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354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354B1
KR102166354B1 KR1020180082673A KR20180082673A KR102166354B1 KR 102166354 B1 KR102166354 B1 KR 102166354B1 KR 1020180082673 A KR1020180082673 A KR 1020180082673A KR 20180082673 A KR20180082673 A KR 20180082673A KR 102166354 B1 KR102166354 B1 KR 10216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arding
loading box
boarding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703A (ko
Inventor
정성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는 캐터필러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적재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메인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 보조 프레임의 말단 부분에 장착되는 보조 바퀴부, 적재함 지지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탑승판,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탑승판의 타단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처리하는 탑승판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승판이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뿐 아니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탑승판 가이드 수단을 통해서도 함께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의 넓이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탑승판의 하중이 분산되고, 상승과 하강 움직임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사지를 이동하거나 장애물을 넘는 등 경사가 발생하는 상황에 더욱 잘 적응할 수 있게 되고, 탑승판의 급격한 기울어짐을 완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차{ Working Vehicle }
본 발명은 진행방향의 전복 가능성을 해소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의 크기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형을 잘 유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과 같은 농가에서는 열매를 수확할 때, 수확한 열매를 실어 나르는 대차를 이용한다. 경작지에는 보통 열매가 열린 나무나 줄기 사이로 작업자와 대차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가 이동로를 따라 대차를 이동시키면서 이동로의 양 가장자리의 수확물을 따서 대차에 담는다.
그런데 종래의 대차는 이송에 따른 운반력이 전적으로 작업자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7640호에서는 전동용 대차를 개시하였으나, 적재함에 과도한 과수나 원예작물을 싣거나, 경사지에서 고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 전복 위험성이 크고, 진행 중 작업지의 경사나 돌출 구조물 등에 걸리게 되는 경우, 전방향으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과수원 바닥의 불규칙한 경사나 돌, 나무뿌리 등으로 인하여, 움직이는 방향으로 큰 하중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여, 쉽게 전복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18-0013229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원이나 원예농장 등에서 사용되는 적재함(130)을 구비하는 전동작업차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전동작업차는,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에 캐터필러 구조로 한 쌍이 배치되는 이송부재(120),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모듈(16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재함(130), 적재함(130)의 일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이송부재(120)의 이송 및 적재함(130)의 상승/하강을 제어하는 조향제어부(140), 적재함(1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장착되어 적재함의 상승 및 하강시 함께 이동하는 탑승프레임부재(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 작업차의 전진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고 조향이 가능한 완충모듈(200)을 구비함으로써, 적재함(130)에 적재되는 과수나 원예작물 등 화물의 하중이 이동 중에 진행방향으로 몰려 작업차가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공개특허 10-2018-0013229호의 작업차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발판)이 협소하여 2인 이상이 함께 작업하기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탑승판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어 작업차가 경사진 곳을 운행하거나, 나무토막 등의 장애물을 넘어갈 때 탑승판 자체도 함께 기울어져 작업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불안정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3229호(공개일: 2018.02.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행방향의 전복 가능성을 해소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의 균형을 잘 유지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작업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는 캐터필러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적재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업차의 메인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말단 부분에 장착되고, 적어도 한 쌍의 바퀴를 갖는 보조 바퀴부;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탑승판; 및 상기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탑승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탑승판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탑승판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말단에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끼워져서 상/하 이동하고, 상기 탑승판의 타 일단이 결합되는 탑승판 지지대와 제1 도르레가 구비되는 가이드 관; 상기 제1 도르레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도르레;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측 말단과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제1 도르레와 제2 도르레를 거쳐 연결되고, 상기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관에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힘을 인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 상기 가이드 관과 탑승판 지지대가 연결되는 부분,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탑승판이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은 로울러를 매개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는 특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차의 전방에 전진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고 조향이 가능한 보조 바퀴부가 구비되므로, 전진방향의 전복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탑승판이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뿐 아니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탑승판 가이드 수단을 통해서도 함께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의 넓이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탑승판의 하중이 분산되고, 상승과 하강 움직임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탑승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2인 이상이 탑승하여 함께 작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판 가이드 수단과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힌지 결합을 통해 경사지를 이동하거나 장애물을 넘는 등 경사가 발생하는 상황에 더욱 잘 적응할 수 있게 되고, 탑승판의 급격한 기울어짐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작업차의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일 실시예,
도 3은 보조 프레임에 관한 일 실시예,
도 4는 보조 바퀴부에 관한 일 실시예,
도 5는 가이드 관에 관한 일 실시예,
도 6은 적재함 측에 탑승판의 일단을 결합하는 일 실시예,
도 7은 탑승판이 가장 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
도 8은 탑승판이 가장 상단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
도 9는 탑승판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500)의 일 실시예로서, 작업차(500)는 기본적으로 캐터필러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적재함(3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작업차(500)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가솔린이나 디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로서, 작업차(500)는 공개특허 10-2018-0013229호의 전동작업차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차(500)의 기본 구조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310), 메인 프레임(310)에 캐터필러 구조로 한 쌍이 배치되는 이송부재(320), 교차형 구조로 구현되어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모듈(330), 메인 프레임(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모듈(33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적재함(340), 적재함(340)을 지지하는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의 전단에 구비되어 탑승판(490)에 탄 작업자를 보호하고 손잡이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350), 손잡이부(35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부재(320)의 이동과 적재함(340)의 상승/하강을 제어하는 조향제어부(3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업차(500)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500)는 캐터필러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적재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제어부(360)는 적재함(340)의 후미에 구비되거나, 두 곳 이상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발로 조작하여 이송부재(320)와 승강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차(500)는 메인 프레임(310)의 전단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370), 보조 프레임(370)의 말단에 구비되고 적어도 한 쌍의 보조 바퀴를 갖는 보조 바퀴부(380), 적재함(340)을 지지하는 프레임(390)의 전단에 일단이 장착되는 탑승판(490), 적재함(340)의 상승/하강에 따라 탑승판(490)을 함께 상승/하강시키기 위한 탑승판 가이드 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조 프레임(370)은 메인 프레임(3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메인 프레임(3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보조 프레임(370)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310)의 전단에 맞닿는 지지판(371), 지지판(371)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두 쌍의 고정판(372-1, 372-2), 각 고정판 쌍에 장착되는 제1 연결부재(373-1)와 제2 연결부재(373-2), 제1 연결부재(373-1)와 제2 연결부재(373-2)의 말단에 공통 결합되는 제3 연결부재(374), 및 제3 연결부재(374)로부터 전단으로 연장되는 제4 연결부재(3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연결부재(373-1)와 제2 연결부재(373-2)가 각 고정판 쌍(372-1, 372-2)과 연결되는 부분은 완전히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1 연결부재(373-1)와 제2 연결부재(373-2)가 상/하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판(371)에는 지지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한 쌍의 고정판(461-1, 461-2)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고정판(461-1, 461-2)에 형성된 홈을 통해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있으며, 이 볼트에 와이어(460)가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460)의 일단을 메인 프레임(310) 측에 연결하는 이러한 구조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와이어(460)는 다양한 방법으로 메인 프레임(31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46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310) 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460)에 대해서는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프레임(370)의 말단, 즉 상기 실시예에서 제4 연결부재(376)의 말단에는 보조 바퀴부(380)가 장착되는데, 보조 바퀴부(380)는 적어도 한 쌍의 보조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조 프레임(370)의 말단에 보조 바퀴부(380)를 장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보조 바퀴부(380)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보조 프레임(370)의 말단에 가로 방향의 지지대(381)가 장착되고, 지지대(381)의 양 말단에는 지지판(382-1, 382-2)이 구비되며, 각 지지판(382-1, 382-2)에 보조 바퀴(385-1, 385-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370)의 말단에는 보조 바퀴부(380) 이외에도 상측으로 수직하게 가이드 프레임(410)이 구비된다.
이때 보조 프레임(370)과 가이드 프레임(410)은 완전히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가이드 프레임(410)이 보조 프레임(37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탑승판 가이드 수단(400)은 적재함(34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탑승판(490)을 함께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탑승판 가이드 수단(400)은, 보조 프레임(370)의 일단에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410), 가이드 프레임(410)에 끼워져서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 관(420), 제1 도르레(440), 제1 도르레(440)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도르레(450), 및 와이어(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410)과 가이드 관(420)은, 가이드 관(420)이 가이드 프레임(410)에 끼워져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 관(420)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이드 관(420)은 가이드 프레임(4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관(420)의 일 측면에는 탑승판(490)의 일단이 장착되는 탑승판 지지대(430)와 제1 도르레(440)가 장착된다.
이때 탑승판 지지대(430)와 가이드 관(42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완전히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430-1).
탑승판 지지대(430)는 탑승판(490)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가이드 관(420)과 연결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탑승판 지지대(430)로서, 가이드 관(420)과 수평 연결되는 제5 연결부재(431), 제5 연결부재(431)의 타단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6 연결부재(432), 제6 연결부재(432)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를 포함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이때 탑승판(490)을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의 길이와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측 말단에는 와이어(460)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즉, 결합부재(463-1)로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단면을 감싸고, 가이드 프레임(410)과 결합부재(463-1)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463-2)를 체결하였으며, 볼트의 헤드 부분에 와이어(460)의 일단이 고정 연결된다.
도 5에 보인 예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측 말단에 와이어(460)의 일단을 고정 장착하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와이어(460)는 제1 도르레(440)와 제2 도르레(450)를 거쳐 메인 프레임 측까지 연결된다.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판(490)의 일 측은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가이드 관(420)에 장착된 탑승판 지지대(430)와 결합되며, 탑승판(490)의 타 측은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을 통해 결합된다.
탑승판(490)의 타 측을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을 통해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자면,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390)의 전단에 탑승판(490)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판(391-1, 391-2)이 구비되고, 탑승판(490)의 측면에는 지지판(391-1, 391-2)의 간격에 맞추어 그 면에 수직으로 고정판(491-1, 491-2)이 두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판(391-1, 391-2)과 고정판(491-1, 491-2)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탑승판(490)이 장착된다. 탑승판(490)의 타 측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관(420)에 구비된 탑승판 지지대(430)에 결합된다.
각 지지판(391-1, 391-2)과 고정판(491-1, 491-2)은 완전히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탑승판(490)의 윗면과 각 지지판(391-1, 391-2)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도르레(450)는 제1 도르레(440)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제2 도르레(450)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가이드 관(420)에 장착된 탑승판 지지대(430)의 제7 연결부재(433)를 탑승판(490)의 반대 측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제7 연결부재(433)의 말단에 제2 도르레(450)를 장착할 수 있다.
와이어(460)는 도 3과 도 5에 보인 예와 같이, 그 양단이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측 말단과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제1 도르레(440)와 제2 도르레(450)를 거쳐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와이어(460)의 양단 사이에 제1 도르레(440)와 제2 도르레(450) 이외에 도르레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460)의 연결 구조로 인하여, 적재함(340)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가이드 관(4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힘이 인가된다.
도 7은 적재함이 가장 하단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탑승판(490)도 가장 하단으로 내려와 있고, 와이어(460)는 'ㄴ'자 모양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460)가 가이드 관(420)에 장착된 제1 도르레(440)에 특별한 힘을 인가하지 않는다.
도 8은 적재함이 가장 상단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탑승판(490)도 가장 상단으로 올라가 있고, 와이어(460)는 'ㄱ'자 모양으로 유지되어 있다.
적재함이 가장 하단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적재함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제2 도르레(450)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와이어(460)의 전체 길이는 항상 동일하므로, 제1 도르레(440)에는 상승시키는 힘이 인가된다. 즉, 가이드 관(420)에는 와이어(460)를 통해서도 상승시키려는 힘이 인가되며, 탑승판(490)의 부드러운 상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관(420)의 더욱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하여, 가이드 관(420)은 로울러를 매개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370)과 가이드 프레임(410)이 연결되는 부분, 가이드 관(420)과 탑승판 지지대(430)가 연결되는 부분, 보조 프레임(370)과 메인 프레임(310)이 연결되는 부분,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과 탑승판(490)이 연결되는 부분 등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경사가 발생하는 각종 상황에 더욱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탑승판(490)의 기울어짐을 완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는 특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경사지에서 작업을 할 때는 탑승판(490)이 기울어질 수 있는데,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을 위하여 탑승판(490)을 가능한 수평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탑승판 지지대(430)는 탑승판(490)이 놓이는 곳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탑승판(490)이 놓이는 곳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예를 설명하자면,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와 제5 연결부재(431)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경사지에서의 기울어짐에 따라 제7 연결부재(433)의 위치를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에 탑승판이 연결되는 위치에 맞추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탑승판(490)이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와 제5 연결부재(431)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6 연결부재(432)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돌리는 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나사형 지지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7 연결부재(433)는 이 나사형 지지대에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경사지에서 탑승판(490)이 기울어 질 때, 나사형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7 연결부재(433)가 장착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나사형 지지대와 제7 연결부재(433)는 상/하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동식 방법뿐 아니라, 모터나 유압을 이용하여 탑승판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와 제5 연결부재(43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여, 탑승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과정의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는 가이드 관(420) 측이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 측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된 경사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의 높이를 낮게 변경하여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 측의 위치와 높이를 맞춤으로써, 탑승판(490)의 기울어짐을 줄일 수 있다.
도 9b는 가이드 관(420) 측이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 측보다 더 낮게 위치하게 된 경사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탑승판(490)을 직접 지지하는 제7 연결부재(433)의 높이를 높게 변경하여 적재함 지지 프레임(390) 측의 위치와 높이를 맞춤으로써, 탑승판(490)의 기울어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탑승판(490)은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차(500)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탑승판(490)의 좌측이 일정 부분 접히거나, 우측이 일정 부분 접히거나, 또는 좌측과 우측이 모두 일정 부분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탑승판(490)의 일부가 접히고, 다시 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차(5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폭이 좁은 장소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 등 탑승판(490)의 가로 넓이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그 넓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500: 작업차 310: 메인 프레임
320: 이송부재 330: 승강모듈
340: 적재함 350: 손잡이부
360: 조향제어부 370: 보조 프레임
380: 보조 바퀴부 390: 적재함 지지 프레임
400: 탑승판 가이드 수단 410: 가이드 프레임
420: 가이드 관 430: 탑승판 지지대
440: 제1 도르레 450: 제2 도르레
460: 와이어 490: 탑승판

Claims (3)

  1. 캐터필러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적재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작업차로서,
    상기 작업차의 메인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말단 부분에 장착되고, 적어도 한 쌍의 바퀴를 갖는 보조 바퀴부;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탑승판; 및
    상기 적재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탑승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탑승판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승판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말단에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끼워져서 상/하 이동하고, 상기 탑승판의 타 일단이 결합되는 탑승판 지지대와 제1 도르레가 장착되는 가이드 관;
    상기 제1 도르레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도르레;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측 말단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제1 도르레와 제2 도르레를 거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 상기 가이드 관과 탑승판 지지대가 연결되는 부분,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탑승판이 연결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로울러를 매개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특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180082673A 2018-07-17 2018-07-17 작업차 KR10216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73A KR102166354B1 (ko) 2018-07-17 2018-07-17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73A KR102166354B1 (ko) 2018-07-17 2018-07-17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03A KR20200008703A (ko) 2020-01-29
KR102166354B1 true KR102166354B1 (ko) 2020-10-15

Family

ID=6932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673A KR102166354B1 (ko) 2018-07-17 2018-07-17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3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47B1 (ko) * 2003-10-21 2004-06-12 박동규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KR100583790B1 (ko) * 2004-04-23 2006-06-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내부 인양기
KR20180013229A (ko) 2016-07-29 2018-02-07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전동작업차
KR101923680B1 (ko) * 2017-01-06 2019-02-22 엘앤에스(주) 과수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03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N202773869U (zh) 驾驶座升降式高秆植物四轮喷药机
KR102166354B1 (ko) 작업차
KR200479291Y1 (ko) 신축붐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103964347A (zh) 多功能作业平台
JPS58116235A (ja) 自走式作業台車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547507B1 (ko) 착탈식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213039199U (zh) 一种移动式防坠落爬梯
CN102845404A (zh) 驾驶座升降式高秆植物四轮喷药机
KR101468317B1 (ko)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차
JP2001136822A (ja) 果実収穫作業車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CN206352478U (zh) 车载林木修剪梯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JP6561344B2 (ja) 移動台車
CN219217463U (zh) 伸缩式升降搬运车
JPS6323433Y2 (ko)
CN203781791U (zh) 多功能作业平台
CN218906829U (zh) 一种底盘可升降后轮转向拖车
CN210869552U (zh) 喷药车喷雾头横支梁升降装置及使用该装置的喷药车
KR20160000245U (ko) 농업용 손수레
CH365332A (de) Hubstapler
JP3381149B2 (ja) 車高を変更可能にしたクローラ型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