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04B1 -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04B1
KR102250104B1 KR1020190124430A KR20190124430A KR102250104B1 KR 102250104 B1 KR102250104 B1 KR 102250104B1 KR 1020190124430 A KR1020190124430 A KR 1020190124430A KR 20190124430 A KR20190124430 A KR 20190124430A KR 102250104 B1 KR102250104 B1 KR 10225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levator
balance
ro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778A (ko
Inventor
김성은
박용기
박효진
김보성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19012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설치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Vertically movable worktable using balance weight}
본 발명은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대규모 주거단지, 다세대 등의 실내 전선공사 및 천장의 외장공사 등을 지속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구이다.
종래 고소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의 파이프인 다수의 수직바(2)와 수평바(4)를 일정한 형상으로 용접 및 볼트결합하여 작업대(1)의 본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캐스터(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고소작업대는 수직바에 끼워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를 적층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고소작업대는 상기 본체의 측면 측으로부터 사다리를 쥐고 발을 딛는 동작으로 올라가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공구나 작업시 사용할 자재 등을 가지고 올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가 적층되엉 있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이 무방비상태로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570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사다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고소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안하였다.
인용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10)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30)과, 승강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과,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과, 승강수단(5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90)을 포함한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승강프레임(30)이 올라갈 수 있는 최대높이까지 외관프레임(10)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바, 실외에서는 특별한 제한없이 이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이 가능하나, 높이제한이 있는 실내에서는 실내의 천장보다 높게 형성된 외관프레임으로 인해 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570호 '고소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는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설치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긴 판 형태로 이루어진 무게판과, 긴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무게판이 상측에 놓이고 균형로프가 연결된 부양판을 포함하되, 상기 부양판에는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끼움봉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판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로프는 부양판의 중앙에 연결되되, 상기 무게판은 균형로프가 관통되도록 일측 가장자리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용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밸런스가이드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밸런스가이드대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부양판에는 지지로프가 관통되면서 무게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유도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봉에 끼워지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추가무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의 발판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기가 이동하거나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승강기가 가이드구에 의해 지지프레임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웨이트의 무게 조절이 가능하여 몸무게가 다른 탑승자가 승강기를 이용하더라도 용이하게 승강기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탑승자의 발판 가압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이 지면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일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적용되는 승강기제어부재가 발판 및 안전바와 연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적용되는 발판 및 안전바가 바닥스토퍼와 연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적용되는 밸런스웨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설치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 승강기(200), 밸런스웨이트(300), 균형로프(20) 및 로프설치대(4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은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20)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수평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10)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면서 내측에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승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승강기(200)는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200)도 지지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탑승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바닥은 막혀진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밸런스웨이트(300)는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진다. 즉, 승강기(200)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인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는 상술한 승강기(200)가 상승할 때 밸런스웨이트(300)가 하강하고, 승강기(200)가 하강할 때 밸런스웨이트(300)가 상승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균형로프(20)는 승강기(200)와 밸런스웨이트(3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균형로프(20)는 일단이 승강기(200)의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120)에 구비되는 도르래(10)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300)에 연결된다.
로프설치대(400)는 수평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121)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승강기(200)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승강기(200)를 관통하는 고정로프(30)가 구비된다. 로프설치대(400)는 일 예로, 'ㄱ'자 또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의 끝단에 고정로프(30)가 하방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고정로프(30)를 파지하고 당김으로써 승강기(200)가 상승함과 동시에 밸런스웨이트(300)가 하강하며, 고정로프(30)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밸런스웨이트(300)가 상승함과 동시에 승강기(200)가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00)에는 고정로프(30)가 관통되며 회동하여 일단부가 고정로프(30)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쐐기구(210)와,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 쐐기구(210)의 상방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스프링(220)을 포함하는 승강기제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쐐기구(210)는 평상시 인장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부가 회동함으로써 고정로프(30)를 파지하여 승강기(20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타단부에 인장스프링(220)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을 하방으로 가하면 고정로프(30)의 파지가 해제되어 승강기(200)가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즉, 탑승자가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누르지 않는 이상, 승강기(200)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탑승자가 승강기(200)를 타고 소정의 높이로 이동한 후에는 승강기(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제어부재는 승강기(200)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승강기(200)의 바닥에는 상기 승강기제어부재와 인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발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발판(230)은 일 예로,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발판(230)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가 연동되어 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승강기(200)에 탑승 후 발판(23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 쐐기구(210)에 의한 고정로프(30)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승강기(200)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고정로프(30)를 잡아당김으로써 승강기(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자는 승강기(200)를 하강시킬 때에도 발판(23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승강기(200)를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방으로 히동하면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한 안전바(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에는 발판(230)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발판(230)과 제1 쐐기구(210)를 연동시키는 연동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연동구(250)는 일 예로, 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부가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수평부가 발판(230)과 직교하면서 끝단이 발판(2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동구(250)와 안정바(2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 체인(6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30)이 가압되지 않을 시 제1 체인(61)은 느슨한 상태를 이루고 안전바(240)는 수직인 상태를 이루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30)이 가압될 시 제1 체인(61)은 팽팽한 상태를 이루면서 안전바(240)를 당겨 안전바(240)가 수평인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승강기(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발판(230)를 가압시 이에 연동되어 안전바(240)가 자동으로 수평인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승강기(200)가 이동하는 과정 중 탑승자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제어부재는 제1 쐐기구(21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제2 쐐기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쐐기구(220)는 고정로프(30)가 관통되며 회동하여 일단부가 고정로프(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쐐기구(260)의 타단부에는 제1 쐐기구(210)의 타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22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220)의 타단은 제1 쐐기구(210)의 동작을 위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야 하는바, 제2 쐐기구(260)의 타단부는 제2 체인(62)에 의해 승강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체인(62)은 제1 쇄기구(21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더라도 제2 쐐기구(260)의 일단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30)와, 바퀴(130)가 지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서 지지프레임(10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바닥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스토퍼(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30)을 누르지 않아 승강기(200)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제되어 바퀴(130)를 통해 본 발명을 움직일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30)을 눌러 승강기(200)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지면과 맞닿으며 지지프레임(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한 일 예로, 발판(230)의 타단에는 승강기(200)의 바닥을 관통하는 가압봉(2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압봉(231)은 바닥스토퍼(140)를 지면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판(230)의 누름 여부에 따라 지지프레임(100)에 구비된 모든 바닥스토퍼(140)가 동시에 연동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기(200)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함에 있어,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장자리 하단부에 횡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구(270)의 일측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110)은 승강기(200)를 향하는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구(270)의 일측부와 직교하는 타측부는 가이드홈(111)에 끼워져, 가이드구(270)가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기(200)가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서 흔들림없이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구(270)는 승강기(2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승강기(200)가 최대 높이에 위치할 시 가이드구(270)가 가이드홈(111)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승강기(200)가 최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밸런스웨이트(3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긴 판 형태로 이루어진 무게판(310)과, 긴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무게판(310)이 상측에 놓이고 균형로프(20)가 연결된 부양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양판(320)에는 상방향을 향해 끼움봉(321)이 형성되어, 끼움봉(321)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판(310)이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웨이트(300)가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무게판(310)의 개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몸무게를 가지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달려져야 하는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보다 손쉽게 형성하고자, 밸런스웨이트(30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봉(321)에 끼워지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추가무게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가무게판(330)은 무게판(310)보다 적은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세밀하게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균형로프(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판(320)의 중앙에 연결됨이 긴 판 형태를 이루는 부양판(320)과 무게판(310)을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무게판(310)은 균형로프(20)가 관통되도록 일측 가장자리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용홈(311)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게판(310)의 수용홈(311) 내측에 균형로프(20)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끼움봉(321)에 무게판(310)을 끼우거나, 이와 반대의 동작을 취함으로써 무게판(310)을 보다 손쉽게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웨이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밸런스가이드대(5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가이드대(500)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로프(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부앙판(320)에는 지지로프(70)가 관통되면서 무게판(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유도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웨이트(300)는 승하강함에 있어, 지지로프(7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유도구(322)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도르래 20 : 균형로프
30 : 고정로프 41 : 연결구
42 : 제1 고정핀 51 : 제2 고정핀
52 : 고정고리 61 : 제1 체인
62 : 제2 체인 70 : 지지로프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11 : 가이드홈 120 : 수평프레임
121 : 제1 수평프레임 122 : 제2 수평프레임
130 : 바퀴 140 : 바닥스토퍼
200 : 승강기 210 : 제1 쐐기구
220 : 인장스프링 230 : 발판
231 : 가압봉 240 : 안전바
250 : 연동구 260 : 제2 쐐기구
270 : 가이드구
300 : 밸런스웨이트 310 : 무게판
311 : 수용홈 320 : 부양판
321 : 끼움봉 322 : 이동유도구
330 : 추가무게판
400 : 로프설치대 500 : 밸런스가이드대

Claims (5)

  1.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로프설치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긴 판 형태로 이루어진 무게판과, 긴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무게판이 상측에 놓이고 균형로프가 연결된 부양판을 포함하되,
    상기 부양판에는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끼움봉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판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로프는 부양판의 중앙에 연결되되,
    상기 무게판은 균형로프가 관통되도록 일측 가장자리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용홈이 함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밸런스가이드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밸런스가이드대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부양판에는 지지로프가 관통되면서 무게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유도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봉에 끼워지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추가무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KR1020190124430A 2019-10-08 2019-10-08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KR10225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30A KR102250104B1 (ko) 2019-10-08 2019-10-08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30A KR102250104B1 (ko) 2019-10-08 2019-10-08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78A KR20210041778A (ko) 2021-04-16
KR102250104B1 true KR102250104B1 (ko) 2021-05-07

Family

ID=7574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430A KR102250104B1 (ko) 2019-10-08 2019-10-08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008B1 (ko) * 2021-07-19 2022-03-30 손권수 벨트 컨베이어용 건널다리
CN115892909A (zh) * 2022-11-28 2023-04-04 江苏多乐热能设备有限公司 一种物料生产加工用输送升降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084B2 (ja) * 1997-03-28 2000-08-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複合鋳造法
JP2004175481A (ja) 2002-11-25 2004-06-24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2014118265A (ja) 2012-12-17 2014-06-30 Toshiba Elevator Co Ltd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084U (ja) * 2000-10-18 2001-05-11 ホクショー株式会社 垂直搬送装置
KR100436247B1 (ko) * 2003-10-21 2004-06-12 박동규 실내 작업용 이동식 고소 작업대 겸용 전동식 리프트 장치
KR101168089B1 (ko) 2010-03-25 2012-07-24 권혁숭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084B2 (ja) * 1997-03-28 2000-08-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複合鋳造法
JP2004175481A (ja) 2002-11-25 2004-06-24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2014118265A (ja) 2012-12-17 2014-06-30 Toshiba Elevator Co Ltd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78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104B1 (ko) 밸런스 웨이트를 이용하는 수동식 고소작업대
US5259479A (en) Self-raising cantilever-type work platform assembly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KR101884626B1 (ko)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CN102216545A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2250079B1 (ko) 자동 지면 지지 고소작업대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KR101749054B1 (ko) 추락 방지용 안전사다리
KR102250101B1 (ko) 접이식 고소작업대
KR10214034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각재 거치장치
KR20110001477A (ko) 지붕작업용 발판 승강장치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5007551A1 (ja) エレベータの作業足場装置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JP2002020051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床装置
JP4884429B2 (ja) 作業台の手摺り
KR101859114B1 (ko) 다단 적치가 가능한 선박용 작업대 설치 방법
JP2019099301A (ja) 点検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11924B1 (ko)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KR102591572B1 (ko) 승강기 시스템으로 마련되는 균형추 설치용 리프트장치
KR100888060B1 (ko) 비상멈춤장치의 시험기기
KR102075248B1 (ko)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