515A KR101923680B1 KR 101923680 B1 KR101923680 B1 KR 101923680B1 KR 1020170026515 A KR1020170026515 A KR 1020170026515A KR 20170026515 A KR20170026515 A KR 20170026515A KR 101923680 B1 KR101923680 B1 KR 10192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ing
main frame
unit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422A (ko
Inventor
정승현
송희권
Original Assignee
엘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에스(주) filed Critical 엘앤에스(주)
Publication of KR2018008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무의 상부의 열매 수확 및 전반적인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함과 작업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탑승자가 승강되는 적재함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될 수 있어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제1 및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중이 지지되어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수 작업차{Work vehicle for fruit tree cultivation}
본 발명의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무의 상부의 열매 수확 및 전반적인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함보다 작업자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이나 이동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과수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작업차 (또는 고소작업차)는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지에서 무한궤도 바퀴로 이동되어 수확한 과일 또는 농작물을 실어 운반하거나, 적재함이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적재함에 탑승하여 과수나무를 가지치기 하거나 과일을 수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수작업차는 과수의 열매가 적재되는 적재함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붐이 회전하면서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붐 타입(boom type), X자형 링크의 승강 작동에 의해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타입(Lift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152호에 게시된 농업용 고소작업차와 같은 붐 타입은 리프트 타입에 비해 적재함의 크기가 제한적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947호에 게시된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와 같은 리프트 타입은 X자형의 링크에 의해 적재함의 승강 길이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152호 : 농업용 고소작업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625호 :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 가능한 적재함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프레임이 설치되며, 적재함에 대해 탑승프레임이 승강 가능하여 작업자의 승강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작업 또는 이동 시 적재함 및 탑승프레임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과수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지에서 작업시 작업자가 경사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과수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수 작업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적재함과 함께 승강되며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프레임과, 상기 적재함과 상기 탑승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대해 상기 탑승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탑승프레임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승프레임 승강유닛은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적재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탑승프레임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양측에 제1 및 제2승강레일부가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좌측과 우측이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승프레임과 결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이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 이동시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탑승프레임의 하중을 보조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측부에 장착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대해 멀어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제1완충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완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 인가시 상기 제1완충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 구동시 회전되는 제1바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상기 이동유닛이 설치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받는 상기 탑승프레임 및 상기 적재함의 하중을 보조 지지하는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의 단부에 대해 돌출가능한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제2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제2완충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완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보조지지프레임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 인가시 상기 제2완충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제2보조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 구동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을 보조지지하는 제2바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함은 타측에 상기 적재공간의 측방향이 개방되게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되는 개폐도어와, 수평상태의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개폐도어승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상기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승강유닛 사이에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는 레벨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벨유닛은 상기 적재함승강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적재함과 함께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서 상기 적재함 상에 전후 방향 또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한 상기 적재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저면에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와,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 형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들 사이의 상기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과수나 농작물을 담기 위해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상자의 미끄러짐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연장길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상자이동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탑승자가 승강되는 적재함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될 수 있어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의 단부 측에 설치된 제1 또는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에 의해 적재함에 실린 과수 또는 농장물에 의해 편심되더라도 전복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경사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과수작업차의 일측에 설치된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을 확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일측에 설치된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을 확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적재함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의 일측을 승강프레임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켜 적재함이 경사지에서 수평하게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적재함 타측을 승강프레임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시켜 적재함이 경사지에서 수평하게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이격부재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수작업차(1)는 메인프레임(10)과, 이동유닛(20)과, 적재함(50)과, 적재함승강유닛(60)과, 탑승프레임(70)과,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과, 제1하중지지보조유닛(100)을 구비한다.
메인프레임(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단위빔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단위빔이 상호 연결된 사각구조물을 이룬다.
이동유닛(20)은 메인프레임(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좌측캐터필러(30) 및 우측 캐터필러(40)을 구비한다.
좌측캐터필러(3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10)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구동롤러(31) 및 제1피동롤러(32)와, 제1구동롤러(31)와 제1피동롤러(32) 사이의 메인프레임(10)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1지지롤러(33a,33b,33c,33d)와, 제1구동롤러(31), 제1피동롤러(32) 및 제1지지롤러(33) 들에 지지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이동벨트(35)와, 제1구동롤러(31)에 설치되어 제1구동롤러(31)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우측캐터필러(4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10)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구동롤러(41) 및 제2피동롤러(42)와, 제2구동롤러(41)와 제2피동롤러(42) 사이의 메인프레임(10)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2지지롤러(43)와, 제2구동롤러, 제2피동롤러 및 제2지지롤러(43a,43b,43c,43d) 들에 지지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이동벨트(45)와, 제2구동롤러(41)에 설치되어 제2구동롤러(41)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죄측캐터필러와 우측캐터필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캐터필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캐터필러는 다수의 제1지지롤러 중 중심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롤러(33b,33c)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우측 캐터필러는 제1지지롤러(33b,33c)에 대응되는 중심측의 제2지지롤러들을 회전시키는 제4회전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1지지롤러(33b,33c)는 제1회전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이동벨트(35)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지만, 제3회전모터(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제1이동벨트를 회전시킬수도 있다. 그리고, 제1지지롤러(33b,33c)에 대응되는 중심측의 제2지지롤러들도 제2회전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이동벨트(45)에 의해 회전될 수 도 있지만, 제4회전모터(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제2이동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굴곡진 곳을 주행하거나 지면에 대해 돌출된 바위 등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모터의 회전력 전달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제3 및 제4회전모터를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주행을 용이하게 하여 전도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적재함은(50)은 내부에 과수와 같은 농작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51)이 마련된 사각구조물로 형성되며 적재함승강유닛에 지지된다.
적재함승강유닛(6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함(50)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과 적재함(50)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X자형의 복수의 링크부(61)와, 메임프레임(10)에 장착되어 링크부(6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리프트부(65)가 구비된다.
링크부(61)는 상단이 적재함(50)의 전방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메인프레임(10)의 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동바(62), 상단이 제1회동바(62)의 상단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적재함(5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제1회동바(62)의 하단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동바(6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동바(62,64)는 상호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핀(6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부(61)는 메인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회동바(62)를 연결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2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리프트부(65)와 연결되는 리프트부연결바(미도시)가 구비된다.
리프트부(65)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부 중앙부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66)와, 상단이 링크부의 리프트부연결바(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실린더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67)가 구비된다.
리프트부(65)는 후술되는 조향박스(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향박스(75)의 조작정보에 따라 실린더(66) 내의 유압이 조절되어 로드(67)가 진퇴된다.
탑승프레임(70)은 적재함(5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적재함승강유닛(60)에 의해 승강하는 적재함(5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탑승프레임(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에 지지되어 메인프레임(10)의 전방 측에 대응되는 적재함(50)의 측부에 위치되며,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에 의해 적재함(5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탑승프레임(70)은 발판부(71)와, 발판부(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난간부(72)를 구비한다. 난간부(7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작업자가 발판부(71)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개폐부(73)가 형성되며, 이동유닛(20)의 구동과 적재함승강유닛(60)의 승강, 그리고 후술되는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는 조향박스(75)가 설치된다.
조향박스(75)는 전진 및 후진 좌우 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조향키(J)가 마련되며, 적재함승강유닛(60)과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들이 구비된다. 또한, 조향박스(75)에는 돌발 상황시 이동유닛(20)을 급제동하는 비상정지스위치와,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은 가이드프레임(81)과, 승강부재(88)와, 승강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가이드프레임(81)은 적재함에 대해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대응되는 적재함의 전방 측부에 설치되고 적재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가이드프레임(81)은 좌우측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와,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를 연결하며 적재함(50)과 결합되는 적재함결합부(84)를 구비한다.
가이드프레임(81)은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중공부(85a)가 형성되며 메인프레임(10)의 전방 방향으로 제1중공부(85a)와 연통되는 개구부(85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는 상호 마주하는 면이 멀어지게 인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승강부재(88)는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의 상호 이격거리 만큼 좌우로 연장형성되어, 좌우측이 각각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은 탑승프레임(70)과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부재(88)는 제1 및 제2승강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제1 및 제2인입홈(86,87)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미도시)는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부재(88)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구동모터, 피니언부, 래크부를 구비한다.
제1구동모터는 적재함결합부(84)와 마주하는 승강부재(88)의 일면에 장착되며 조향박스(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향박스(75)의 조작정보에 따라 구동된다. 구동모터는 승강부재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양방향모터가 적용되며, 회전수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니언부는 제1구동모터의 제1회전축과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의 제1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이다. 래크부는 제1 및 제2인입홈의 메인프레임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의 연장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피니언부와 맞물리는 래크 기어(Rack gear)이다. 즉, 승강구동부는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승강부재(88)를 승강시킨다.
탑승프레임(70)에 탑승한 작업자가 조향박스(75)를 조작하면 조작정보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승강부재(88)는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부가 래크부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승강레일부(82,8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제1하중지지보조유닛(100)은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제1하중지지보조유닛(100)은 이동유닛(20)에 의해 메인프레임(10) 이동시 메인프레임(10) 및 탑승프레임(70)의 하중을 보조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제1하중지지보조유닛(100)은 도 3을 참고하면, 가로프레임(110)의 측면과 결합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120)와, 일측이 제1지지플레이트(120)와 결합되며 메인프레임(10) 대해 멀어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보조지지프레임(130)과,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의 상에 배치되며 제1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제1완충플레이트(140)와, 제1지지플레이트(120)와 제1완충플레이트(1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에 메인프레임(10)의 하중 인가시 제1완충플레이트(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50)와,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플레이트(160)와, 제1결합플레이트(16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유닛(20) 구동시 회전되는 제1바퀴부재(170)를 구비한다.
제1바퀴부재(170)는 제1결합플레이트(16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캐스터 부재(1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플레이트(120)는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의 좌우폭만큼 상호 이격되어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21)가 형성된다.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와 고정플레이트(121)는 좌우방향으로 제1보조지지프레임(130)의 일단부와 고정플레이트(121)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핀(122)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제1탄성부재(150)는 이동유닛(20)의 이동 중 정지 또는 방향 전환시 발생되는 관성력이나, 경사지 등에 의해 무게중심이 이동보조유닛으로 이동되었을 때, 보조지지프레임과 제1바퀴부재에 인가되는 적재함 또는 탑승프레임이 하중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과수작업차(1)는 바퀴부재(170)가 지면에 맞닿게 되어 있어 방향 전환이나 경사지 하강 이동시 하중이 한 쪽으로 쏠리는 경우 바퀴부재(170)가 일차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바퀴부재(170)를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과수작업차(1)의 하중에 대한 반발력이 보조지지프레임(130)을 통해 탄성부재(150)로 그 힘이 전달되면서, 지지플레이트(120)를 메인프레임(10) 방향으로 미는 힘이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는 탑승자가 승강되는 적재함(50)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될 수 있어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수작업차는 메인프레임(10)의 단부 측에 설치된 보조지지유닛에 의해 적재함(50)에 실린 과수 또는 농장물에 의해 편심되더라도 전복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의 구조에 복수 개의 제2하중지지보조유닛(300)을 더 구비한다.
제2하중지지보조유닛(300)은 이동유닛(20)의 좌측캐터필러(30)와 우측캐터필러(40)가 각각 설치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메인프레임(20)이 받는 탑승프레임(80) 및 적재함(50)의 하중을 보조 지지한다.
제2하중지지보조유닛(300)은 도 4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 좌우측의 전,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의 전단부에만 설치되거나, 후단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하중지지보조유닛(300)은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측에 결합되어 메인프레임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하중지지보조유닛(300)은 제2지지플레이트(320)와, 제2보조지지프레임(330)과, 제2완충플레이트(350)와, 제2탄성부재(340)와, 제2결합플레이트(360)와, 제2바퀴부재(370)를 구비한다.
제2지지플레이트(320)는 메인프레임(2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상 형태이다.
제2보조지지프레임(330)은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으로서, 제1고정부(331)와, 제1슬라이딩부(335)를 구비한다. 제1고정부(331)는 일측이 제2지지플레이트(320)에 결합되고 타측이 메인프레임(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연장방향과 나란하고 타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2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제2중공부와 연통되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부(335)는 제1고정부(331)의 개구부를 통해 제2중공부에 수용되어 제1고정부(331)의 길이방향으로 제1고정부(331)에 대해 돌출 가능하게 슬라이딩 된다.
즉, 제2보조지지프레임(330)은 제1슬라이딩부(335)가 제1고정부(331)의 제2중공부에서 메인프레임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 연장되거나, 제1슬라이딩부(335)가 메인프레임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 축소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335)가 제1고정부(3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고정부(331)의 개구부는 제2중공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고정부와 마주하는 제1슬라이딩부(335)의 단부는 개구부보다 큰 폭을 갖는 플렌지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보조지지프레임(330)의 길이 연장 및 축소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고정부의 제2중공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제1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구조가 적용되거나, 또는 제2중공부에 래크 기어(rack gear)를 설치하고 제1슬라이딩 외주면에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설치한 구조가 적용되어 자동으로 이루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보조지지프레임(300)에 유압구조 적용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과수작업차는 메인프레임(10)에는 제2보조지지프레임(300)의 신축을 위해 필요한 유체가 저장된 유체탱크(미도시)와, 유체의 이동시키는 펌프(미도시)와, 유체탱크와 제1고정부를 연결하는 유체공급관과, 유체공급관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송시키는 펌프와, 조향박스와 연결되어 유체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보조지지프레임(300)에 래크와 피니언 기어 적용 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과수작업차는 제1고정부에 장착된 래크 기어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이 마련된 제2구동모터가 제1슬라이딩부에 장착되어야 하며, 제2구동모터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제2구동모터가 조향박스(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340)는 일측이 제2지지플레이트(320)와 결합되고 제2보조지지프레임(330) 연장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타측이 제2완충플레이트(350)와 결합된다.
즉, 제2완충플레이트(350)는 제2탄성부재(340)에 의해 제2지지플레이트(320)에 대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고정부(331) 상면에 배치된다. 제2완충플레이트(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331)의 상면과 접촉되는 수평부(351)와, 수평부(351)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직립하게 연장형성되어 수평부(351)과 직교하며 제2탄성부재(340)와 결합되는 수직부(352)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플레이트(360)는 제2보조지지프레임(330)의 타단 즉, 제1슬라이딩부(335)의 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이동유닛(20)의 구동력에 의해 지면에 구름운동이 가능한 제2바퀴부재(370)가 설치된다. 제2바퀴부재(370)는 이동유닛(20)의 구동에 의한 메인프레임(10)의 이동을 보조하며, 적재함(50)이나 탑승프레임(70)의 하중의 지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이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어, 이동 시나 적재함 및 탑승프레임에서 작업시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으로 편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적재함에 열매나 농작물의 무게에 따라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하중을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3)의 적재함(50)은 일측에 탑승프레임승강유닛(80)이 설치되고, 타측에 적재공간(51)의 측방향이 개방되게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되는 개폐도어(52)와, 수평상태의 개폐도어(52)를 승강시키는 개폐도어승강유닛(55)을 구비한다.
개폐도어 승강유닛(55)은 적재함(50)의 후방측 단부에 장착되어 개폐도어(51)가 상하이동 할 수 있게 한다.
개폐도어 승강유닛(55)는 적재함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56)과, 하우징(56)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가능한 리프트프레임(58)을 구비한다.
리프트프레임(58)은 하단에 개폐도어(5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개폐도어(51)를 지지하는 브라켓(59)이 설치된다.
브라켓(59)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개폐도어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59a)와, 힌지결합부(59a)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개폐도어(51)가 수평선상 아래로 회동되지 않게 수평상태에서 개폐도어(51)의 하면을 지지하는 개폐도어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3)는 일반적인 유압 쇼바(absorber)의 일측과 타측이 개폐도어(51)와 리프트프레임(58)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도어(51)의 회동을 완충하거나 회동각이 제한할 수 있는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3)는 소정길이 연장되어 일측이 개폐도어(51)에 설치되고 타측이 리프트프레임(58)에 설치되어 개폐도어(51)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체인(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재함(50)의 리프트프레임(58)이 하우징(56)의 내부공간으로 승,하강하기 위해서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56) 내에 전동윈치(Electric winch)가 장착되어 리프트프레임(58)을 승하강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3)는 승강가능한 개폐도어(51)에 의해 적재함에 실린 과수나 농작물을 내리거나, 과수 관리 작업을 위해 필요한 물건을 적재함으로 올릴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4)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4)는 제1하중지지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1하중지지유닛(200)은 제1지지플레이트(120)와, 제3보조지지프레임(230)과, 제1완충플레이트(140)와, 제1탄성부재(150)와, 제1결합플레이트(160)와, 제1바퀴부재(170)와, 제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를 구비한다.
제3보조지지프레임(230)은 제1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되며 메인프레임(1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연장 방향으로 제3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제2고정부(231)와, 제2고정부(231)의 제3중공부에 수용되어 메인프레임(10)에 대해 멀어지거나 인접하게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딩부(233)와, 일측이 제2슬라이딩부(233)의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제1결합플레이트(160)와 결합되는 회동부재(23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는 메인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제3보조지지프레임(23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상호 나란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는 일측이 가로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실린더부(241,251)와, 일측이 실린더부(241,25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결합플레이트(160)와 결합되는 로드부(245,255)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는 조향박스(75)와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 연장 및 신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향박스에는 제1 및 제2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된다.
제 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는 조향박스의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에 따라 결합플레이트가 회동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신축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는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와 바퀴부재(170)와의 거리를 확장시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동시에 길이 연장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프레임(10)에는 제1 및 제2유압실린더(240,250)의 신축을 위해 필요한 유체가 저장된 유체탱크(미도시)와, 유체의 이동시키는 펌프(미도시)와, 유체탱크와 제1 및 제2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체공급관과, 유체공급관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송시키는 펌프와, 조향박스와 연결되어 유체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7 및 도8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5)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미끄럼방지부(56)와,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를 더 구비한다.
적재함(50)은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적재공간(s)이 형성되며, 적재공간(s)이 형성되는 내측의 저면(b)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부(56)와,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를 구비한다.
다수의 미끄럼방지부(56)는 적재함(50)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의 관통공(57)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기(57a)를 각각 구비한다. 적재함(50) 저면의 관통공(57)과 미끄럼방지부(56)는 적재함(50)의 저면을 교차되게 일정길이 절재하고 절재된 부분을 상방으로 절곡 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저면에 대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는 일정길이 연장된 환봉 형상으로 미끄럼방지부(56)들 사이의 상기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다수의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적재함(5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적재함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하지만, 다수의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재함(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적재함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들의 상호 이격거리는 상자(8)의 폭의 절반 길이 이루는게 바람직하다.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는 저면에 용접으로 장착될 수 있으나, 저면에 고정 방법은 한정되지않는다.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56a)의 연장길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수확된 과수나 농작물을 담기 위해 적재함(50)에 적재되는 상자의 저면과 접촉된다. 이는 상자(8)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고 미끄럼방지부에 걸리지 않게 하여 상자의 미끄러짐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적재함(50)과 적재함승강유닛(60) 사이에 위치하는 레벨유닛(400)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적재함승강유닛(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상부가 적재함 대신 레벨유닛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적재함승강유닛(60)은 레벨유닛(400)을 승강시켜 레벨유닛(400) 상부에 설치된 적재함(50)을 함께 승강시킨다.
레벨유닛(400)은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6)가 경사지에 위치시 작업자의 미끄럼방지 및 작업이 용이하도록 적재함(50)의 수평을 조절한다.
레벨유닛(400)은 적재함(50)에 대응되는 사각구조물로 형성되며 적재함승강유닛(60)과 결합되어 적재함(50)과 함께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410)과, 적재함(50)과 승강프레임(410) 사이에 설치되어 적재함(50)을 지지하며 적재함(50)과 승강프레임(41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450)를 구비한다.
적재함 승강유닛(60)은 메인프레임(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프레임(410)의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과 승강프레임(410)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X자형의 복수의 링크부(61)와, 메임프레임(10)에 장착되어 링크부(6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리프트부(65)가 구비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링크부(61)의 제1회동바(62)는 상단이 적재함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승강프레임(410)의 전방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메인프레임(10)의 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링크부(61)의 제2회동바(64)는 제1회동바(62)의 상단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승강프레임(41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제1회동바의 하단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메임프레임(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수의 이격부재(450)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적재함(50)의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는 승강프레임(4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격부재(450)는 도 11을 참조하면, 적재함(5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451)과, 제1브라켓(45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453)와, 제1링크(453)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승강프레임(4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455)와, 일단이 제2링크(45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2링크(455) 또는 승강프레임(4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재함(50)을 승강시키기 위해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재(457)를 구비한다.
제1브라켓(451)은 적재함(5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제1링크(453)가 제1힌지축(454)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및 하단이 개방되어 있다. 제1링크(45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제1브라켓(451)에 힌지결합된다.
제2링크(45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회동될 수 있도록, 상단이 제1링크(453)의 하단에 제1힌지축(454)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힌지축(456)에 결합되며, 하단이 제1힌지축(454)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3힌지축(458)을 통해 승강프레임(410)과 결합된다.
신축부재(457)는 양단이 각각 제1링크(453)의 하부와 승강프레임(410)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신축부재(457)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잭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적재함(50)의 전단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이격부재(450)의 스크류(미도시)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각 이격부재(450)를 신축시켜 적재함(5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신축부재(457)는 유압에 의해 내측에 수용되는 피스톤(piston) 또는 플런저(plunger)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격부재(450)는 조향박스(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향박스(75)의 조작을 통해 신축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적재함(5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경사지에서도 작업자가 적재함 또는 탑승프레임에서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적재함(50)에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의 미끄럼방지부(56)와 상자이동가이드부재(58)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7)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의 구조에 이격부재(450)가 적재함의 좌우측단에 각각 더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다수의 이격부재(450)가 적재함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적재함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적재함(5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탑승자가 승강되는 적재함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될 수 있어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메인프레임(10)의 단부 측에 설치된 제1 또는 제2하중지지보조유닛(100,300)에 의해 적재함(50)에 실린 과수 또는 농작물에 의해 편심되더라도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적재함(50)의 수평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경사지에서도 작업자가 적재함 또는 탑승프레임에서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작업차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 과수작업차
10 : 메인프레임 20 : 이동유닛
50 : 적재함 60 : 적재함 승강유닛
61 : 링크부 65 : 리프트부
70 : 탑승프레임 75 : 조향박스
80 : 탑승프레임승강유닛 81 : 가이드프레임
88 : 승강부재 100 : 제1하중지지보조유닛
300 : 제2하중지지보조유닛

Claims (9)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적재함과 함께 승강되며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프레임과,
    상기 적재함과 상기 탑승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대해 상기 탑승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탑승프레임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 이동시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탑승프레임의 하중을 보조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는 좌측캐터필러와 우측캐터필러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캐터필러는 지면에 접촉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제1이동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우측캐터필러는 지면에 접촉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제2이동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중지지보조유닛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측부에 장착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지지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대해 멀어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제1완충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완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 인가시 상기 제1완충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 구동시 회전되는 제1바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프레임승강유닛은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적재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탑승프레임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양측에 제1 및 제2승강레일부가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좌측과 우측이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승프레임과 결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승강레일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3. 삭제
  4. 삭제
  5.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과수 또는 농작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승강유닛과,
    상기 적재함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함승강유닛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적재함과 함께 승강되며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프레임과,
    상기 적재함과 상기 탑승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대해 상기 탑승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탑승프레임승강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이 설치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받는 상기 탑승프레임 및 상기 적재함의 하중을 보조 지지하는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하중지지보조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부의 단부에 대해 돌출가능한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제2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는 제2완충플레이트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완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보조지지프레임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 인가시 상기 제2완충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제2보조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 구동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중을 보조지지하는 제2바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타측에 상기 적재공간의 측방향이 개방되게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되는 개폐도어와,
    수평상태의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개폐도어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승강유닛 사이에 상기 적재함의 수평을 유지하는 레벨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레벨유닛은
    상기 적재함승강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적재함과 함께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서 상기 적재함 상에 전후 방향 또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한 상기 적재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다수의 이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9. 제 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저면에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와,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 형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들 사이의 상기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과수나 농작물을 담기 위해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상자의 미끄러짐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연장길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상자이동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작업차.
KR1020170026515A 2017-01-06 2017-02-28 과수 작업차 KR101923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2321 2017-01-06
KR1020170002321 2017-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22A KR20180081422A (ko) 2018-07-16
KR101923680B1 true KR101923680B1 (ko) 2019-02-22

Family

ID=6304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515A KR101923680B1 (ko) 2017-01-06 2017-02-28 과수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79A (ko) 2022-01-21 2023-07-28 (주)헬퍼로보텍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354B1 (ko) * 2018-07-17 2020-10-15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작업차
KR102160210B1 (ko) * 2018-11-23 2020-10-14 엘앤에스(주) 무한궤도를 갖는 전동 작업차
US20210076557A1 (en) * 2019-09-18 2021-03-18 Cruiser Products, Llc Vehicle for tending to agriculture and related methods
KR102516397B1 (ko) * 2019-11-04 2023-04-03 엘앤에스(주)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CN111201890A (zh) * 2020-01-12 2020-05-29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具有自动调平功能的采摘装置
KR102146400B1 (ko) 2020-06-08 2020-08-2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장치
KR102465684B1 (ko) * 2020-11-12 2022-1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JP6919953B1 (ja) * 2021-02-18 2021-08-18 株式会社松榮技研 高所作業台装置
KR102270911B1 (ko) 2021-02-26 2021-06-3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KR102369377B1 (ko) * 2021-08-02 2022-03-02 지씨에스 주식회사 친환경 지게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810A (ja) * 2005-03-17 2006-09-28 Toyo Kogyo Kk 高所作業用バスケット
KR101555057B1 (ko) * 2013-05-23 2015-10-01 김구성 과일 수확용 작업장치
JP2016086696A (ja) * 2014-10-31 2016-05-23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収穫用作業機
KR101635394B1 (ko) * 2014-04-29 2016-07-01 주식회사 세웅 고소작업대용 안전가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625A (ko)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세웅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
KR101669152B1 (ko) 2014-10-31 2016-10-25 이종태 농업용 고소 작업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810A (ja) * 2005-03-17 2006-09-28 Toyo Kogyo Kk 高所作業用バスケット
KR101555057B1 (ko) * 2013-05-23 2015-10-01 김구성 과일 수확용 작업장치
KR101635394B1 (ko) * 2014-04-29 2016-07-01 주식회사 세웅 고소작업대용 안전가드장치
JP2016086696A (ja) * 2014-10-31 2016-05-23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収穫用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79A (ko) 2022-01-21 2023-07-28 (주)헬퍼로보텍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22A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CA1257881A (en) Pipe handling apparatus
US7004286B2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ES2596259T3 (es) Transportador extensible
JP2021504269A (ja) パレット棚装置
KR20070051688A (ko) 개선된 스트래들 캐리어
US2699877A (en) Vegetable harvester
US3817401A (en) Self-propelled dual-jack hoist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00048536A (ko)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US20170137270A1 (en) Order picker for easy transfer of goods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US20050220588A1 (en) Forklifts
KR102252875B1 (ko) 화물 분리가 용이한 농업용 지게차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JPH1160177A (ja) 高所作業車
CN102923616A (zh) 装载机自装卸作业机构
US3485321A (en) Work tower
AU5690200A (en) Load handling apparatus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0763688B1 (ko) 핸드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