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247B1 -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247B1
KR100436247B1 KR20030073372A KR20030073372A KR100436247B1 KR 100436247 B1 KR100436247 B1 KR 100436247B1 KR 20030073372 A KR20030073372 A KR 20030073372A KR 20030073372 A KR20030073372 A KR 20030073372A KR 100436247 B1 KR100436247 B1 KR 10043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ottom plate
winch
aerial platform
electric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539A (ko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박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규 filed Critical 박동규
Priority to KR2003007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2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실내에서 보강공사 등의 작업을 용이하도록 이동가능하고,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리프트 승강 적재부에 탑승하여, 천정, 벽면 상단부 등에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할 있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가, 중앙 지지대, 전원 공급장치, 윈치 등을 장착하기 위한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360°회전가능한 바퀴, 상기 장치를 작업장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270° 회전가능하고,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용 다리 지지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된 브라켓에 복수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직립하여 설치된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에 승강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동력을 와이어를 통해 제공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LIFT APPARATUS COMBINED MOVABLE HIGH POSITION WORK PLATE FOR INDOOR WORK CAPABLE OF OPERAT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실내에서 보강공사 등의 작업을 용이하도록 이동가능하고,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리프트 승강 적재부에 탑승하여, 천정, 벽면 상단부 등에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축, 증 개축을 포함하는 리폼 공사, 덕트와 공조 설비 배관, 공사 등에 적합한 형태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리프트 장치, "아시바"로 지칭되는 고소 작업대 등을 각각 필요로 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종래의 수동식 리프트 장치 및 고소 작업용 체인 블록 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수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수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c는 일반적인 체인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건물의 리폼 공사, 또는 건물의 유지 보수 공사 작업시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트 장치(10)는 중앙 지지대(11), 승강 구동부(12), 적재부(13), 이동용 다리부(14), 핸들(15), 고정용 다리부(17), 및 상기 이동용 다리부 및 고정용 다리부의 하부에 부착된 다수의 바퀴(16)를 포함하고 있다.
중심 지지대(11)는 중량물의 높이에 따라 연신가능하고, 이 중심부에 승강부(12)가 결합되어 있고, 핸들(15)에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15)을 돌려 와이어를 감으면 승강부(12)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한 상태에서 핸들(1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12)가 하강한다. 승강부(12)에는 ㄷ 자 형상의 물건 적재부(13)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물건 적재부(13)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건을 적재하여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동식 리프트 장치(10)는 이동이 불편하고, 높이와 부피가 커서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없고, 따라서, 계단 등을 이동할 때는 여러 사람의 작업자가 이 리프트 장치(10)를 들고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었고, 자체 중량도 100 ∼ 200 Kg에 달하기 때문에 이동이 자유롭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를 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위해서는 3, 4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는 승강 허용 중량이 100 ∼ 300 Kg 정도이고, 승강 높이가 2 ∼ 6 m로 다양한 형태의 모델이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는 승강 허용 중량, 승강 높이에 따라 가격이 현저히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는 작업자가 직접 핸들을 돌려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수동식이므로, 승강 허용 중량이 100 Kg 이상이면, 작업자는 매우 힘들게 핸들(15)을 돌릴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10)는 또는 실내 작업시 H 형강 등과 같은 약 1 내지 2 톤에 달하는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이하, 도 1c를 참조하여 종래의 체인 블록 등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러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데에는 또는 체인 블록 등이 많이 사용된다. 체인 블록은 보강 공사 작업시마다 지지대를 설치하지 아니하면 안 되는 불편한 점이 있어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장에서는 2∼5톤을 용이하게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사람이 탑승하여 높은 위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작업에 필요한 중량물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단하고,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이동가능하며, 엘리베이터 등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트 겸용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작업에 적합한 리프트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소한 고소 작업이 별도의 고소 작업대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작업가능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탑승하여 원격 스위치 작동가능하고, 1인 작업이 가능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자가 저렴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수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수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c는 일반적인 체인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리프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적재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이동하기 위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110 : 바닥 플레이트 111 : 바퀴
112 : 페달 113 : 고정용 다리 지지대
114 : 바닥 고정판 115 : 브라켓
120 : 중앙 지지대 125 : 상단부
126 : 도르래 127 : 고리
130 : 승강부 131 : 와이어 체결부
132 : 적재부 133 : 롤러
135 : 적재함 140 : 전원공급장치
150 : 윈치 151 : 와이어
160 : 도르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할 있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가,
중앙 지지대, 전원 공급장치, 윈치 등을 장착하기 위한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360°회전가능한 바퀴,
상기 장치를 작업장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270° 회전가능하고,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용 다리 지지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된 브라켓에 복수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직립하여 설치된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에 승강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동력을 와이어를 통해 제공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고정용 다리 지지대가 외측단부에 설치된 원터치식 높이 조절용 페달, 및 나사식으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미세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중앙 지지대가 상기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 수단 중 일부를 해제함으로써, 중앙 지지대를 눕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중앙 지지대가, 사다리 형상의 붐대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며, 자체가 회전하는 도르래, 및 필요에 따라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중앙 지지대가, 작업장소의 작업 위치에 따라 사다리 형상 복수의 붐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중앙 지지대에 상기 중앙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2단 롤러,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어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 및 윈치로부터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상기 승강부에 일체로 형성된 적재부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리프트 겸용 고소 작업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리프트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적재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이동하기 위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실내의 유지 보수, 보강 공사, 천정에 덕트 및 공조 설치 공사 등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100)는 크게 바닥 플레이트(110), 붐대로 지칭되는 중앙지지대(120), 승강부(130), 전원공급장치(140), 윈치(150), 도르래(1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 플레이트(110)는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장치(100)의 무게 중심 및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무거운 4 각형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등에 적재할 수 있는 크기 즉, 세로 60 내지 100 cm 이고, 가로 80 내지 140 cm의 크기를 갖는다. 바닥 플레이트(110)의 하부 모서리 각각에는 360 °회전가능한 바퀴(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110)의 가로 측면 모서리 각각에는 바닥 플레이트(110)의 길이의 약 1/2 정도 이루어진 고정용 다리 지지대(113)가 270 °정도 회전가능 하게 설치된다. 이 고정용 다리 지지대(113)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리 지지대(113)의 외측 단부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페달(112) 및 나사형태로 회전가능한 바닥고정판(114)이 설치되어 있다. 높이 조절 페달은 이동시 또는 평상시에는 바퀴(111) 보다 위로 올라가 있고, 이 장치(100)의 이동시에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장치(100)가 작업 위치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 페달을 누루면, 바퀴(111) 보다 아래로 내려간다. 모서리 측 각각의 다리 지지대를 모두 고정시키면, 바퀴(111)는 실제로 공중에 뜨게 되어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바닥 고정판(114)은 원판 형상의 중앙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공사 현장의 바닥이 평편하지 않은 경우, 미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 지지부(113)의 다른 단부는 바닥 플레이트(110)의 가로측 측면 모서리부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115)에 축지지되어 있으므로, 270 °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 다리 지지대(113)는 바닥 플레이트(11)의 가로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4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길이가 서로 다른 다리 지지부(113)를 가로 측면에 2개 설치하고, 세로 측면에 2개를 설치할 수 도 있다.
바닥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중앙 지지대(120), 전원공급장치(140), 윈치(150)가 고정 설치된다.
중앙 지지대(120)의 하단부는 바닥 플레이트(1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 브라켓(121)에 2개의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아래위로 고정된다.
또한 중앙 지지대(120)는 일반적으로 철제 각관(일반적으로 붐대라 지칭됨)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지지대(120)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높이가 약 3m 인 관계로 3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붐대는 1,5 m 정도의 붐대 2개를 연결할 수 도 있고, 3m 짜리 1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대형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이 높이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이러한 3m 짜리의 붐대를 2-6 개를 연결함으로써, 최대 18m 까지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붐대를 각각 제조하여 볼트 너트 등의 체결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는 자동으로 높이 조절한 가능 장치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중앙 지지대(120)의 상단부(125)에는 와이어를 회전가능하게 회동하고, 이 와이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도르래(1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지지대(120)의 상단부(125)에는 여러 개의 고리(127)를 설치하여, 중량물이 약 2 ∼ 5 톤 정도의 매우 무거운 경우, 체인 블록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건물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치(100)를 더욱더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중앙 지지대(120)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리(127)와 바닥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승강부(130)에 상당히 무거운 중량물을 적재하여 들어올릴 때, 중앙 지지대(120)의 휘어짐 또는 보강을 위해 보강 와이어(180)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중앙 지지대(120)에는 승강부(1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승강부(13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바닥 플레이트(110)의 한 쪽 부분에는 윈치(150) 및 전원공급 장치(140)가 설치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110)에는 와이어 고정용 도르래(160)를 설치된다. 이 도르래(160)는 윈치(150)에서 나오는 와이어(151)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도르래 자체는 자유롭게 회전된다.
윈치(15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151)를 감거나(정방향 회전), 또는 풀거나(역방향 회전)하여, 중앙 지지대(120)에 장착된 승강부(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윈치(150)는 상용되고 있는 윈치(150)를 사용할 수 있다. 윈치(150)에서부터 나오는 와이어(151)는 도르래(160)를 통해, 중앙 지지대(120)하부로부터 상단부(125)의 도르래(126)를 통해, 승강부의 연결고리에 체결된다.
윈치(150)에는 윈치(150)를 원격 조정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 즉, 스위치(155)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리모트 콘트롤러(155)를 소지한 작업자가 승강부(130)에 탑승하여 스스로 윈치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1인 작업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40)는 윈치(150)에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정격 전압 12V의 충전 가능한 직류 배터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전원 공급 장치(140)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거나, 직류 및 교류 겸용 또는 배터리에 충전 콘센트를 이용하여 이 장치(100)의 사용 중에 충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닥 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140), 윈치(150), 도르래(160) 들은 빗물 등을 스며들지 못하도록 철재, 또는 프라스틱제 커버(170)에 의해 덥여진다.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이 장치(100)의 사시도로서, 승강부(130)의 작동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윈치(130)로부터 나온 와이어(151)의 연결관계를 명확히 이해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승강부(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승강부(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6면체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면에는 6면체의 골격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6면체의 각면은 안전 상의 문제점을 고려할 때 얇은 철판 등으로 덮여질 수 있다.
승강부(130)에는 와이어 체결부(131), 승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적재부(132), 중앙 지지대(120)에 밀착되는 8개의 롤러(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량물 적재부(132)는 승강부(130)의 하단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막대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적재부(132)를 박스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중량물의 구조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중량물을 적재하기에는 현재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적재부(132)에는 박스 형상의 적재함을 착탈가능하게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부에 부착된 8개의 롤러(133)는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롤러는 2단의 롤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중앙 지지대(120)가 각관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이에 적합한 형태로 2단의 롤러가 사용되었으나,
중앙 지지대(120)가 ㄷ 자 형상의 각관으로 이루어지면, 일반적인 롤러가 사용될 수 있고, 롤러(133)는 더욱더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지지대(120)이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면, 원통형에 적절한 반원형 접촉면을 갖는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적재함(135)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적재함(135)은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중량물 만을 들어올리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3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적재부(132)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적재함(135)은 필요에 의해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정육면체의 골격 만을 갖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이동하기 위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이 장치(100)를 층과 층 사이로 이동 또는 덕트 또는 공조 배관과 같은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중앙 지지대(120)를 해체하지 않고, 하단 브라켓(121)에 고정된 2개의 상하 너트 중 어느 하나의 너트를 해제함으로써 중앙 지지대를 도 5에서와 같이 눕힐 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동이 훨씬 용이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장치(100)를 2대를 이용하면, H 형강과 같이 길고 무거운 중량물을 천정과 같은 높은 위치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및 공조 덕트 등이 설치된 복잡한 현장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실내 작업에 필요한 중량물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전동식 리프트 기능을 갖는 동시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조립이 간단하고,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이동가능하며, 엘리베이터 등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협소한 고소 작업이 별도의 고소 작업대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탑승하여 원격 스위치 작동가능하고, 1인 작업이 가능하므로, 인건비 및 작업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 장치의 가격 저렴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식 리프트 겸용 전동식 고소작업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이동식 리프트 장치, 또는 고소 작업대 각각에 적합하도록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할 있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중앙 지지대, 전원 공급장치, 윈치 등을 장착하기 위한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360°회전가능한 바퀴,
    상기 장치를 작업장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270 ° 회전가능하고,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용 다리 지지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된 브라켓에 복수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직립하여 설치된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에 승강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동력을 와이어를 통해 제공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다리 지지대가
    외측단부에 설치된 원터치식 높이 조절용 페달, 및
    나사식으로 이루어져 회전에 의해 미세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가, 상기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 수단 중 일부를 해제함으로써, 중앙 지지대를 눕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가,
    사다리 형상의 붐대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며, 자체가 회전하는 도르래, 및 필요에 따라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가,
    작업장소의 작업 위치에 따라 사다리 형상 복수의 붐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상기 중앙 지지대에 밀착되어 상기 중앙 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2단 롤러,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적재함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 및
    윈치로부터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일체로 형성된 적재부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KR20030073372A 2003-10-21 2003-10-21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KR10043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3372A KR100436247B1 (ko) 2003-10-21 2003-10-21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3372A KR100436247B1 (ko) 2003-10-21 2003-10-21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39A KR20030086539A (ko) 2003-11-10
KR100436247B1 true KR100436247B1 (ko) 2004-06-12

Family

ID=323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3372A KR100436247B1 (ko) 2003-10-21 2003-10-21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331A2 (en) * 2007-08-03 2009-02-12 Dae Woo Lim Movable aerial ladder
KR100956177B1 (ko) 2008-01-29 2010-05-06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220166686A (ko) 2021-06-10 2022-12-19 한상락 모바일 리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59B1 (ko) * 2014-04-01 2014-08-07 이운수 야외용 스피커 리프트
CN108483320A (zh) * 2018-06-07 2018-09-04 长江大学 一种可移动简易果箱举升装置
KR102166354B1 (ko) * 2018-07-17 2020-10-15 농업회사법인 탑푸르트주식회사 작업차
KR102106627B1 (ko) * 2019-02-01 2020-05-04 주식회사 에버다임 건축물 고정식 인명 구조 및 화재 진압용 고가 사다리 장치
KR102250104B1 (ko) * 2019-10-08 2021-05-07 김성은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KR102250101B1 (ko) * 2019-10-08 2021-05-07 김성은 접이식 고소작업대
KR102396839B1 (ko) * 2020-08-12 2022-05-11 이종묵 다단 리프트 타워
CN115385262A (zh) * 2022-09-13 2022-11-2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提升工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331A2 (en) * 2007-08-03 2009-02-12 Dae Woo Lim Movable aerial ladder
WO2009020331A3 (en) * 2007-08-03 2009-04-02 Dae Woo Lim Movable aerial ladder
KR100956177B1 (ko) 2008-01-29 2010-05-06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220166686A (ko) 2021-06-10 2022-12-19 한상락 모바일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39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718B2 (en)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window frames
KR100436247B1 (ko)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US20050173192A1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JP2006240878A (ja) 簡易クレーン装置
US3223199A (en) Scaffolding hoist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EP1023510A1 (en) Device for installing light-weight panel units
JPH0673892A (ja) 建築物の外装板材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JPH06191796A (ja) 高所作業車
JP4067096B2 (ja) 建屋外壁作業用の電動式バランスアーム装置
US4718564A (en) Portable construction hoist
CN103016843A (zh) 一种管道安装机及其施工方法
CN217126756U (zh) 一种用于室内管线安装的可移动式电动物料提升机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20160089058A (ko) 전동 고소작업용 가설복층작업대
CN213326529U (zh) 一种组合式便携上料机
CN214733964U (zh) 多功能吊装机
CN220580483U (zh) 移动式操作平台
US20210331900A1 (en) Roof-Mounted Building Access System
CN214570286U (zh) 一种便捷型条板墙安装辅助器具
CN221001886U (zh) 一种市政工程用脚手架
KR101977909B1 (ko) 건물 실내 작업용 곤도라
JP6953655B1 (ja)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CN213445893U (zh) 小空间重物垂直提升装置
JP2901965B1 (ja) 建物用の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