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924B1 -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924B1
KR102411924B1 KR1020210169073A KR20210169073A KR102411924B1 KR 102411924 B1 KR102411924 B1 KR 102411924B1 KR 1020210169073 A KR1020210169073 A KR 1020210169073A KR 20210169073 A KR20210169073 A KR 20210169073A KR 102411924 B1 KR102411924 B1 KR 10241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building
safety
safety net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이택
Original Assignee
심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이택 filed Critical 심이택
Priority to KR102021016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건축물의 승강로에서 격층간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안전망으로 구성되어 설치작업이 용이성과 해체작업이 편리성은 물론 설치비용이 간단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극대화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작동하고 상기 권상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가 구비된 작업차에 있어서,
건축물의 승강로 높이의 중간부분에 승강가능케 배치 설치되는 작업차와, 상기 작업차의 상, 하부에 건축물의 층간에 걸쳐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과,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기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이 그 모서리부분에 관통된 안내공에 관통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각각의 강선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부측의 상기 안전망들은 상기 작업차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진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작업차의 하부측 안전망은 건축물의 바닥에 구비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지도록 구성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로에 격층간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안전망으로 구성되어 설치작업이 용이성과 해체작업이 편리성은 물론 설치비용이 간단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극대화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및 고층 건물, 아파트 등에는 엘레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까지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엘레베이터 설치에 따른 승강로에는 엘레베이터의 설치전 안전작업이 요구된다.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에는 각층마다 개구부(엘레베이터 출입구)에 작업자, 작업재료,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예방하는 차폐천막을 의무 설치하여야 하나, 이를 준수하지 않아 개구부가 열려 있는 경우가 있고, 엘리베이터 각층 개부부와 승강로를 통한 작업자의 추락은 곧바로 생명과 연결되는 심각한 문제이기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건축골조가 완료된 직후 승강기 설치 작업 착수 전에 이러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안전장치의 일예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추락 대상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망이 구성되고, 상기 안전망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안전망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로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통한 추락 대상을 차단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는 안전망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안전망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설치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안전망이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상기 와이어를 풀어서 상기 안전망이 수평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권선기를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안전망이 2등분되고 세워서 절첩보관의 구조이고, 후렘임 또는 로프에 의한 2등분을 지지함으로서 추락자에 오히려 치명상을 주는 단점, 안전망의 제어에 따른 작동센서 및 전기장치가 필요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 개폐작동의 센싱 오작동으로 에러 등의 빈번한 고장의 문제점 및 해체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고가 필요하여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망의 설치개수가 늘어날 경우에 제어장치가 복잡하고, 안전망이 엘레베이터카의 상부와 하부에 단독 설치됨으로서 추락자의 부상위험이 큰 단점은 설치작업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1. 등록특허 제10-2212061호(2021.01.29. 등록) 2. 등록특허 제10-2251663호(2012.05.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건설작업 현장에서 단순구조로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해체작업에도 적은 노고로 해체할 수 있어 편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서 설치원가의 최소화는 물론 다층의 안전망 구조로서 사용의 안전성을 극대화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는,
건축물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작동하고 상기 권상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가 구비된 작업차에 있어서,
건축물의 승강로 높이의 중간부분에 승강가능케 배치 설치되는 작업차;
상기 작업차의 상, 하부에 건축물의 층간에 걸쳐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기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이 그 모서리부분에 관통된 안내공에 관통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각각의 강선케이블; 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부측의 상기 안전망들은 상기 작업차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진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작업차의 하부측 안전망은 건축물의 바닥에 구비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지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다수의 안전망은 내측에 성형된 합성수지 그물망의 테투리에 보강 합성수지판으로 결속 성형된 사각판체 형상으로 네 모서리 부분에 상기 안내공이 관통되고 그 내측에 관통되는 각각의 고정공에 합성수지로프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호 간이 층간 간격유지되게 상 하측에 조립 체결되는 고정체결부재로 결속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사각판체 안전망은 건축물의 층수에서 2층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층 간격으로 설치되는 사각판체 안전망에 의해 신축 건축물의 승강로를 통한 모든 층의 추락사고를 안전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망과 이를 안내하는 강선케이블, 간격을 지지하는 합성수지로프, 상,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의 단순 구성부재로 제공되어 장기간 사용시에 고장이 배제되어 수명이 보장되는 이점 및,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원가 절감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 구성부재인 사각체 안전망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반췌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사각체 안전망이 상,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져서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5는 작업차의 상승에 의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상부 사각체 안전망이 적층 수납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작업차의 하강에 의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하부 사각체 안전망이 적층 수납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 구성부재인 사각체 안전망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반췌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일부 발췌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사각체 안전망이 상,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져서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특징적 구성은 신축되는 건축물의 승강로에 건축자재나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해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승강작동하는 작업차(10)에 따라 승강작동하는 안전망을 적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건축물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20)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21)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작동하고 상기 권상로프(21)의 끝단에 고정되어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가 구비된 상태로 작업차(10)가 승강가능케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차(10)의 승강에 따른 건축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20)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충분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작업차(10)은 건축물의 승강로(A)의 높이(H)의 중간부분, 즉 건축물의 전체 층수의 중간부분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차(10)의 상,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케 이동하여 건축물의 층간에 배치되는 상, 하부 사각판체 안전망(100)을 건축물의 전체 높이(H)로 설치 구성한 것이다.
상기 사각판체 안전망(100)은 프레임틀(110)내에 합성수지 그물망(120)이 결속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틀(110)은 상, 하부 프레임틀이 상호 결속되는 암수구조의 통상의 틀 구조로서 금속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 그물망(120)의 테두리 끝단을 상, 하부 프레임틀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램핑으로 결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틀(110)은 네 모서리 부분에 안내공(130)이 관통되고 그 내측에 고정공(140)이 각각 관통된다.
이러한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100)은 상기 안내공(13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4개의 강선케이블(200)의 하단이 건축물 승강로의 최 하부 바닥의 슬라브에 앵커볼트(B)로 고정되고, 승강로 최 상부 설치될 엘레베이터 철골에 상기 강선케이블(200)의 상단이 앵커볼트(B) 등의 체결부재로 수직장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업차(10)의 상, 하부에 배분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100)은 상기 프레임틀(110)의 고정공(140)에 합성수지로프(300)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호 간이 층간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체결부재(150)로 체결되어 간격유지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로프(300)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는 것으로 굽힘이 자유로워 상기 플레임틀(110)의 적층에도 굽힘이 제공된다.
상기 사각판체 안전망(100)은 건축물에서 2층 간격으로 설치하여 추락높이를 7m 이내로 줄여서 추락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판체 안전망(100)들은 상기 작업차(10)의 승강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400,500)에 적층 수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작업차(10)의 상승작동에 따른 상부측의 상기 사각판체 안전망(100)들은 상기 작업차(10)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400)에 적층 포개진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작업차(10)의 하부측 사각판체 안전망(100)들은 건축물의 바닥에 구비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500)에 적층 포개져서 수납된다.
즉,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차(10)의 상승에 의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400)에 다수의 상부 사각체 안전망(100)이 적층 수납되는 상태로 보관되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업차(10)의 하강에 의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500)에 다수의 하부 사각체 안전망(100)이 적층 수납되면서, 상기 작업차(10)의 승강작동에 방해가 없는 상태로 안전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큰 장점은 단순한 구성에도 작업자의 안전 또는 건축자재와 같은 낙하물의 낙하에 의한 하부에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해치는 것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사각체 안전망(100)이 한정된 그물망 구조로 제시되었지만, 사출성형에 의한 안전망으로 구성하는 것도 ㄱ유도구획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작업차 21 : 권상로프
100 : 사각판체 안전망 110 : 프레임틀
120 : 합성수지 그물망 130 : 안내공
140 : 고정공 150 : 고정체결부재
200 : 강선케이블
30 : 유도구획판 31 : 유선형유도면
31a : 최대 볼록곡률 31b : 평행평탄면
32 : 수직평판면 32a : V자 형의 기체흐름 세로유도홈
40 : 빗물차단커버

Claims (3)

  1. 건축물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작동하고 상기 권상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가 구비된 작업차로서, 상기 작업차는 건축물의 승강로 높이의 중간부분에 승강가능케 배치 설치되되고, 상기 작업차의 상, 하부에 건축물의 층간에 걸쳐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과,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기 다수의 사각판체 안전망이 그 모서리부분에 관통된 안내공에 관통하여 슬라이드 안내하는 각각의 강선케이블로 구성된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의 승강작동에 따른 상부측의 상기 안전망들은 상기 작업차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진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작업차의 하부측 안전망은 건축물의 바닥에 구비된 하부 안전망 수납박스에 적층 포개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안전망은 내측에 합성수지 그물망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프레임틀에 테두리가 결속된 사각판체 형상으로 네 모서리 부분의 상기 안내공 내측에 관통되는 각각의 고정공에 합성수지로프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호 간이 층간 간격유지되게 상,하측에 각각 조립 체결되는 고정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간이 일정 간격을 갖고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69073A 2021-11-30 2021-11-30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KR10241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73A KR102411924B1 (ko) 2021-11-30 2021-11-30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73A KR102411924B1 (ko) 2021-11-30 2021-11-30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924B1 true KR102411924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073A KR102411924B1 (ko) 2021-11-30 2021-11-30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9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190A (ko) * 2010-04-13 2011-10-19 김태수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102212061B1 (ko)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251663B1 (ko)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190A (ko) * 2010-04-13 2011-10-19 김태수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102212061B1 (ko)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251663B1 (ko)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ES2939501T3 (es) Procedimiento para operar un dispositivo de obra y dispositivo de obra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2251663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2411924B1 (ko) 엘레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장치
JP642257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1159646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2011093699A (ja) エレベータの落下防止構造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JP6586490B2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JPH01267286A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6968030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柵
KR102178504B1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20210002834U (ko) 도시철도 승강장, 육교 등의 도시시설물과 단독주택용 승강기, 산업현장의 인화용 승강기의 수직 승강구(sailo, 이하 ''수직 승강구'') 내 인화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안전판.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414731A1 (en) Lift especially for mounting on a substantially vertical building and security arrangement for said lift
CN116249668A (zh) 升降机设备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S6236913Y2 (ko)
JP6382391B1 (ja) 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支援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方法
JP5968162B2 (ja) エレベータ用トーガード
KR20140074585A (ko) 다목적 소방호스 건조 타워
KR102555218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