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879A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 Google Patents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2879A KR20230112879A KR1020220009032A KR20220009032A KR20230112879A KR 20230112879 A KR20230112879 A KR 20230112879A KR 1020220009032 A KR1020220009032 A KR 1020220009032A KR 20220009032 A KR20220009032 A KR 20220009032A KR 20230112879 A KR20230112879 A KR 20230112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upled
- central pillar
- support
- convenienc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3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3178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940 Back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152 poll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반복작업 또는 불편한 자세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탑승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불규칙한 바닥에서도 사용자의 신체가 수평이 되게 유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 고소 농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탑승 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편이장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펜스(fence)(120)가 구비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단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며, 하부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230)가 구비된 지지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면을 밀어주도록 동작시켜, 상기 편이장비(10)를 이동시키는 중앙기둥(300);를 포함하는 편이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 고소 농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탑승 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편이장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펜스(fence)(120)가 구비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단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며, 하부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230)가 구비된 지지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면을 밀어주도록 동작시켜, 상기 편이장비(10)를 이동시키는 중앙기둥(300);를 포함하는 편이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반복작업 또는 불편한 자세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탑승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불규칙한 바닥에서도 사용자의 신체가 수평이 되게 유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수는 나무에서 생산된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과수는 포도, 배, 사과, 복숭아, 배, 포도, 앵두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과수를 수확하기 위한 작업으로는 병충해를 막거나 나무 모양을 바로잡기 위한 전지(剪枝), 알맞은 양의 과실만 남기고 따버리는 적과(摘果), 꽃망울이나 꽃을 솎아 따주는 적화(摘花), 초목의 곁순을 잘라내는 적순(摘筍), 수술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 붙도록 하는 수분(受粉), 봉지 씌우기 및 수확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토마토, 오이 파프리카 등 과채류 재배 현장에서는 매일 성장하는 식물체의 줄기 끝 부분을 고정 끈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순매기 작업(업계용어)과 수확작업을 병행해야한다.
이러한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상기된 작업들을 사다리 또는 받침대 위에 올라선 상태로 고개와 두 팔을 든 불편한 자세로 오랜 시간 반복하며 작업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는 목디스크, 어깨디스크, 허리디스크 등 이른바 ‘농부병’(업계용어)이라고 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시켜 농업인들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주고 있다.
또한, 사다리, 받침대 등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반복적으로 오르고 내림으로써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고, 사다리나 받침대에 올라선 상태에서 작업 위치를 변경하거나 벗어나게 되면, 신체의 중심이 흐트러지는 무리한 자세가 되어 전도(轉倒) 혹은 추락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23680호“과수 작업차”는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적재함을 승강시키는 적재함 승강유닛과,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프레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과수 작업차를 개시한 바 있으나, 복수개의 모터를 동작시켜 조작해야 하므로 부피가 거대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불특정 다수가 조작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울퉁불퉁한 바닥면에서는 사용자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가 고소 농작업 중 위치변화가 자유롭고 불규칙한 토양에서도 수평면이 유지되어 안정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 편이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하여, 작업자의 반복되는 작업 시 무리가 가는 목, 어깨, 허리 디스크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근원적으로 막아주기 위해 목과 팔, 허리를 받쳐주는 편이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 농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팔, 목, 허리를 받쳐줌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편이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르지 못한 지면을 이동하더라도 수평이 유지되어, 안정성과 사용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탑승한 상태에서 360°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고소 농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편이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 고소 농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탑승 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편이장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펜스(fence)(120)가 구비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단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며, 하부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230)가 구비된 지지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면을 밀어주도록 동작시켜, 상기 편이장비(10)를 이동시키는 중앙기둥(300);를 포함하는 편이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기둥(300)은,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312)와, 상기 목지지부(31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팔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팔지지부(314)와,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허리밸트(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팔지지부(314)는, 상기 중앙기둥(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지지부몸체(314-2)와,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일단에 형성되고,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박을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지지하는 팔지지대(314-4)와, 상기 팔지지대(314-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일측에 결합되는 무게추(3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수확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재(520)와, 일측은 상기 저장부재(5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허리밸트부(316)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수확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상의 수확물이송부재(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하여 상기 몸체부(1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수평을 유지시키는 서스펜션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오를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기둥(3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계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는 작업 중 작업자의 신체를 견인하고 활동을 보조하여 반복된 작업과 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고, 360° 회전할 수 있어 안전하고 신속한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전복 및 추락으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이 방지되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불필요하고, 설치 및 조작이 간단하여 불특정 다수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중앙기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의 결합방법을 타나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중앙기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의 결합방법을 타나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편이장비란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서, 지역별, 작목별 특성에 맞는 농장물의 생산, 수확, 포장 등과 관련된 작업자세의 개선, 중량물 운반 작업의 개선, 작업능률의 향상, 특정신체부위에 과도한 힘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중앙기둥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10)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반복작업 또는 불편한 자세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탑승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불규칙한 바닥에서도 사용자의 신체가 수평이 되게 유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된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돕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크게 몸체부(100), 지지부(200), 중앙기둥(300), 체결부재(400) 및 수확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은 사용자가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상기 편이장비(2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발판(110), 펜스(120) 및 보조계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110)은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하여 다양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금속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110)은 다수개의 관통 구멍이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메시(mesh)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경량성이 증대되고, 잎, 가지 및 열매 등 작업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통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발판은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중앙기둥삽입구(112)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기둥(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펜스(120)는 상기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스(120)는 상기 발판(110)의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펜스포스트(122)와, 상기 펜스포스트(122)와 결합되어 상기 펜스(120)의 상단을 형성하는 펜스상부(124)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포스트(122)는 상기 펜스상부(124)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200)와 결합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발판(110)을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로 배치되는 네 개로 형성된다.
상기 펜스상부(124)는 상기 발판(11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이‘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펜스포스트(122)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펜스상부(124)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는 입구를 형성하여 탑승 및 하차가 용이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편이장비(1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대(210), 서스펜션(220), 바퀴(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가 작업환경에 맞도록 상기 펜스포스트(122)와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구비되며, 결합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할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원기둥의 포스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발판(110)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230)는 회전구동 가능하게 롤러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편이장비(10)가 360°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서스펜션부(220)은 상기 편이장비(10) 이동 시 고르지 못한 바닥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발판(110)이 수평을 유지하여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의 안정성과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판(222), 하판(224) 및 탄성부재(226)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222)은 상기 서스펜션부(220)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10)와 결합되며, 상기 하판(224)은 상기 바퀴(23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판(222)과 상기 하판(224)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226)가 구비되어 상기 서스펜션부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서스펜션부(220)는 상기 지지대(210)와 상기 바퀴(230)의 사이공간을 지지하되, 탄성력에 의해 탄성수축과 탄성복원이 반복되면서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반적으로,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의 작업환경은 울퉁불퉁한 토양 덩어리와 작업 시 발생하는 잎, 가지, 열매 등의 이물질 등으로 인해 불균일한 바닥을 형성하며, 배수를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평탄하지 못하다.
즉, 상기 편이장비(10)는 상기 서스펜션부(220)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지면이 높게 형성된 곳은 상기 탄성부재(226)가 수축되어 상기 서스펜션부(22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지면이 낮게 형성된 부분은 상기 탄성부재(226)가 상대적으로 덜 수축되어, 상기 서스펜션부(220)가 상대적으로 길게 됨으로써, 상기 발판(110)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기둥(30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고, 상기 편이장비(10)의 이동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중앙기둥(300)는 상기 발판(110)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기둥상부(310), 탄성지지부(320), 결합부(330), 헤드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기둥상부(310)는 상기 발판(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편이장비(10)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기둥상부(310)는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목지지부(312), 팔지지부(314), 허리밸트(31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지지부(312)는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의 일측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목지지부(312)는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에 높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지지부(312)는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핀고정 방식,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지지부(312)는 단면이‘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목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을 감싸듯 지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목지지부(312)는 고개를 들고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목을 후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목의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팔지지부(314)는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팔지지부몸체(314-2), 팔지지대(314-4), 무게추(314-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는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기둥상부(310)를 매개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일측은 상기 팔지지대(314-4)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무게추(314-6)와 결합된다. 즉,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는 상기 중앙기둥상부에 결합되어 지레의 원리로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팔지지대(314-4)는 단면이‘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의 팔의 상박을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하여 지지한다.
또한, 상기 팔지지대(314-4)는 상기 중앙기둥을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무게추(314-6)와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지레동작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상기 무게추(314-6)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가압각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팔지지부(314)는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팔을 들며 하는 작업에 대해 팔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상기 팔지지대(314-4)의 가압정도를 상기 무게추(314-6)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사용자와 작업환경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허리벨트(316)는 상기 중앙기둥(300) 상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허리벨트(316)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줌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상을 방지하고, 상기 편이장비(1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낙상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지지부(320)는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의 하측에 결합되며, 일측은 상기 중앙기둥상부(310)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부(330)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320)는 상기 중앙기둥(300)를 지지하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중앙기둥(3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탄성지지부(3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기둥삽입구(112)에 삽입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30)는 단면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30)의 상부는 상기 중앙기둥삽입구(112)의 내주에 대응하는 외주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30)의 하부는 상기 중앙기둥삽입구(11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기둥삽입구(112) 내부에서 유격되도록 한다.
상기 헤드부(340)는 상기 결합부(3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면과 인접한 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위치이동 시 360° 방향으로 일정한 접촉면을 형성하여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중앙기둥상부(310)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고자하는 작업위치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결합부(330)와 상기 중앙기둥삽입구(112)를 매개로 의해 상기 지지부(200)가 지레의 원리로 동작되어 상기 헤드부(340)가 지면을 밀어줌으로써 그 반작용에 의해 상기 편이장비(10)가 이동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이동을 멈추고 싶을 경우, 상기 중앙기둥상부(31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편이장비(10)의 이동을 멈추거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보조계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계단(130)은 상기 중앙기둥삽입부(11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상으로 다단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보다 높은 작업위치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보조계단(130)을 올라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보조계단(1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20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다양한 높이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확부(5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태로 과실 등의 수확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수확물이송부재(510) 및 저장부재(520)를 포함한다.
상기 수확물이송부재(51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수확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허리벨트(316)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장부재(520)에 결합된다.
상기 수확물이송부재(51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관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허리밸트(316)에 결합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개방된 투입구(512)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저장부재(5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수확물을 상기 투입구(512)로 투입하면, 상기 수확물이송부재(5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저장부재(520)에 수확물이 저장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의 몸체부와 지지부의 결합방법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은 높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홈(h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펜스포스트(21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홈(h1)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h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10)와 상기 펜스포스트(212)은 체결부재(40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단면이‘N’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만곡한 곡면을 형성하며 절곡된 절곡부(4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400)의 절곡부(410)는 상기 지지대(210) 및 상기 펜스포스트(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210)와 상기 펜스포스트(12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부재(4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홈(h1) 및 제2체결홈(h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체결홈(h3)이 구비된다.
정리하면, 상기 체결부재(400)의 상기 절곡부(410) 사이에 상기 지지대21)와 상기 펜스포스트(122)를 삽입한 후, 상기 제1체결홈(h1)과 상기 제3체결홈(h3), 상기 제2체결홈(h2)과 상기 제3체결홈(h3)을 결합핀(420)으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체결홈(h1) 및 상기 제2체결홈(h2)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체결부재(400)의 체결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발판(110)과 지면이 이격되는 이격거리를 달리하며 다양한 높이에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100: 몸체부
110: 발판
112: 중앙기둥삽입구
120: 펜스
122 펜스포스트
h1: 제1체결홈
124: 펜스상부
130: 보조계단
200: 지지부
210: 지지대
h2: 제2체결홈
220: 서스펜션부
222: 상판
224: 하판
226: 탄성부재
230: 바퀴
300: 중앙기둥
310: 중앙기둥상부
312: 목지지부
314: 팔지지부
314-2: 발지지부몸체
314-4: 팔지지대
314-6: 무게추
316: 허리밸트
320: 탄성지지부
330: 결합부
340: 헤드부
400: 체결부재
h3: 제3체결홈
410: 절곡부
420: 핀부재
500: 수확부
510: 수확물이송부재
512: 투입구
520: 저장부재
100: 몸체부
110: 발판
112: 중앙기둥삽입구
120: 펜스
122 펜스포스트
h1: 제1체결홈
124: 펜스상부
130: 보조계단
200: 지지부
210: 지지대
h2: 제2체결홈
220: 서스펜션부
222: 상판
224: 하판
226: 탄성부재
230: 바퀴
300: 중앙기둥
310: 중앙기둥상부
312: 목지지부
314: 팔지지부
314-2: 발지지부몸체
314-4: 팔지지대
314-6: 무게추
316: 허리밸트
320: 탄성지지부
330: 결합부
340: 헤드부
400: 체결부재
h3: 제3체결홈
410: 절곡부
420: 핀부재
500: 수확부
510: 수확물이송부재
512: 투입구
520: 저장부재
Claims (6)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 고소 농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탑승 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편이장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펜스(fence)(120)가 구비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측단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며, 하부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230)가 구비된 지지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지면을 밀어주도록 동작시켜, 상기 편이장비(10)를 이동시키는 중앙기둥(300);를 포함하는 편이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둥(300)은,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312)와,
상기 목지지부(31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팔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팔지지부(314)와,
상기 중앙기둥(30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허리밸트(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이장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지지부(314)는,
상기 중앙기둥(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지지부몸체(314-2)와,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일단에 형성되고,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박을 하부에서 상부로 가압지지하는 팔지지대(314-4)와,
상기 팔지지대(314-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팔지지부몸체(314-2)의 일측에 결합되는 무게추(3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이장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수확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재(520)와,
일측은 상기 저장부재(5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허리밸트(316)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수확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상의 수확물이송부재(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이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몸체부(100)의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하여 상기 몸체부(1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수평을 유지시키는 서스펜션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이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편이장비(10)에 탑승한 상기 사용자가 오를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기둥(3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계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이장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9032A KR20230112879A (ko) | 2022-01-21 | 2022-01-21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9032A KR20230112879A (ko) | 2022-01-21 | 2022-01-21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2879A true KR20230112879A (ko) | 2023-07-28 |
Family
ID=8742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9032A KR20230112879A (ko) | 2022-01-21 | 2022-01-21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287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680B1 (ko) | 2017-01-06 | 2019-02-22 | 엘앤에스(주) | 과수 작업차 |
-
2022
- 2022-01-21 KR KR1020220009032A patent/KR20230112879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680B1 (ko) | 2017-01-06 | 2019-02-22 | 엘앤에스(주) | 과수 작업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28895B (zh) | Assembled mesh plant shaping device | |
KR101749825B1 (ko) | 과채 수확용 전동 카트 | |
KR20230112879A (ko) | 과수 및 과채류 하우스에서 필요한 고소 농작업을 위한 다목적 편이장비 | |
US20190289793A1 (en) |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KR101896472B1 (ko) |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 |
CN211982880U (zh) | 一种串收番茄调蔓装置 | |
US20040237393A1 (en) | Cage for vine crops | |
US1916868A (en) | Protector and supporter for plants | |
KR102034242B1 (ko) | 농작물 수확기 | |
Jahan et al. | Development of a low cost coconut tree climber for small farmers in bangladesh | |
Akyurt et al. | A survey of mechanization efforts on date palm crown operations | |
US2738200A (en) | Two wheeled agricultural trailer for supporting workers | |
Nourani et al. | A review on the mechanization of date palm cultivation | |
DE10105524A1 (de) | Auffangvorrichtung für von Obstbäumen fallende Baumfrüchte | |
Ahmed et al. |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arties affecting on Date Palm Tree Mechanical Serves | |
CN206949058U (zh) | 一种定量挂果调节装置 | |
CN111133889A (zh) | 油茶籽采摘耙 | |
CN218773052U (zh) | 一种果树攀爬架 | |
CN216451961U (zh) | 一种简易香蕉果实采收架 | |
Marini et al. | Growth and Fruiting Responses ofRedchief Delicious' Apple Trees to Heading Cuts and Scaffold Limb Removal | |
CN214801161U (zh) | 一种易于采摘的农业种植用大棚 | |
CN217380381U (zh) | 果园用操作梯 | |
Santos et al. | Hazelnut productivity in northern Portugal | |
JPH11266609A (ja) | 果樹栽培用作業台 | |
Aramide et al. | Development of a support mechanism for the use of motorized oil palm fruit bunch cut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